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수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계는 수학에서 집합족의 곱집합 부분 집합으로 정의되며, 집합 원소들 간의 연관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특히, 집합 X에 대해 영항, 단항, 이항, 삼항, n항 관계 등으로 분류되며, 항수에 따라 다양한 관계의 종류가 존재한다. 이항 관계는 동등 관계, 부등식, 약수 관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삼항 관계는 이항 함수를 포함한다. 관계는 반사성, 대칭성, 추이성 등의 성질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성질에 따라 동치 관계, 순서 관계 등으로 분류된다. 관계 개념은 1860년경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으며, 찰스 샌더스 퍼스, 고틀로프 프레게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1970년 에드가 F. 코드에 의해 관계형 모델이 제안되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관계 (수학) | |
---|---|
개요 | |
정의 | "수학에서, 유한 관계(有限關係, 영어: finitary relation)는 집합들의 곱집합의 부분 집합이다. 즉, 어떤 집합들의 곱집합에서 값을 취하는 함수이다. 유한 관계의 특수한 경우로, 이항 관계는 두 집합의 곱집합의 부분 집합이며, 함수는 각 입력에 대하여 하나의 출력을 갖는 이항 관계이다." 집합론에서 관계는 여러 대상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A는 B보다 크다', 'C는 D의 부모이다'와 같은 문장에서 A와 B, C와 D 사이의 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집합론적 개념이 사용된다. |
표기법 | 수학에서 n항 관계는 n개의 집합 X1, ..., Xn의 데카르트 곱 X1 × ... × Xn의 부분집합으로 정의된다. 이 관계는 n개의 원소 (x1, ..., xn)에 대해 참 또는 거짓의 값을 할당한다. n=2일 경우 이항 관계라고 한다. |
상세 정보 | |
n항 관계 (n-ary relation) | n개의 집합 X1, ..., Xn 사이의 관계는 곱집합 X1 × ... × Xn의 부분집합 R로 정의된다. R은 순서쌍 (x1, ..., xn)의 집합이며, 각 순서쌍은 관계 R을 만족하거나 만족하지 않는다. |
술어 (Predicate) | 관계는 술어로도 생각할 수 있다. n항 관계 R은 n개의 인자를 취하여 참 또는 거짓을 반환하는 술어 P(x1, ..., xn)에 해당한다. 술어는 관계가 성립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
예시 | 예를 들어, 'x는 y보다 작다'는 이항 관계이며, 'z는 x와 y의 합이다'는 삼항 관계이다.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테이블은 관계의 한 예이다. 각 테이블은 열(속성)과 행(튜플)으로 구성되며, 각 행은 속성 값들의 순서쌍을 나타낸다. |
관계 대수 (Relational algebra) | 관계 대수는 관계를 조작하는 연산들의 집합이다. 관계 대수 연산을 사용하여 관계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 삽입, 삭제, 수정할 수 있다. |
형식적 정의 | |
정의 | 집합 X1, ..., Xn에 대해, X1 × ... × Xn의 부분집합을 X1, ..., Xn 사이의 n항 관계라고 한다. |
예시 | 예를 들어, X = {1, 2}에 대해, X × X = {(1, 1), (1, 2), (2, 1), (2, 2)}이다. 여기서 {(1, 1), (2, 2)}는 X에서 X로의 이항 관계이다. 실수 집합 ℝ에 대해, 'x < y'는 ℝ에서 ℝ로의 이항 관계이다. 이 관계는 모든 실수 x, y에 대해 x가 y보다 작을 때 참이다. |
성질 | |
반사성 (Reflexivity) | 집합 X에 대한 관계 R이 모든 x ∈ X에 대해 (x, x) ∈ R을 만족하면 반사적이라고 한다. |
대칭성 (Symmetry) | 집합 X에 대한 관계 R이 (x, y) ∈ R이면 (y, x) ∈ R을 만족하면 대칭적이라고 한다. |
추이성 (Transitivity) | 집합 X에 대한 관계 R이 (x, y) ∈ R이고 (y, z) ∈ R이면 (x, z) ∈ R을 만족하면 추이적이라고 한다. |
활용 |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 튜플, 속성으로 구성되며, 관계 대수 연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조작한다. |
그래프 이론 | 그래프 이론에서 그래프는 정점과 간선으로 구성되며, 간선은 정점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래프는 다양한 분야에서 관계를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
의미론 (Semantics) | 의미론에서 관계는 단어 또는 구문 간의 의미적 연결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is-a' 관계는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
2. 정의
집합족 위의 관계는 곱집합의 부분 집합
:
이다. 특히, 순서수 에 대하여, 집합 위의 '''항 관계'''(-ary relation영어)는 거듭제곱 집합의 부분 집합
:
이다.
