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카쿠 요시카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롯카쿠 요시카타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이자 오미 국의 슈고였다. 1521년 롯카쿠 사다요리의 아들로 태어나, 1533년 쇼군 아시카가 요시하루로부터 편휘를 받아 요시카타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552년 아버지의 사망 후 가문을 상속받아 이가 국 일부를 통치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아자이 나가마사와의 갈등, 간논지 소동, 오다 노부나가와의 대립 등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1568년 간논지 성 전투에서 패배하여 몰락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은 1598년에 사망했다. 그는 롯카쿠 씨 식목을 반포했으며, 기마술과 궁술에 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롯카쿠씨 - 무소 소세키
무소 소세키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에서 남북조 시대에 걸쳐 활약한 선승이자 정원 디자이너로, 고다이고 천황과 아시카가 다카우지의 신임을 받아 겐무 신정과 무로마치 막부의 성립에 기여했으며, 유서 깊은 사찰의 주지를 역임하며 선종을 알리고 독창적인 정원 디자인으로 일본 조경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롯카쿠씨 - 간논지성
간논지성은 시가현 오미하치만시 기누가사 산에 위치한 일본 최대 규모의 산성 중 하나로, 남북조 시대에 축성되어 무로마치 시대에는 롯카쿠 씨의 거성이었으나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함락 및 소실되었고, 현재는 석벽, 우물 등의 유적이 남아 일본 100명성에 선정되었다. - 1521년 출생 - 다케다 신겐
다케다 신겐은 가이 겐지 출신으로 센고쿠 시대를 대표하는 무장으로, '가이의 호랑이'라 불리며 우에스기 겐신과의 가와나카지마 전투, 이마가와 요시모토, 호조 우지야스와의 동맹, 오다 노부나가와의 일시적 동맹, 도쿠가와 이에야스와의 미카타가하라 전투 등 격변의 시대를 살았다. - 1521년 출생 - 모가미 요시모리
모가미 요시모리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다테 씨와의 관계 속에서 세력을 확장했으며, 아들 모가미 요시아키와의 갈등 끝에 은거하고 70세에 사망했다. - 1598년 사망 - 성혼
성혼은 조광조의 제자이자 이이와 도의를 맺고 이황을 사사한 조선 중기 문신으로, 사림파 서인에 속하여 정여립의 난과 임진왜란 시기에 활동했으며, 이황의 이기이원론을 지지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 1598년 사망 - 이여송
이여송은 조선 출신 이주민 후손으로 명나라 장군이 되어 임진왜란 때 명나라 원군을 이끌고 평양성을 탈환하는 공을 세웠으나 소극적인 태도와 횡포에 대한 비판도 있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롯카쿠 요시카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롯카쿠 요시카타 (六角 義賢) / 롯카쿠 쇼테이 (六角 承禎) |
통칭 | 시로 (四郎) |
법명 | 발관재 (抜関斎) |
계명 | 매심원 (梅心院) |
출생 | 1521년 |
사망 | 1598년 4월 19일 |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가문 | 롯카쿠 씨 (우다 겐지 사사키 씨 계통) |
관위 | 종5위 하・좌경대부 |
가계 | |
아버지 | 롯카쿠 사다요리 |
어머니 | 고후쿠젠 (呉服前) |
형제자매 | 호소카와 하루모토 계실 롯카쿠 요시카타 요시요리 도키 요리요시 정실 기타노카타 (北の方) 다케다 노부토요 실 |
배우자 | 정실: 하타케야마 요시후사의 딸 계실: 하타케야마 요시후사의 딸 |
자녀 | 요시하루 요시사다 딸 (하타케야마 요시츠나 정실) 사사키 다카카즈 (매심재) |
정치적 역할 | |
소속 | 아시카가 쇼군 가문 |
주군 | 아시카가 요시하루, 도요토미 히데요시 |
직책 | 오미 슈고 |
롯카쿠 가문 당주 | 1552년 ~ 1559년 |
후임 | 롯카쿠 요시스케 |
군사적 활동 | |
