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관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관수리는 몸 전체가 암갈색이며 흰색 점이 있고, 머리에서 뒷목까지 흰색과 검은색 깃털이 돌출된 뱀독수리 종이다. 열대 아시아 지역에 21개의 아종으로 분포하며, 뱀과 도마뱀을 주로 잡아먹는 육식성 조류이다. 1988년 대한민국 김해군에서 1개체가 채집된 기록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1977년 이시가키시의 시조(市鳥)로 지정되었다. 관수리는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있으며, 일본 환경성 레드 리스트 기준 심각한 위급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90년 기재된 새 - 에뮤
    에뮤는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으로 키가 큰 타조목 새로, 빠른 속도로 달릴 수 있으며 잡식성이고, 원주민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상업적으로 사육되기도 하고, 오스트레일리아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 1790년 기재된 새 - 멧비둘기
    멧비둘기는 유라시아 동부와 일본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도 흔히 보이는 새로, 회색빛 등과 갈색 날개, 목 옆 줄무늬가 특징이며, 곡식, 열매, 곤충을 먹고 나무에 둥지를 짓는 여러 아종이 존재하는 종이다.
  • 스리랑카의 새 - 쏙독새
    숲쏙독새는 쏙독새목 쏙독새과에 속하며 회색 몸통과 검은 줄무늬 머리,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야행성 새로, 수컷은 흰색, 암컷은 붉은색 목덜미 반점을 가지며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번식한다.
  • 스리랑카의 새 - 구관조
    구관조는 찌르레기과에 속하며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능력으로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고 인도 동부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가 감소하여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새 - 팔색조
    팔색조는 물총새과에 속하며 일곱 가지 색깔의 깃털을 가진 철새로,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관수리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칸무리카수리 (반디푸르, 2008)
성체 칸무리카수리 (반디푸르 국립공원)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수리목
수리과
칸무리카수리속
칸무리카수리
학명 및 명명
학명Spilornis cheela
명명자(Latham, 1790)
일반 정보
영어 이름Crested serpent eagle
일본어 이름칸무리(冠)와시(鷲) (칸무리카수리)
보존 상태
IUCNLC
워싱턴 조약워싱턴 조약 부속서 II

2. 생김새

관수리는 몸 전체가 암갈색이며 곳곳에 흰색 점들이 있다. 머리에서 뒷목까지 흰색과 검은색 깃털이 돌출되어 있는데, 이것이 관수리의 일본어 이름과 영어 이름의 유래이다. 홍채와 발은 노란색이고, 비행할 때 아랫면에 흰색 줄무늬가 뚜렷하게 보인다. 앉아 있을 때는 날개 끝이 꼬리 끝까지 닿지 않는다. 날아오를 때는 넓고 노 모양의 날개를 얕은 V자 형태로 유지한다. 꼬리와 비행 깃털 아랫면에는 넓은 흰색 줄무늬가 있는 검은색 띠가 있다. 어린 새는 머리에 흰색이 많고, 가슴에서 배에 걸쳐 깃털, 어깨 깃털, 비 덮깃이 흰색에서 황갈색을 띤다. 생후 2년경부터 성조로 깃털갈이를 한다.[41] 발목에는 깃털이 없고 육각형 비늘로 덮여 있으며, 위턱 끝부분에는 튀어나온 장식이 없다.[5]

''S. c, spilogaster''
얄라 국립공원, 스리랑카

2. 1. 크기

이 뱀독수리 종은 다양한 아종에서 비정상적인 크기 변화를 나타낸다. 다 자란 뱀독수리의 전체 길이는 41cm에서 75cm까지 다양하며, 날개 길이는 89cm에서 169cm까지 다양하다.[6][7][8] 가장 큰 비율의 종은 기준종인 ''S. c. cheela''로, 수컷의 날개 길이는 468mm에서 510mm, 암컷은 482mm에서 532mm이며, 꼬리 길이는 295mm에서 315mm, 발목 길이는 100mm에서 115mm이다. 이에 비해 아마도 가장 작은 종인 ''S. c. minimus''는 수컷의 날개 길이가 257mm에서 291mm, 암컷은 288mm에서 304mm이며, 꼬리 길이는 약 191mm, 발목 길이는 약 76mm이다.[6]

