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의 군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개의 군상'은 사카이야 다이치의 소설을 원작으로, 1975년에 NHK에서 방영된 대하드라마이다. 겐로쿠 시대의 사회상을 배경으로 아코 번의 몰락과 47인의 낭인의 복수 사건을 다루며, 오이시 구라노스케를 비롯한 주요 등장인물들의 다양한 면모를 조명한다. 드라마는 아코 번의 갈등과 몰락, 복수 계획의 실행, 복수 이후의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주며, 기존 작품과의 차별성과 캐스팅, 연출 등으로 주목받았다. 평균 시청률 23.7%를 기록하며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신구라 - 겐로쿠 태평기
난조 노리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겐로쿠 태평기는 도쿠가와 쓰나요시 시대의 아코 사건을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의 시점에서 새롭게 조명하고 기존 충신장 등장인물들의 설정을 비튼 1975년 NHK 대하 드라마로, 관동 지역에서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촬영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 주신구라 - 겐로쿠 요란
겐로쿠 요란은 아사노 나가노리의 칼부림 사건과 47명의 낭인들의 복수극을 그린 일본 대하드라마로, 오이시 쿠라노스케의 복수 계획을 중심으로 도쿠가와 츠나요시와 야나기사와 요시야스의 정치적 음모, 이로부 마타시로의 활약 등이 얽혀 당시 일본 사회의 정치적 상황과 인간 군상을 폭넓게 보여준다. - 1982년 일본 - 일본항공 350편 추락 사고
일본항공 350편 추락 사고는 1982년 일본항공 소속 맥도넬 더글러스 DC-8-61 여객기가 하네다 공항에 착륙 중 기장의 고의적인 조작으로 추락하여 24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사고 조사 결과 기장의 편집증적 정신분열증이 원인으로 밝혀져 당시 일본 사회의 안전 관리 시스템과 정신 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드러냈다. - 1982년 일본 - 스즈키 젠코 내각 (개조)
스즈키 젠코 내각 (개조)는 스즈키 젠코가 내각총리대신으로 선출된 후 자유민주당 내 파벌의 의견을 수렴하여 안정적인 정권 운영을 목표로 경제 성장, 행정 개혁, 미국과의 안보 협력 강화 및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주요 정책 목표로 삼았으나, 정치 스캔들과 소극적인 리더십에 대한 비판 속에 단명으로 막을 내린 내각이다. - 역사 드라마 - 아마야 (드라마)
아마야는 2011년 필리핀에서 방영된 역사 드라마로, 마리안 리베라가 라자 망구밧에 맞서 땅을 구원하는 주인공 바이 아마야 역을 맡아 필리핀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며, 높은 시청률과 여러 시상식 수상을 기록했다. - 역사 드라마 - 로마 (드라마)
HBO와 BBC가 공동 제작한 드라마 《로마》는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말기를 배경으로 루키우스 보레누스와 티투스 풀로, 그리고 실존 인물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정치적·군사적 갈등, 권력 투쟁, 사회상을 묘사하며 역사적 사실과 허구를 혼합한 서사를 특징으로 한다.
고개의 군상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드라마 |
방송 시간 | 일요일 20:00-20:45 |
방송 분량 | 45분 |
방송망 | 대하드라마 |
방송 기간 | 1982년 1월 10일 - 12월 19일 |
방송 횟수 | 총 50회 |
제작 방송국 | NHK |
원작 | 사카이야 다이치 『고개의 군상』 |
극본 | 도미카와 모토후미 |
출연자 | 오가타 겐 아이카와 킨야 이소베 쓰토무 이타미 주조 우노 주키치 오카 미쓰코 오카모토 후지타 고이즈미 교코 고 히로미 고테가와 유코 고바야시 가오루 고바야시 넨지 다키가와 유미 다케와키 무가 단바 데쓰로 데라다 미노리 나카무라 바이노스케 나다카 다쓰로 노무라 요시오 히구치 가나코 마쓰다이라 겐 미우라 히로카즈 야마우치 아키라 요시다 히데코 류 다이스케 |
내레이터 | 가가미 사치코 |
오프닝 테마 | 이케베 신이치로 |
이전 작품 | 여자 태합기 |
다음 작품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제작진 | |
제작 총괄 | 고바야시 다케시 |
연출 | 오카모토 노부유 외 |
2. 역사적 배경
에도 시대 겐로쿠(元禄) 시대는 일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기로, 사회 변화가 두드러진 '고개(峠)'와 같은 시기였다. 원작자 사카이야 다이치는 이 시기를 배경으로 아코 사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이 드라마는 아코 번의 단절을 현대 기업의 도산에 비유하여, 단순한 복수극이 아닌 당시 샐러리맨과 같았던 아코 번사들의 행동과 고민에 초점을 맞추었다.