소속 부대 | 롯카쿠 씨 |
주요 전투 | 노라다 전투 (1560년) 간논지 전투 (1568년) 가네가사키 공방전 (1570년) 이시야마 혼간지 전쟁 (1574년-1580년) |
2. 생애
롯카쿠 사다요리의 아들로 태어난 요시카타는 교토 지역을 장악하기 위한 많은 전투에 참전했다. 1549년 미요시 쵸케이에 맞서 호소카와 하루모토와 동맹을 맺었고, 1552년 아버지의 뒤를 이어 가문의 수장이 되었다. 미요시와의 일련의 승리 이후 전세가 역전되어, 요시카타와 그의 호소카와 동맹은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섬기면서 연이은 패배를 겪었다. 1558년 쇼군은 미요시 씨족과의 갈등을 화해하여 분쟁을 종식시켰다.[2]
아자이 히사마사가 북오미에서 롯카쿠 영토를 침략하자, 요시카타는 이를 격퇴하고 아자이 씨족을 롯카쿠의 가신으로 만들었다. 1559년 불교 승려가 되어 가문의 지위를 아들 롯카쿠 요시하루에게 넘겨주었지만, 가문의 전투에는 여전히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560년 아자이 나가마사에 맞서 자신의 씨족 병력을 이끌고 전투를 벌였으나, 노라다 전투에서 대패하여 롯카쿠 씨족의 쇠퇴를 알렸다.[2]
1563년 주요 가신인 고토 카타토요가 간논지 성 내부에서 사람을 죽이는 사건(간논지 소동)이 발생했다. 롯카쿠 영주와 가신들 사이의 불신은 요시카타와 그의 아들이 성에서 쫓겨나는 지경에 이르렀으나, 가모 사다히데와 가모 카타히데의 중재로 곧 다시 돌아왔다.[4]
1565년 롯카쿠는 다시 아자이의 공격을 받았으나 침략군을 저지했다.
1568년 오다 노부나가는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섬기면서 롯카쿠에게 자신의 군대에 합류할 것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이어진 전투에서 패배한 롯카쿠는 성에서 쫓겨나 고카에 정착했고, 다이묘로서의 롯카쿠 씨족은 사실상 소멸되었다.[2]
1570년 카네가사키 포위전 이후, 롯카쿠는 시바타 가쓰이에에게 초코지 성에서 패배했고, 다시 보다이지 성에서 패배하여 결국 노부나가에게 항복했다. 노부나가의 명령에 따라 요시카타는 사쿠마 노부모리가 지키고 있던 이시베 성에 투옥되었다. 1574년 탈출하여 시가라키로 도망쳐 은둔 생활을 하며, 노부나가에 맞서 지역 운동과 이시야마 혼간지를 지원했다.[2]
요시카타는 1598년에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생전에 궁술을 요시다 시게마사에게 배우고, 자신만의 기마술 학교인 사사키류를 열었다.
2. 1. 가문 상속
다이에이 원년(1521년) 롯카쿠 사다요리의 아들로 태어나, 아버지 사다요리와 함께 영지를 공동으로 통치하였다. 롯카쿠 부자는 매제인 호소카와 하루모토를 도와 미요시 나가요시와 싸웠다. 덴분 21년(1552년) 아버지가 죽자 가문을 상속받아 롯카쿠 가문의 지도자가 되었다.[2]2. 2. 잇따른 패전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와 호소카와 하루모토를 도와 미요시 나가요시와 싸웠으나 패전을 거듭했다.[2] 1558년 아시카가 요시테루와 미요시 나가요시 사이를 중재하여 실추된 체면을 회복했다. 오미 북부의 아자이 히사마사가 롯카쿠 가문의 영지를 침략했으나 격퇴하고 아자이 가문을 복속시켰다. 1559년 아들 롯카쿠 요시하루에게 가문을 물려주고 출가하여 조테이라는 법명을 받았다. 1560년 아자이 나가마사가 반기를 들자 직접 군대를 이끌고 출진했으나 노라다 전투에서 대패했다.[2]2. 3. 쇠퇴, 그리고 멸망
에이로쿠 6년(1563년) 가문의 지도자 요시하루가 유력한 신하인 고토 다카토요를 간논지 성에서 암살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간논지 소동) 이 사건으로 롯카쿠 가문의 가신들은 롯카쿠 가문에 대한 불신이 커져 요시카타와 요시하루 부자를 간논지 성에서 쫓아냈다. 이후 가모 사다히데, 가모 가타히데의 중재로 요시카타 부자는 간논지 성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4]에이로쿠 9년(1566년) 아자이 나가마사가 롯카쿠 영지에 다시 침략해 왔는데, 이미 약해진 롯카쿠 가문은 막아내는 것만으로도 벅찼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교토로 진격하자, 노부나가의 지원 요청을 거절하고 오다 군과 싸웠으나 크게 패하고 간논지 성에서 고카로 도망쳤다.[2] 이로써 센고쿠 시대의 유력 영주 가문이었던 롯카쿠 가문은 멸망했다.