몸무게는 더 불규칙하게 보고되지만, 다양한 종 간에 약 3배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추정된다.[6][9] 매우 작은 아종인 ''S. c. asturinus''는 수컷의 체중이 420g, 암컷은 565g으로 나타났다.[6] ''S. c. palawanesis''의 경우 수컷의 체중은 688g, 암컷은 853g으로 보고되었다.[10] 보르네오에서 온 뱀독수리 ''S. c. pallidus''는 625g에서 1130g 사이일 수 있다.[6][11] 본토 형태가 일반적으로 더 크지만, 비교적 작은 본토 종인 ''S. c. burmanicus''의 경우 900g의 체중이 언급되었다.[12] ''S. c. hoya'' 종에서는 체중이 훨씬 더 높아서 평균 1207g이었고, 같은 종에서 수컷 8마리는 평균 1539g, 암컷 6마리는 평균 1824g이었다.[13][14] 어떤 경우에는 뱀독수리가 약 2300g의 추정 체중에 도달할 수 있다.[15]

3. 분류

산새매는 뱀독수리속의 뱀독수리와 함께 Circaetinae 아과에 속한다.[16]

원명 아종은 검은색 목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인도 반도 형태는 갈색을 띤 목을 가지고 있다. 위도에 따른 경사 변이가 있으며, 크기는 남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3] 작은 섬의 분류군은 일반적으로 도서 왜소증이라는 현상에서 아시아 본토/대형 섬의 분류군보다 크기가 작다.[2][18]

열대 아시아 전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21개의 아종이 제안되었다:[2]

아종분포 지역
S. c. batu남부 수마트라, 바투 제도
S. c. bido자바, 발리
S. c. burmanicus대부분의 인도차이나
S. c. hoya타이완
S. c. malayensis타이-말레이 반도, 북부 수마트라
S. c. melanotis인도 반도
S. c. palawanensis팔라완섬
S. c. pallidus북부 보르네오
S. c. richmondi남부 보르네오
S. c. ricketti북부 베트남, 남부 중국
S. c. rutherfordi하이난섬
S. c. spilogaster스리랑카
S. c. abbotti (시메울루 뱀독수리)시멜루에섬
S. c. asturinus (니아스 뱀독수리)니아스섬
S. c. baweanus (바웨안 뱀독수리)바웨안섬
S. c. davisoni안다만 제도
S. c. minimus (중앙 니코바르 뱀독수리)중앙 니코바르 제도
S. c. natunensis (나투나 뱀독수리)나투나 제도
S. c. perplexus (류큐 뱀독수리)류큐 열도
S. c. sipora (멘타와이 뱀독수리)멘타와이 제도



마지막 일곱 종(괄호 안에 영어 이름)은 때때로 별도의 종으로 취급된다.[2] 산새매는 여전히 널리 분포하고 비교적 흔하지만, 작은 섬에 국한된 일부 분류군은 비교적 적은 개체수를 가지고 있으며 수백 마리에 불과한 것으로 여겨진다.[2]

가장 희귀한 종은 아마도 약 26~37쌍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는 바웨안 뱀독수리이며, 이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음을 의미한다.[17][18][19][20]

4. 서식지와 분포

관수리는 아열대 산간 지역에 있는 논, 습지 주변 숲에서 서식한다. 인도, 스리랑카, 중국 남동부, 타이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동부에 분포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88년에 경남 김해군에서 1개체가 채집된 기록이 있다.[71]

분포 지역은 다음과 같다.