2. 1. 겐로쿠 시대의 사회상
에도 시대 겐로쿠(元禄) 시기는 일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기였다. 원작자 사카이야 다이치는 이 시기를 사회의 방향이 변화하는 '고개(峠)'와 같은 시기로 보았고,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아코 사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이 드라마는 아코 번의 단절을 현대 기업의 도산에 비유하여, 단순한 복수극이 아닌 당시 샐러리맨과 같았던 아코 번사들의 행동과 고민에 초점을 맞추었다.겐로쿠 시대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무사 계급은 점차 관료화되었고, 상업 자본이 발달하면서 조닌(町人) 계층의 영향력이 커졌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아코 사건의 배경이 되기도 했다.
3. 주요 등장인물
'''굵은 글씨'''일본어는 총집편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각 등장인물의 역사적 사항, 사실(史實)과의 차이점 등은 해당 기사를 참조.[1]
=== 아코 번 및 주인공 주변 ===
- '''오이시 구라노스케''' (오가타 켄 분): 당황하거나 노이로제 기미를 보이는 등 코믹한 연기를 선보였으나, 복수를 결심한 후에는 인정사정없는 살인자가 되는 무서운 모습을 보여주었다.
- '''이시노 시치로지''' (마츠다이라 켄 분): 후와 카즈에몬 밑에서 소금 감정역으로 일했다. 처음에는 염전 개발이 잘 되지 않았지만, 이후 개혁을 통해 질 좋은 소금을 많이 생산하여 키라의 소금 상인을 몰아낼 정도가 되었다. 아코 번 폐지 후에는 소금 생산에 더욱 힘을 쏟았으며, 복수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 '''다케시마 소라''' (타키가와 유미 분): 이시노 시치로지에게 연정을 품고 조언을 했다. 복수를 비판하며, 사람을 살리고 좋은 소금을 천하에 공급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 '''오이시 리쿠''' (오카 미츠코 분): 요시오의 아내로, 남편이나 의붓동생 아사노 다이가쿠에게 자주 고함을 질렀다.
- '''오이시 요시카네|오이시 치카라''': 마츠모토 히데토 분
- '''오이시 요시치요''': 키타자와 테루키 분
- '''오이시 쿠''': 야마시타 요코에서 호리우치 후미코로 변경
- '''오이시 루리''': 니시지마 마미 분
- '''아사노 타쿠미노카미''' (류 다이스케 분): 학문이나 예술을 싫어하는 막부에 대한 「어전 봉공 제일」이라고 생각하는 완고하고 우직한 기질을 가졌다. 노를 연달아 관람하게 되어 정신 불안에 빠졌으며, 칙사와의 동석에 질려 기분이 나빠져 폭발하여 키라에게 칼부림을 했다.
- '''카타오카 겐고에몬''' (고 히로미 분): 아사노 타쿠미노카미의 코쇼였던 그는 아코 번 폐지 후 단독으로 복수를 목표로 했지만, 후에 오이시 일행에 합류한다.
- '''호리베 야스베''' (이소베 츠토무 분): 타카다노바바의 결투에서 무용담을 가진 인물이다. 나가노리 사후 아사노 가문 에도 저택에 쳐들어가 날뛰는 에도 낭인들을 진압했다.
- '''호리베 야헤에''' (키타미 하루이치 분): 타케노부의 양아버지이다.
- '''후와 카즈에몬''' (코바야시 카오루 분): 냉소적이고 기묘한 인상을 풍기는 낭인이었다.
- '''오노 구로베에''' (야마우치 아키라 분): 이시노 시치로지의 상사로 유능한 경제 관료적 가로였던 그는 「충신장」에서는 악역으로 묘사되지만, 본작에서는 사실에 가깝게 묘사된다.
