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계명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계명창(Solfège)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음높이를 나타내는 음절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11세기 이탈리아의 귀도 다레초는 찬가의 음절을 따서 육음음계의 음 이름을 지정하는 표기법을 개발했으며, 이후 'si'가 추가되어 오늘날의 'do, re, mi, fa, sol, la, ti' 음절 체계가 되었다. 현대에는 음이름을 배우는 시창 훈련에 주로 사용되며, 이동 도와 고정 도 방식이 존재한다. 이동 도는 조성이 바뀌면 음절도 함께 바뀌는 방식이며, 고정 도는 각 음절이 항상 동일한 음높이에 해당하는 방식이다. 한국에서는 이동 도 계명창이 널리 사용되며, 음악 대학 입시와 교원 임용 시험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활용된다. 청음, 음악 이론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도레미"와 같은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보법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기보법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계명창
명칭
프랑스어Solfège (솔페주)
기타 명칭Formation musicale (포르마시옹 뮤지컬)
Solfeggio (솔페조)
개요
정의음악 교육 방법
목적음악의 기본 훈련
내용
주요 내용음정과 리듬 읽기
청음
음악 이론 학습
훈련 요소가락 읽기
화성 읽기
리듬 읽기
시창
받아쓰기
화성 풀이
악식 분석
즉흥 연주
역사
기원11세기 귀도 다레초의 계명 창법
발전17세기 프랑스에서 체계화
18세기 이후 유럽 전역으로 확산
교육
교육 기관음악 대학
음악 학원
개인 레슨
같이 보기
관련 항목음악
음악 교육
계명창
시창
청음
음악 이론
귀도 다레초
절대 음감
상대 음감

2. 어원

이탈리아어 solfeggio|솔페지오ita와 영어/프랑스어 solfège|솔페주fra는 사용된 음절인 ''sol''과 ''fa''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2][3]

계명창을 포함하여 음계의 음높이를 음절로 나타내는 모든 시스템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인 "계명창"은 라틴어 solfège|솔페주lat 음절 ''sol''과 ''mi''에서 유래된 프랑스어 solmisation|솔미자시옹fra에서 유래되었다.[4] 이는 인도와 일본에서 사용되는 음절 체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솔-파하다"라는 동사는 악절의 계명창 음절을 부르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가사를 붙여 부르거나 콧노래를 부르는 것과는 구별된다.[5]

3. 역사

11세기 이탈리아의 음악 이론가 귀도 다레초는 라틴 찬가인 "Ut queant laxis"(성 요한 세례자 찬가)의 각 행 첫 음절을 이용하여 육음음계의 여섯 음 이름을 정하는 표기법을 만들었다. 이 음절들은 'ut, re, mi, fa, sol, la'가 되었다.[6][7] 이 찬가의 각 행은 다음 음계 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각 음의 이름은 해당 음 높이에서 불린 음절이 되었다.





'''Ut''' queant laxīs    '''re'''sonāre fibrīs

'''Mī'''ra gestōrum    '''fa'''mulī tuōrum,

'''Sol'''ve pollūtī    '''la'''biī reātum,

Sancte Iohannēs.





이 가사는 8세기 바울루스 디아코누스가 쓴 것으로 여겨지며,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그대의 종들이 풀린 목소리로

그대의 행적의 경이로움을 울리게 하소서,

더러워진 우리 입술에서 죄를 씻어주소서,

오 성 요한.





1600년대 이탈리아에서는 'Ut'가 발음하기 편한 개음절 'Do'로 변경되었다.[7] 귀도의 체계는 여섯 음만 있었지만, 다이어토닉 음계의 일곱 번째 음으로 'si'가 나중에 추가되었다. 영어 사용 국가에서는 19세기에 세라 글로버가 모든 음절이 다른 자음으로 시작하도록 하기 위해 'si'를 'ti'로 바꾸었다. 'Ti'는 토닉 솔파(Tonic sol-fa) 방식과 유명한 미국 뮤지컬 노래 "도레미"에서 사용된다.

