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양장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양장황후는 명나라 선덕제의 황후로, 본명은 호선상이다. 영락 15년 황태손 주첨기의 비가 되었고, 홍희제 즉위 후 황태자비가 되었다가 선덕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아들을 낳지 못하여 폐위되었고 도사가 되어 정자선사로 불렸다. 이후 빈의 예로 장사지냈으나, 천순 연간에 황후로 추존되어 공양성순강목정자장황후의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2년 출생 - 장 드 뒤누아 백작
장 드 뒤누아 백작은 프랑스 국왕 샤를 5세의 사생아로, 백년 전쟁과 프랑스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오를레앙 공방전에서 잔 다르크와 함께 영국군을 물리치고, 프라게리 반란과 공익 동맹에 참여했다가 1468년에 사망했다. - 1402년 출생 - 루카스 노타라스
루카스 노타라스는 동로마 제국의 외교관이자 고위 관리로서 오스만 제국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에서 활약했지만 함락 후 처형당했고, 그의 생애와 정책은 제국 몰락의 원인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명나라의 황태자비 - 여태후 (주표)
- 명나라의 황태자비 - 효민양황후
건문제의 황후인 효민양황후 마씨는 건문제 즉위 전 황태손비로 책봉되었다가 황후가 되었으며, 정난의 변 당시 화재로 사망 또는 실종된 것으로 추정되나 남명 홍광제에 의해 복위되었다. - 1443년 사망 - 제아미
제아미는 일본 무로마치 시대 초기에 활약하며 노 연극을 대성시킨 연극인이자 연출가이며, 예술론을 담은 저서를 통해 노의 이론을 정립하고, 많은 역작을 남겨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443년 사망 - 아시카가 요시카쓰
아시카가 요시카쓰는 1434년에 태어나 1442년 9세의 나이로 무로마치 막부의 7대 쇼군이 되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으로 실권을 호소카와 모치유키 등이 장악했고, 1443년에 1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공양장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호선상 (胡善祥) |
씨족 | 호 (胡) |
가문 | 호씨 (胡氏) |
출생일 | 건문 4년 4월 10일 (음력, 1402년 5월 20일) |
출생지 | 제녕부 |
사망일 | 정통 8년 11월 5일 (음력, 1443년 11월 26일) |
사망지 | 순천부, 자금성 |
매장지 | 금산, 북경 |
아버지 | 호영 (胡榮) |
어머니 | 유씨 (劉氏) |
배우자 | |
배우자 | 선덕제 (1417년 결혼, 1435년 사망) |
자녀 | 순덕공주 영청공주 |
칭호 | |
시호 | 공양성순강목정자장황후 (恭讓誠順康穆静慈章皇后) |
경력 | |
황태자비 (황태손비) | 1417년 ~ 1425년 |
황후 | 1425년 ~ 1428년 |
재위 기간 | 1425년 7월 22일 ~ 1428년 3월 16일 |
전임 황후 | 성효소황후 |
후임 황후 | 효공장황후 |
2. 생애
호선상은 제녕부 출신으로, 홍무제 때 상궁으로 재직한 큰언니 호선위(胡善圍)가 있었다.
영락 15년(1417년)에 황태손 주첨기(朱瞻基)와 혼인하여 황태손비가 되었고, 홍희제 즉위 후 황태자비로 격상되었으며, 선덕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선덕 3년(1428년), 선덕제가 귀비 손씨(효공장황후)에게서 아들을 얻자,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폐위되었다. 폐위 후 '''정자선사'''(靜慈仙師)라는 호를 받았으나, 황태후 장씨의 배려로 청녕궁(淸寧宮)에서 여생을 보냈다.
정통 8년(1443년), 호선상은 세상을 떠났다. 폐후 신분이었기에 태묘에 위패를 모시거나 황릉을 따로 만들 수 없었다.
천순 7년 윤 칠월(1463년), 정통제에 의해 황후로 복위되었으며, 시호는 '''공양성순강목정자장황후'''(恭讓誠順康穆靜慈章皇后)이다.
2. 1. 초기 생애 (1400년? ~ 1428년)
호선상은 1400년경 산둥성 지닝시에서 태어났다. 호선상의 아버지 호영(胡榮)은 백호(百戶)였다.[3] 홍무제 때 호선상의 큰언니 호선위(胡善圍)는 상궁으로 임명되었고, 호영은 정6품 금의위 백호가 되었다. 건문제 즉위 후 호영은 면직되었다.영락 15년(1417년), 호선상은 영락제에 의해 황태손 주첨기(훗날의 선덕제)의 비(妃)가 되었다.[4] 주첨기는 손씨를 총애하여 호선상을 별로 총애하지 않았다. 홍희제 즉위 후 호선상은 황태자비가 되었고, 선덕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 호영은 정2품 금의위 지휘첨사에 임명되었다.
