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멸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멸종은 특정 종의 멸종이 그 종에 의존하는 다른 종들의 연쇄적인 멸종으로 이어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숙주-기생충 관계, 공생 관계, 먹이 사슬 등 다양한 생태학적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하며, 생물 다양성의 감소와 진화 역사의 손실을 초래한다. 여행비둘기와 그 기생충, 코뿔소와 위봇 파리, 꿀먹이새와 특정 식물, 모아새와 하스트 독수리 등의 사례가 공멸종의 대표적인 예시로 제시된다. 공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숙주 종의 보존이 중요하며, 열대 지방과 같이 생물 다양성이 높고 인간의 간섭이 심한 지역에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공멸종 | |
---|---|
개요 | |
설명 | 한 종의 멸종이 다른 종의 멸종을 유발하는 현상 |
관련 용어 | 공진화 |
세부 사항 | |
설명 | 한 종이 멸종하면 그 종에 의존하거나 상호 작용하는 다른 종도 멸종 위험에 처할 수 있음 |
예시 | 나무가 전염병으로 죽으면 그 나무에 사는 지의류 군집도 멸종 위험에 처함 |
인용 | 한 종의 손실은 다른 종의 손실을 야기한다. |
2. 원인
공멸종은 특정 숙주 종에 의존하는 기생충이나 공생 관계에 있는 종들에게서 주로 발생한다. 숙주 종이 멸종하면, 그 종에 의존하던 다른 종들도 생존 기반을 잃고 멸종하게 된다.
2004년 Science 지에 실린 논문에서 생태학자 리안 핀 코(Lian Pin Koh)와 동료들은 공멸종을 "복잡한 생태계에서 유기체의 상호 연결성을 보여주는 현상"이라고 설명했다.[28] 공멸종으로 인한 종의 손실은 대체 불가능한 진화 및 공진화 역사의 손실을 의미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향후 50년 안에 최대 50%의 종이 멸종될 수 있다고 한다.[25] 이는 부분적으로 공멸종 때문인데, 예를 들어 싱가포르에서 열대 나비 종이 사라진 것은 특정 유충 숙주 식물이 사라졌기 때문이다.[25]
꽃가루 매개자인 하와이 꿀먹이새의 멸종은 ''Hibiscadelphus'' 속 식물의 멸종 위기를 초래했고, 모아의 멸종은 하스트수리의 멸종을 야기했다. 잉글랜드 남부의 붉은 개미 ''Myrmica sabuleti''의 감소는 개미를 숙주로 삼는 큰 푸른 나비 애벌레의 국지적 멸종을 초래했다.
2. 1. 숙주-기생충 관계
멸종된 여행비둘기와 그 기생 이였던 ''Columbicola extinctus''와 ''Campanulotes defectus''의 사례가 대표적이다.[22] 최근 ''C. extinctus''는 띠꼬리비둘기에서 재발견되었지만,[23] ''C. defectus''는 오동정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3] 후이아와 그 기생 이였던 ''Rallicola extinctus''는 숙주와 함께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24]호주 뉴사우스웨일스 중동부의 아카시아 종에 서식하는 곤충(Psyllid) 연구에서, 특정 아카시아 종이 멸종하면 그 종에 특이적으로 기생하는 곤충도 함께 멸종할 위험이 있음이 밝혀졌다.[26] 검은코뿔소와 흰코뿔소의 위벽에서 유충이 성숙하는 코뿔소 위봇 파리(''Gyrostigma rhinocerontis'')의 경우,[29] 코뿔소 종의 멸종은 곧 파리의 멸종으로 이어진다.
