맨위로가기

경명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명왕은 신라의 54대 왕으로, 신라의 국운이 기울어지던 시기에 재위했다. 그는 917년에 즉위하여 후당과의 외교를 추진했지만, 신라는 후고구려와 후백제의 세력에 잠식되어 쇠퇴했다. 재위 기간 동안 궁예와 견훤 등 지방 세력의 성장과 고려 태조 왕건의 건국으로 신라는 혼란을 겪었으며, 920년에는 왕건과 친분을 맺어 후백제에 대항했다. 경명왕 시대에는 여러 변괴가 나타났다는 기록과 함께, 7년 만에 사망하여 황복사 북쪽에 장사되었다. 경주 배동 배일산에 있는 능이 경명왕의 능으로 전해지며, 밀양 박씨 등 여러 성씨의 시조를 자녀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24년 사망 - 베렌가리우스 1세 포로이울리엔시스
    베렌가리우스 1세는 9세기 후반 이탈리아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마자르족 침입과 경쟁자들의 반란으로 통치에 어려움을 겪고 암살당했으며, 외손자인 베렌가리오 2세가 그의 지위를 주장했다.
  • 10세기 한국의 군주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10세기 한국의 군주 - 태조 (고려)
    고려의 초대 국왕인 태조 왕건은 후고구려 장군으로 군사적 공을 세운 후 신하들에 의해 고려를 건국, 후삼국 통일 전쟁을 통해 한반도를 통일하고 왕권 강화와 호족 통합에 힘썼으며 고구려 계승을 이념으로 북진 정책을 추진, 훈요십조를 남겼다.
  • 신라의 불교 신자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신라의 불교 신자 - 진덕여왕
    진덕여왕은 647년 신라의 제28대 왕으로 즉위하여 김유신과 함께 비담의 난을 진압하고 나당동맹을 통해 백제와 고구려에 대응하다 654년에 사망했다.
경명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경명왕
박승영(朴昇英)
왕조신라
재위 기간917년 - 924년
대수제54대
생애
출생 연도 (추정)860년 또는 894년경
사망 연도924년 8월 (음력)
출생지경주, 통일신라
사망지경주, 통일신라
가족 관계
아버지신덕왕
어머니의성왕후 김씨
배우자장사택 왕후 김씨 (880년 결혼)
자녀박언침(朴彦忱)
박언성(朴彦成)
박언신(朴彦信)
박언립(朴彦立)
박언창(朴彦昌)
박언화(朴彦華)
박언지(朴彦志)
박언의(朴彦義)
기타
시호경명(景明)
이전 왕신덕왕
다음 왕경애왕

2. 생애

경명왕은 재위 7년 만에 황복사(黃福寺) 북쪽에 묻혔다(이곳에서 화장했다고도 한다.).

2. 1.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의 등장

경명왕 때 신라는 국운이 기울어가고 있었다. 실제 신라 왕실은 왕경(王京)인 경주와 그 주변 지역만을 다스렸고, 나머지는 궁예견훤 등 지방 세력에게 빼앗겼다. 특히, 918년 현승(玄昇)의 반란으로 신라는 더욱 쇠퇴하게 되었다. 같은 해 궁예 휘하의 인심이 돌변하여 왕건을 추대하였고, 궁예는 암살되었다. 이후 왕건과 견훤이 패권을 다투었으나, 이들의 패권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은 신라 왕실과의 연결이었다. 안동이나 합천 지역에서 이들의 패권 다툼이 치열하였으나, 결국 해상권을 장악한 왕건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또한 경명왕 때는 여러 가지 변괴가 있었다고 한다. 919년 사천왕사(四天王寺) 벽화의 개가 울었고, 927년 황룡사탑(皇龍寺塔)의 그림자가 사지(舍知) 금모(今毛)의 집 뜰에 열흘이나 머물렀으며, 사천왕사 오방신(五方神)의 활줄이 모두 끊어지고 벽화의 개가 뜰로 나왔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설화는 당시 신라의 불안한 모습을 보여준다.

918년, 왕건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건국하였다. 920년, 경명왕은 왕건과 친분을 맺어 후백제에 대항했다.

