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주향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향교는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라의 국학이 있던 자리에 위치하며, 신라 멸망 후 고려 시대에 향학으로 개편되었다. 조선 시대에도 지방 교육 기관 역할을 했으며, 여러 차례 중수되었다. 1919년 유림의 중수 이후 6.25 전쟁으로 훼손되었으나, 1956년 재건되었다. 2011년 대성전이 보물 제1727호로 지정되었으며, 경주향교학령 등 관련 유물이 전해진다. 경상북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향교로,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심으로 전형적인 전묘후학 배치를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향교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고려의 향교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고려의 향교 - 전주향교
    전주향교는 고려시대 창건된 조선시대 향교 건축물로, 훼손과 복원을 거쳐 유생들의 수학 공간이자 동학농민운동 거점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 석전과 향례를 통해 명맥을 유지하고 있고,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여러 영상 작품의 촬영 장소로 활용되었다.
  • 조선의 향교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조선의 향교 - 개성 성균관
    개성 성균관은 고려 시대에 태면에서 시작하여 유교 교육과 문관 양성을 담당한 주요 교육 기관으로, 조선 시대까지 국립 학문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시설 부족으로 박물관 기능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경주향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경주향교
경주향교
한글경주향교
한자
로마자 표기Gyeongju Hyanggyo
상세 정보
종류향교
지정 번호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지정 일자1985년 10월 15일
시대조선 시대
소유대한민국 문화재청, 경주유림회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교동 17-1번지
문화재청 ID21,01910000,37
건축물 수8동
좌표35°49′52″N 129°13′2″E
특징
설명경주향교는 조선 시대의 지방 교육 기관이었다.
대성전 및 서무경주향교 대성전 및 서무

2. 역사

경주향교의 정확한 창건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 향교는 계림(鷄林) 서쪽, 문천(文川) 북쪽에 있는데, 신라의 국가 최고교육 기관인 국학(國學)이 있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신라 멸망 후 서라벌이 경주로 개칭되면서 고려 조정에 의해 향학(鄕學)이라는 지방교육 기관으로 개편되었는데,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원효(元曉)가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과부 공주를 만난 요석궁(瑤石宮)에 대해 "지금의 학원이 이곳이다"(今學院是也)라는 주석이 있다.

조선 개창 이후에도 향교로서 지방교육 기관의 역할을 이어나갔다.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1600년에 대성전과 전사청을 중건하고, 1614년에 명륜당과 동서 재 등을 중건하였다. 1705년에는 부윤 여필용이 경상관찰사 김연의 협조를 얻어 향교를 중수하였고, 1880년1885년에도 각각 부윤 민치서와 민영규가 중수하였다. 1899년에는 군수 조의현이 기문을 짓고 유림의 지원으로 향교를 중수하였다.

1919년 유림들이 모성계(慕聖契)를 결성해 성금을 모아 향교를 중수하였다. 그러나 해방 뒤 6.25 전쟁으로 향교는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었고, 서재와 전교실이 무너지기까지 하였다. 1956년에 지방 유림들이 다시 모성계를 결성, 향교를 중수하고 전교실을 복원하였다. 1978년 담장을 다시 쌓았다.

2011년 12월 7일 경주향교 대성전이 대한민국 보물 제1727호로 지정되었다. 향교 안에는 1601년 제독관 손기양이 작성한 《경주향교학령》(慶州鄕校學令)이 남아있는데, 이는 조선 전기 향교 교육의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 중 하나이다.

2. 1. 신라 시대

경주향교는 신라의 국가 최고교육 기관인 국학(國學)이 있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신라 멸망 뒤에 서라벌이 경주로 개칭되면서 고려 조정에 의해 향학(鄕學)이라는 이름의 지방교육 기관으로 개편되었는데,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원효(元曉)가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과부 공주를 만난 요석궁(瑤石宮)에 대해 "지금의 학원이 이곳이다"(今學院是也)라는 주석을 남기고 있다.

