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공항은 1948년 군용 훈련기지로 개항하여 1949년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 1964년 현재 위치로 이전하며 확장되었고, 1990년부터 한국공항공사가 운영을 맡았다. 1994년 신 여객터미널 개관, 1995년 국제선 개설, 2007년 무안국제공항 개항 후 국제선 기능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다. 현재는 제주, 서울(김포) 노선을 운항하며, 시설 규모는 활주로 2본, 연간 293만 명의 여객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다. 군 공항 소음, 무안국제공항과의 통합 문제가 있으며, 1991년, 2013년, 2019년 항공기 사고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8년 개항한 공항 - 존 F. 케네디 국제공항
존 F. 케네디 국제공항은 1942년 뉴욕 퀸즈에 건설되어 1948년 개항한 국제공항으로, 1963년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세계 각지로 향하는 국제선과 일부 국내선 항공편을 운항하는 주요 허브 공항이다. - 1948년 개항한 공항 - 취리히 공항
취리히 공항은 스위스 취리히에 위치한 국제 허브 공항으로, 세 개의 터미널과 활주로를 갖추고 다양한 항공사들이 취항하여 전 세계 여러 도시와 연결되는 광범위한 노선망을 제공하며, 철도, 버스, 도로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해 접근이 용이하다. - 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 - 군산공항
군산공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하며, 1938년 일본군 비행장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민간 공항으로 운영되다가, 현재는 이스타항공과 진에어가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미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국제선 취항 문제, 소음 피해 등의 논란이 있는 공항이다. - 광주 광산구의 건축물 - 극락강역
극락강역은 1922년에 영업을 시작하여 1938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며, 호남선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지상역이다. - 광주 광산구의 건축물 - 광주송정역
광주송정역은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호남선과 호남고속선의 철도역으로, 다양한 열차 운행 및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연결, 그리고 5면 10선의 승강장을 갖춘 교통 허브이다.
광주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IATA 코드 | KWJ |
ICAO 코드 | RKJJ |
종류 | 공용/군용 |
소유주 |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
운영자 | 한국공항공사 대한민국 공군 |
개항일 | 1964년 11월 |
위치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촌동 |
웹사이트 | 광주공항 공식 웹사이트 |
활주로 | |
활주로 1 번호 | 04R/22L |
활주로 1 길이 | 2,835m |
활주로 1 표면 | 콘크리트 |
활주로 2 번호 | 04L/22R |
활주로 2 길이 | 2,835m |
활주로 2 표면 | 콘크리트 |
통계 (2019년) | |
승객 | 2,026,651명 |
항공기 운항 횟수 | 13,297회 |
화물 (톤) | 12,500톤 |
2. 역사
1948년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서 군용 훈련기지로 출범하여, 1949년 2월 10일 민간 항공기가 취항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 1964년 현재 위치인 광산구 신촌동으로 이전하였다. 1990년 한국공항공사가 운영을 인수하였고, 1992년 여객 증가에 따라 확장공사를 시작하여 1994년 10월 신 여객터미널을 개관하고 계류장과 주차장을 확장했다.
1998년 1월 경제위기로 국제선 정기 노선이 중단되었다가, 2001년 7월 상하이 노선이 운항을 재개했다. 2002년 3월 아시아나항공의 광주-부산 간 국내선 운항이 중단되었고, 2003년 12월 방콕, 마닐라, 하노이 노선에 부정기적으로 취항하였다.
2007년 11월 8일 무안국제공항이 신설되고,[6] 2008년 5월 27일 무안광주고속도로 완전 개통으로 국제선 기능이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다.[7] 2020년 6월 26일 티웨이항공이 양양 노선을 신규 취항하였다.
2. 1. 개항 및 이전 (1948년 ~ 1964년)
1948년 11월 16일, 전라남도 광주부(현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광주비행장이 군용 훈련기지로 개설되었다.[6] 1949년 2월 10일에는 민간 항공기(DC-3)가 처음으로 취항하면서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7]초기에는 광주가 아닌 인접한 장성군의 군사 훈련 시설 부지에 위치해 있었으나, 1964년 1월 10일 현재 위치인 광산구 신촌동으로 이전하면서 여객 터미널, 유도로, 에어프런 등을 확장하였다.
2. 2. 확장 및 운영 (1964년 ~ 2008년)
1990년 6월 한국공항공사가 광주공항 운영을 인수하였다.[6] 늘어나는 여객 수요에 맞춰 1992년 확장 공사를 시작, 1994년 10월에는 새로운 여객 터미널을 개관하고 계류장과 주차장을 확장했다.[6] 1995년 6월에는 국제선 정기편이 개설되었으나, 1998년 1월 경제 위기로 인해 국제선 정기 노선 운항이 중단되었다.[6]2001년 7월, 광주와 상하이를 잇는 국제선 운항이 재개되었고,[6] 2002년 3월에는 아시아나항공의 광주-부산 간 국내선 운항이 중단되었다.[6] 2003년 12월에는 방콕, 마닐라, 하노이 노선에 부정기적으로 취항했다.[6]
2. 3. 무안국제공항 개항 이후 (2007년 ~ 현재)
2007년 11월 8일 전라남도 무안군에 무안국제공항이 신설되었다.[6] 2008년 5월 27일 무안광주고속도로가 완전 개통되면서 국제선 기능이 무안국제공항으로 전부 이전되었고,[7] 2020년 6월 26일 티웨이항공이 양양 노선을 신규 취항하였다.3. 시설 규모
계류장은 에어버스 A300/보잉 767급 1기, 보잉 737급 항공기 4기 등 총 5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길이 2835m x 너비 45m의 활주로 2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활주로의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14만 회이다. 여객터미널은 연간 293만 명, 화물터미널은 연간 5.5만 톤을 처리할 수 있다.