일부 학자들은 계명창 음절('do, re, mi, fa, sol, la, ti')이 아랍 음악의 솔미제이션(음계 음절 이름 붙이기) 시스템인 درر مفصّلات|두라르 무파살라트ara("자세한 진주")의 음절(''dāl, rā', mīm, fā', ṣād, lām, tā'')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이러한 주장은 17세기와 18세기 초 프란시스 a 메스니엔 메닌스키와 장뱅자맹 드 라 보르드 같은 학자들에 의해 언급되었다.[8][9][10][11]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이러한 아랍 기원설에 대해 대체로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다.[12]

3. 1. 엘리자베스 시대 잉글랜드

엘리자베스 시대 잉글랜드와 그 관련 영토에서는 '미(mi)', '파(fa)', '솔(sol)', '라(la)' 이렇게 4개의 음절만을 사용하여 계명을 불렀다. 이 체계에서 '미(mi)'는 현대의 '시(ti)' 또는 '시(si)'에 해당하고, '파(fa)'는 '도(do)' 또는 '우트(ut)', '솔(sol)'은 '레(re)', '라(la)'는 '미(mi)'를 나타냈다. '파(fa)', '솔(sol)', '라(la)' 음절은 반복 사용하여 "파, 솔, 라, 파, 솔, 라, 미, 파"와 같은 음계를 만들었다. 이는 음에서 육음계 변화를 의미하는 귀도식 체계의 "변환" 개념이 남아있는 흔적이다. 이 방식은 19세기에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지만, 4개의 음절 "파(fa)", "솔(sol)", "라(la)", "미(mi)"에 각각 다른 모양을 부여하는 일부 쉐이프 노트 시스템에서는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계명창 방식의 예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리어왕'' 1막 2장에서 발견된다. 에드먼드는 에드가가 등장하자 혼잣말로 "아, 이러한 일식이 이러한 분열을 예고하는구나"라고 말한 뒤, "파, 솔, 라, 미"라고 노래하는 부분이 제1 폴리오(1608년 4분판에는 없음)에 나온다. 에드먼드가 부른 "파, 솔, 라, 미"는 현대 음계의 '파(Fa)', '솔(So)', '라(La)', '시(Ti)' (예: 다장조의 파, 솔, 라, 시)에 해당하는 음들을 순서대로 부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세 개의 온음이 연속되어 불안정한 느낌을 주는 트라이톤을 암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현대적 사용

계명창은 현대에도 시창 훈련에 사용되며, 악보를 보고 소리를 떠올려 노래하거나 연주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요하다. 시창을 위해서는 음높이, 리듬, 셈여림표, 아티큘레이션 등 다양한 악보 요소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음높이를 파악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음이름이나 계이름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는데, 크게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이동 도'''와 '''고정 도'''이다. 이동 도는 음계 내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방식이고, 고정 도는 각 음절이 고정된 음높이를 나타내는 방식이다.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는 지역이나 교육 방식에 따라 다르며, 다 장조 외의 조에서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권에서는 보통 음이름에는 알파벳(C, D, E...)을 사용하고, 계이름으로는 이동 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궁극적으로 시창 훈련은 악보에 담긴 음악적 표현을 정확히 이해하고 연주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 1. 이동 도 (Movable do)

'''이동 도'''[13](Movable doeng)는 각 계이름 음절이 특정 음높이가 아닌 음계 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 즉 음계 음을 나타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음악의 가 바뀌면 기준음(으뜸음)이 달라지므로, 각 음에 해당하는 계이름 음절도 함께 이동하여 부른다. 이는 각 육음음계의 음에 솔페지오 이름을 부여했던 귀도식 방식과 유사점을 가진다.

이동 도는 주로 게르만어권 국가, 영연방, 미국 등에서 사용된다. 헝가리코다이 교수법에서는 핵심 요소이며, 한국에서도 음악 교육에 활용된다. 19세기 영국의 사라 앤 글로버가 창안한 토닉 솔파는 이동 도의 중요한 변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1972년 로베르토 고이테가 합창단과 아동 음악 교육을 위해 이동 도를 활용한 "Cantar leggendo" 방법을 저술했다.