2. 2. 고려 시대

경주향교는 계림(鷄林) 서쪽, 문천(文川) 북쪽에 있는데, 신라의 국가 최고교육 기관인 국학(國學)이 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신라 멸망 뒤 서라벌이 경주로 개칭되면서 고려 조정에 의해 향학(鄕學)이라는 이름의 지방교육 기관으로 개편되었는데,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원효(元曉)가 태종 무열왕(太宗武烈王)의 과부 공주를 만난 요석궁(瑤石宮)에 대해 "지금의 학원이 이곳이다"(今學院是也)라는 주석을 남기고 있다.[1]

2. 3. 조선 시대

조선 개창 뒤에도 경주향교는 지방교육 기관의 역할을 이어갔다. 성종 23년(1492년) 경주부윤 최응현(崔應賢)이 한양 성균관의 제도에 준하여 새로이 중수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선조(宣祖) 33년(1600년) 대성전과 전사청을 중건하고, 4년 뒤에는 대성전의 동서 무(撫)를 중건하였다. 명륜당과 동서 재(齋) 등의 강학공간은 광해군(光海君) 6년(1614년)에 중건되었다.

숙종 31년(1705년) 부윤 여필용(呂必容)이 경상관찰사 김연(金演)의 협조를 얻어 향교를 중수하였다. 고종 17년(1880년) 부윤 민치서(閔致序)가, 22년(1885년) 부윤 민영규(閔泳奎)가 향교를 중수하였으며, 중수 당시에 경주의 유림 손상규(孫相奎)와 최세학(崔世鶴)이 지은 기문(記文)이 남아 있다(두 사람 모두 월성 즉 경주를 본관으로 삼는 경주 유림이었다). 광무 3년(1899년) 다시 유림의 지원으로 향교를 중수하였을 때는 군수 조의현(趙儀顯)이 몸소 기문을 지었다.

1919년 유림들이 모성계(慕聖契)를 결성해 성금을 모아 향교를 중수하였다. 그러나 해방 뒤 6.25 전쟁으로 향교는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었고, 서재와 전교실이 무너지기까지 하였다. 1956년에야 지방 유림들이 다시 모성계를 결성, 향교를 중수하고 전교실을 복원하였다. 1978년 담장을 다시 쌓았다.

2011년 12월 7일 경주향교 대성전이 대한민국 보물 제1727호로 지정되었다. 향교 안에는 선조 34년(1601년) 당시 제독관 손기양(孫起陽)이 흩어져 있던 각종 학규(學規)를 엮어서 작성한 《경주향교학령》(慶州鄕校學令)이 남아 전하고 있는데, 이는 일종의 교내 학칙으로써 조선 전기 향교 교육의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 중 하나이다.

2. 4. 일제강점기 및 현대

1919년 유림들이 모성계(慕聖契)를 결성해 성금을 모아 향교를 중수하였다. 그러나 해방 뒤 6.25 전쟁으로 향교는 관리되지 못하고 방치되었고, 서재와 전교실이 무너지기까지 하였다.[1] 1956년 지방 유림들이 다시 모성계를 결성, 향교를 중수하고 전교실을 복원하였다.[1] 1978년 담장을 다시 쌓았다.[1]

2011년 12월 7일 경주향교 대성전이 대한민국 보물 제1727호로 지정되었다.[1] 향교 안에는 선조 34년(1601년) 당시 제독관 손기양(孫起陽)이 흩어져 있던 각종 학규(學規)를 엮어서 작성한 《경주향교학령》(慶州鄕校學令)이 남아 전하고 있는데, 이는 일종의 교내 학칙으로써 조선 전기 향교 교육의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 중 하나이다.[1]

3. 건축

경주향교는 경상북도 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향교로,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앞에 두고 강학공간인 명륜당을 뒤에 두는 전묘후학(前廟後學) 배치를 갖추고 있다. 명륜당 북쪽에는 선조 34년(1601년) 제독관 손기양이 심은 소나무에서 유래한 송단이, 송단 동쪽에는 현종 10년(1669년)에 부윤 민주면(閔周冕)이 지은 존경각이 있다.