검은머리수리는 21개의 아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야에야마 열도의 개체군(''S. c. perplexus'')은 일본 고유 아종이며, 분포의 북쪽에 해당한다.[39] 타이완 고유 아종(''S. c. hoya'')은 대형이며 '''왕관수리'''라고 불린다.[40]

5. 생태

관수리


관수리는 숲, 종종 습한 초원 근처에서 도마뱀을 잡아먹는 등 파충류를 주식으로 한다.[21] 이외에도 조류, 양서류, 포유류, 어류, 흰개미, 큰 지렁이 등도 먹이로 삼는다.[27][22] 주로 낮은 언덕과 평야의 울창한 초목 지역에서 발견되며, 텃새이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여름철에만 관찰된다.[3][23]

관수리의 울음소리는 "Kluee-wip-wip"와 같이 특징적이며, 첫 음절은 높고 상승하는 소리를 낸다. 횃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늦은 아침에 자주 울고 아침에는 열기류를 타고 하늘로 솟아오른다.[3] 타이완 남부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넓은 영역을 가지는데, 수컷은 평균 16.7km2, 암컷은 약 7km2의 영역을 가진다.[24] 경계 시에는 볏을 세우고 머리가 커 보이며 깃털로 둘러싸인 듯한 모습을 보인다.[5] 때로는 땅에서 뱀을 따라가기도 한다.[28] 빽빽한 잎이 무성한 나무에 둥지를 튼다.[25] 대만의 무선 원격 측정 연구에 따르면, 관수리는 하루의 98%를 횃대에서 보내며 주로 아침 시간에 먹이를 찾는, 앉아서 기다리는 방식의 사냥 전략을 사용한다.[26]

비행 시 넓은 흰색 띠가 특징적이다


관수리의 창자에서는 "Madelinema angelae"를 포함한 여러 종의 내생 기생충 선충류가 발견되었다.[32][33] 대만에서는 야생 조류의 얼굴에 사마귀를 유발하는 조류 두창 바이러스 감염이 관찰되기도 했다.[34] 또한, "Kurodaia cheelae"를 포함한 여러 종류의 외생 기생충인 새 이가 관수리에게서 발견되었다.[35] 페낭에서는 박새가 관수리 둥지 근처에 둥지를 트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관수리가 까마귀와 같은 포식자를 쫓아내어 박새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박새는 관수리 둥지를 방문하여 죽은 포유류 먹이 잔해에서 털을 수집하기도 한다.[36]

관수리는 습지, , 맹그로브 숲 등에서 서식하며, 양서류, 파충류, 갑각류, 곤충 등 동물성 먹이를 섭취한다. 특히 뱀을 선호하며, 'Crested Serpent Eagle'(관머리뱀수리)이라는 영문명도 이러한 식성에서 유래했다(단, 뱀잡이수리과는 별개의 과). 남서 제도에는 솔개가 서식하지 않아 관수리가 솔개와 비슷한 생태적 지위를 차지하며, 때로는 자동차에 치인 작은 동물의 사체를 먹기도 한다.[38] 나무 위나 전봇대에서 먹잇감을 기다리다가 발견하면 덮치는 방식으로 사냥하며, 일반적인 매 종류와 달리 공중에서 바로 발톱을 꽂기보다는 일단 먹이 근처에 내려서 지상에서 공격하는 경우가 많아 실패율도 높다.

수컷은 나무 위나 과시 비행을 할 때, "퓨퓨퓨 퓨이유 퓨이유", "포포 포요- 피이요", 또는 "피피 퓨이"와 같은 소리로 운다. "퓨이유" 소리만 내는 경우도 있다.

5. 1. 번식

관수리의 번식기는 늦겨울에 시작되며, 이때 구애 행동을 하고 영역을 설정한다. 알은 초여름에 낳는다. 인도에서는 오래된 둥지를 재단장하고 재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페낭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매년 새로운 둥지를 짓는 것으로 나타났다.[36] 인도에서는 대부분 강가 나무를 따라 둥지를 짓는다. 둥지는 나무 위에 높이 지어진 큰 플랫폼 형태이다. 한 쌍의 새가 모두 둥지를 짓지만, 알을 품는 것은 암컷의 몫이다. 암컷이 먹이를 구하러 가면 수컷이 둥지를 지킨다. 인도 중부에서는 "Terminalia tomentosa"가, 인도 남부에서는 "Terminalia bellirica"와 "Dalbergia latifolia"가 둥지 재료로 자주 사용되었다.[27] 페낭에서는 둥지 나무가 일반적으로 크고 다른 나무와 격리되어 있어 새들이 드나들 공간이 많았다. 둥지는 근처에서 수집한 녹색 잎으로 덮여 있으며, 둥지 바닥 쪽으로 내려져 있다.[28][36] 보통 한 개의 알을 낳지만, 때로는 두 개를 낳기도 하며 한 계절에 한 마리의 새끼만 성공적으로 키운다. 알을 잃으면 2~7주 후에 대체 알을 낳는다. 알은 약 41일 후에 부화하고, 새끼는 약 두 달 후에 둥지를 떠난다. 둥지는 부모에 의해 방어된다.[5][29][30][31]

