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니시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니시 씨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에 걸쳐 존재했던 일본의 씨족이다. 이즈미국을 기반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문이 유명하며, 오미국을 기반으로 사사키 씨의 후예인 가문도 존재한다. 고니시 유키나가는 임진왜란에서 활약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해 패배하며 가문은 몰락했다. 오미 고니시 씨는 롯카쿠 씨를 섬기며 무가로 존속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니시씨 - 고니시 유키나가
    고니시 유키나가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활동한 일본 다이묘이자 장군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임진왜란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 후 참수당했다.
  • 고니시씨 - 오타 주리아
    오타 주리아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으로 끌려가 고니시 유키나가의 양녀가 된 조선 여인으로, 기독교 신앙을 지키며 배교를 거부하여 유배지에서도 신앙을 전파한 굳건한 신념과 희생정신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이즈미국 - 기씨 (황별)
    기 씨는 고겐 천황의 자손인 기노 쓰노노 스쿠네를 시조로 하는 씨족으로, 야마토 왕권 하에서 한반도 국가들과 외교, 군사적으로 활약했으나 후지와라 북가에 밀려 쇠퇴했고, 이후 문인, 가인들을 배출했으며 다나카 씨, 이케다 씨 등이 기 씨의 후손을 자처한다.
  • 일본의 씨족 - 마쓰다이라씨
    마쓰다이라씨는 기원이 불분명하나 세이와 겐지 닛타씨의 후예로 여겨지기도 하고 가모씨나 스즈키씨의 일족일 가능성도 있으며 미카와국 유래설이 가장 널리 알려진 일본의 무가로, 14세기경 미카와 마쓰다이라 마을에 세력을 확립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배출하고 에도 시대까지 이어졌다.
  • 일본의 씨족 - 시마즈씨
    시마즈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사쓰마, 오스미, 휴가 지역을 다스린 다이묘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의 후손이며, 규슈 지역을 장악하고 임진왜란에 참전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고니시씨
가문 정보
이름고니시 씨
가몬 설명꽃십자(花久留子紋)
한자小西氏
가나こにしし
본성자칭 후지와라 북가 히데사토 류
가조고니시 유키마사
종별무가
출신지이즈미국 사카이
근거지히고국 남부
주요 인물고니시 유키나가
지류해당사항 없음
가문 정보
이름고니시 씨
가몬 설명요쓰메유이몬(丸に抱き稲)
한자小西氏
가나こにしし
본성우타겐지 사사키씨류
가조고니시 마사타카
종별무가
출신지오미국
근거지해당사항 없음
주요 인물해당사항 없음
지류해당사항 없음

2. 센고쿠 다이묘 고니시 가문 (이즈미국)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긴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문으로, 후지와라 북가 히데사토 류를 칭했다. 가조는 단바국 나이토 씨 일족인 구세이(久清)의 아들 쓰기츄(次忠)인 고니시 유키마사(小西行正)이며, 그의 아들이 사카이의 거상 고니시 류우사였다. 류우사는 하시바 히데요시(훗날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신뢰를 얻어 그를 섬기며 입신했고, 많은 고니시 씨 일족이 그와 함께했다. 류우사의 네 아들 중 장남 쇼우세이와 차남 유키나가는 히데요시를 직접 섬겼고, 삼남 도노모노스케와 막내 요시치로는 유키나가를 섬겼다. 조카 고니시 안토니오도 유키나가의 가신이었다. 유키나가는 우키타 나오이에를 잠시 섬기며 나오이에와 히데요시 사이를 오가는 사자 역할을 맡았다. 나오이에 사후 히데요시를 직접 섬기게 되었고, 덴쇼 16년(1588년) 히고 국 남부 24만 석 영주로 봉해졌다.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고니시 유키나가는 서군에 속해 패배하고 참수되었으며, 동생 유키카게는 우토 성에서 가토 기요마사에게 패배가 전해지자 성문을 열고 할복하여 고니시 씨는 멸망했다.

유키나가의 장남은 모리 데루모토에게 처형되었고, 다른 아들은 2세대 후까지 구로다 씨의 가신 아사야마 씨(1300석)로 확인된다. 소 요시토시에게 시집간 고니시 마리아는 이혼 후 행방불명되었고, 만쇼는 마카오를 거쳐 로마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 귀국했으나 순교했다. 유키카게의 후손은 무가로 존속했다.

루이스 프로이스와 교류로 일족 전체가 기리시탄이었다. 사카이, 교토에는 고니시성 상인 가문이 많았고, 나쓰카 마사이에 집안에도 고니시 씨 인물이 있었다.