2. 2. 공생 관계
하와이 꿀먹이새의 멸종은 ''Hibiscadelphus'' 속 식물의 멸종 위기를 초래했는데, 이는 꽃가루 매개자인 꿀먹이새가 사라지면서 식물의 번식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28] 모아의 멸종은 하스트수리의 멸종을 야기했는데, 이는 먹이 사슬의 붕괴로 인한 공멸종의 대표적인 예시이다.[28]잉글랜드 남부에서 붉은 개미(''Myrmica sabuleti'')의 감소는 큰 푸른 나비 애벌레의 국지적 멸종을 초래했는데, 이는 애벌레가 붉은 개미를 숙주로 삼기 때문이다.[28]
2. 3. 기타 요인
생태학자 리안 핀 코(Lian Pin Koh)와 동료들은 2004년 ''Science'' 지에 게재된 논문에서 공멸종을 "복잡한 생태계에서 유기체의 상호 연결성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정의하며, 공멸종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8] 미래에는 공멸종으로 인해 최대 50%의 종이 멸종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5]공멸종 위험은 숙주 특이성과 생활환이 중요한 요인이다. 특히, 복잡한 생활환을 가진 유기체는 여러 숙주에 의존하기 때문에 공멸종에 더 취약하다.[31]
가장 큰 공멸종 효과가 있는 지역은 열대 지방이다. 열대 지방은 생물 다양성이 높고, 서식지 파괴와 인간의 간섭이 심각하여 공멸종의 위험이 가장 크다.[34]
요인 | 설명 | 지역 | 특징 |
---|---|---|---|
숙주 특이성 | 특정 숙주에 의존하는 정도. 숙주 특이성이 높을수록 공멸종 위험이 커짐. | 열대 지방 | 높은 생물 다양성, 심각한 서식지 파괴 및 인간 간섭 |
생활환 | 복잡한 생활환을 가진 유기체는 여러 숙주에 의존하므로 공멸종에 더 취약함. |
공멸종은 생물 다양성의 감소와 진화 역사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관련 숙주의 멸종은 관련 기생충의 멸종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무작위적인 종의 멸종보다 더 큰 역사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30]
숙주 특이성과 수명 주기는 공멸종 위험의 주요 요인이다. 돌연변이 종, 기생충 및 단계적 생활주기를 가진 많은 자유 생활 곤충은 공멸종의 희생자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 이것은 이러한 유기체가 단순한 생활주기 유기체와 비교하여 일생 동안 여러 숙주에 의존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31] 또한 유기체가 진화적으로 유연하다면 이 유기체는 멸종을 피할 수 있다.[32][33]
[1]
논문
Estimating Coextinction Risks from Epidemic Tree Death: Affiliate Lichen Communities among Diseased Host Tree Populations of Fraxinus excelsior
3. 결과
공멸종은 생태계 전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협받는 꽃가루 매개자의 감소는 식량 생산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희귀 숙주에서 특수 기생충이 사라지면, 숙주는 새로운 기생충에 더 취약해질 수 있다. 기생충이 특정 종에만 의존하는 경우 공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지만, 다른 숙주를 찾아 전환할 수 있다면 그 숙주가 인간이 될 수도 있다.
뉴칼레도니아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산호초 관련 어종의 멸종은 최소 10종의 기생충 공멸종을 초래할 수 있다.[12]
4. 위험 및 보존 노력
가장 큰 공멸종 효과가 있는 지역은 열대 지방이다. 서식지가 계속해서 사라지고 인간이 개입하며 중요한 생태계가 크게 손실된다. 열대 지방에는 알려진 모든 종의 2/3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를 전부 돌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고, 그래서 이들의 멸종은 더욱 위험하다. 산림 손실과 함께 다른 위험 요소에는 해안 개발, 야생 동물의 남획 및 서식지 전환이 포함되며, 이는 인간의 생활에도 영향을 미친다.[34]
공멸종을 멈추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구자들은 첫 번째 단계가 다른 종이 의존하는 숙주 종을 보존하는 것임을 발견했다. 이 숙주는 서식지의 주요 구성 요소 역할을 하며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 보호할 숙주를 결정할 때 다른 종속 종의 배열에 도움이 되는 숙주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35]
참조
[2]
논문
Extinction or 'co-extinction' rates?