이동 도는 음악의 이론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교육적 장점이 있다. 으뜸음('도')을 기준으로 다른 음들을 상대적으로 파악하고 노래하면서, 학습자는 자연스럽게 멜로디와 화음의 기능과 의미를 체득할 수 있다. 악보를 읽고 소리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음높이를 파악할 때 계이름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다 장조 외의 조에서는 이동 도와 고정 도 중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다. 영어권에서는 보통 음이름에는 알파벳(C, D, E...)을 사용하고, 계이름으로는 반음계까지 표현 가능한 이동 도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장음계단음계를 이동 도로 부를 때는 사용하는 계이름 체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단음계의 경우 '도'를 으뜸음으로 보는 방식과 '라'를 으뜸음으로 보는 방식 등이 존재한다.

4. 1. 1. 이동 도 장음계

이동 도 시스템에서는 각 계이름 음절이 절대적인 음높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음계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장음계의 첫 번째 음은 항상 '도'가 되고, 두 번째 음은 '레', 세 번째 음은 '미' 등으로 부른다. (단조의 경우는 별도의 규칙을 따른다.) 이 방식은 호주, 중국, 일본, 아일랜드, 영국, 미국, 홍콩, 영어를 사용하는 캐나다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특히 헝가리코다이 교수법에서는 기본적인 요소로 활용된다. 이동 도를 사용하면 어떤 조성이든 곡의 계이름은 항상 동일하게 불린다.

이동 도에서 사용하는 계이름 음절은 고정 도에서 사용하는 음절과 약간 다르다. 주로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시' 대신 '티'를 사용하며, 반음계 변화를 나타내는 다음과 같은 음절들도 포함된다.

장음계 음이동 도 솔페즈 음절도에서 반음 수
10
올림 11
내림 21
22
올림 23
내림 3미 (& 마)3
34
45
올림 46
내림 56
57
올림 58
내림 6레 (& 로)8
69
올림 610
내림 7테 (& 타)10
711



곡 중간에 조성이 바뀌면, 그 조성에 맞춰 계이름 음절도 바꿔 불러야 한다. 예를 들어, 곡이 다 장조(C Major)로 시작하면 C 음은 '도', D 음은 '레'가 된다. 만약 곡이 바 장조(F Major)로 바뀌면, F 음이 새로운 '도'가 되고 G 음은 '레', C 음은 '솔'로 부르게 된다.

4. 1. 2. 이동 도 단음계

단조의 악절은 이동 도 방식으로 솔미제이션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도'를 기준으로 하는 방식(도 기반 단조)이고, 다른 하나는 '라'를 기준으로 하는 방식(라 기반 단조)이다.

  • 도 기반 단조: 낮은 3도, 6도, 7도 음에는 각각 '미', '레', '테'를 사용하고, 높은 6도와 7도 음에는 '라'와 '티'를 사용한다.
  • 라 기반 단조: 높은 6도와 7도 음에는 각각 '피'와 '시'를 사용한다. 이 방식은 합창, 특히 어린이 합창에서 선호되기도 한다.


어떤 방식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조바꿈을 처리하는 방식이 달라진다.

  • 도 기반 단조에서는 조가 예를 들어 다장조에서 다단조로 바뀌면, 계이름 '도'는 계속 같은 음인 C를 가리킨다. 그러나 조가 다장조에서 가단조가장조로 바뀌면, '도'의 기준음이 C에서 A로 이동하게 된다.
  • 라 기반 단조에서는 조가 다장조에서 가단조로 바뀌어도 계이름 '도'는 계속 C를 가리킨다. 하지만 조가 다장조에서 다단조로 바뀌면, '도'의 기준음이 C에서 E♭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래는 자연 단음계 음에 따른 두 방식의 이동 도 솔미제이션 음절 비교표이다.

자연 단음계 음이동 도 솔미제이션 음절 (라 기반 단조)이동 도 솔미제이션 음절 (도 기반 단조)
낮은 1레 (& 로)( 티 )
1
높은 1
낮은 2테 (& 타)
2
3미 (& 마)
높은 3
낮은 4( 미 )
4
높은 4
낮은 5미 (& 마)
5
6레 (& 로)
높은 6
낮은 7( 라 )
7테 (& 타)
높은 7


4. 2. 고정 도 (Fixed do)

