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무라-베베르 협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무라-베베르 협정은 1896년 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사이에 체결된 각서로,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이후 한반도 내 세력 균형을 조정한 외교 문서이다. 이 각서의 주요 내용은 고종의 환궁 문제에 대한 양국의 입장, 대한제국 내각 대신 임명에 대한 권고, 일본 전신선 보호를 위한 일본 위병의 헌병 전환, 일본 및 러시아 군대의 한반도 주둔 허용 등 4개 조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협정을 통해 일본은 조선 내 러시아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동시에, 한반도에 군대를 주둔시킬 수 있는 권한을 확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조약 -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은 1896년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러시아 외상 로바노프가 체결한 협정으로, 조선의 독립 보장과 재정 개혁을 목표로 했으나 러시아의 거부로 한반도에서 러시아의 우위는 변하지 않고 니시-로젠 협정으로 대체되었다.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 전쟁
    러일 전쟁은 1904년부터 1905년까지 일본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에 만주와 대한제국 지배권을 두고 벌어진 전쟁으로, 일본이 승리하여 대한제국 지배권을 확립하고 아시아 민족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은 1896년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러시아 외상 로바노프가 체결한 협정으로, 조선의 독립 보장과 재정 개혁을 목표로 했으나 러시아의 거부로 한반도에서 러시아의 우위는 변하지 않고 니시-로젠 협정으로 대체되었다.
  • 1896년 일본 - 제2차 마쓰카타 내각
    마쓰카타 마사요시가 내각총리대신과 대장대신을 겸임하며 출범한 제2차 마쓰카타 내각은 진보당과의 연립, 금본위제 확립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당과의 갈등과 연립 실패, 중의원 해산 후 총사퇴로 막을 내리며 번벌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 1896년 일본 - 제2차 이토 내각
    이토 히로부미가 이끈 제2차 이토 내각은 불평등 조약 개정, 청일 전쟁 승리 등 성과에도 불구하고 삼국 간섭, 을미사변, 아관파천 등의 외교적 실패와 조선에서의 영향력 약화, 그리고 조선에 대한 경제적 침탈 정책 추진으로 비판을 받았다.
고무라-베베르 협정
조약 정보
조약명고무라-베베르 협정
다른 이름소무라-웨버 협정 (小村・ウェーバー協定)
한일 간도 협약 (韓日間島協約) (일부 주장)
체결일1909년 9월 4일
위치청나라 베이징
서명자고무라 주타로
웨베르
관련국대한제국 (간접)
일본 제국
청나라
조약 내용
주요 내용일본의 남만주 철도 부설권 인정
간도 지역의 청나라 영유권 인정
대한제국 관련일본의 대한제국 보호권 강화 인정 (일부 주장)
논쟁
협약의 유효성대한제국의 동의 없이 체결되어 무효라는 주장 존재
간도 지역의 영유권 분쟁의 근거
간도 영유권 문제협약 이후 현재까지 대한민국과 중국 간의 영유권 분쟁 지속

2. 배경

2. 1. 을미사변 (명성황후 시해 사건)

2. 2. 아관파천

3. 각서 체결 과정

4. 주요 내용

각서는 총 4조항으로 이루어져 있다.[9][10][11]


  • 제1조는 고종의 환궁 문제는 국왕 자신의 판단에 일임하며, 러시아일본은 안정상 문제가 없다고 여겨질 때 환궁하는 것을 충고한다는 것이었다.[9][10][11]
  • 제2조는 현재 대한제국 정부의 내각 대신들은 국왕의 의사대로 임명되었으며 이후에도 러시아와 일본은 국왕에게 관대하고 온화한 인물을 내각 대신에 임명하도록 항상 권고한다는 것이었다.[9][10][11]
  • 제3조는 한국의 부산과 경성 사이에 설치된 일본 전신선 보호를 위해 배치한 일본 위병을 헌병으로 대신하며, 이들 헌병은 한국 정부가 안녕질서를 회복하게 되는 지역부터 철수시킨다는 것이었다.[9][10][11]
  • 제4조는 한성 및 개항장에 있는 일본인 거류지를 보호하기 위해 일본군을 배치하며, 상황이 안정되면 철수한다는 것이었다. 또 러시아도 공사관 및 영사관을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황이 안정되면 철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9][10][11] 이 조항에 따라 러일 양국은 동일한 규모의 병력을 조선에 주둔시킬 수 있게 되었다.

4. 1. 제1조: 고종 환궁 문제

고종의 환궁 문제는 국왕 자신의 판단에 일임하며, 러시아와 일본은 안정상 문제가 없다고 여겨질 때 환궁하는 것을 충고한다는 내용이었다.[9][10][11]

4. 2. 제2조: 내각 대신 임명

현재 한국 정부의 내각 대신들은 국왕의 의사대로 임명되었으며, 이후에도 러시아와 일본은 국왕에게 관대하고 온화한 인물을 내각 대신에 임명하도록 항상 권고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9][10][11]

4. 3. 제3조: 일본 전신선 보호

한국의 부산과 경성 사이에 설치된 일본 전신선 보호를 위해 배치한 일본 위병을 헌병으로 대신하며, 이들 헌병은 한국 정부가 안녕질서를 회복하게 되는 지역부터 철수시킨다는 내용이다.[9][10][11]

4. 4. 제4조: 일본군 및 러시아군 주둔

각서는 총 4조항으로 이루어져 있다.[9][10][11] 제4조는 한성 및 개항장에 있는 일본인 거류지를 보호하기 위해 일본군을 배치하며, 상황이 안정되면 철수한다는 것이었다. 또 러시아도 공사관 및 영사관을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배치할 수 있으며, 상황이 안정되면 철수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9][10][11] 이 조항에 따라 러일 양국은 동일한 규모의 병력을 조선에 주둔시킬 수 있게 되었다.

5. 각서의 영향 및 평가

고무라-베베르 각서는 일본이 조선 내 러시아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동시에, 일본 역시 한반도에 군대를 주둔시킬 수 있는 권한을 공식적으로 확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 또한 을미사변에 대한 일본의 책임 인정과 아관파천의 성립을 인정한 내용을 담고 있다.[2][3] 아관파천을 허용한 것은 고무라 주타로의 실책으로 평가되기도 하지만, 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는 그의 능력을 높이 평가하여 외무차관으로 승진시켰다.[1][7] 한 달 후,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러시아와 야마가타-로바노프 협정을 체결했지만, 조선에서의 러시아 우위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8] 일본 제국의회는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간주하고 육군 6개 사단 증설을 가결했다.[6]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 각서를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적 행보의 일환으로 평가하며, 조선의 주권 훼손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コトバンク「小村・ウェーバー協定」 https://kotobank.jp/[...]
[2] 서적 半藤(1983)p.66
[3] 서적 杵淵(1997)pp.224-226
[4] 서적 朝鮮王朝実録(1983)pp.348-349
[5] 서적 杵淵(1997)pp.226-227
[6] 서적 杵淵(1997)p.228-229
[7] 서적 半藤(1983)pp.93-94
[8] 서적 古屋(1966)pp.28-29
[9] 웹인용 교과서 용어해설 {{!}}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 2024-01-27
[10] 웹인용 웨베르-고무라 각서(Waeber-Komura 覺書) https://encykorea.ak[...] 2024-01-27
[11] 웹인용 "[한민족 4천년 역사에서 결정적인 20장면]서구 열강들 엇갈린 이해관계…대한제국의 멸망 부채질하다" https://www.kwnews.c[...] 강원일보 2024-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