2. 2. 황후 시절과 폐위 (1425년 ~ 1428년)
영락 15년(1417년)에 호선상은 황태손 주첨기(朱瞻基)와 혼인하여 황태손비로 책봉되었고, 홍희제가 즉위한 후에는 황태자비로 격상되었다. 선덕제가 황제로 즉위하면서 호선상도 황후로 즉위하게 된다.[1] 그러나 호선상의 황후 생활은 오래 가지 못했다. 선덕 3년(1428년)에 선덕제가 귀비 손씨(효공장황후) 사이에서 아들을 보았고, 선덕제는 호선상에게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폐서인으로 만들었다.[1]폐위 후에는 도사로 출가하고 '''정자선사'''(靜慈仙師)라는 호를 받았다.[1] 황태후 장씨는 호선상을 가엽게 여겨 청녕궁(淸寧宮)을 주고 죽을 때까지 궁에서 여생을 보내게 하였다.[1]
2. 3. 폐위 이후의 삶과 죽음 (1428년 ~ 1443년)
선덕 3년(1428년), 선덕제가 귀비 손씨(효공장황후)에게서 아들을 얻자, 호선상은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폐서인이 되었다. 이후 도사로 출가하여 '''정자선사'''(靜慈仙師)라는 호를 받았다. 황태후 장씨는 호선상을 가엾게 여겨 청녕궁(淸寧宮)을 주고 죽을 때까지 궁에서 여생을 보내게 하였다.[3]정통 6년 (1441년) 4월, 호선상의 아버지 호영이 사망했다.[4] 이듬해 정통 7년 (1442년)에는 장태후가 붕어하였고, 정통 8년(1443년)에는 딸 순덕장공주마저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얼마 지나지 않아 호선상도 세상을 떠났다. 폐후의 신분이었기에 태묘에 위패를 모시거나 황릉을 따로 만들 수 없었고, 빈(嬪)의 예로 금산(金山)에 장사지냈다.
천순 7년 윤 칠월(1463년), 정통제에 의해 황후로 복위되었으며, '''공양성순강목정자장황후'''(恭讓誠順康穆靜慈章皇后)라는 시호가 추증되었다.
2. 4. 사후 복위 (1463년)
영종의 후궁인 천황후는 선덕제의 폐후 호씨의 황후 지위를 회복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에 따라 천순 7년 윤 칠월(1463년)에 황후로 복위되었으며, 시호는 '''공양성순강목정자장황후'''(恭讓誠順康穆靜慈章皇后)로 추증되었다.[3] 황후에게 정해진 의식에 따라 능묘가 건설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호선상 (胡善祥) | 제령 출신 |
언니 | 호선위 (胡善圍) | 홍무제 때 상궁으로 재직 |
남편 | 선덕제 | 명나라 제5대 황제 |
딸 | 순덕공주 (1420년~1443년) | 선덕제의 장녀, 석경에게 하가 |
딸 | 영청공주 (?~1433년) | 선덕제의 차녀, 요절 |
4. 기타
호선상은 제령(濟寧) 출신으로, 언니인 호선위(胡善圍)는 홍무제 때 상궁으로 재직하였다.[1]
영락 15년(1417년)에 황태손 주첨기(朱瞻基)와 혼인하여 황태손비가 되었고, 홍희제 즉위 후 황태자비로 격상되었으며, 선덕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다.[1]
선덕 3년(1428년), 선덕제가 귀비 손씨(효공장황후)에게서 아들을 얻자,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폐서인이 되었다. 폐위 후 도사로 출가하여 '''정자선사'''(靜慈仙師)라는 호를 받았다. 황태후 장씨는 호선상을 가엽게 여겨 청녕궁(淸寧宮)을 주고 궁에서 여생을 보내게 하였다.[1]
정통 8년(1443년)에 쓸쓸하게 생을 마감하였다. 폐후 신분으로 태묘에 위패를 모시거나 황릉을 따로 만들 수 없었다.[1]
천순 7년 윤 칠월(1463년)에 정통제에 의해 황후로 복위되었으며, 시호는 '''공양성순강목정자장황후'''(恭讓誠順康穆靜慈章皇后)이다.[1]
4. 1. 대중문화
5. 평가
선덕제는 호선상이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이유로 폐서인으로 만들었다. 폐위 후 도사로 출가하여 정자선사(靜慈仙師)라는 호를 받았으며, 정통제에 의해 황후로 복위되었으나 태묘에 위패를 모시지 못하는 등 박한 평가를 받았다. 황태후 장씨는 호선상을 가엽게 여겨 청녕궁(淸寧宮)을 주고 여생을 보내게 하였으나, 결국 쓸쓸하게 생을 마감하였다.[1]
참조
[1]
서적
Concubinage and Servitude in Late Imperial China
Lexington Books
2014-06-18
[2]
서적
大明惊变(上)
Beijing Book Co. Inc.
2016-09-01
[3]
간행물
明世宗実録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