항수에 따른 관계의 종류는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집합 에 대한 ''n''-항 관계 ''R''은 데카르트 곱 의 부분 집합으로 주어진다.[2]
기초 집합 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R''은 좀 더 형식적으로 ( + 1)-튜플 로 정의될 수 있으며, 여기서 ''G''는 ''R''의 ''그래프''라고 불리며, 데카르트 곱 의 부분 집합이다.
수학에서 흔히 그렇듯이, 동일한 기호가 수학적 객체와 기초 집합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므로, 명제 은 종종 을 의미하며, "''x''1, ..., ''x''''n''은 ''R''-관계이다"라고 읽으며, 접두 표기법을 사용하여 로, 후위 표기법을 사용하여 로 표시한다. ''R''이 이항 관계인 경우, 이러한 명제는 또한 중위 표기법을 사용하여 로 표시된다.
다음 사항을 고려한다.
- 집합 는 ''R''의 번째 ''정의역''이라고 한다.[2] ''R''이 이항 관계인 경우, 은 단순히 ''R''의 ''정의역'' 또는 ''출발 집합''이라고도 하며, 는 ''R''의 ''공역'' 또는 ''도착 집합''이라고도 한다.
- 의 원소가 관계인 경우, 는 ''R''의 ''비단순 정의역''이라고 한다.[2]
- 적어도 하나의 에 대해 인 의 집합은 ''R''의 ''i''번째 ''정의역'' 또는 ''활성 정의역''이라고 한다.[2] ''R''이 이항 관계인 경우, 그 첫 번째 정의역은 단순히 ''R''의 ''정의역'' 또는 ''활성 정의역''이라고도 하며, 그 두 번째 정의역은 ''공역'' 또는 ''활성 공역''이라고도 한다.
- ''R''의 번째 정의역이 와 같은 경우, ''R''은 그 ''i''번째 정의역(또는 모호하지 않은 경우 )에서 ''전체''라고 한다. ''R''이 이항 관계인 경우, ''R''이 에서 전체이면, ''왼쪽 전체'' 또는 ''직렬''이라고도 하며, ''R''이 에서 전체이면, ''오른쪽 전체'' 또는 ''전사''라고도 한다.
- , , ∧ 일 때, 여기서 , , , 그리고 는 의 분할이면, ''R''은 에서 ''유일''하다고 하며, 는 ''R''의 ''기본 키''[2]라고 한다. ''R''이 이항 관계인 경우, ''R''이 에서 유일하면 ''왼쪽 유일'' 또는 ''단사''라고 하며, ''R''이 에서 유일하면 ''일가'' 또는 ''오른쪽 유일''이라고 한다.
- 모든 가 동일한 집합 이면, ''R''을 ''X''에 대한 ''n''-항 관계, 즉 동차 관계라고 하는 것이 더 간단하다. 이러한 제약이 없으면, ''R''을 이종 관계라고 한다.
- 중 하나라도 비어 있으면, 정의하는 데카르트 곱은 비어 있으며, 그러한 일련의 정의역에 대한 유일한 관계는 공 관계 이다.
부울 도메인 ''B''를 두 개의 원소 집합, 예를 들어 로 두고, 그 원소를 논리적 값, 일반적으로 거짓과 참으로 해석할 수 있다. ''R''의 지표 함수 또는 특성 함수는 로 표시되며, 부울 값 함수 이며, 이면 로 정의되고, 그렇지 않으면 으로 정의된다.
응용 수학, 컴퓨터 과학 및 통계학에서는 부울 값 함수를 ''n''-항 ''술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형식 논리 및 모형 이론의 더 추상적인 관점에서 볼 때, 관계 ''R''은 몇 가지 가능한 해석 중 하나인 ''n''-항 술어 기호의 ''논리적 모형'' 또는 ''관계 구조''를 구성한다.
2. 1. 항수에 따른 관계의 종류
- 집합 위의 '''영항 관계'''(nullary relation영어)는 이다. 즉, 또는 이다.
- 집합 위의 '''단항 관계'''(unary relation영어)는 이다.
- 집합 위의 '''이항 관계'''(binary relation영어)는 이다. 이 경우, 를 와 같이 표기하기도 한다.
- 집합 위의 '''삼항 관계'''(ternary relation영어)는 이다.
