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공군작전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공군작전사령부는 1961년 7월 1일에 창설된 대한민국 공군 소속 부대이다.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지휘통제 범위를 완화하기 위해 작전 지역을 중부 및 남부로 나누고, 예하 부대 지휘 권한을 이양하는 재편성 과정을 거쳤다. 2015년에는 공중기동정찰사령부와 공중전투사령부로 재편성되었으며, 정보감시 및 정찰능력 강화를 위해 항공정보단을 창설하고, 우주 작전을 위해 우주작전대대를 창설하는 등 기능별 재편성을 진행했다. 현재 공중기동정찰사령부, 공중전투사령부, 미사일방어사령부, 방공관제사령부 등의 예하 사령부와 항공우주작전본부, 항공정보단 등의 직할 부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공군사령부 - 대한민국 공군본부
    대한민국 공군본부는 국군조직법과 공군본부 직제에 따라 설립된 공군의 최고 지휘부로서, 공군 정책 수립부터 작전 지원까지 공군 운영 전반을 총괄하며, 군사력 건설 소요 제기, 조직 편성, 교육 훈련, 인사, 군수, 동원 및 예비군 관리 등의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공군사령부 - 공군공중전투사령부
    공군공중전투사령부는 대한민국 공군의 사령부로, 전투비행단을 운용하며, 2003년 창설되어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서산 여성 군인 사망 사건으로 군 내부의 문제점이 드러나기도 했다.
  • 평택시 소재의 관공서 - 평택해양경찰서
    평택해양경찰서는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소속으로 여러 부서와 파출소, 출장소를 관할하며 해상 치안 유지, 해양 사고 구조 및 예방, 해양 환경 보호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 평택시 소재의 관공서 - 제7항공통신전대
    제7항공통신전대는 대한민국 공군 유일의 정보통신 부대로, 항공 작전, 훈련, 행사 지원, 통신 건설 및 사이버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투 부대를 지원하며, 1955년 창설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개편되었고, 전술이동통신대대, 통신전자정비대대, 기지지원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 1961년 설립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1년 설립 - 대한민국 조달청
    대한민국 조달청은 정부 물품 구매, 공급 및 시설 공사 계약을 담당하며, 1961년 조달청으로 개편되어 정부 및 공공기관의 조달 시스템 운영, 중요 물자 비축, 군수품 조달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을 운영하며 대전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공군작전사령부
기본 정보
대한민국 공군 중장 계급장
대한민국 공군 중장 계급장
이름공군작전사령부
원어이름空軍作戰司令部
활동 기간1961년 7월 1일 ~ 현재
병과각 부대 참조
종류작전 사령부
역할전투, 작전 지휘
규모4개 사령부, 6개 직할부대
상급부대공군 본부
주둔지경기도 평택시 오산 공군기지
별명칠성대
군가작전사령부가
지휘관
사령관[[파일:Flag of the ROK Air Force Lieutenant General (OF-8).svg|30px]] 중장 김형수 (공사 39기)
지휘관 명칭사령관
영어 명칭
영어Air Force Operations Command

2. 역사

1961년 7월 1일, 2개 전투비행단과 2개 비행전대를 예속받아 공군작전사령부가 창설되었다.[1][2]

2005년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작전 지역을 중부와 남부로 나누어 지역 사령부에 부대 지휘 권한을 이양하는 재편성 계획이 세워졌다. 이후 2003년 남부전투사령부가, 2010년 북부전투사령부가 창설되어 일부 비행단전대의 지휘권한을 인계하였다.[1][2]

2015년에는 조기경보통제기, 정찰기 등의 도입으로 작전 지역이 한반도 전체로 확대됨에 따라 운영 기준을 지역에서 기능으로 바꾸는 재편성이 이루어졌다.[3]

2017년에는 북한 관련 정보감시 및 정찰능력 강화를 위해 제37전술정보전대가 항공정보단으로 재편성되었다.[4]

2022년에는 우주 작전을 위해 우주 관련 조직·기능을 통합한 '우주작전대대'가 창설되었다.[5]

2. 1. 창설 초기 (1961년 ~ 2000년대 초)

1961년 7월 1일, 2개 전투비행단과 2개 비행전대를 예속받아 창설되었다.

