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주머니메기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기주머니메기속은 공기주머니메기과에 속하는 메기 속의 하나이다. 이 속에는 5종 또는 최대 6종이 알려져 있으며, 공기주머니메기, Heteropneustes fuscus, Heteropneustes kemratensis, Heteropneustes longipectoralis, Heteropneustes nani, Heteropneustes microps 등이 포함된다. FishBase는 Heteropneustes fuscus를 등재하지 않았고, Catalog of Fishes는 Heteropneustes microps를 공기주머니메기의 이명으로 간주한다. 계통 분류는 메기목, 로리카리아아목, 메기아목, 공기호흡메기상과 등으로 이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하네스 페터 뮐러가 명명한 분류군 - 별불가사리
별불가사리(Patiria pectinifera)는 동북아시아 해역에 분포하며 얕은 조간대에서 서식하고, 조류 등을 섭취하며, 난모세포 연구에 사용되는 모델 생물이다. - 요하네스 페터 뮐러가 명명한 분류군 - 황소상어
황소상어는 전 세계 열대, 아열대 해역, 기수역, 담수에서 서식하며, 4m까지 자라는 크고 뚱뚱한 체형에 짧고 둥근 주둥이를 가진 상어로, 뛰어난 삼투압 조절 능력으로 담수 생존이 가능하고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며, 어획과 서식지 파괴로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었다.
공기주머니메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공기주머니메기속 | |
![]() | |
분류 정보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메기목 |
과 | 공기주머니메기과 (Heteropneustidae) |
속 | 공기주머니메기속 (Heteropneustes) |
속 명명자 | J. P. 뮐러, 1840년 |
과 명명자 | Hora, 1936년 |
모식종 | Silurus fossilis |
모식종 명명자 | Bloch, 1794년 |
학명 | |
속 | Heteropneustes |
명명자 | J. P. Müller, 1840년 |
이명 | |
종 | |
하위 종 | 본문 참조 |
2. 하위 종
학명 | 명명자 | 한국어 이름 | 비고 |
---|---|---|---|
Heteropneustes fossilis | (블로흐, 1794) | 공기주머니메기 (스팅잉 메기) | |
Heteropneustes fuscus | 플라무틸, 2021 | 트라반코어 검은 스팅잉 메기 | FishBase에는 등재되지 않음.[1] |
Heteropneustes kemratensis | (파울러, 1937) | ||
Heteropneustes longipectoralis | 레마 데비 & 라구나탄, 1999 | ||
Heteropneustes nani | 호세인, 사르커, 샤리푸자만 & 초우두리, 2013[2] | ||
Heteropneustes microps | (귄터, 1864) | Catalog of Fishes는 H. fossilis의 동종이명(同種異名)으로 간주함. |
다음은 설리반(Sullivan) 등과 디오고(Diogo)와 펭(Peng)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6][7]
[1]
FishBase 속
일부 자료에서는 5종을 인정하기도 한다.[4][5]
3. 계통 분류
{| class="wikitable"
|-
! 메기목
|-
|
{| class="wikitable"
|-
! 로리카리아아목
|-
|
{| class="wikitable"
|-
| 흡혈메기과
|-
| 네마토게니스과
|-
|
{| class="wikitable"
|-
| 칼리크티스과
|-
|
{| class="wikitable"
|-
| 스콜로플락스과
|-
|
|}
|}
|}
|-
!
{| class="wikitable"
|-
| 디플로미스테스과
|-
! 메기아목
|-
|
{| class="wikitable"
|-
| 케톱시스과
|-
|
{| class="wikitable"
|-
| 밴조메기과
|-
! 가시메기상과
|-
|
|}
|}
|}
|-
! 공기호흡메기상과
|-
|
|-
! 바다동자개상과
|-
|
|-
! Big Asia
|-
|
{| class="wikitable"
|-
|호라바그루스과 아시아 유리메기과
|-
| 동자개과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 유리메기과
|-
! 시소르상과
|-
|
{| class="wikitable"
|-
| 아키시스과
|-
|
{| class="wikitable"
|-
| 퉁가리과
|-
|
|}
|}
|}
|}
|-
| 쏠종개과
|-
| 차카과
|-
| 메기과
|-
! 붉은꼬리메기상과
|-
|
{| class="wikitable"
|-
|
|-
|헵타프테루스과 Conorhynchos
|}
|-
| 메콩메기과
|-
! Big Africa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모코쿠스과
|-
|
|}
|-
|
{| class="wikitable"
|-
| Auchenoglanididae
|-
|
|}
|}
|-
! 붕메기상과
|-
|종 학명 (명명자, 명명년도) 비고 공기주머니메기 Heteropneustes fossilis (블로흐, 1794) 스팅잉 메기 Heteropneustes fuscus Heteropneustes fuscus (플라무틸, 2021) 트라반코어 검은 스팅잉 메기 Heteropneustes kemratensis Heteropneustes kemratensis (파울러, 1937) Heteropneustes longipectoralis Heteropneustes longipectoralis 레마 데비 & 라구나탄, 1999 Heteropneustes nani Heteropneustes nani 호세인, 사르커, 샤리푸자만 & 초우두리, 2013[2] Heteropneustes microps Heteropneustes microps (귄터, 1864)
FishBase는 ''H. fuscus''를 목록에 올리지 않고[1], Catalog of Fishes는 ''H. microps''를 ''H. fossilis''의 동의어로 간주한다.
참조
[2]
저널
New species of stinging catfish ''Heteropneustes nani'' (Siluriformes: Heteropneustidae) from Noakhali, Bangladesh
http://www.senckenbe[...]
[3]
FishBase 속
[4]
FishBase 속
[5]
저널
New species of stinging catfish ''Heteropneustes nani'' (Siluriformes: Heteropneustidae) from Noakhali, Bangladesh
http://www.senckenbe[...]
[6]
저널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major groups of catfishes (Teleostei: Siluriformes) using rag1 and rag2 nuclear gene sequences
[7]
서적
State of the Art of Siluriform Higher-level Phylogeny
Science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