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진하는 1953년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나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1987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한 시인이다. 1997년 김달진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숭실대학교 문예창작과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한살림 교회에서 활동했다. 목회 활동을 하면서 시집, 산문집, 동화 등 다양한 저서를 출간했으며, 성서, 불교, 노자, 우파니샤드를 탐구하여 진보적인 기독교 사상을 지향한다. 그의 작품은 초기에는 실존적 고통과 신의 부재를 다루었으나, 이후 자연과의 교감을 통해 영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월군 출신 - 장기영 (1903년)
장기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제헌 국회의원, 외무부 차관보, 체신부 장관,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했으며, 이승만 측근으로 활동하다 결별 후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 영월군 출신 - 장승태
장승태는 일제강점기 강원도 영월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제7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4선 의원, 체신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97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곽효환
곽효환은 1996년 등단한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편집자로, 대산문화재단 사장을 역임하며 한국 문학의 세계화에 기여했고, 자아와 타자의 관계, 사회적 공동체에 대한 성찰, 북방에 대한 관심을 시에 담아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 나희덕
나희덕은 1989년 등단하여 김수영문학상 등을 수상하고, 모성과 자연의 생명력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펼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 감리교신학대학교 동문 - 이윤영 (1890년)
3·1 운동 참여, 신사참배 저항 등의 활동을 한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교육자이며 해방 후 조선민주당 창당, 제헌 국회의원, 무임소장관, 사회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신흥대학 학장을 지낸 정치인이다. - 감리교신학대학교 동문 - 현순
현순은 하와이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3·1 운동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무부 및 내무부 차장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외교 활동과 임시정부 재정 지원을 위한 모금 활동을 펼친 독립운동가이자 목사이다.
고진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53년 |
직업 | 목회자 작가 |
종교 | 감리교 |
2. 생애
1987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했으며, 1997년 김달진 문학상을 받았다. 강원도 원주 치악산 자락에서 모월산인(母月山人)이라는 아호로 글을 쓰면서 숭실대 문예창작과 겸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살림 교회를 섬기고 있다. 영성가인 고진하 목사는 《기독교 사상》에 독일의 영성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글을 인용하고 주석을 단 글을 연재하였다.[3]
2. 1. 유년 시절과 등단
1953년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나 감리교신학대학교와 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두 살 때 소아마비를 앓아 어린 시절 다리를 저는 모습으로 놀림을 받았으며, 사람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 결과 방과 후 대부분의 시간을 교회에서 보내며 내성적이고 금욕적인 소년으로 자랐다.[2]감리교신학대학교 재학 중에는 엄격한 신학을 공부하면서 시와 소설에 대한 갈증을 느꼈다. 다른 신학대학 학생이었던 고정희가 시인으로 등단하자 학교 축제에 초대하기도 했다. 이후 본격적으로 시를 쓰기 시작해 10년 동안 창작 활동을 했다.[2]
1987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등단했으며, 「빈들」을 포함한 다섯 편의 시가 발표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2] 1997년 김달진 문학상을 받았다.