3-4월에 나무 위에 나뭇가지를 조합한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1개의 알을 낳는다. 알을 품는 기간은 35일이며, 암수 모두 알을 품는다. 새끼는 부화 후 60여 일 만에 둥지를 떠나 독립하며, 다음 해 봄에 독립한다. 이전에는 야에야마 제도에서 번식이 확인되지 않아 타이완에서 둥지를 짓는다고 생각되었지만, 1981년 사진가 미야자키 마나부가 이리오모테섬에서 3개의 둥지를 발견하면서 야에야마 제도에서의 번식이 확인되었다.[37][42]

6. 인간과의 관계

제14순환(2002년 2월 - 2009년 3월) 시기에는 이시가키섬이 대규모로 개발되어 환경 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되고 있다. 또한, 인위적으로 유입된 외래종인 아시아두꺼비와 인도공작의 증가에 따른 영향도 마찬가지로 우려되고 있다. 게다가, 자동차 증가로 인해 교통사고도 다발하고 있다[43][44]

2022년 3월 9일, 환경성, 오키나와현이시가키시는 연초부터 이 날까지 "6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등 치료 및 수용 체제가 압박받는 사태가 지속되고" 있어, 처음으로 "관수리 교통사고 비상사태 선언"을 발령했다. 운전자에게 관수리 로드킬 지도를 공개하고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45]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의 이시가키 야이마무라와 오키나와시의 오키나와 어린이의 국에서는 보호되어 야생 복귀가 어렵다고 판단된 관수리가 일반 공개되고 있다[46]。 이시가키 야이마무라는 2022년 3월 29일부터 5월 말까지 재활 케이지 건설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을 실시했고[47] 2018년 12월 7일[48], 같은 해 5월 28일에는 관수리의 치료에 종사하는 수의사를 취재한 다큐멘터리 영상이 배포되었다[49]

2015년 10월, 유니매트 프레셔스가 이시가키섬의 마에세다케 북쪽에 골프장 딸린 리조트 시설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50] 이시가키시는 이 계획을 추진하고[51][52][53], 2021년 8월 30일에는 오키나와현도 이시가키시의 계획서에 동의했다.[54] 계획지에서는 4쌍의 관수리(칸무리와시)의 서식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시민 단체로부터 개발 중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55], 현지 자연 환경 보호 단체는 2022년 5월 25일에 오키나와현 지사에게 항의 성명을 보냄과 동시에[56], 6월 1일에는 사업 계획 승인 취소를 요구하며 행정불복심사법에 따른 심사를 청구했다.[57]

환경부에서는 1988년 이래로 수년에 한 번씩 특정 기간에 이시가키섬이리오모테섬에 서식하는 관수리의 수를 세는 "관수리 일제 카운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 2006년에는 이시가키섬에서 78마리, 이리오모테섬에서 58마리, 2012년에는 이시가키섬에서 110마리, 이리오모테섬에서 78마리가 확인되었지만, 확인 개체수는 날씨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환경부 나하 자연환경 사무소는 과거의 조사 결과와 비교해도 서식 개체수에 큰 변화는 없다고 추측하고 있다. 다만, 이시가키섬·이리오모테섬 모두 망라적인 서식 수 조사가 이루어진 적이 없어, 서식 수가 감소하고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정확한 실태는 불분명하므로 총수를 파악하기 위한 서식 수 조사를 바라는 목소리가 있다.