2. 1. 가문의 기원과 초기 역사

단바국 나이토 씨의 일족인 구세이(久清)의 아들 쓰기츄(次忠)가 고니시 유키마사를 칭한 것이 이 가문의 직접적인 기원이다. 유키마사의 아들 고니시 류사는 사카이의 거상으로, 하시바 히데요시(훗날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접근하여 신뢰를 얻고 그를 섬기며 가문을 일으켰다. 류사의 아들들인 쇼세이, 고니시 유키나가, 도노모노스케, 요시치로 등이 히데요시 가문을 섬겼으며, 조카 고니시 안토니오도 유키나가의 가신이 되었다.[1]

2. 2. 고니시 유키나가의 번성

고니시 유키나가우키타 나오이에를 섬기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사이에서 사자(使者) 역할을 했다. 나오이에 사후 히데요시를 직접 섬기며 신임을 얻어 덴쇼 16년(1588년) 히고 국 남부 24만 석 영주로 발탁되었다.[1]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시다 미츠나리 및 우키타 히데이에와 함께 서군에 가담했으나 패배, 서군의 주모자 중 한 명으로 참수되었다. 동생 유키카게는 우토 성을 지키다 가토 기요마사에게 공격받고 세키가하라에서 서군이 패배했음을 알게 되자 성문을 열고 할복했다. 이로써 고니시 씨는 멸망했다.[1]

루이스 프로이스와 교류하는 등 일족 전체가 기리시탄이었다.[1]

2. 3. 세키가하라 전투와 가문의 몰락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고니시 유키나가이시다 미쓰나리, 우키타 히데이에와의 친분으로 서군에 가담했으나 패배했다. 유키나가는 서군의 주모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되어 참수당했다.[1] 동생 유키카게는 우토 성에서 가토 기요마사의 공격을 받고, 세키가하라에서 서군 본대가 패배했다는 소식을 듣고 성문을 열고 할복했다. 이로써 다이묘 고니시 씨는 멸망했다.

유키나가의 장남은 모리 데루모토에게 처형되었고, 다른 아들 한 명은 2세대 후까지 구로다 씨의 가신 아사야마 씨(1300석)로 명맥을 이은 것이 확인된다. 소 요시토시에게 시집갔던 딸 고니시 마리아는 이혼 후 행방을 알 수 없다. 일설에 따르면 나가사키의 수도원에서 보호를 받다가 게이초 10년에 병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마리아의 아들 만쇼는 마카오로 추방되었다가 로마까지 가서 사제 서품을 받고 일본에 귀국했으나, 순교했다. 한편 유키카게의 후손은 무가로 존속했다.

2. 4. 가문의 상업 활동

고니시 류사를 가조로 하는 고니시 가문은 사카이교토를 중심으로 상업 활동을 전개하여 부를 축적했다.[1] 이들은 나쓰카 마사이에 가문 등 다른 상인 가문들과도 연관이 있었다.

3. 오미 고니시 가문 (오미국)

우타 겐지 사사키 씨 계의 고니시 가문은 오미 국 출신이다.[1] 사사키 노리요리의 자손인 손타로 마사타카가 고니시 효부에몬노조 모우를 에보시오야로 삼아 고니시를 칭하게 되었다.[1] 마사타카는 롯카쿠 요시카타를 섬겼고, 그의 아들 고니시 마사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섬기다가 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1] 『간세이 중수 제보』에는 이 고니시 가문 4가가 기록되어 있다.[1]

3. 1. 가문의 기원

사사키 노리요리의 자손인 손타로 마사타카가 고니시 효부에몬노조 모우를 에보시오야로 삼아 고니시를 칭하게 된 것이 기원이다.[1] 마사타카는 롯카쿠 요시카타를 섬겼다.[1]

3. 2. 에도 시대의 가문

마사타카의 아들 고니시 마사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섬기다가, 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1] 『간세이 중수 제보』에는 이 고니시 가문 4가가 기록되어 있다.[1]

4. 가계도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모신 센고쿠 다이묘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조)고니시 류사
(사카이의 거상)쇼세이고니시 유키나가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해 패배, 참수됨)고니시 유키카게
(우토 성을 지키다 가토 기요마사에게 항복 후 할복)고니시 안토니오고니시 마리아
(소 요시토시에게 시집갔으나 이혼당함)고니시 만쇼
(마카오로 추방되었다가 로마까지 갔다 와 사제서품을 받고 일본에 귀국, 순교)



|

사사키 나리요리를 시조로 하는 오미 국 출신의 고니시 씨 가계도이다. 마사타카는 롯카쿠 요시카타를 섬겼다. 마사타카의 아들 마사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섬겼으나, 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

|}

4. 1. 이즈미 고니시 씨 가계도

wikitext

인물가계도비고
내토 모토사다rowspan="4" |내토 스에모리
내토 사다마사
내토 히사키요
고니시 유키마사도요토미 히데요시를 모신 센고쿠 다이묘 고니시 유키나가의 가조(家祖)
고니시 류사rowspan="7" |사카이의 거상
쇼세이
고니시 유키나가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해 패배, 참수됨
고니시 유키카게우토 성을 지키다 가토 기요마사에게 항복 후 할복
고니시 안토니오
고니시 마리아소 요시토시에게 시집갔으나 이혼당함
고니시 만쇼마카오로 추방되었다가 로마까지 갔다 와 사제서품을 받고 일본에 귀국, 순교


4. 2. 오미 고니시 씨 가계도

wiki

```

사사키 나리요리를 시조로 하는 오미 국 출신의 고니시 씨 가계도이다. 마사타카는 롯카쿠 요시카타를 섬겼다. 마사타카의 아들 마사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쓰구를 섬겼으나, 후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이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