2. 2. 목회 활동과 작품 세계의 변화
1953년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나 감리교신학대학교와 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1987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했으며, 1997년 김달진 문학상을 받았다. 강원도 원주에 있는 치악산 자락에서 모월산인(母月山人)이라는 아호로 글을 쓰면서 숭실대 문예창작과에서 겸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한살림 교회를 섬기고 있다. 영성가인 고진하 목사는 《기독교 사상》에 독일의 영성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글을 인용하고 주석을 단 글을 연재하였다.[3]고진하는 시인으로 데뷔한 후에도 강원도 여러 지역에서 목사로 활동했다. 그는 농촌 마을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면서 세상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법을 배웠고, 그의 시는 점차 긍정적으로 변해갔다. 자연 속에서 하느님을 경험하며, 우파니샤드나 노자, 장자가 저술한 다양한 종교 서적에 몰두했다.[3] 2002년 인도 순례 후, 인도에서 경험한 풍경과 영성에 매료되어 인도 여행기인 《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 (2009)을 저술했다.[4] 불편함과 불행을 즐기는 삶을 살기 위해 강원도의 외딴 산골 마을로 이주하여 한옥을 짓고, 낮에는 낡은 한옥을 수리하거나 채소밭을 가꾸고, 저녁에는 책을 읽고 글을 쓴다. 그는 지속 가능한 삶이라는 주제로 대학교와 도서관에서 활발하게 강연을 하고 있다.[5]
그의 주요 시집으로는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 (1990), 《프란체스코의 새들》 (1999), 《얼음수도원》 (2001), 《명랑의 둘레》 (2015) 등이 있다. 또한 《시 읽어주는 예수》 (2015)와 《잡초 치유 밥상》 (2017)을 포함한 여러 에세이집을 출간했다. 그는 성경 이야기를 다시 쓴 여러 어린이 책을 저술했다.[6]
2. 3. 인도 여행과 영성 추구
고진하는 인도 순례 후, 인도에서 경험한 풍경과 영성에 매료되어 인도 여행기 《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2009)을 저술했다.[4] 우파니샤드나 노자, 장자가 저술한 다양한 종교 서적에 몰두했다.[3]3. 사상
고진하는 성서와 더불어 불교, 노자, 인도 고전 우파니샤드를 탐구하여 열린 기독교 신앙을 지향하는 진보적인 기독교 사상가이다.
3. 1. 종교 간 대화와 포용
성서와 더불어 불교, 노자, 인도 고전 우파니샤드를 탐구하여 열린 기독교 신앙을 지향하는 진보적인 기독교 사상가이다.4. 작품 활동
고진하는 시집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 《프란체스코의 새들》, 《우주배꼽》, 《얼음 수도원》, 《수탉》을 펴냈고, 산문집 《나무신부님과 누에성자》, 《목사 고진하의 몸 이야기》와 동화 《꼬마예수》를 썼다.
4. 1. 초기 시 세계: 실존적 고통과 신의 부재
고진하의 초기 시에는 신의 부재 속에서 실존적 고통을 견디는 주목할 만한 태도가 나타난다. 강원도에서 전도사로 활동하면서 목격한 농촌의 황량한 현실을 묘사한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1990)에서, 시집에 만연한 텅 빈 들판의 이미지는 신이 없는 세상에서 인간의 황폐함을 상징한다.[7] 『프란체스코의 새들』(1993)은 섬뜩한 이미지로 인간의 실존적 고통을 그려낸다. “썩어 문드러지는 창자를 갈라/빠져나갈 보물을 찾네”와 같은 구절에서 시인은 고통을 정면으로 마주하려 고군분투한다. 이는 인간의 존재가 고통과 공존해야 함을 인정하면서, 세상을 끌어안고 싸우려는 시도이다.[8]4. 2. 시 세계의 변화: 자연과의 교감과 영성 추구
고진하 시인의 시 세계는 1997년 《우주배꼽》부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세상에는 여전히 고통이 가득하고, 어딘가에서는 항상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그러나 〈장마〉에서 전쟁 소식을 들은 시인은 예수가 죽은 갈보리를 떠올리며 언덕의 이름을 "우주의 배꼽"이라 짓는다. "거기,/아직도 들리는가/갓난아기의 울음소리가?"라는 질문에는 고통스러운 현실을 자연의 품으로 안으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우주의 방식을 보고 깊이 생각하면, 신은 더 이상 없는 존재가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 속에서 어디에나 있는 존재로 다시 발견된다.[9]모든 생명체에 내재된 성스러움을 찾으려는 고진하 시인의 태도는 종교에 대한 열린 마음과 다양한 관점으로 이어진다. 보살, 절, 연꽃, 사하스라부자(Sahasrabhuja)와 같은 불교적 요소가 《얼음 수도원》(2001)에 자주 등장한다.[10] 2005년에 출판된 《수탉》에 수록된 시 〈합장〉에서 그는 "부처님과 예수님은 한 몸으로 함께 살아가신다"라고 썼다. 어떠한 경계도 주장하지 않는 새로운 신학을 통해 모든 생명체의 성스러움은 서로 교차하며 점차 하나가 된다.[11]
4. 3. 다양한 장르의 작품 활동
고진하는 시집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 《프란체스코의 새들》, 《우주배꼽》, 《얼음수도원》, 《수탉》을 펴냈다. 산문집으로는 《나무신부님과 누에성자》, 《목사 고진하의 몸 이야기》가 있으며, 동화 《꼬마예수》를 썼다.5. 작품 목록
고진하 목사는 시집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 《프란체스코의 새들》, 《우주배꼽》, 《얼음수도원》, 《수탉》, 산문집 《나무신부님과 누에성자》, 《목사 고진하의 몸 이야기》, 동화 《꼬마예수》 등을 펴냈다.