6.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1988년에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1개체가 채집된 기록이 있다.[71]

6. 2. 일본

제14순환(2002년 2월 - 2009년 3월) 시기에는 이시가키섬이 대규모로 개발되어 환경 변화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려되고 있다. 또한, 인위적으로 유입된 외래종인 아시아두꺼비와 인도공작의 증가에 따른 영향도 마찬가지로 우려되고 있다. 게다가, 자동차 증가로 인해 교통사고도 다발하고 있다[43][44]

2022년 3월 9일, 환경성, 오키나와현이시가키시는 연초부터 이 날까지 "6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등 치료 및 수용 체제가 압박받는 사태가 지속되고" 있어, 처음으로 "관수리 교통사고 비상사태 선언"을 발령했다. 운전자에게 관수리 로드킬 지도를 공개하고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45]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의 이시가키 야이마무라와 오키나와시의 오키나와 어린이의 국에서는 보호되어 야생 복귀가 어렵다고 판단된 관수리가 일반 공개되고 있다[46]。이시가키 야이마무라는 2022년 3월 29일부터 5월 말까지 재활 케이지 건설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을 실시했고[47], 2018년 12월 7일[48]。 또한, 같은 해 5월 28일에는 관수리의 치료에 종사하는 수의사를 취재한 다큐멘터리 영상이 배포되었다[49]

2015년 10월, 유니매트 프레셔스가 이시가키섬의 마에세다케 북쪽에 골프장 딸린 리조트 시설을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50] 이시가키시는 이 계획을 추진하고[51][52][53], 2021년 8월 30일에는 오키나와현도 이시가키시의 계획서에 동의했다.[54] 계획지에서는 4쌍의 관수리(칸무리와시)의 서식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시민 단체로부터 개발 중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55], 현지 자연 환경 보호 단체는 2022년 5월 25일에 오키나와현 지사에게 항의 성명을 보냄과 동시에[56], 6월 1일에는 사업 계획 승인 취소를 요구하며 행정불복심사법에 따른 심사를 청구했다.[57]

환경부에서는 1988년 이래로 수년에 한 번씩 특정 기간에 이시가키섬이리오모테섬에 서식하는 관수리의 수를 세는 "관수리 일제 카운트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 조사에서 2006년에는 이시가키섬에서 78마리, 이리오모테섬에서 58마리, 2012년에는 이시가키섬에서 110마리, 이리오모테섬에서 78마리가 확인되었지만, 확인 개체수는 날씨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환경부 나하 자연환경 사무소는 과거의 조사 결과와 비교해도 서식 개체수에 큰 변화는 없다고 추측하고 있다. 다만, 이시가키섬·이리오모테섬 모두 망라적인 서식 수 조사가 이루어진 적이 없어, 서식 수가 감소하고 있는지 여부를 포함하여 정확한 실태는 불분명하므로 총수를 파악하기 위한 서식 수 조사를 바라는 목소리가 있다.

7. 보전 상태


  • CITES 부속서 II에 속한다.
  • 환경성 레드 리스트에서 '''심각한 위급(CR)'''으로 분류된다.
  • 관수리
  • 특별 천연기념물이다.
  • 1993년 종의 보존법에 따라 국내 희소 야생 동식물종으로 지정되었다.