로망스어군에서 음이름


'''고정 도'''(영어: Fixed do)는 각 계이름 음절이 항상 동일한 음높이에 해당하는 계명창 방식이다. 곡의 가 바뀌더라도 각 음절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동일한 음(절대적인 의미에서)을 계속 가리킨다. 이는 로망스어군 언어 체계에서 음높이를 솔페지 음절에 따라 명명하는 것과 유사하며,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국가를 포함하여 로망스어군 국가와 슬라브어군 국가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에 기악 음악과 성악의 우위를 두고 벌어진 논쟁 과정에서, 이탈리아 성악 교사들은 음높이 구별보다는 기도의 음절을 성악 기법에 활용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특정 음절이 고정된 음높이와 연결되었다. 19세기 초 파리 음악원이 설립되었을 때, 그곳의 솔페지 교재는 이러한 이탈리아 솔페지오의 관례를 따랐고, 이는 로망스 문화권에서 "고정 도"의 사용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14]

주요 로망스어군 및 슬라브어군 언어에서는 Do, Re, Mi, Fa, Sol, La, Si 음절이 영어에서 C, D, E, F, G, A, B 문자가 음이름을 지정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음의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된다. 이 언어의 모국어 화자에게 솔페지란 단순히 "음의 이름을 노래하는 것"이며, 리듬을 유지하기 위해 "샾(♯)"이나 "플랫(♭)"과 같은 수식어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이 시스템은 벨기에, 브라질, 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이탈리아, 루마니아, 라틴 아메리카 국가 및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캐나다 지역에서 사용된다. 또한 비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러시아, 터키, 우크라이나, 불가리아, 이스라엘과 같은 국가에서도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뉴욕 시의 줄리아드 학교, 필라델피아의 커티스 음악원, 뉴욕 로체스터의 이스트먼 음악 학교, 매사추세츠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음악원,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의 샌프란시스코 음악원, 오하이오 클리블랜드의 클리블랜드 음악원을 포함한 많은 음악원과 음악 학교에서 고정 도 시스템을 가르친다.

전통적인 고정 도[15]
음 이름음절음높이
종류
영어로망스어
C♭Do♭11
C0
C♯Do♯1
D♭Re♭1
D2
D♯Re♯3
E♭Mi♭3
E4
E♯Mi♯5
F♭Fa♭4
F5
F♯Fa♯6
G♭Sol♭6
G7
G♯Sol♯8
A♭La♭8
A9
A♯La♯10
B♭Si♭10
B11
B♯Si♯0



위에 표시된 전통적인 고정 도 시스템에서는 임시표가 사용된 음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 C♯, C♭(그리고 C𝄪 및 C𝄫)는 모두 "도" 음절로 불린다. 고정 도법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Do, Re, Mi, Fa, Sol, La, Si의 7음절이 다장조 음계의 음 이름 자체를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베토벤의 교향곡 9번 (라단조)은 "레 단조"라고 불리며, 3악장(내림 나장조)은 "시 플랫 장조"라고 불린다.

반면에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음표에 영어와 거의 동일한 문자 이름(C, D, E, F, G, A, B)이 사용되며(따라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은 "d-Moll"이라고 불린다), 솔페지 음절은 주로 시창 및 청음 훈련에서만 사용된다.

4. 2. 1. 고정 도 반음계 변형

여러 개의 반음계 고정-도 시스템도 반음 음표와 심지어 겹올림 및 겹내림 변이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예니안 시스템은 최초의 24-EDO (즉, 4분음) 음이름 시스템으로서, 4분음 음절을 제안했다. 규칙에 예외가 없으면서 si와 ti 사용자를 모두 지원한다.

고정도의 반음계 변형
음 이름음절
영어로망스어전통적인
[15]
올림표 5개, 내림표 5개
[15][16][17]
헐러
[18]
시어러
[19]
사일러
[20]
라토니
[21]
예니안 (반음계)
(Si 사용자 / Ti 사용자)[22]
음고 클래스
C𝄫Do𝄫dufdawduKa10
C♭Do♭dudedoNe11
C0
C♯Do♯1
C𝄪Do𝄪다스다이2
D𝄫Re𝄫rafrawruBe0
D♭Re♭1
D2
D♯Re♯3
D𝄪Re𝄪리스라이4
E𝄫Mi𝄫mefmawmuTi2
E♭Mi♭3
E4
E♯Mi♯미스마이5
E𝄪Mi𝄪미시6
F𝄫Fa𝄫foffawfuMi3
F♭Fa♭4
F5
F♯Fa♯6
F𝄪Fa𝄪페스파이7
G𝄫Sol𝄫sulfsawsuSoSɚl / Sɚ5
G♭Sol♭Səl / Sə6
G7
G♯Sol♯술 / 수8
G𝄪Sol𝄪살스사이Sül / Sü9
A𝄫La𝄫loflawluLu7
A♭La♭8
A9
A♯La♯10
A𝄪La𝄪레스라이11
B𝄫Si𝄫seftawtuFaSɚ / Tɚ9
B♭Si♭Sə / Tə10
B시 / 티11
B♯Si♯시스타이수 / 투0
B𝄪Si𝄪시시Sü / Tü1
대시 ("–")는 출처에서 음절을 지정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5. 한국의 계명창 교육

