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든 클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든 클라크는 칼뱅주의 사상과 성경의 명제적 계시를 강조한 미국의 철학자이자 신학자였다.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소르본 대학교에서 수학한 그는, 휘튼 대학교와 버틀러 대학교 등에서 철학을 가르쳤으며, 미국 장로교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클라크는 다양한 교단에 속했으며, 복음주의 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40권이 넘는 저서를 남겼으며, 그의 철학은 인식론, 구원론, 형이상학, 윤리학, 정치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변증학자 - 블레즈 파스칼
블레즈 파스칼은 1623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수학, 물리학,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확률론, 유체역학 연구, 철학적 사상 등을 통해 과학 혁명에 기여했다. - 기독교 변증학자 -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
프랑수아르네 드 샤토브리앙은 프랑스 낭만주의 운동을 이끈 작가이자 정치가로, 소설을 집필하고 외무부 장관을 역임하며 자유, 평등, 박애의 가치를 옹호하다가 1848년 혁명 중에 사망했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조지 린드벡
조지 린드벡은 중국과 한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미국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예일 대학교 교수로서, 중세 연구와 교회일치운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포스트리버럴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교리의 본질》을 저술하여 종교를 문화-언어적 체계로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장로교도 - 마크 워너
마크 워너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버지니아 주지사를 거쳐 현재 연방 상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온건 중도파로 분류되고 낙태 허용을 지지한다. - 미국의 장로교도 - 로널드 레이건
미국의 배우 출신으로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거쳐 제40대 대통령을 지낸 로널드 레이건은 레이거노믹스 정책으로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소련과의 긴장 완화로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재정 적자 증가와 소득 불평등 심화, 이란-콘트라 사건 등 논란도 있었다.
고든 클라크 | |
---|---|
기본 정보 | |
원어 이름 | Gordon Haddon Clark |
출생일 | 1902년 8월 31일 |
사망일 | 1985년 4월 9일 |
국적 | 미국 |
학문 분야 | |
분야 | 서양 철학 |
사상적 경향 | 칼뱅주의, 전제주의, 기독교 철학 |
주요 관심사 | 인식론, 종교 철학 |
주요 아이디어 | 성경주의 |
2. 생애
고든 클라크는 1973년 버틀러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 조지아주 룩아웃 마운틴에 있는 코버넌트 칼리지와 콜로라도주 웨스트클리프에 있는 상그레 데 크리스토 신학교에서 가르쳤다.
그는 미국 장로교에서 태어나 장로로 활동했지만, 존 그레샴 메이컨을 중심으로 한 소수의 보수주의자들과 함께 교회를 떠나 1938년 정통 장로교회로 개명된 미국 장로교를 창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1944년 정통 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러나 1948년 클라크-반 틸 논쟁 이후 북미 연합 장로교회에 가입했다. 1956년 미국 연합 장로교회가 형성된 후, 1957년 개혁 장로교회, 총회에 가입했다. 1965년 개혁 장로교회, 복음주의 시노드를 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2년 미국 장로교회의 일부가 되었을 때, 클라크는 PCA에 합류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1984년 비소속 코버넌트 노회에 들어갔다.[1]
1965년 복음주의 신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클라크는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성장했으며, 어린 시절부터 칼뱅주의 사상을 공부했다. 1924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프랑스어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1929년 같은 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30년에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공부했다.학사 학위 취득 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며, 필라델피아에 있는 개혁 성공회 신학교에서도 가르쳤다. 1936년 일리노이주 휘튼 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임명되어 1943년까지 재직했으며, 이후 인디애나폴리스에 있는 버틀러 대학교에서 철학과 학과장을 맡았다.
2. 2. 학문 및 목회 활동
클라크는 독실한 기독교 가정에서 자랐으며 어린 나이부터 칼뱅주의 사상을 공부했다. 1924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프랑스어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1929년 같은 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듬해에는 소르본 대학교에서 수학했다.[1]그는 학사 학위를 받은 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며, 필라델피아에 있는 개혁 성공회 신학교에서도 가르쳤다. 1936년에는 일리노이주 휘튼 대학교에서 철학 교수로 임명되어 1943년까지 재직했으며, 이후 인디애나폴리스에 있는 버틀러 대학교에서 철학과 학과장을 맡았다. 1973년 버틀러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에는 조지아주 룩아웃 마운틴에 있는 코버넌트 칼리지와 콜로라도주 웨스트클리프에 있는 상그레 데 크리스토 신학교에서 가르쳤다.[1]