1993-12-25
[3]
서적
Holocene Extin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5-28
[4]
논문
Taxonomy of New World ''Columbicola'' (Phthiraptera: Philopteridae) from the Columbiformes (Aves), with descriptions of five new species
[5]
논문
Pigeon lice down under: Taxonomy of Australian ''Campanulotes'' (Phthiraptera: Philopteridae), with a description of ''C. durdeni'' n.sp.
[6]
논문
Eine neue ausgestorbene Vogel-Ischnozere von Neuseeland, ''Huiacola extinctus'' (Insecta, Phthiraptera)
[7]
논문
Species coextinctions and the biodiversity crisis
[8]
논문
Are psyllids affiliated with the threatened plants Acacia ausfeldii, A. dangarensis and A. gordonii at risk of co-extinction?.
[9]
논문
Non-random coextinctions in phylogenetically structured mutualistic networks
2007-08-23
[10]
논문
Species Coextinctions and the Biodiversity Crisis
[11]
논문
Oestrid flies: eradication and extinction versus biodiversity
[12]
논문
An annotated list of fish parasites (Isopoda, Copepoda, Monogenea, Digenea, Cestoda, Nematoda) collected from Snappers and Bream (Lutjanidae, Nemipteridae, Caesionidae) in New Caledonia confirms high parasite biodiversity on coral reef fish.
[13]
논문
Current constraints and future directions in estimating coextinction
[14]
간행물
Coevolutionary dynamics and the conservation of mutualisms
Cambridge Univ. Press
[15]
간행물
Coextinction and Persistence of Dependent Species in a Changing World
[16]
논문
Tropical turmoil: a biodiversity tragedy in progress
http://espace.cdu.ed[...]
[17]
논문
Identifying and Managing Threatened Invertebrates through Assessment of Coextinction Risk
[18]
웹인용
https://en.dict.nave[...]
2022-04-30
[19]
논문
Estimating Coextinction Risks from Epidemic Tree Death: Affiliate Lichen Communities among Diseased Host Tree Populations of Fraxinus excelsior
[20]
논문
Extinction or 'co-extinction' rates?
1993-12-25
[21]
서적
Holocene Extin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5-28
[22]
논문
Taxonomy of New World ''Columbicola'' (Phthiraptera: Philopteridae) from the Columbiformes (Aves), with descriptions of five new species
[23]
논문
Pigeon lice down under: Taxonomy of Australian ''Campanulotes'' (Phthiraptera: Philopteridae), with a description of ''C. durdeni'' n.sp.
[24]
논문
Eine neue ausgestorbene Vogel-Ischnozere von Neuseeland, ''Huiacola extinctus'' (Insecta, Phthiraptera)
[25]
논문
Species coextinctions and the biodiversity crisis
[26]
논문
Are psyllids affiliated with the threatened plants Acacia ausfeldii, A. dangarensis and A. gordonii at risk of co-extinction?.
[27]
논문
Non-random coextinctions in phylogenetically structured mutualistic networks
2007-08-23
[28]
논문
Species Coextinctions and the Biodiversity Crisis
[29]
논문
Oestrid flies: eradication and extinction versus biodiversity
[30]
논문
An annotated list of fish parasites (Isopoda, Copepoda, Monogenea, Digenea, Cestoda, Nematoda) collected from Snappers and Bream (Lutjanidae, Nemipteridae, Caesionidae) in New Caledonia confirms high parasite biodiversity on coral reef fish.
[31]
논문
Current constraints and future directions in estimating coextinction
[32]
간행물
Coevolutionary dynamics and the conservation of mutualisms
Cambridge Univ. Press
[33]
간행물
Coextinction and Persistence of Dependent Species in a Changing World
[34]
논문
Tropical turmoil: a biodiversity tragedy in progress
http://espace.cdu.ed[...]
2022-04-30
[35]
논문
Identifying and Managing Threatened Invertebrates through Assessment of Coextinction R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