- 〈만경창파 위로 띄운 그 노래〉, 고진하 외, 《어머니의 노래》, 시작, 2008
- 〈차도르 1-인도 시편〉 외, 안익수 외, 《바깥》, 마음산책, 2012
- 〈사라진 별똥별처럼〉, 고두현 외, 《굽은 길들이 반짝이며 흘러갔다》, 나무옆의자, 2016
- 〈독수리-김기석에게〉, 고진하 외, 《희망 그 빛깔 있는 삶의 몸부림》, 꽃자리, 2016
- 〈고해(苦海) 속의 고해(告解)〉, 김언 외, 《시는 어떻게 오는가》, 시인동네, 2018
5. 1. 시집
제목 | 출판사 | 출판년도 |
---|---|---|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 | 민음사 | 1990년 |
《프란체스코의 새들》 | 문학과지성사 | 1993년 |
《우주배꼽》 | 세계사 | 1997년 |
《얼음수도원》 | 민음사 | 2001년 |
《수탉》 | 민음사 | 2005년 |
《거룩한 낭비》 | 뿔 | 2011년 |
《호랑나비 돛배》 | 지식을만드는지식 | 2012년 |
《꽃 먹는 소》 | 문예중앙 | 2013년 |
《명랑의 둘레》 | 문학동네 | 2015년 |
5. 2. 소설
《소설 하디》, 기독교대한감리회, 20135. 3. 산문집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
《빈들을 가득 채우고 있는 당신》 | 나눔사 | 1994년 |
《영혼을 살아 있게 하는 50가지 방법》 | 현대문학 | 1997년 |
《풍경이 있는 설교》 | 진흥 | 2000년 |
《나무 신부님과 누에성자》 | 세계사 | 2001년 |
《부드러움의 힘》 | 생각의나무 | 2001년 |
《내 영혼의 웰빙》 | 진흥 | 2004년 |
《1분의 지혜》 | 꿈꾸는돌 | 2004년 |
《이 아침 한줌 보석을 너에게 주고 싶구나》 | 큰나무 | 2004년 |
《목사 고진하의 몸 이야기》 | 도솔 | 2005년 |
《신을 벗고 걷다》 | 나눔의집 | 2005년 |
《나무명상》 | KMC | 2007년 |
《아주 특별한 1분》 | 조화로운삶 | 2009년 |
《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 | 비채 | 2009년 |
《영혼의 정원사》 | 뿔 | 2009년 |
《누가 우편함에 새를 배달했을까》 | KMC | 2012년 |
《오늘, 행복하여라》 | 푸른영토 | 2013년 |
《성서 속 기도의 스승에게 배우다》 | 꽃자리 | 2013년 |
《쿵쿵》 | 넥서스CROSS | 2014년 |
《시 읽어주는 예수》 | 비채 | 2015년 |
《책은 돛》 | 동녘 | 2015년 |
《조금 불편하지만 제법 행복합니다》 | 마음의숲 | 2018년 |
5. 4. 동화
고진하 목사의 동화로는 《꼬마예수》가 있다. 그 외 저서로는 다음과 같다.제목 | 출판사 | 연도 |
---|---|---|
《어린이성경 1-하나님이 열어 놓은 세상》 | 비룡소 | 1994 |
《어린이성경 2-천사의 사닥다리》 | 비룡소 | 1994 |
《어린이성경 3-젖과 꿀이 흐르는 땅》 | 비룡소 | 1996 |
《어린이성경 4-빈 항아리 속에 감춘 횃불》 | 비룡소 | 1996 |
《어린이성경 5-왕이 된 양치기》 | 비룡소 | 1996 |
《어린이성경 6-예언자를 살린 까마귀》 | 비룡소 | 1996 |
《어린이성경 7-고래 뱃속의 요나》 | 비룡소 | 1996 |
《살아있는 이야기 성경-구약 1》 | 아가페출판사 | 2002 |
《살아있는 이야기 성경-신약》 | 아가페출판사 | 2002 |
《살아있는 이야기 성경-구약 2》 | 아가페출판사 | 2003 |
《살아있는 이야기 성경-구약 3》 | 아가페출판사 | 2003 |