- '''하라 소에몬''' (야노 세키 분): 가로의 보좌역으로, 요시오의 곁에 있으며 무슨 일이 있으면 소리를 질렀다.
- '''타케바야시 타다시치''' (타케모토 카즈마사 분): 키라를 참살한 공로자이다.
- '''타카다 코리베에''' (나카다 타츠로 분): 타케노부의 파트너적인 존재로, 창술의 달인이었다.
- '''우치다 사부로에몬''' (쿠메 아키라 분): 타카다 코리베에의 삼촌이다.
- '''후지이 마타자에몬''' (후지키 유 분): 오이시 요시오 다음 가는 상석 가로였다.
- '''오쿠노 쇼겐''' (타치하라 히로시 분)
- '''니시무라 코지로''' (토우라 로쿠코 분)
- '''아야노 산페이''' (나카무라 바이쟈쿠 분): 아사노 가문에 대한 충성을 소중히 생각했다. 이 때문에 아버지로부터 타 번에 출사를 명받았을 때, 그것을 고민하며 타쿠미노카미의 기일에 자결했다.
- '''아야노 시치로자에몬''' (이마후쿠 마사오 분): 아야노 산페이의 아버지이다.
- '''타나카 사다시로''' (하야시 호시로 분)
- '''하야미 토자에몬''' (카타오카 고로 분)
- '''야다 고로에몬''' (사카니시 료타 분)
- '''타하라 이에몬''' (토코로 조지 분)
- '''아쿠리''' (오카모토 마이 분)
- '''요노스케''' (다이몬 마사아키 분)
- '''아사노 다이가쿠''' (히가시무라 코유키 분)
- '''호리베 호리''': 이와이 토미(제14화까지)에서 '''이가라시 메구미'''(제27화 이후)로 변경, 호리베 야스베의 아내
- '''오노데라 단''' (스즈키 미츠에 분)
- '''야스이 히코에몬''' (카네우치 요시오 분)
- '''신도 겐시로''' (쿠와야마 쇼이치 분)
- '''오야마다 쇼자에몬''' (후카미 산쇼 분)
- '''하시모토 헤이자에몬''' (미우라 코이치 분)
- '''하치스케'''(오이시 가신) (세키 타케시 분): 본작이 유작이 되었다.
- '''스즈타 쥬하치''' (츠지 반쵸 분): 염전 개발에 종사하게 되어 시치로지와 대립했지만, 그의 헌신적인 모습에 감동하여 협력하게 된다. 아코 번이 폐지된 후에는 염전 개발에 종사하고 있었지만, 시치로지로부터 무사를 그만두고 염전 개발을 계속할 것인가, 무사로서 아코를 떠날 것인가의 선택을 강요받자 감사의 말을 전하고 아코를 떠났다.
=== 기라 가문 및 관계자 ===
- '''기라 코즈케노스케''' ('''이타미 주조''' 분): 고케 간닌. 품위가 있으며, 오해받기 쉬운 인물. 공경과 지기가 많아 귀부(歸府)가 늦어져, 부재중인 나가노리의 제멋대로인 독단을 질책한다. 무라바야시 타카시게에게 참살당한 유해로 오두막에서 끌려 나온다.
- '''기라 요시치카''' ('''야마나카 야스히토''' 분)
- '''코바야시 헤이하치로''' ('''테라다 미노리''' 분)
- '''시미즈 이치가쿠'''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분)
- '''야마요시 신파치''' ('''미네기시 토오루''' 분)
- '''우에스기 츠라노리''' ('''마츠하시 노보루''' 분)
- '''이로베 또시로''' ('''후지오카 중경''' 분)
- '''시호안 소헨''' (나카무라 신로 분): 기라 가문에서 다회를 여는 다인(茶匠).
=== 쇼군 가문 및 관계자 ===
- '''도쿠가와 쓰나요시''' ('''다케와키 무가''' 분): 5대 정2품 대장군.
-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오카모토 후지타''' 분):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는 막부 측근.
- '''마치코''' ('''요시다 히데코''' 분): 요시야스의 측실. 이미 잠자리를 같이하지 않지만, 교토의 공가 사회와의 외교 문제를 요시야스가 상담할 수 있는 좋은 대화 상대.