2. 2. 후삼국 간의 세력 다툼과 외교적 노력

경명왕 때에는 신라의 국운이 기울어가고 있었다. 실제 신라 왕실은 왕경(경주)을 중심으로 한 그 주변 지역을 다스리는 데 불과하였고, 나머지는 궁예견훤 등 지방 세력에게 빼앗겼다. 특히, 918년에 일어난 현승(玄昇)의 반란으로 신라는 그 운명을 더욱 재촉하게 되었다. 같은 해 궁예 휘하의 인심이 돌변하여 왕건을 추대하였고, 궁예는 암살되었다. 그 뒤 왕건과 견훤이 패권을 다투게 되었으나, 이들의 패권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이들과 신라 왕실과의 연결이었다. 따라서 안동이나 합천 지역에서 이들의 패권전이 치열하였으나, 싸움은 결국 해상권을 장악한 왕건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었다.

경명왕 때에는 여러 가지 변괴가 있었다고 하는데, 919년 사천왕사(四天王寺) 벽화의 개가 울었고, 927년에 황룡사탑(皇龍寺塔)의 그림자가 사지(舍知) 금모(今毛)의 집 뜰에 열흘이나 머물렀으며, 사천왕사 오방신(五方神)의 활줄이 모두 끊어지고 벽화의 개가 뜰로 쫓아나왔다는 기록들이 그것이다. 이러한 설화 기사의 이면을 생각해 볼 때, 당시 신라의 국운이 기울어져 가는 불안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917년에 즉위하여 후당과의 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했으나, 이미 신라는 후고구려와 후백제의 세력에 잠식되어 쇠퇴하고 있었다. 918년, 왕건이 후고구려의 궁예를 몰아내고 고려를 건국한다. 920년, 경명왕은 왕건과 친분을 맺어 후백제에 대항했지만, 924년에 사망했다.

2. 3. 여러 가지 변괴와 죽음

경명왕 때에는 신라의 국운이 기울어가고 있었다. 919년 사천왕사(四天王寺) 벽화의 개가 울었고, 927년 황룡사 탑(皇龍寺塔)의 그림자가 사지(舍知) 금모(今毛)의 집 뜰에 열흘이나 머물렀으며, 사천왕사 오방신(五方神)의 활줄이 모두 끊어지고 벽화의 개가 뜰로 쫓아나왔다는 기록들이 있다. 이러한 설화 기사의 이면을 생각해 볼 때, 당시 신라의 국운이 기울어져 가는 불안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재위 7년 만에 죽으니 황복사(黃福寺) 북쪽에 장사지냈다(이곳에서 화장했다고도 한다.).

3. 왕릉 전설

경주 남쪽 배동 배일산(拜日山)의 세 왕릉 중 맨 위에 있는 왕릉이 아달라 이사금의 능이고, 가운데는 신덕왕릉, 맨 앞은 경명왕의 능이라고 한다.

4. 가계

관계이름생몰년
부왕신덕왕? ~ 917년
모후의성왕후 김씨? ~ ?
왕비장사택[5]? ~ ?
장인김대존[6]? ~ ?
사위백창직? ~ ?



경명왕은 신덕왕과 의성왕후 김씨의 아들이며, 왕비는 각간 김대존의 딸 장사택이다.[5][6]

4. 1. 자녀

경명왕에게는 8명의 아들과 1명의 딸이 있었다.[5]

이름시조
밀성대군 박언침밀양 박씨
고양대군 박언성고령 박씨
속함대군 박언신함양 박씨
죽성대군 박언립죽산 박씨
사벌대군 박언창상주 박씨
완산대군 박언화전주 박씨
강남대군 박언지순천 박씨
월성대군 박언의경주 박씨



딸은 상화공주이며, 백창직과 혼인하였다.[6]

5. 경명왕이 등장하는 작품

참조

[1] 뉴스 [오디오클립] 경명왕의 후계는 누구 https://www.ulsanpre[...] 2021-08-22
[2] 뉴스 [오디오클립] 경명왕의 후계는 누구 https://www.ulsanpre[...] 2021-08-22
[3] 웹사이트 경명왕의 출생연도는 미상이지만, 학계에서는 경명왕이 894년경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 http://his.pusan.ac.[...]
[4] 문서 삼국유사 왕력편 경명왕조
[5] 서적 삼국유사
[6] 문서 성희대왕(聖僖大王) 추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