2. 4. 그 뒤
아시카가 요시아키, 아자이 나가마사 등과 연합하여 오다 노부나가에게 저항했다. 1570년 시바타 가쓰이에에게 패배하고 노부나가에게 항복했다.[2] 노부나가의 명령으로 이시베 성에 감금되었으나 1574년 탈출했다.[2] 이후 행적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지지만 확실하지 않다.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해에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교토를 장악한 노부나가는 요시아키와 대립하게 되었고, 요시아키는 각지의 유력 영주들을 포섭하여 노부나가 포위망을 형성하였다. 요시카타도 아자이 나가마사와 손을 잡고 게릴라 전법으로 오다 군과 싸웠다. 1570년 남 오미의 조코지 성을 지키고 있던 시바타 가쓰이에를 공격했지만 패했다. 그 뒤 보다이지 성으로 가 농성했지만 다시 패하고, 노부나가에게 항복했다.
요시카타는 노부나가의 명으로 사쿠마 노부모리에게 맡겨져 이시베 성에 감금되었다. 그러나 1574년 시가라키로 달아났다.
그 후의 행적에 대해서는 고카나 이가의 호족들을 끌어모아 노부나가에게 항전했다고도 하거나, 은거했다고도 한다. 혹은 이시야마 혼간지에 의탁했다거나, 1581년에 그리스도인으로서 세례를 받았다는 등, 여러 가지 설이 전해지지만 확실한 것은 없다. 노부나가가 죽은 후 천하의 실권을 장악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죽은 1598년, 요시카타도 죽었다. 향년 78세.
3. 인물
요시카타는 요시다 시게마사에게서 히키류 궁술을 배워 그 유파를 계승할 정도로 무예에 뛰어났다.[2] 오쓰보류 기마술을 익혀 사사키류라는 자신만의 기마술 유파를 창시하기도 했다.[2]
3. 1. 무예
요시카타는 기마술과 궁술에 능했다. 가신이었던 요시다 시게마사에게 히키류 궁술을 배워 유파의 계승자가 되었다.[2] 또, 오쓰보류 기마술을 배우고 이를 바탕으로 스스로 사사키류를 창시하여 이름을 남겼다.[2]4. 롯카쿠 씨 법전 (롯카쿠 씨 시키모쿠)
센고쿠 시대 혼란기였던 1567년, 롯카쿠 요시카타는 롯카쿠 가문의 통치 질서를 확립하고 영지 내 안정을 도모하고자 '롯카쿠 씨 시키모쿠'라는 법전을 반포했다.[3] 같은 해, 그의 장남 롯카쿠 요시하루도 이 법전을 재반포하며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3]
5. 롯카쿠 요시카타와 관련된 인물
롯카쿠 요시카타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여러 유력 가문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요시카타는 미요시 쵸케이에 맞서 호소카와 하루모토와 동맹을 맺고[2]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를 섬기면서 미요시 가문과 대립했으나, 연이은 패배를 겪었다. 결국 요시테루가 미요시 가문과 화해하면서 갈등이 종식되었다.[2]
아자이 히사마사가 롯카쿠 영토를 침략하자, 요시카타는 이를 격퇴하고 아자이 가문을 복속시켰다.[2] 그러나 아들 아자이 나가마사가 반기를 들었고, 노라다 전투에서 요시카타는 크게 패배했다.[2]
1568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롯카쿠 가문에 지원을 요청했으나, 요시카타는 이를 거절했다.[2] 결국 전투에서 패배한 롯카쿠 가문은 고카로 쫓겨났다.[2] 이후 노부나가에게 항복했으나, 요시카타는 다시 탈출하여 저항을 계속했다.[2]
요시카타는 궁술에 능하여 요시다 시게마사에게 배우고, 자신만의 기마술 학교인 사사키류를 열었다.[2]
롯카쿠 요시카타에게는 '현(賢)' 자를 받은 인물들이 여럿 있었다.
