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덕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덕왕은 912년 효공왕 사후 헌강왕의 사위 자격으로 왕위에 오른 신라의 제53대 왕이다. 즉위 후 아들 박승영을 태자로 삼았으며, 후백제와 태봉의 세력에 신라가 침식되는 가운데 917년에 사망했다. 능은 경주 배동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17년 사망 - 프레데루나
프레데루나는 베스트팔렌 백작 디트리히의 딸로, 서프랑크 왕국의 샤를 3세와 결혼하여 딸 여섯을 낳았으며 독일 왕 하인리히 1세의 왕비인 링겔하임의 마틸데의 이복 언니이다. - 917년 사망 - 쿡하오
10세기 초 쿡 가문의 일원인 쿡 하오는 띤하이 꿘을 통치하며 사회 및 행정 개혁을 통해 베트남의 자치를 강화하고 백성들의 삶을 안정시켰으며, 비록 그의 아들이 자치 유지에 실패했음에도 베트남 독립의 토대를 마련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10세기 한국의 군주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10세기 한국의 군주 - 태조 (고려)
고려의 초대 국왕인 태조 왕건은 후고구려 장군으로 군사적 공을 세운 후 신하들에 의해 고려를 건국, 후삼국 통일 전쟁을 통해 한반도를 통일하고 왕권 강화와 호족 통합에 힘썼으며 고구려 계승을 이념으로 북진 정책을 추진, 훈요십조를 남겼다. - 신라 국왕 - 성덕왕
신문왕의 아들인 성덕왕은 36년간 신라를 다스리며 당과의 외교, 구휼 사업, 관료 기구 정비, 국방 강화 등 국내외 정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 신라 국왕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신덕왕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신덕왕 (神德王) |
휘 | 박경휘 (朴景暉) |
가문 | 밀양 박씨 (朴氏) |
왕조 | 신라 (新羅) |
재위 기간 | 912년 4월 ~ 917년 7월 (음력) |
칭호 | 제53대 신라 국왕 |
신상 정보 | |
아버지 (양부) | 박예겸 (朴乂兼) |
아버지 (생부) | 박문원 (朴文元) |
어머니 | 정화부인 (貞花夫人) / 진화부인 (眞花夫人) |
배우자 | 의성왕후 김씨 (義成王后 金氏) |
자녀 | 아들: 경명왕 (景明王), 경애왕 (景哀王) |
종교 | 불교 |
생몰 정보 | |
사망 | 917년 |
매장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
기타 | |
전임자 | 효공왕 |
후임자 | 경명왕 |
2. 생애
아버지는 박예겸(朴乂兼[3])이고, 어머니는 정화부인(貞花夫人)이다. 다른 일설에는 박예겸은 의부(義父)이고 친아버지는 흥렴왕(興廉王)으로 추봉된 각간 박문원(朴文元)이라고도 한다. 헌강왕의 딸인 의성왕후와 혼인하였다. 912년 효공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헌강왕의 사위 자격으로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2. 1. 즉위 후
912년, 효공왕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헌강왕의 사위였던 신덕왕은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3] 즉위한 해에 신덕왕은 아들 박승영을 태자로 세우고, 이찬 계강(繼康)을 상대등으로 삼았다.《삼국유사》는 915년(신덕왕 4년)에 영묘사(靈廟寺)의 내행랑에 까치의 둥지가 34군데, 까마귀 둥지가 40군데나 되었으며, 3월에는 두 번이나 서리가 내렸고 6월에는 참포(斬浦)의 물과 바닷물이 사흘 동안이나 싸웠다고 전하고 있다.
916년(신덕왕 5년) 가을 8월에는 후백제의 군주 견훤이 대야성(大耶城)을 공격하였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후백제와 태봉의 세력에 침식되는 신라의 불운 속에서 917년에 신덕왕은 붕어하였다. 능은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에 있다.
3. 가계
구분 | 내용 |
---|---|
외증조할아버지 | 각간 박원린(朴元隣) - 아달라왕의 원손[4] |
외할아버지 | 각간 박순홍(朴順弘) - 성무왕(成武王)으로 추봉[4] |
어머니 | 정화부인(貞和夫人) 또는 진화부인(眞花夫人)[4] |
할아버지 | 해간 박문관(朴文官)[4] |
아버지(생부) | 이간 박문원(朴文元) - 흥렴왕(興廉王)으로 추봉[4] |
아버지(양부) | 박예겸(朴乂兼 또는 朴銳謙) - 흥덕왕의 원손, 헌강왕 시기 대아찬(大阿飡)으로 시중 역임. 선성왕(宣聖王 또는 宣成王)으로 추봉[4] |
왕후 | 의성왕후 김씨(義成王后 金氏) - 헌강왕의 딸이자 효공왕의 이복 누나.[5] |
자녀 | |
아들 | 경명왕 박승영(朴昇英)[4] |
아들 | 경애왕 박위응(朴魏膺)[4] |
아들 | 박효렴(朴孝廉)[4] |
아들 | 박연식(朴硏植)[4] |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기록에 따르면, 신덕왕의 가계는 친가와 외가에 대한 기록이 서로 다르다.[2]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신덕왕이 아달라왕과 모계로 이어진 자손이라 하였고, 삼국사기에 신덕왕의 아버지라고 기록된 박예겸에 대해서도 삼국유사는 의붓아버지로 기록하고 있다.[4]
삼국사기에서 신덕왕의 성씨를 박씨라고 한 점에 대해, 신덕왕의 누이가 효공왕의 왕비가 된 것을 계기로 김씨에서 박씨로 성을 바꾸었다는 견해가 있다.[4]
4. 능묘
《삼국유사》 왕력편에는 왕의 사후 시신은 화장되었고 뼈는 잠현(箴峴)의 남쪽에 묻었다고 하였다. 경주시 남쪽 배동 배일산(拜日山)의 배리(拜里) 3릉 중 규모가 가장 큰 원형봉토분이 신덕왕의 능으로 비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고분은 산록에 위치하고 있고 내부 구조는 천정이 높은 횡혈식 석실분인 점, 그리고 분구의 규모와 호석(護石)의 축석 상태가 통일 전후 시기의 형식이라는 점 등으로 미루어 보아 신덕왕릉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5. 평가
효공왕에게 아들이 없어 왕위에 올랐으나, 후고구려의 궁예, 후백제의 견훤 등의 세력에 밀려 신라는 쇠퇴하였다.[2]
6. 대중문화 속 신덕왕
2000년부터 2002년까지 KBS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배우 김건호가 신덕왕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뉴스
김씨가 550여년간 다스린 신라…후대에 박씨 왕 나온 이유는
https://www.yna.co.k[...]
2024-02-10
[2]
서적
「三国遺事」王暦の高句麗と新羅
大谷学会
1994-03
[3]
문서
또는 朴乂謙 혹은 朴銳謙
[4]
서적
新羅朴氏王系の成立
한국교육학술정보원
東出版
1974
[5]
문서
《삼국유사》에는 자성왕후(資成王后) 또는 의성(懿成), 효자(孝資)라는 왕후의 책호도 기록되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