《기적의 왕, 꼬마 예수》 | 큰나 | 2008 |
《한국고전문학읽기 2-춘향전》 | 주니어김영사 | 2012 |
《한국고전문학읽기 24-삼국유사》 | 주니어김영사 | 2013 |
《한국고전문학읽기 31-왕오천축국전》 | 주니어김영사 | 2014 |
《한국고전문학읽기 32-삼국사기》 | 주니어김영사 | 2014 |
5. 5. 번역
Lisa M. Schab영어의 《우울을 넘어서》는 인경스님과 공동 번역했다.[1]
5. 6. 편저
《90년대 기독교 시인들》, 미래문화사, 1996 / Christian Poets in the 1990s영어6.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작품 |
---|---|---|
1997년 | 김달진문학상 | 「즈므마을 1」 외 5편[13] |
2003년 | 강원작가상 | [14] |
2016년 | 영랑시문학상 | 『명랑의 둘레』[15] |
7. 방송 출연
참조
[1]
웹사이트
나무명상
https://kmcpress.co.[...]
2019-10-07
[2]
웹사이트
"[전원속의 작가들]원주 치악산 자락서 사는목사시인 고진하"
https://news.naver.c[...]
2019-10-07
[3]
뉴스
"[My City, My Life] Poet Ko Jinha’s Wonju"
http://news.chosun.c[...]
Chosun Ilbo
2010-09-28
[4]
웹사이트
"Publisher's foreword, 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
http://book.naver.co[...]
2019-10-07
[5]
웹사이트
"\"Author bio,\" Jogeum bulpyeonhajiman jebeop haengbokhamnida, Maumuisup (조금 불편하지만 제법 행복합니다)"
http://book.naver.co[...]
2019-10-07
[6]
웹사이트
고진하
https://terms.naver.[...]
2019-10-07
[7]
간행물
"Poetic Imagin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The Korean Poetics Studies
2004
[8]
간행물
"From a Dynamic World to a World of Waiting – Ko Jinha’s World of Poetry"
Lyric Poetry and Poetics
1997
[9]
간행물
"Poetic Imagin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The Korean Poetics Studies
2004
[10]
간행물
"Poetic Imagin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The Korean Poetics Studies
2004
[11]
서적
Sutak
Minumsa
2005
[12]
문서
[13]
웹사이트
김달진문학상 수상자 발표등
https://news.naver.c[...]
2019-10-07
[14]
웹사이트
고진하목사 제1회 강원작가상 수상 - 기독교타임즈
http://www.kmctimes.[...]
2019-10-07
[15]
웹사이트
Poet Ko Jinha Receives Yeongnang Poetry Award (고진하 시인 영랑시문학상)
http://www.kwnews.co[...]
2019-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