- 오빠 오기마치 킨미치를 통해 나가노리의 할복을 히가시야마 천황을 비롯한 조정이 모두 기뻐했다는 소식을 요시야스에게 전한다.
- '''마키노 나리사다''' ('''칸다 마사오''' 분)
- '''도쿠가와 쓰나요시''' ('''호리우치 마사미''' 분)
- '''류코''' ('''카네코 노부오''' 분)
- '''오규 소라이''' ('''후지키 타카시''' 분)
- '''령 선자에몬''' ('''호리 레이분''' 분)
=== 오오이시를 비롯한 47인의 낭인 ===
배역명 | 배우 |
---|---|
오쿠다 마고타유 | 독뱀 삼타유 |
오노데라 쥬나이 | 오구리 카즈야 |
야즈 우에몬시치 | 노무라 요시오 |
요시다 츄자에몬 | 시모모토 벤 |
요시다 사와에몬 | 쿠와바라 카즈오 |
마세 큐타유 | 마스다 쥰지 |
마세 마고쿠로 | 사쿠라이 마사루 |
오노데라 코우에몬 | 오다 켄파치 |
마세 키헤에 | 무라카미 후유키 |
마세 쥬지로 | 쿠라치 유헤이 |
마세 신로쿠 | 와타나베 칸지 |
이소베 쥬로자에몬 | 타카세 이즈루 |
치카마츠 칸로쿠 | 칸다 다이스케 |
토미모리 스케에몬 | 센바 죠타로 |
시오타 마타노죠 | 요시자와 켄 |
하야미 토우자에몬 | 카타오카 고로 |
아카하네 겐조 | 와카사 아츠시 |
오쿠다 사다에몬 | 고토 오사무 |
야다 고로에몬 | 사카니시 료타 |
오이시 세자에몬 | 아카하네 아키라 |
나카무라 칸스케 | 마츠시마 토시오 |
스가야 한노죠 | 나카야마 켄고 |
키무라 오카에몬 | 반 테츠야 |
치바 사부로베 | 이토 코지 |
오카노 킨에몬 | 이시하라 노보루 |
카이가 야자에몬 | 미나토 슌이치 |
칸자키 요고로 | 오노 야스시 |
테라사카 키치에몬 | 쥬칸지 바이켄 |
오타카 겐고 | 마츠이 노리오 |
쿠라하시 덴스케 | 카와이 노부요시 |
무라마츠 키헤이 | 나츠키 쥰페이 |
무라마츠 산타유 | 요시다 사토시 |
스기노 쥬헤이지 | 요시오카 유이치 |
카츠타 신자에몬 | 미츠이시 켄 |
마에하라 이스케 | 아와즈 고 |
카오노 카즈스케 | 노무라 신지 |
요코카와 칸페이 | 소노다 히로히사 |
미무라 지로자에몬 | 시마 에이지 |
야즈 쵸스케 | 오쿠무라 코엔 |
3. 1. 아코 번 및 주인공 주변
오이시 구라노스케를 연기한 오가타 켄은 당황하거나 노이로제 기미를 보이는 등 코믹한 연기를 선보였다. 그러나 복수를 결심한 후에는 인정사정없는 살인자가 되는 무서운 모습을 보여주었다.[1]이시노 시치로지는 마츠다이라 켄이 연기했다. 아사노 가문에 고용된 후 사이가 좋지 않은 후와 카즈에몬 밑에서 소금 감정역으로 일했다. 처음에는 염전 개발이 잘 되지 않아 주변의 싸늘한 시선을 받았지만, 이후 개혁을 통해 질 좋은 소금을 많이 생산하여 키라의 소금 상인을 몰아낼 정도가 되었다. 아코 번이 폐지된 후에는 소금 생산에 더욱 힘을 쏟았으며, 복수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1]
이시노 시치로지에게 연정을 품고 조언을 한 다케시마 소라는 타키가와 유미가 연기했다. 그녀는 복수를 비판하며, 사람을 살리고 좋은 소금을 천하에 공급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했다.[1]
오이시 리쿠(오카 미츠코 분)은 요시오의 아내로, 남편이나 의붓동생 아사노 다이가쿠에게 자주 고함을 질렀다.[1]
요시오의 적자 오이시 치카라는 마츠모토 히데토가, 차남 오이시 요시치요는 키타자와 테루키가 연기했다. 요시오의 딸 오이시 쿠는 야마시타 요코에서 호리우치 후미코로 변경되었고, 오이시 루리는 니시지마 마미가 연기했다.[1]