2005년 9월 13일에 발표된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작전사령부에 몰려있는 과도한 지휘통제의 범위를 완화하기 위해 작전 지역을 중부(경기도, 강원도)와 남부(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로 나누고 각각의 지역 사령부에 부대 지휘 권한을 이양하는 재편성 계획을 세웠다. 2년 뒤인 2003년 7월 1일에 남부전투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제1, 11, 16, 17전투비행단의 지휘권한을 인계하였다.[1][2]

2. 2. 국방개혁 2020과 재편성 (2000년대 중반 ~ 2010년대)

2005년 9월 13일에 발표된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작전사령부에 집중된 과도한 지휘통제 범위를 줄이기 위해 작전 지역을 중부(경기도, 강원도)와 남부(충청도, 전라도, 경상도)로 나누고, 각 지역 사령부에 부대 지휘 권한을 이양하는 재편성 계획을 세웠다.[1][2]

2년 뒤인 2003년 7월 1일에 남부전투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제1, 11, 16, 17전투비행단의 지휘권한을 인계받았다. 2010년 12월 23일에는 북부전투사령부가 창설되어 제8, 10, 18, 19, 20전투비행단, 38전대의 지휘권한을 넘겨받았다.[1][2]

2015년 3월 27일, 국방부는 합동참모회의에서 의결한 공군지휘구조 개편안을 바탕으로, 31일에 예하 북부, 남부전투사령부를 각각 '공중기동정찰사령부'와 '공중전투사령부'로 재편성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지휘통제 범위를 완화하기 위해 두 개의 지역 전투 사령부를 설립한 이후, 조기경보통제기, 정찰기, 고고도 무인항공기를 도입하면서 작전 지역이 한반도 전체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전투 가능 구역을 지역으로 한정할 필요가 없어졌고, 운영 기준을 지역에서 기능으로 바꾸게 되었다.[3]

2017년 12월 1일, 북한에 관한 정보감시 및 정찰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37전술정보전대를 항공정보단으로 재편성하였다.[4]

2. 3. 기능별 재편성과 발전 (2010년대 후반 ~ 현재)

2015년 3월 27일, 국방부는 합동참모회의에서 의결한 공군지휘구조 개편안을 바탕으로, 3월 31일에 예하 북부, 남부전투사령부를 각각 '공중기동정찰사령부'와 '공중전투사령부'로 재편성할 것이라고 언론에 발표하였다. 지휘통제 범위를 완화하기 위해 두 개의 지역 전투 사령부를 설립한 이후, 조기경보통제기, 정찰기, 고고도 무인항공기를 도입하면서 작전 지역을 한반도 전체로 확대하였다. 이는 굳이 전투 가능한 구역을 지역으로 한정할 필요가 없어져서 운영 기준을 지역에서 기능으로 바꾼 것이다.[3]

2017년 12월 1일, 북한에 관한 정보감시 및 정찰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제37전술정보전대를 항공정보단으로 재편성하였다.[4]

2022년 12월 1일, 공군은 우주 작전을 위해 우주 관련 조직·기능을 통합한 '우주작전대대'를 창설하였다.[5]

3. 편성

공군작전사령부는 예하 사령부와 직할 부대로 편성된다. 예하 사령부로는 공중기동정찰사령부, 공중전투사령부, 미사일방어사령부, 방공관제사령부가 있다. 직할 부대로는 항공우주작전본부, 근무지원단, 작전정보통신단, 항공정보단, 항공지원작전단, 우주작전대대가 있다.

3. 1. 예하 사령부

3. 2. 직할 부대

4. 역대 지휘관

#계급임관성명취임일이임일참고
1중장사후 4기김성룡1961년 7월 1일?
3중장사후 4기전봉희1963년 5월 1일?
25중장공사 20기이기동??
29중장공사 27기이영만??
30중장공사 27기박신규?2013년 4월 24일
31중장공사 28기최차규2013년 4월 25일2014년 4월 11일
32중장공사 29기박재복2014년 4월 17일2015년 4월 12일
33중장공사 29기김정식2015년 4월 13일2015년 11월 2일
34중장공사 31기이왕근2015년 11월 3일2016년 12월 27일
35중장공사 32기원인철2016년 12월 27일2017년 9월 27일
36중장공사 32기이건완2017년 9월 27일2019년 5월 10일
37중장공사 33기황성진2019년 5월 10일2020년 12월 3일
38중장공사 35기김준식2020년 12월 4일2021년 12월 15일
39중장공사 36기최성천2021년 12월 15일2022년 6월 8일
40중장공사 37기박하식2022년 6월 9일2023년 11월 6일
41중장공사 39기김형수2023년 11월 6일현임


참조

[1] 웹인용 공군, 남부전투사령부 창설 http://www.airforce.[...] 대한민국 공군 2003-06-30
[2] 웹인용 공군, 북부전투사령부 창설 http://www.airforce.[...] 대한민국 공군 2011-01-27
[3] 뉴스 공군 남부·북부사령부, 각각 공중전투·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 http://news.sbs.co.k[...] SBS 뉴스 2015-03-31
[4] 뉴스 공군 '항공정보단' 창설…북핵·미사일 감시태세 강화 http://www.yonhapnew[...] YTN 2017-12-01
[5] 뉴스 이제는 우주시대, 공군 우주작전대대 창설 https://m.seoul.co.k[...] 2022-12-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