클라크의 교단 소속은 여러 번 바뀌었다. 그는 미국 장로교에서 태어나 장로로 활동했지만, 존 그레샴 메이컨을 중심으로 한 소수의 보수주의자들과 함께 교회를 떠나 미국 장로교(1938년 정통 장로교회로 개명)를 창립하는 데 기여했으며, 1944년 정통 장로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그러나 1948년 클라크-반 틸 논쟁 이후 그는 북미 연합 장로교회에 가입했다. UPCNA가 1936년 OPC가 분리되었던 미국 장로교회와 1956년 합병하여 미국 연합 장로교회를 형성한 후, 클라크는 1957년 개혁 장로교회, 총회에 가입했다. 클라크는 1965년 RPCGS와 복음주의 장로교회 간의 합병을 주선하여 개혁 장로교회, 복음주의 시노드를 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82년 RPCES가 미국 장로교회의 일부가 되었을 때, 클라크는 PCA에 합류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1984년 비소속 코버넌트 노회에 들어갔다.[1]
클라크는 또한 1965년 복음주의 신학회 회장으로 선출되었다.[1]
그는 1985년에 사망했으며 콜로라도주 웨스트클리프 근처에 묻혔다.[1]
2. 3. 말년
클라크는 1985년에 사망했으며 콜로라도주 웨스트클리프 근처에 묻혔다.[3]3. 철학 및 신학 사상
3. 1. 인식론: 성경의 명제적 계시
클라크의 인식론은 성경의 명제적 계시이다.[1]3. 2. 구원론: 오직 믿음
클라크의 구원론은 오직 믿음이다.[1]3. 3. 형이상학: 유신론
유신론[1]3. 4. 윤리학: 신의 법과 기독교적 이기주의
클라크의 윤리학은 인간의 법보다 우월한 신의 법과 기독교적 이기주의로 요약된다.[2]3. 5. 정치: 입헌 공화국
클라크는 입헌 공화국을 지지하는 정치 철학을 가지고 있었다.[1]4. 저서
고든 클라크는 철학, 신학, 성경 주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40권이 넘는 책을 저술했다. 그의 저서들은 대부분 트리니티 재단에서 재출간되었다.[4]
클라크의 주요 저작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철학: ''기독교 철학 입문'', ''탈레스에서 듀이까지'', ''고대 철학'' 등 (자세한 내용은 #철학 하위 섹션 참조)
- 신학: ''종교, 이성, 그리고 계시'', ''칼 바르트의 신학 방법론'', ''요한계의 로고스'', ''장로교인들은 무엇을 믿는가?'', ''예정론'' 등 (자세한 내용은 #신학 하위 섹션 참조)
- 성경 주석: 신약 성경의 여러 책에 대한 주석 (자세한 내용은 #성경 주석 하위 섹션 참조)
4. 1. 철학
고든 클라크는 고대 및 현대 철학, 기독교 교리에 관한 책, 신약 주석, 철학사 단행본을 포함하여 40권이 넘는 책을 저술한 다작 작가였다.[4] 그의 철학 사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저서는 다음과 같다.제목 | 비고 |
---|---|
기독교 철학 입문 | 휘튼 대학교에서 한 세 강연을 묶은 책으로, 클라크의 사상을 잘 요약하고 있다. 기독교 철학으로 재출간되었다. |
세 종류의 종교 철학 | 기독교 철학에 함께 수록되어 재출간되었다. |
탈레스에서 듀이까지 | 철학사 책이다. |
고대 철학 | 다른 세 명의 저자와 함께 쓴 철학사의 한 부분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포함한 11개의 주요 에세이가 실려있다. |
윌리엄 제임스와 존 듀이 | |
행동주의와 기독교 | |
과학 철학과 하나님에 대한 믿음 | |
역사 기술학: 세속적, 종교적 | |
인간과 사물에 대한 기독교적 관점 | 클라크의 기독교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
기독교 교육 철학 | |
논리학 | 학생들을 위한 논리학 교과서이다. |
윤리학과 정치에 관한 에세이 | |
진리의 주 하나님 |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교사에 관하여와 함께 출판되었다. |
헬레니즘 철학 선집 | 클라크가 편집한 책이다. |
윤리학 강독 | 클라크와 T. V. 스미스가 함께 편집했다. |
무덤에서 말하는 클라크 | 클라크가 사망 직전에 쓴 책으로, 사후에 출판되어 그의 비평가들에게 답하고 있다. |
4. 2. 신학
고든 클라크는 변증학에 관한 주요 저서인 ''종교, 이성, 그리고 계시'', 칼 바르트를 비판하는 ''칼 바르트의 신학 방법론'', 요한 복음사가의 ''로고스'' 용어 사용을 다룬 ''요한계의 로고스'',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해설서인 ''장로교인들은 무엇을 믿는가?'', 성경에서의 선택 개념을 연구한 ''예정론'' 등 다양한 신학 관련 저서를 남겼다.[4]4. 3. 성경 주석
- First Corinthians: A Contemporary Commentary|고린도전서: 현대적 주석영어
- Ephesians|에베소서영어
- Philippians|빌립보서영어
- Colossians|골로새서영어
- First and Second Thessalonians|데살로니가전서와 데살로니가후서영어
-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에 관한 The Pastoral Epistles|목회 서신영어
-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에 관한 New Heavens, New Earth|새 하늘, 새 땅영어
- First John|요한1서영어
5. 개인적인 삶
클라크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대학원 재학 중 미래의 아내인 루스 슈미트를 만났는데, 루스는 실제로 고든의 아버지에게 유아 세례를 받았다. 그들은 1929년에 결혼하여 1977년 루스가 백혈병으로 사망할 때까지 48년간 함께했다. 그들은 두 딸, 로이스 안토아네트(이후 로이스 젤러, 1936년 출생)와 낸시 엘리자베스(이후 베치 클라크 조지, 1941년 출생)를 두었다. 사망 당시 클라크는 두 딸과 그들의 남편, 12명의 손자, 그리고 1명의 증손자를 두고 있었다.[3]
클라크는 열렬한 체스 선수로도 잘 알려져 있었다. 1966년, 그는 인디애나폴리스의 킹스멘 체스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3]
참조
[1]
간행물
An Introduction to Gordon H. Clark
http://www.trinityfo[...]
Trinity foundation
[2]
서적
A Christian View of Men and Things
The Trinity Foundation
[3]
서적
The Presbyterian Philosopher: The Authorized Biography of Gordon H. Clark
Wipf and Stock
2017
[4]
서적
Faith & Reason: Searching for a Rational Faith
https://books.google[...]
Zondervan
2015-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