아사노 타쿠미노카미는 류 다이스케가 연기했다. 그는 학문이나 예술을 싫어하는 막부에 대한 「어전 봉공 제일」이라고 생각하는 완고하고 우직한 기질을 가졌다. 노를 연달아 관람하게 되어 정신 불안에 빠졌으며, 칙사와의 동석에 질려 기분이 나빠져 폭발하여 키라에게 칼부림을 했다.[1]
카타오카 겐고에몬은 고 히로미가 연기했다. 아사노 타쿠미노카미의 코쇼였던 그는 아코 번 폐지 후 단독으로 복수를 목표로 했지만, 후에 오이시 일행에 합류한다.[1]
호리베 야스베로 개명한 나카야마 야스베는 이소베 츠토무가 연기했다. 그는 타카다노바바의 결투에서 무용담을 가진 인물이다. 나가노리 사후 아사노 가문 에도 저택에 쳐들어가 날뛰는 에도 낭인들을 진압했다.[1]
호리베 야헤에(키타미 하루이치 분)는 타케노부의 양아버지이다.[1]
후와 카즈에몬은 코바야시 카오루가 연기했다. 그는 냉소적이고 기묘한 인상을 풍기는 낭인이었다.[1]
오노 구로베에는 야마우치 아키라가 연기했다. 이시노 시치로지의 상사로 유능한 경제 관료적 가로였던 그는 「충신장」에서는 악역으로 묘사되지만, 본작에서는 사실에 가깝게 묘사된다.[1]
하라 소에몬(야노 세키 분)은 가로의 보좌역으로, 요시오의 곁에 있으며 무슨 일이 있으면 소리를 질렀다.[1]
타케바야시 타다시치(타케모토 카즈마사 분)는 키라를 참살한 공로자이다.[1]
타카다 코리베에(나카다 타츠로 분)는 타케노부의 파트너적인 존재로, 창술의 달인이었다.[1]
우치다 사부로에몬(쿠메 아키라 분)은 타카다 코리베에의 삼촌이다.[1]
후지이 마타자에몬은 후지키 유가 연기했으며, 오이시 요시오 다음 가는 상석 가로였다.[1]
오쿠노 쇼겐은 타치하라 히로시가 연기했다.[1]
니시무라 코지로는 토우라 로쿠코가 연기했다.[1]
아야노 산페이(나카무라 바이쟈쿠 분)는 아사노 가문에 대한 충성을 소중히 생각했다. 이 때문에 아버지로부터 타 번에 출사를 명받았을 때, 그것을 고민하며 타쿠미노카미의 기일에 자결했다.[1]
아야노 시치로자에몬(이마후쿠 마사오 분)은 아야노 산페이의 아버지이다.[1]
타나카 사다시로는 하야시 호시로가 연기했다.[1]
하야미 토자에몬은 카타오카 고로가, 야다 고로에몬은 사카니시 료타가 연기했다.[1]
타하라 이에몬은 토코로 조지가 연기했다.[1]
아쿠리는 오카모토 마이가, 요노스케는 다이몬 마사아키가 연기했다.[1]
아사노 다이가쿠는 히가시무라 코유키가 연기했다.[1]
호리베 호리는 이와이 토미(제14화까지)에서 '''이가라시 메구미'''(제27화 이후)로 변경되었으며, 호리베 야스베의 아내이다.[1]
오노데라 단은 스즈키 미츠에가 연기했다.[1]
야스이 히코에몬은 카네우치 요시오가 연기했다.[1]
신도 겐시로는 쿠와야마 쇼이치가 연기했다.[1]
오야마다 쇼자에몬은 후카미 산쇼가 연기했다.[1]
하시모토 헤이자에몬은 미우라 코이치가 연기했다.[1]
하치스케(오이시 가신)는 '''세키 타케시'''가 연기했다.(본작이 유작이 되었다)[1]
스즈타 쥬하치는 '''츠지 반쵸'''가 연기했다. 염전 개발에 종사하게 되어 시치로지와 대립했지만, 그의 헌신적인 모습에 감동하여 협력하게 된다. 아코 번이 폐지된 후에는 염전 개발에 종사하고 있었지만, 시치로지로부터 무사를 그만두고 염전 개발을 계속할 것인가, 무사로서 아코를 떠날 것인가의 선택을 강요받자 감사의 말을 전하고 아코를 떠났다.[1]
3. 2. 기라 가문 및 관계자
; 기라 코즈케노스케
: 배역: '''이타미 주조'''
: 고케 간닌. 품위가 있으며, 오해받기 쉬운 인물. 공경과 지기가 많아 귀부(歸府)가 늦어져, 부재중인 나가노리의 제멋대로인 독단을 질책한다. 무라바야시 타카시게에게 참살당한 유해로 오두막에서 끌려 나온다.