이름 |
---|
이케다 가게오 |
가모 사다히데 |
가모 가타히로 (사다히데의 동생) |
가모 가타히데 (사다히데의 적자) |
고토 가타토요 |
신도 가타모리 (신도 야마시로노카미) |
타라오 미츠토시 |
나가타 가타히로 (나가타 빈추 입도) |
나라자키 겐도 (나라자키 타로자에몬노죠) |
후세 기미오 |
미쿠모 가타모치 (나리모치의 형) |
미쿠모 나리모치 |
미야기 가타호 (카타요시, 이름은 겐호라고도 표기, 별명은 겐유, 미야기 토요모리는 사위) |
야마오카 가게타카 |
야마자키 카타이에 |
야마나카 나가토시 |
요시다 시게마사 |
5. 1. 가족
- 아버지: 롯카쿠 사다요리 (1495년 ~ 1552년)
- 어머니: 고후쿠마에
- 정실: 하타케야마 요시후사의 딸
- 계실: 하타케야마 요시후사의 딸 (1523년 ~ 1547년) - 정실은 언니, 계실은 그 여동생. 법명은 흥선원전 춘악종춘.[13]
- 장남: 롯카쿠 요시하루 (1545년 ~ 1612년)
- 생모 불명의 자녀
- * 남자: 롯카쿠 요시사다 (1547년 ~ 1620년)
- * 여자: 하타케야마 요시쓰나의 정실
5. 2. 가신
롯카쿠 요시카타를 섬긴 주요 가신들은 다음과 같다.[1]이름 | 비고 |
---|---|
요시다 시게마사 | 궁술 히키류(吉田流) 스승 |
가모 사다히데 | |
가모 가타히로 | 사다히데의 동생 |
가모 가타히데 | 사다히데의 적자 |
고토 가타토요 | |
신도 가타모리 | 신도 야마시로노카미 |
타라오 미츠토시 | |
나가타 가타히로 | 나가타 빈추 입도 |
나라자키 겐도 | 나라자키 타로자에몬노죠 |
후세 기미오 | |
미쿠모 가타모치 | 나리모치의 형 |
미쿠모 나리모치 | |
미야기 가타호 | 가타요시, 이름은 겐호라고도 표기, 별명은 겐유, 미야기 토요모리는 사위 |
야마오카 가게타카 | |
야마자키 카타이에 | |
야마나카 나가토시 |
5. 3. 동시대 인물
- 아시카가 요시테루 : 무로마치 막부 13대 쇼군으로, 롯카쿠 요시카타는 요시테루를 도와 미요시 나가요시와 싸웠다.[2] 요시카타는 요시테루와 나가요시 사이를 중개하여 요시테루가 다시 교토로 돌아오게 하기도 했다.[2]
- 호소카와 하루모토 : 요시카타는 자신의 매제인 하루모토를 도와 미요시 나가요시와 싸웠다.[2]
- 미요시 나가요시 : 롯카쿠 가문은 미요시 가문과 대립 관계에 있었다. 요시카타는 요시테루, 하루모토를 도와 나가요시와 싸웠으나, 잇따라 패전하여 세력이 역전되었다.[2]
- 아자이 히사마사 : 오미 북부의 호족으로, 요시카타의 세력이 약화된 틈을 타 롯카쿠 가문의 영지를 침략했다. 그러나 요시카타는 이를 격퇴하고 아자이 가문을 다시 복속시켰다.[2]
- 아자이 나가마사 : 히사마사의 아들로, 요시카타에게 반기를 들었다. 요시카타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진압에 나섰으나, 노라다 전투에서 크게 패했다.[2] 이후 나가마사는 다시 롯카쿠 영지를 침략했고, 롯카쿠 가문은 이를 막는 데 급급했다.[2] 요시카타는 이후 나가마사와 손을 잡고 오다 노부나가 포위망에 가담하기도 했다.