- 집합 위의 '''항 관계'''(n-ary relation영어)는 이다. 이 경우, 를 와 같이 표기하기도 한다.
3. 이항 관계의 성질
집합 위의 이항 관계 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정의할 수 있다.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인 관계를 동치 관계라 한다. 반사적, 반대칭적, 추이적인 관계를 순서 관계라 하고 비대칭적, 추이적인 관계를 강 순서 관계라 한다. 와 에 대하여
4. 관계의 종류
-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인 관계를 동치 관계라 한다.
- 반사적, 반대칭적, 추이적인 관계를 순서 관계라 하고 비대칭적, 추이적인 관계를 강 순서 관계라 한다. 관계
< 와 관계\le 에 대하여x \le y \iff x 가 성립할 때, < 가 강 순서 관계일 조건과\le 가 순서 관계일 조건은 서로 필요충분조건이다. 문맥에 따라 강 순서 관계를 그저 순서 관계로 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5. 예시
- 공선점 관계는 공간 속의 점들에 대한 삼항 관계이다.
- 여러 가지 이항 관계:
관계 | 정의 |
---|---|
반사성 | 집합 |
대칭성 | |
반대칭성 | |
비대칭성 | |
추이성 |
- 동치 관계: 반사적, 대칭적, 추이적인 관계
- 순서 관계: 반사적, 반대칭적, 추이적인 관계
- 강 순서 관계: 비대칭적, 추이적인 관계
- 관계
< 와 관계\le 에 대하여x \le y \iff x 가 성립할 때, < 가 강 순서 관계일 조건과\le 가 순서 관계일 조건은 서로 필요충분조건이다. (문맥에 따라 강 순서 관계를 그저 순서 관계로 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삼항 관계: 3-항 관계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입력을 출력과 관련시키는 이항 함수를 포함한다. 균질 삼항 관계의 세 가지 정의역은 모두 동일한 집합이다.
6. 관계의 표현
관계는 표(table) 형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는 지표 함수(indicator function) 또는 특성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3]
예시로, 삼항 관계 ''R''을 집합 }에 대해 "''x''는 ''y''가 ''z''를 좋아한다고 생각한다"로 정의할 수 있다.
x | y | z |
---|---|---|
앨리스 | 밥 | 데니스 |
찰스 | 앨리스 | 밥 |
찰스 | 찰스 | 앨리스 |
데니스 | 데니스 | 데니스 |
위 표에서 각 행은 ''R''의 삼중항을 나타내며, "''x''는 ''y''가 ''z''를 좋아한다고 생각한다"는 형태의 진술을 만든다. 예를 들어, 첫 번째 행은 "앨리스는 밥이 데니스를 좋아한다고 생각한다"는 의미이다. 표의 모든 행은 서로 다르며, 행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열의 순서는 중요하다.[3]
7. 관계의 응용
관계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에서 데이터를 구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관계형 모델은 관계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1970년 에드가 F. 코드는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관계형 모델을 제안했다.[1]
- '''컴퓨터 과학''': 자료 구조, 알고리즘, 형식 언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계가 활용된다.
- '''수학, 논리학''': 순서론, 모형 이론 등 여러 분야에서 관계는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은 1860년경 출판된 저서를 통해 오늘날과 유사한 의미의 관계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명확히 제시했다. 찰스 샌더스 퍼스, 고틀로프 프레게, 게오르크 칸토어, 리하르트 데데킨트 등은 관계 이론을 발전시켰다. 특히 순서라고 불리는 관계에 대한 그들의 많은 아이디어는 버트런드 러셀이 자유롭게 사용한 수학 원리(1903)에 요약되었다.
8. 관계 개념의 역사
오거스터스 드 모르간은 관계 개념을 처음으로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그는 "마음으로 함께 고찰되는 두 개의 대상, 속성, 클래스 또는 속성이 어떤 관계하에 놓여있을 때, 그 관계를 관계라고 한다."라고 정의했다.[1]
찰스 샌더스 퍼스, 고틀로프 프레게, 게오르크 칸토어, 리하르트 데데킨트는 관계 이론을 발전시켰다. 버트런드 러셀은 그의 저서 수학 원리에서 관계 이론을 정리하였다.[2]
에드가 F. 코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제안하여 데이터베이스 분야에 관계 개념을 도입하였다.[3]
참조
[1]
웹사이트
Relation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https://www.encyclop[...]
2019-12-12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n''-ary Relation
https://www.cs.odu.e[...]
2019-12-12
[3]
웹사이트
Relations – CS441
http://www.pitt.edu/[...]
2019-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