; 기라 요시치카
: 배역: '''야마나카 야스히토'''
; 코바야시 헤이하치로
: 배역: '''테라다 미노리'''
; 시미즈 이치가쿠
: 배역: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 야마요시 신파치
: 배역: '''미네기시 토오루'''
; 우에스기 츠라노리
: 배역: '''마츠하시 노보루'''
; 이로베 또시로
: 배역: '''후지오카 중경'''
; 시호안 소헨
: 배역: 나카무라 신로
: 기라 가문에서 다회를 여는 다인(茶匠).
3. 3. 쇼군 가문 및 관계자
; 도쿠가와 쓰나요시: 배역: '''다케와키 무가'''
: 5대 정2품 대장군.[1]
; 야나기사와 요시야스
: 배역: '''오카모토 후지타'''
: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는 막부 측근.[1]
; 마치코
: 배역: '''요시다 히데코'''
: 요시야스의 측실. 이미 잠자리를 같이하지 않지만, 교토의 공가 사회와의 외교 문제를 요시야스가 상담할 수 있는 좋은 대화 상대.[1]
: 오빠 오기마치 킨미치를 통해 나가노리의 할복을 히가시야마 천황을 비롯한 조정이 모두 기뻐했다는 소식을 요시야스에게 전한다.
; 마키노 나리사다
: 배역: '''칸다 마사오'''[1]
; 도쿠가와 쓰나요시
: 배역: '''호리우치 마사미'''[1]
; 류코
: 배역: '''카네코 노부오'''[1]
; 오규 소라이
: 배역: '''후지키 타카시'''[1]
; 령 선자에몬
: 배역: '''호리 레이분'''[1]
3. 4. 오오이시를 비롯한 47인의 낭인
'''굵은 글씨'''는 총집편에 등장한 인물이다.[1]배역명 | 배우 |
---|---|
오쿠다 마고타유 | 독뱀 삼타유 |
오노데라 쥬나이 | 오구리 카즈야 |
야즈 우에몬시치 | 노무라 요시오 |
요시다 츄자에몬 | 시모모토 벤 |
요시다 사와에몬 | 쿠와바라 카즈오 |
마세 큐타유 | 마스다 쥰지 |
마세 마고쿠로 | 사쿠라이 마사루 |
오노데라 코우에몬 | 오다 켄파치 |
마세 키헤에 | 무라카미 후유키 |
마세 쥬지로 | 쿠라치 유헤이 |
마세 신로쿠 | 와타나베 칸지 |
이소베 쥬로자에몬 | 타카세 이즈루 |
치카마츠 칸로쿠 | 칸다 다이스케 |
토미모리 스케에몬 | 센바 죠타로 |
시오타 마타노죠 | 요시자와 켄 |
하야미 토우자에몬 | 카타오카 고로 |
아카하네 겐조 | 와카사 아츠시 |
오쿠다 사다에몬 | 고토 오사무 |
야다 고로에몬 | 사카니시 료타 |
오이시 세자에몬 | 아카하네 아키라 |
나카무라 칸스케 | 마츠시마 토시오 |
스가야 한노죠 | 나카야마 켄고 |
키무라 오카에몬 | 반 테츠야 |
치바 사부로베 | 이토 코지 |
오카노 킨에몬 | 이시하라 노보루 |
카이가 야자에몬 | 미나토 슌이치 |
칸자키 요고로 | 오노 야스시 |
테라사카 키치에몬 | 쥬칸지 바이켄 |
오타카 겐고 | 마츠이 노리오 |
쿠라하시 덴스케 | 카와이 노부요시 |
무라마츠 키헤이 | 나츠키 쥰페이 |
무라마츠 산타유 | 요시다 사토시 |
스기노 쥬헤이지 | 요시오카 유이치 |
카츠타 신자에몬 | 미츠이시 켄 |
마에하라 이스케 | 아와즈 고 |
카오노 카즈스케 | 노무라 신지 |
요코카와 칸페이 | 소노다 히로히사 |
미무라 지로자에몬 | 시마 에이지 |
야즈 쵸스케 | 오쿠무라 코엔 |
4. 드라마의 전개
아사노 나가노리|浅野長矩일본어는 도쿠가와 쓰나요시 시대의 다이묘였다. 1701년 3월 14일, 에도 성 마쓰노오로카에서 기라 요시히사에게 칼을 휘두르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아사노 나가노리는 할복을 명받았고, 아코 번은 몰락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부패한 권력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당시 에도 막부는 기라 요시히사와 같은 탐관오리들이 득세하고 있었고, 아사노 나가노리는 이러한 현실에 분노하여 기라 요시히사에게 칼을 휘두른 것으로 보인다.