- 오다 노부나가 : 요시카타는 노부나가의 지원 요청을 거부하고 오다 군과 싸웠으나 패배하고 고카로 도망쳤다.[2] 이후 노부나가에게 항복했으나, 다시 시가라키로 달아나 노부나가에게 저항했다.[2]
- 사이토 요시타츠 : 요시카타는 아자이 나가마사와의 전투에서 패배한 후, 적대 관계였던 사이토 요시타츠와 동맹을 맺기도 했다.
- 도요토미 히데요시 : 오다 노부나가 사후 권력을 잡은 인물이며, 롯카쿠 요시카타는 히데요시가 사망한 해와 같은 해에 사망했다.
6. 롯카쿠 요시카타와 관련된 사건
에이로쿠 6년(1563년) 간논지 성에서 가신 고토 다카토요가 암살당하는 사건(간논지 소동)이 발생하여, 롯카쿠 가문에 대한 가신들의 불신이 커졌다. 이로 인해 요시카타와 아들 요시하루는 성에서 쫓겨났으나, 가모 사다히데와 가모 가타히데의 중재로 복귀했다.
에이로쿠 9년(1566년) 아자이 나가마사가 롯카쿠 영지에 침략했으나, 롯카쿠 가문은 이를 막아내기 벅찼다. 에이로쿠 11년(1568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교토로 진격할 때, 롯카쿠 가문은 노부나가의 지원 요청을 거절하고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고카로 도주했다. 이로써 센고쿠 시대 유력 가문이었던 롯카쿠 가문은 멸망했다.
6. 1. 주요 전투
미요시 나가요시와의 전투에서 롯카쿠 가문은 초반 우세에도 불구하고 연이은 패배로 세력이 역전되었다.[2] 그러나 1558년 아시카가 요시테루와 미요시 나가요시 사이를 중재하여 요시테루의 교토 귀환을 성사시켜 체면을 회복했다.[2]1560년, 아자이 나가마사가 반기를 들자 롯카쿠 요시카타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진압에 나섰으나, 노라다 전투에서 크게 패했다.[2] 이 패배는 롯카쿠 가문 몰락의 시작이었다.
1563년 간논지 성에서 가신 고토 다카토요가 암살당하는 사건(간논지 소동)이 발생, 롯카쿠 가문에 대한 가신들의 불신이 커졌다.[4] 이로 인해 요시카타와 아들 요시하루는 성에서 쫓겨났으나, 가모 사다히데와 가모 가타히데의 중재로 복귀했다.
1568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교토로 진격할 때, 롯카쿠 가문은 노부나가의 지원 요청을 거절하고 맞서 싸웠으나 패배하고 고카로 도주했다. (간논지 성 전투)[2] 이로써 센고쿠 시대 유력 가문이었던 롯카쿠 가문은 멸망했다.