참조

[1] 간행물 Spilornis cheela 2021-08-07
[2] 서적 Raptors of the World. Christopher Helm, London.
[3] 서적 Birds of South Asia: The Ripley Guide Smithsonian Institution & Lynx Edicions
[4]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Birds. Volume 3 https://archive.org/[...] Taylor and Francis
[5] 서적 Handbook of the Birds of India and Pakistan Oxford University Press
[6] 문서 Crested Serpent-Eagle (Spilornis cheela) Cornell Lab of Ornithology, Ithaca, NY, USA
[7]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the Birds of India: And the Indian Subcontinent, Including Pakistan, Nepal, Bhutan, Bangladesh, Sri Lanka & the Maldiv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Raptors of the World Houghton Mifflin Harcourt
[9] 서적 CRC Handbook of Avian Body Masses CRC Press
[10] 논문 Philippine birds of prey: interrelations among habitat, morphology, and behavior
[11] 논문 A phylogenetic analysis of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based on cytochrome-c oxydase subunit I (COI): a stepping stone towards genetic conservation of raptors in Indonesia IOP Publishing
[12] 서적 Eagles, Hawks and Falcons of the World The Wellfleet Press
[13] 논문 A trait dataset for Taiwan's breeding birds
[14] 논문 Spacing pattern of the Crested Serpent-eagle (spilornis cheela hoya) in Southern Taiwan
[15] 서적 The Empire of the Eagle: An Illustrated Natural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16] 학술지 Phylogeny of eagles, Old World vultures, and other Accipitridae based on nuclear and mitochondrial DNA
[17] 학술지 The endemic Bawean Serpent-eagle Spilornis baweanus: habitat use, abundance and conservation
[18]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Volume 1 https://archive.org/[...]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19] 학술지 The birds of the Natuna Islands https://archive.org/[...]
[20] 학술지 Descriptions of new hawks https://archive.org/[...]
[21] 학술지 Habitat preference of Crested Serpent Eagles in Southern Japan http://sora.unm.edu/[...]
[22] 웹사이트 Crested Serpent-Eagle | the Peregrine Fund https://www.peregrin[...]
[23] 학술지 Attempt by the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to seize the Indian cobra Naja naja https://biodiversity[...]
[24] 학술지 Spacing Pattern of the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hoya) in Southern Taiwan http://tai2.ntu.edu.[...] 2013-02-05
[25] 학술지 Some notes on tame Serpent Eagles https://archive.org/[...]
[26] 학위논문 Diurnal activity pattern of Crested Serpent Eagles Spilornis cheela hoya in Kenting, southern Taiwan http://140.133.6.46/[...] Graduate Institute of Environment and Ecology
[27] 학술지 Breeding ecology of the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Latham, 1790) (Aves: Accipitriformes: Accipitridae) in Kolli Hills, Tamil Nadu, India
[28] 학술지 Observations on the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in Rajpipla forests – South Gujarat https://archive.org/[...]
[29] 학술지 The southern Indian harrier eagle https://archive.org/[...]
[30] 학술지 The Crested Serpent Eagle https://archive.org/[...]
[31] 서적 The nests and eggs of Indian birds. Volume 3 https://archive.org/[...] R.H. Porter