아사노 나가노리의 할복 이후, 아코 번의 가신들은 오이시 요시오를 중심으로 복수를 계획하여 1702년 12월 14일 기라 요시히사의 저택을 습격하여 그를 살해하고, 아사노 나가노리의 원수를 갚았다.
이 사건은 겐로쿠 아코 사건으로 불리며, 일본 역사상 가장 유명한 복수극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사건은 일본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가부키, 분라쿠, 소설,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극중 배역은 다음과 같다.
- '''야마우치 마사토''': 아코 번에 냉담한 히로시마 번의 아사노 종가 역
- '''류자키 마사루''': 타무라 우쿄노다이부 역
- '''류코''': 쓰치야 치카라 역
- '''코이즈미 히로시''': 와키자카 효부 역
4. 1. 아코 번의 갈등과 몰락
아사노 나가노리|浅野長矩일본어는 도쿠가와 쓰나요시 시대의 다이묘였다. 1701년 3월 14일, 에도 성 마쓰노오로카에서 기라 요시히사에게 칼을 휘두르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아사노 나가노리는 할복을 명받았고, 아코 번은 몰락하게 되었다.이 사건은 부패한 권력에 대한 저항으로 해석될 수 있다. 당시 에도 막부는 기라 요시히사와 같은 탐관오리들이 득세하고 있었고, 아사노 나가노리는 이러한 현실에 분노하여 기라 요시히사에게 칼을 휘두른 것으로 보인다.
아사노 나가노리의 할복 이후, 아코 번의 가신들은 오이시 요시오를 중심으로 복수를 계획하였다. 이들은 1702년 12월 14일 기라 요시히사의 저택을 습격하여 그를 살해하고, 아사노 나가노리의 원수를 갚았다.
이 사건은 겐로쿠 아코 사건으로 불리며, 일본 역사상 가장 유명한 복수극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사건은 일본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가부키, 분라쿠, 소설, 영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극중 배역은 다음과 같다.
- '''야마우치 마사토''': 아코 번에 냉담한 히로시마 번의 아사노 종가 역
- '''류자키 마사루''': 타무라 우쿄노다이부 역
- '''류코''': 쓰치야 치카라 역
- '''코이즈미 히로시''': 와키자카 효부 역
5. 드라마의 특징 및 평가
이 드라마는 사카이야 다이치의 원작을 바탕으로 아코 사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아코 번의 해체를 현대 기업의 도산에 비유하여, 단순한 복수극이 아닌 샐러리맨, 즉 아코 번사들의 행동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본은 신예 작가 토미카와 모토후미가 맡았으며, 각 회의 부제를 동사형으로 표현하는 등 기존 대하 드라마와 차별성을 보였다.
주연으로는 오가타 켄과 같은 베테랑 배우와 함께, 타노킨 트리오의 멤버 노무라 요시오를 비롯한 젊은 아이돌 스타들이 대거 출연하여 신구 조화를 이루었다. 1980년 NHK 수요 시대극 풍신의 문 제작진과 출연진이 대거 참여하여 제작되었다.