3. 1. 대성전



경주향교 명륜당


경주향교는 경상북도 안에서 가장 규모가 큰 향교이다. 제향공간인 대성전을 앞에 두고 있다.

3. 2. 명륜당

경주향교에서 교생들이 학습하고 생활하는 곳으로, 대성전의 제향공간보다 낮게 배치되어 있다. 명륜당과 동·서재를 포함하는 강학공간은 임진왜란 이후 대성전이 중건되고 광해군 6년(1614년)에 부윤 이안눌이 명륜당과 동·서재를 중건하였다. 명륜당은 앞면 5칸, 옆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집이다. 중앙에 대청 3칸을 두고 좌우로 겹실 1칸을 두었다. 앞면 1칸은 모두 통칸이다. 헌종 7년(1841년)과 고종 10년(1873년)에 대성전과 함께 중건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 1978년에 다시 중건되었다. 1982년에 동재와 같은 양식으로 서재와 함께 고직실이 중건되고, 1995년 명륜당에 이어 2002년에 동재가 중건되었다. 동·서재 모두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축물로 앞면 반 칸에 툇마루를 두고 내부는 모두 통칸으로 삼았다.[4]

3. 3. 송단

명륜당 북쪽에 있다. 선조 34년(1601년) 제독관 손기양이 경주향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틈틈이 남산에서 캐어온 소나무를 향교 외삼문 밖과 명륜당 뒤뜰에 심었던 데서 유래한다. 효종 6년(1655년) 석축으로 조성되었다. 사부(師傅) 정극후(鄭克後)가 지은 기문 《송단기》가 남아 있는데, 정극후는 송단의 소나무를 두고 "이 소나무가 무성하면 유학(儒學)은 융성할 것이요, 소나무가 잘리거나 말라 죽으면 유학의 도는 영쇠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철종 7년(1856년)까지 송단에는 18그루의 소나무가 있었는데, 이 18그루의 소나무는 향교에 배향된 해동 18현을 가리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철종 7년 봄에 당시 송단의 소나무 가운데 한 그루가 바람에 쓰러져 그 자리를 어린 소나무 수백 그루로 메우고, 향교의 노비에게 보호할 것을 명했다(《재임기사록》). 원래의 송단 범위는 현재보다 넓은, 지금의 향교 뒤뜰 뿐 아니라 담 너머 내물왕릉 앞의 솔숲까지 포함하는 범위로써, 향교의 북쪽을 보충하는 비보림 역할도 하는 것이었다.[4]

3. 4. 존경각

명륜당 북쪽, 송단 동쪽에 있는 정면 2칸, 측면 1칸 건물이다. 현종 10년(1669년)에 부윤 민주면(閔周冕)이 지었다. 현재 건물은 1989년에 복원된 것이다.

4. 관련 유물 및 기록

(현재 섹션에는 관련 유물 및 기록에 대한 내용이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내용을 작성하지 않습니다.)

4. 1. 경주향교학령

1601년 당시 제독관 손기양이 흩어져 있던 각종 학규(學規)를 엮어서 작성한 《경주향교학령》이 남아 전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 전기 향교 교육의 실태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1]

5. 기타

1995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영원한 제국》(이인화 원작, 박종원 감독)의 주요 촬영지이다.

참조

[1] 웹사이트 경주향교 慶州鄕校 (Gyeongju Hyanggyo) http://100.nate.com/[...] 2011-06-10
[2] 웹사이트 Gyeongju Hyanggyo (a local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 http://eguide.gj.go.[...] 2011-07-22
[3] 웹사이트 Gyeongsangbuk-do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http://www.gyeongju.[...]
[4] 서적 또 다른 경주를 만나다 도서출판 선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