한국의 음악 교육에서 계명창(시창과 청음) 능력은 중요한 평가 요소로 다루어진다. 특히 음악 대학 입시와 교원 임용 시험 등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된다. 한국에서는 이동 도 방식의 계명창이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음악 대학 입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명창 능력을 평가한다.


  • '''시창''': 처음 보는 악보(신곡)를 짧은 시간 안에 파악하고 노래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보통 8마디에서 12마디 길이의 곡이 제시되며, 콜 유분겐을 기반으로 한 곡이나 시험관이 즉석에서 작곡한 곡이 출제되기도 한다.
  • '''청음''': 들려주는 소리를 듣고 악보에 받아 적는 능력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로 연주되는 곡을 듣고 받아 적으며,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
  • 선율 청음: 단선율을 듣고 받아 적는다.
  • 다성 청음: 여러 성부로 이루어진 음악을 듣고 각 성부를 구분하여 받아 적는다.
  • 화성 청음: 화음을 듣고 그 구성음을 파악하여 받아 적는다. 주로 4성부 화음이 출제된다.
  • '''암기 청음''' (기억 청음): 약 4마디 정도의 짧은 곡을 여러 번 들은 후, 기억에 의존하여 악보에 옮겨 적는 방식이다. 음을 듣는 동안에는 악보 표기나 메모가 금지된다.


교원 임용 시험(음악 과목)에서도 청음 능력은 중요한 평가 항목이다. 피아노나 현악 4중주 소리를 듣고 받아 적는 것 외에도, 일부 지역에서는 민족 음악(사람의 목소리) 선율을 받아 적는 등 매우 높은 수준의 청음 능력을 요구하기도 한다.

6. 청음

청음은 소리를 듣고 악보에 받아 적는 능력을 말한다. 소리가 나는 동안에는 간단하게 음을 메모하고, 이후에 악보로 정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주로 평균율로 조율된 피아노를 사용하여 진행된다.

일반적인 청음 시험에서는 먼저 곡 전체를 한 번 연주하고, 다음에는 4마디씩 나누어 3~4번 반복 연주하며, 마지막으로 다시 전체를 연주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각 단계 사이에는 약 30초 정도 악보를 기록할 시간이 주어진다.

음악 대학 입시에서도 청음 시험이 있으며, 주로 선율 청음, 다성 청음, 화성 청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실시된다. 화성 청음은 보통 4성부로 이루어지지만, 다른 종류도 있다. 유럽의 음악 대학에서는 실제 연주 현장에서 사용되는 무조 청음까지 입학 시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암기 청음(또는 기억 청음)은 4마디 정도의 짧은 악곡을 여러 번 듣고 기억하여 오선지에 옮겨 적는 방식이다. 이 경우, 음악을 듣는 동안에는 악보를 그리거나 메모하는 것이 금지된다.

교원 채용 시험(음악 과목)에서도 청음이 자주 출제된다. 피아노나 현악 4중주 외에도, 민족 음악(사람의 목소리 포함)의 선율을 받아 적는 등 매우 높은 수준의 능력이 요구되기도 한다.

6. 1. 청음 분석 (Höranalyse)

유럽의 음악 대학에서는 실제 기성 음악을 활용한 실천적인 세미나를 진행한다. 이는 Höranalyse|회어아날리제deu라고도 불리며, CD 등으로 특정 부분을 짧게 반복해서 들려주면서 음악의 구조를 파악하고, 그 내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는 능력을 기르는 훈련이다. 실제 음악회 등에서는 악보 없이 음악을 감상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러한 청음 분석 능력은 중요하다. 음악 비평가가 아니더라도 로비 등에서 방금 들은 음악에 대해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것은 사교적으로 중요하며, 나아가 문화 정치 관련 예산 확보 등을 위한 설명 과정에서도 설득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청음 분석은 유럽 음대에서 매우 중요한 음악 교육 과목으로 다루어진다.