평균 시청률 23.7%, 최고 시청률 33.8%를 기록하며, 아코 사건을 현대적으로 재조명한 작품으로 평가받았다. 1995년에 방송된 '8대 쇼군 요시무네'에서 칼부림 마츠노 오카 사건을 다룰 때 이 드라마의 영상이 사용되기도 했다.
5. 1. 기존 작품과의 차별성
사카이야 다이치의 관점을 중심으로, 아코 사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드라마이다. 아코 번의 해체를 현대 기업의 도산에 비유하여, 복수 중심의 영웅담보다는 샐러리맨, 즉 아코 번사들의 행동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각본은 신예 작가였던 토미카와 모토후미가 대하 드라마 사상 최연소로 기용되었으며, 각 회의 부제가 동사형으로 이루어져 기존 대하 드라마의 명사형 부제와 차별성을 보였다. 배역 면에서는 오가타 켄과 같은 베테랑 배우를 주연으로 기용하는 한편, 당시 인기 절정이었던 "타노킨 트리오"의 멤버 노무라 요시오를 비롯해 미타 히로코, 코이즈미 쿄코,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야쿠마루 히데히로 등 젊은 아이돌 스타들을 대거 기용하여 신구 조화를 이루었다.5. 2. 캐스팅 및 연출
사카이야 다이치의 원작 소설 『고개의 군상』은 에도 시대 겐로쿠 시기와 방송 당시의 시대가 모두 변화의 시기인 '고개(峠)'와 같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아코 사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1] 이 드라마는 아코 번의 단절을 현대 기업의 도산에 비유하여, 단순한 복수극이 아닌 샐러리맨, 즉 아코 번사들의 다양한 행동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각본은 데뷔 초기의 토미카와 모토후미가 대하 드라마 사상 최연소로 기용되어, 각 회의 부제가 동사형으로 표현되는 등 독특한 시도를 보여주었다. (대하 드라마 부제는 주로 명사형을 사용한다.) 주연으로는 베테랑 배우 오가타 켄이 기용되었으며, 당시 인기 절정이었던 "타노킨 트리오"의 멤버 노무라 요시오를 비롯하여 미타 히로코, 코이즈미 쿄코, 니시키오리 카즈키요, 야쿠마루 히데히로 등 젊은 아이돌 스타들이 대거 출연하였다.
이 작품은 1980년 NHK 수요 시대극 『풍신의 문』의 제작진(음악 이케베 신이치로, 연출 고바야시 헤이하치로 등)과 출연진( 미우라 코이치, 오노 미유키, 이소베 츠토무, 히구치 카나코, 타키가와 유미, 타케와키 무가, 이타미 주조, 테라다 미노리, 키타미 지이치, 오노 야스시, 츠지 반초, 마사오카 아이코 등)이 대거 참여하였다. 특히 『풍신의 문』 주연이었던 미우라 코이치와 오노 미유키는 각각 하시모토 헤이자에몬 역과 그의 연인 역으로 1회 특별 출연하였고, 다른 출연진들은 레귤러 배역을 맡았다.
연출은 오카모토 키요, 고바야시 헤이하치로, 타나카 켄지, 마츠모토 모리마사, 이케무라 켄쇼, 와타나베 죠타, 오츠야마 우시오가 공동으로 담당하였다.[1]
5. 3. 시청률 및 사회적 영향
이 작품은 평균 시청률 23.7%, 최고 시청률 33.8%를 기록했다. 사카이야 다이치는 에도 시대의 겐로쿠와 드라마 방영 당시가 비슷한, 시대의 방향이 변화하는 '고개(峠)'의 시기라는 관점을 통해 아코 사건을 현대적으로 그려냈다. 아코 번의 단절을 현대 기업 도산에 비유하여, 샐러리맨, 즉 아코 번사들의 행동을 재조명하는 작품으로 평가받았다.1980년 NHK 수요 시대극 '풍신의 문'의 제작진과 출연진이 대거 참여했으며, 여성 단독 나레이터가 처음으로 기용되었고, 과거 대하 드라마와 같은 주인공이 채용된 첫 작품이다.
1995년 방송된 '8대 쇼군 요시무네'에서 칼부림 마츠노 오카 사건을 다룰 때 본 작품의 영상이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峠から日本が見える
신조사
1982
[2]
웹사이트
비디오 리서치 NHK 대하드라마 과거의 시청률 데이터
http://www.video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