[32] 학술지 Nematode Parasites of Oceanica. XI. Madelinema angelae gen. et sp. n., and Inglisonema mawsonae sp. n. (Heterakoidea: Inglisonematidae) from birds
[33] 학술지 Parasitic helminths and arthropods of the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perplexus Swann, 1922 from the Yaeyama
[34] 학술지 Avian pox infection in a free-living crested serpent eagle (Spilornis cheela) in southern Taiwan
[35] 학술지 The Genus Kurodaia (Mallophaga: Menoponidae) from the Falconiformes, with Elevation of the Subgenus Falcomenopon to Generic Rank
[36] 논문 The serpent eagles ''Spilornis cheela'' of Penang Island, Malaya
[37] 논문 石垣島におけるカンムリワシの繁殖生態 https://www.wbsj.org[...]
[38] 뉴스 カンムリワシ http://www.bird-rese[...] 特定非営利活動法人 バードリサーチ 2012-02-24
[39] 웹사이트 カンムリワシ https://ikilog.biodi[...] 環境省 2022-06-07
[40] 뉴스 八重山諸島におけるカンムリワシの胃内容物 https://doi.org/10.1[...] 特定非営利活動法人バードリサーチ
[41] 논문 竹富島におけるカンムリワシの観察記録 https://doi.org/10.1[...] 2007
[42] 뉴스 【レビュー】 カメラマンのいない野生動物写真 「宮崎学 イマドキの野生動物」展 東京都写真美術館(東京・恵比寿)で開催中 https://artexhibitio[...] 読売新聞社 2021-08-27
[43] 뉴스 カンムリワシ:交通事故で犠牲、増加 https://web.archive.[...] 2012-05-11
[44] 뉴스 カンムリワシ受難 交通事故か、今年3羽死ぬ http://www.y-mainich[...] 2017-03-21
[45] 뉴스 過去最悪のペース、カンムリワシ交通事故多発 https://www.y-mainic[...] 2022-03-10
[46] 뉴스 カンムリワシ一般公開 環境省“飼育個体”は八重山初 http://www.y-mainich[...] 2008-05-10
[47] 뉴스 建設資金、ネットで募る カンムリワシリハビリケージ https://www.y-mainic[...] 2022-04-27
[48] 웹사이트 石垣島でカンムリワシの野生復帰のためのリハビリケージを建設したい https://camp-fire.jp[...] 2022-06-05
[49] 뉴스 「カンムリワシと僕の冬」 短編ドキュメンタリー配信 土城勝彦獣医師の奮闘追う http://kyodoshi.com/[...] 全国郷土紙連合 2022-05-30
[50] 뉴스 石垣のゴルフ場計画発表 ユニマット https://ryukyushimpo[...] 2015-10-20
[51] 뉴스 市長交代なら「実現せず」 ゴルフ場建設で野党牽制 市街地拡大に懸念の声も 石垣市議会一般質問 https://yaeyama-nipp[...] 2021-12-18
[52] 뉴스 ゴルフ場 主要争点に浮上 砥板氏 慎重、中山氏 推進 石垣市長選 https://yaeyama-nipp[...] 2022-01-25
[53] 뉴스 ゴルフ場に市有地23.5ヘクタール 一部貸し付け予定 https://www.y-mainic[...] 2022-05-24
[54] 뉴스 ゴルフ場開発に同意 県、石垣市の特例申請に https://www.okinawat[...] 2021-09-02
[55] 뉴스 ゴルフ場開発、容認できない 市民団体が県に反対要請 https://www.y-mainic[...] 2021-09-04
[56] 뉴스 前勢岳北側のゴルフ場開発に対し抗議声明を発表 https://yaimatime.co[...] 南山舎 2022-05-23
[57] 뉴스 石垣島のリゾート開発、沖縄県へ計画承認取り消し求める 市民団体のメンバー https://ryukyushimpo[...] 2021-06-05
[58] 웹사이트 カンムリワシ一斉カウント調査について http://www.city.ishi[...] 環境省 那覇自然環境事務所 2012-01-23
[59] 뉴스 カンムリワシ一斉調査 過去最多の110羽確認、生息個体数に変化なし http://www.y-mainich[...] 2012-01-23
[60] 웹사이트 カンムリワシ生息数(総数)調査の要望 http://www.offeco.co[...] 日本野鳥の会西表支部 2022-06-07
[61] 웹사이트 カンムリワシとは https://iwcc.jp/cres[...] 西表野生生物保護センター 2022-06-07
[62] 웹사이트 高校生が見つけた小惑星に「あやぱに」が命名される http://www.miz.nao.a[...] 石垣島天文台 2018-09-14
[63] 웹사이트 船舶紹介・旅客船/貨客船 https://www.yaeyama.[...] 八重山観光フェリー 2022-06-07
[64] 뉴스 「あやぱにモール」名称を譲渡、3月14日から「ユーグレナモール」に http://www.y-mainich[...] 2010-02-13
[65] 웹사이트 石垣あやぱにボウル https://yaeyama.or.j[...] 石垣市観光交流協会 2022-06-07
[66] 뉴스 県内初の「市星」制定へ 石垣市 http://www.y-mainich[...] 2018-12-07
[67] 웹사이트 具志堅用高 プロフィール https://www.sbrain.c[...] ステムブレーン 2022-06-07
[68] 문서 衆議院公害対策並びに環境保全特別委員会議事録 https://kokkai.ndl.g[...] 1978-05-18
[69] 뉴스 1977(昭和52)年9月 王貞治 https://www.kyodo.co[...] 2013-04-17
[70] 뉴스 華僑華人與奧林匹克:日本“棒球之神”王貞治 http://chinese.peopl[...] 2008-07-15
[71] 웹인용 관수리 https://100.daum.net[...] 2023-07-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