7. 이론

음악 이론과 실제 소리를 연결하는 것은 계명창의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이를 위해 음정, 리듬, 화음 등에 대한 훈련이 이루어진다.

음악 이론의 기초적인 내용을 다루는 교과서로는 "음악 통론"이 있으며, 악보 읽기 등 보다 전문적인 설명을 다루는 분야를 "악전"이라고 한다. 화성학, 대위법, 악식론 등은 이러한 악전을 응용한 학문 분야에 해당한다. 계명창은 음악 학교 등의 입시 과목으로도 활용된다.

다만 실제 계명창 청음 과제에서는, 응시자가 단순히 화성학 이론 지식만으로 문제를 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이론적 규칙을 벗어난 형태로 출제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사성 화음 규칙을 따르지 않는 음향을 제시하여 실제 청음 능력을 평가하기도 한다.

8. 문화적 참조

솔페지는 음향, 시각, 언어, 수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음표를 구별할 수 있어, 음절 문자나 국제 보조어로 활용될 잠재력을 가졌다. 이러한 가능성은 19세기 후반 음악 언어인 솔레솔을 통해 실제로 시도되었다.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의 유명한 노래 "도레미"는 솔페지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주인공 마리아가 폰 트라프가의 아이들에게 장음계를 가르치기 위해 이 노래를 부른다.

미국의 코미디언 어니 코백스의 텔레비전 쇼에는 '나이로비 트리오'라는 인기 코너가 있었다. 고릴라 마스크를 쓴 세 명의 연기자(코백스 본인과 프랭크 시나트라, 잭 레먼, 에디 아담스 등이 참여)가 로버트 맥스웰이 작곡한 '솔페지오'(Solfeggio영어)라는 곡에 맞춰 마임을 선보였다. 이 곡은 가사 전체가 계명창 음절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코너의 인기에 힘입어 '나이로비 트리오의 노래'(Song of the Nairobi Trio영어)라는 제목으로 재발매되기도 했다.

솔파 암호[23]는 음악 암호의 한 종류로, 글자를 계명창 음절과 리듬 요소로 바꾸어 단어를 멜로디 형태로 암호화하는 방식이다.

참조

[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1998
[2] 웹사이트 Solfeggio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10-02-27
[3] 웹사이트 Solfège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10-02-27
[4] 웹사이트 Solmization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10-02-27
[5] 웹사이트 Sol-fa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 Online 2010-02-27
[6] 문서 Europe 1997
[7] 간행물 The History and Uses of the Sol-fa Syllables https://books.google[...] Novello, Ewer and Co.
[8] 문서 Thesaurus Linguarum Orientalum 1680
[9] 문서 Essai sur la Musique Ancienne et Moderne 1780
[10] 서적 Historical facts for the Arabian Musical Influence Ayer Publishing
[11] 간행물 Guido d'Arezzo: Medieval Musician and Educator MENC_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1973-Autumn
[12] 문서 Miller 1973, p. 244.
[13] 웹사이트 Movable "Do" vs Fixed "Do" https://www.teaching[...] 2020-09-18
[14] 간행물 Identity, Relationships, and Function in Higher Music Education: Applying an Analogy from Ear Training to Student Wellbeing 2024-10-02
[15] 서적 Building Choral Excellence: Teaching Sight-Singing in the Choral Rehears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Music for Sight Singing Thompson Schirmer
[17] 서적 Guidelines for College Teaching of Music Theor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8] 서적 Hullah's Method of Teaching Singing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19] 서적 Learning the Classical Guitar, Part 2: Reading and Memorizing Music https://books.google[...] Mel Bay
[20] 간행물 Toward an International Solfeggio
[21] 서적 Das mathematisch-reine Tonsystem
[22] 웹사이트 Yehnian Solfège / 葉氏唱名 / Solfeggio Yehniano https://renoyeh.wixs[...] 2021-03-01
[23] 웹사이트 Solfa Cipher https://solfa-co.d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