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산군은 추가령구조곡 안에 위치하며, 마식령산맥과 태백산맥 사이에 분지 형태를 이루는 지역이다. 주요 하천으로는 남대천, 룡지원천, 남산천 등이 있으며, 최고봉은 추애산이다. 과거 함경남도 안변군의 일부였으나, 1952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고산군이 신설되었다. 현재 1개의 읍과 24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이 주요 산업으로 쌀, 옥수수, 과일 등이 재배된다. 강원선 철도가 지나며, 평양과 평강을 연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산군 - 룡지원역
1913년 8월 21일에 영업을 시작한 룡지원역은 철도역이다. - 고산군 - 석왕사 (고산군)
석왕사 (고산군)는 1386년에 창건되어 한때 50개 이상의 건물로 구성된 큰 사찰이었으나, 한국 전쟁과 홍수로 많은 건물이 파괴되었고, 현재는 4개의 건물만 남아 있다. - 1952년 설치 - 평양시
평양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대동강이 관통하는 평양 평야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다. - 1952년 설치 - 우시군
우시군은 북한 자강도 서쪽 끝에 위치하며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경하고, 1952년 벽동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으며, 수자원이 풍부하지만 철도가 없어 도로 교통에 의존하고 농업 중심의 낙후된 경제 구조를 가진다.
고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고산군 |
원어 이름 | 고산군(高山郡) |
로마자 표기 | Gosan-gun |
위치 | 강원도 |
![]() | |
행정 구역 | |
종류 | 군 |
구성 | 1읍, 24리 |
통계 | |
면적 | 435km² |
인구 (2008년) | 103,579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2. 지리
한반도를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횡단하는 추가령구조곡 안에 있다. 서쪽으로 마식령산맥, 남쪽으로 태백산맥이 있으며 지역의 중앙 부분은 분지 형태를 띤다. 군내의 최고봉은 서남쪽에 위치하는 추애산(해발 1528m)이다. 산림이 전체 면적의 63.8%를 차지한다.
예로부터 중앙과 함경도를 연결하는 추가령을 지나는 교통의 요충지였으며, 근대에 들어서면서 경원선(현 강원선)이 이 경로에 건설되었다. 또 동남쪽의 회양군 방면으로 넘어가는 철령(해발 673m)도 주요한 고갯길로, 조선 시대 함경도를 지칭하는 관북 지방이라는 명칭은 철령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2. 1. 주요 하천
고산군 내 주요 하천으로는 남대천, 룡지원천, 남산천 등이 있다.[1][2] 이 하천들은 군 중앙의 분지 지형을 따라 흐른다.[1][2]2. 2. 인접 지역
북쪽과 동쪽은 안변군에 접해 있으며, 서쪽에는 법동군, 서남쪽에는 세포군, 동남쪽에는 회양군과 접하고 있다.3. 역사
일제강점기까지 함경남도 안변군의 일부였으나, 195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개편으로 안변군에서 분리되어 신설되었다.[2] 상세한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연혁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연혁
일제강점기까지는 함경남도 안변군의 일부였다.[2]- '''1946년 9월:''' 안변군이 함경남도에서 강원도로 이관되었다.
- '''1952년 12월:''' 군면리 통폐합에 따라, 안변군 신고산면과 석왕사면의 일부 지역을 합쳐 '''고산군'''이 신설되었다. 당시 고산군은 아래의 1읍 25리로 구성되었다.
- * 고산읍, 구읍리, 위남리, 사현리, 부평리, 성북리, 혁창리, 죽근리, 산양리, 주천리, 금천리, 산탄리, 금리, 평화리, 능복리, 구령리, 연호리, 남산리, 해방리, 봉련리, 설봉리, 신현리, 란정리, 용지원리, 금풍리, 양사리
- '''1954년:''' 혁창리의 일부가 고산읍에 편입되었다. (행정구역은 1읍 25리로 유지)
- '''1961년:''' 평화리와 능복리가 합병하여 석왕사리가 되었다. (1읍 24리)
- '''1981년:''' 석왕사리가 광명리로 개칭되었다. (1읍 24리)
4. 행정 구역
고산군은 1개의 읍과 24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다. 읍 중심부에 위치한 광명리(光明里)는 옛 명칭이 석왕사리이다.
고산군 행정 구역 목록 | ||
---|---|---|
고산읍 (高山邑) | 광명리 (光明里) | 구령리 (九嶺里) |
구읍리 (舊邑里) | 금리 (錦里) | 금천리 (琴川里) |
금풍리 (錦豊里) | 남산리 (南山里) | 난정리 (蘭庭里) |
양사리 (兩寺里) | 용지원리 (龍池院里) | 봉련리 (峯蓮里) |
부평리 (富坪里) | 사현리 (沙峴里) | 산양리 (山陽里) |
산탄리 (山炭里) | 설봉리 (雪峯里) | 성북리 (城北里) |
신현리 (新峴里) | 연호리 (演湖里) | 위남리 (衛南里) |
주천리 (舟川里) | 죽근리 (竹根里) | 해방리 (解放里) |
혁창리 (革昌里) | colspan="2" | |
5. 경제
고산군의 주요 산업은 농업과 광업이다.[1] 농업 분야에서는 다양한 작물 재배와 축산업이 이루어지며, 특히 과일 생산이 활발하다.[1][2] 또한, 지역 내 풍부한 지하자원을 바탕으로 광업도 발달하였다.[1]
5. 1. 농업
고산군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다. 주요 재배 작물로는 쌀, 옥수수, 기장, 조, 밀, 보리, 콩, 팥 등이 있다. 이 지역은 특히 과일 생산량이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농업과 함께 축산업도 이루어진다.5. 2. 광업
고산군에서는 금, 은, 구리, 철, 석회석, 납, 아연, 석고 등 지역 내에 매장된 광물을 활용한 광업이 활발하게 개발되었다.6. 교통
철령을 통해 회양군으로 연결되는 도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6. 1. 철도
고산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의 강원선이 지난다. 이 노선은 원산과 평강을 연결하며, 넓게는 평양까지 이어진다.고산군 내의 강원선 역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North Korea: Administrative Division
https://www.citypopu[...]
[2]
웹사이트
강원도 고산군 역사
http://www.cybernk.n[...]
[3]
간행물
2008년 인구 조사
http://unstats.un.or[...]
조선중앙통계국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