6. 2. 간논지 소동
에이로쿠 6년(1563년) 롯카쿠 가문의 당주였던 롯카쿠 요시하루가 유력한 신하인 고토 다카토요를 간논지 성에서 암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4] 이 사건으로 롯카쿠 가문에 대한 가신들의 불신이 커져, 요시카타와 요시하루 부자는 간논지 성에서 쫓겨났다.[2] 이를 간논지 소동이라고 한다.이후 중신 가모 사다히데와 가모 가타히데 부자의 중재로 요시카타 부자는 간논지 성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2]
요시하루가 고토 다카토요를 살해한 것은 요시카타의 영향력을 견제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설도 있다.[4]
6. 3. 오다 노부나가와의 관계
오다 노부나가가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옹립하고 교토로 진격할 때, 요시카타는 노부나가의 지원 요청을 거절하고 오다 군과 싸웠다. 그러나 간논지 성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고카로 도망쳤다. 이로써 센고쿠 시대의 유력 영주 가문이었던 롯카쿠 가문은 멸망했다.[2]1570년 카네가사키 포위전 이후, 롯카쿠는 시바타 카츠이에에게 초코지 성에서 패배하고, 다시 보다이지 성에서 패배하여 결국 노부나가에게 항복했다. 노부나가의 명령에 따라 요시카타는 사쿠마 노부모리가 지키고 있던 이시베 성에 투옥되었다. 그는 4년 후인 1574년에 탈출하여 시가라키로 도망쳤다. 그곳에서 그는 은둔 생활을 하며, 노부나가에 맞서 지역 운동과 이시야마 혼간지를 지원했다.
겐키 원년(1570년) 6월, 요시카타는 코카 군에서 미나미오미로 북진하여 초코지 성에 틀어박힌 노부나가의 중신인 사쿠마 노부모리와 시바타 가쓰이에를 격렬하게 공격했다(야스가와라 전투). 8월에는 아사쿠라 요시카게, 아사이 나가마사와 동맹을 맺고(노다 성·후쿠시마 성 전투), 미나미오미 땅에서 오다 군을 압박했으며, 10월 초순에는 도쿠가와의 원군과도 싸웠다. 이 전투에서 동맹군이 우세해져 위기에 빠진 노부나가는 동맹군의 이간질을 꾀했고, 11월에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통해 요시카타 부자와 화목했다(시가의 진, 노부나가 포위망). 간논지 성을 탈환하지 못한 채 노부나가와 화목한 요시카타 부자는 실질적으로 항복한 것과 같았고, 이 화목으로 다이묘로서의 롯카쿠 씨는 멸망했다는 평가도 있다.
겐키 3년(1572년) 1월, 요시카타는 재차 출진하여 노부나가에게 항전했다. 이에 애를 먹은 노부나가는 사쿠마 노부모리와 시바타 가쓰이에에게 공격을 명령했고, 부근의 사찰을 모조리 방화했으며, 인근 100개가 넘는 마을에 앞으로 롯카쿠 씨에게 협력하지 않겠다는 기청문을 제출하게 했다(겐키의 기청문). 이때, 마쓰나가 히사히데와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도 오다 노부나가로부터 이반했고, 오다 가문의 최전선은 실질적으로 요시카타가 게릴라전을 펼치는 오미까지 후퇴했다.
7. 롯카쿠 요시카타를 다룬 작품
롯카쿠 요시카타는 소설, 만화, 게임 등 다양한 작품의 소재로 다루어졌다.
7. 1. 드라마
1992년 NHK 대하드라마 노부나가 KING OF ZIPANGU에서 히라즈미 세이가 롯카쿠 요시카타 역을 연기했다.참조
[1]
서적
Nobiliaire du japon
[2]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3]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Sengoku Law
[4]
서적
近江六角氏
戎光祥出版
[5]
서적
歴史の中の人物像―二人の日本史
小径社
[6]
문서
永禄8年12月27日付三雲定持・成持宛和田惟政書状
福田寺文書
Unknown
[7]
논문
織田信長と浅井長政との握手
[8]
논문
和田惟政関係文書について
戎光祥出版
[9]
서적
野洲町史第2巻 (通史編 2)
野洲町
1987-03-31
[10]
서적
信長公記第6巻
[11]
문서
山中文書
甲賀郡志
Unknown
[12]
서적
信長公記第7巻
[13]
서적
美術研究 = The journal of art studies (345)
https://dl.ndl.go.jp[...]
1989-11
[14]
문서
六角氏式目に名前の掲載有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