3. 1. 계류장 및 활주로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보잉 767급 항공기 1기, 보잉 737급 항공기 4기 등 총 5대의 항공기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길이 2,835m × 너비 45m의 활주로 2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항공기 처리 능력은 14만 회이다.3. 2. 터미널
여객터미널은 연간 293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고, 화물터미널은 연간 5.5만 톤을 처리할 수 있다.[1]4. 운항 노선
5. 이용객 추이
2008년 5월까지는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기 이전이라 상하이, 타이베이, 선양, 베이징, 싱가포르 등 4개국 5개 도시를 운항하는 국제선 노선이 존재했으며, 국제선 부정기 노선으로 일본 오사카와 태국을 오가는 노선이 있었다.[9]
6. 교통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공항역이 약 300m 거리에 있어 도보로 접근 가능하다.
6. 1. 도시철도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공항역은 광주공항에서 약 300m 거리에 있어 도보로 접근 가능하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노선은 평동 - 송정리(KTX) - 공항 - 상무 - 농성 - 금남로4가 - 녹동이다.6. 2. 버스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
송정97 | 광주공항 | 광암동 | 광주송정역, 대산동, 칠성동 |
선운101 | 광주공항 | 호남대학교 광산캠퍼스 | 송정공원역, 광산경찰서 |
1000 | 광주공항 | 지산유원지 | 광주송정역, 김대중컨벤션센터, 광주광역시청, 유스퀘어(광주종합버스터미널), 금남로, 조선대학교, 광주지방법원 |
1160(나주) | 광주공항 | 영산포터미널 | 나주시 |
6. 3. 주차
고객은 주차장으로 들어가는 길에 인쇄기에서 주차권을 뽑아야 한다. 주차권을 뽑지 않으면, 고객은 전액을 지불해야 한다.[3]7. 논란
광주공항은 군 공항과 함께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문제와 무안국제공항과의 통합 문제 등 여러 논란에 휩싸여 있다.[10][15]
7. 1. 군 공항 소음 문제
광주공항은 군 공항과 함께 사용하고 있어 소음 문제가 심각하다. 특히 1995년 상무지구가 들어서고 송정읍이 커지면서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소송을 제기했다.[10] 그러나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고, 최근에는 소음 기준을 완화하면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11]최근 조사에 따르면 광주공항 주변은 전국에서 가장 소음이 심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군 비행장과 민간 공항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군용 항공기 운항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이다.[12]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광주 군 공항 이전을 위한 대책위원회가 발족되었다.[13]
한편, 광주 군 공항 미군 기지 주변 마을의 오염 문제와 관련하여 광산구가 먼저 실태 조사에 나서겠다고 밝혔다.[14]
7. 2. 무안국제공항 통합 문제
무안국제공항 개항 전 광주공항은 이용객이 200만 명이 넘었고, 김포국제공항, 제주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과 함께 흑자 공항이었다. 그러나 국제선이 모두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면서 이용객 수가 감소하였다.[15]국토부는 광주공항과 무안국제공항을 모두 운영하는 것은 국가적 낭비라고 지적하였다. 이에 대해 강운태 전 광주광역시장은 광주공항이 적자 공항이 된 이유는 광주공항의 국제선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했기 때문이라며, 무안공항보다 적자가 적은 광주공항 폐쇄에 반대한다고 주장하였다.[16]
전라남도와 무안군은 광주공항 국내선을 이전해야 무안국제공항이 활성화된다고 주장한다.[17] 그러나 무안군은 군 공항 통합 이전을 반대하고, 전라남도는 미온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2018년에 전라남도지사와 광주시장은 2021년까지 광주공항을 폐쇄하고 공항 기능을 모두 무안국제공항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하였으나,[18] 국토교통부가 군 공항 이전과 연계하여 추진하기로 공항 개발 종합 계획을 확정하면서 이전이 미뤄졌다.[19]
8. 사건 및 사고
광주공항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건 및 사고가 있었다.
- 1991년 12월 13일: F-5A기가 광주 상공에서 훈련 비행 중 공중 추돌하여 조종사 1명이 순직하고, 1명은 탈출하였다.
- 2011년 4월 27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활주로 이동 중 바퀴 일부가 잔디에 빠져 승객들이 항의하는 소동이 있었다.[20]
- 2013년 8월 29일: 대한민국 1전투비행단 소속 T-50 훈련기가 훈련 중 추락해 조종사 2명이 순직하였다.[21]
- 2019년 4월 9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앞바퀴가 파열되어 다른 항공편들이 결항되는 등 승객들이 불편을 겪었다.
8. 1. 항공기 사고
- 1991년 12월 13일, F-5A기가 광주 상공에서 훈련 비행 중 공중 추돌 사고로 서구 유덕동 덕흥마을 옆에 추락하였다. 이 사고로 조종사 1명이 순직하였으며, 다른 조종사 1명은 탈출하였다.
- 2013년 8월 29일, 대한민국 1전투비행단 소속 T-50 훈련기 1대가 광주공항 부근에서 훈련 중 추락해 조종사 2명이 순직하였다. 전투기는 활주로를 벗어난 지 8분 만에 공항 인근 극락강변 옆 논으로 추락하였다.[21]
8. 2. 기타 사고
참조
[1]
웹사이트
공항별 통계 : 항공통계 : 알림·홍보 : Kac 한국공항공사
https://www.airport.[...]
2019-01-20
[2]
웹사이트
Air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2021-12-15
[3]
웹사이트
Gwangju Airport parking
http://gwangju.airpo[...]
[4]
문서
RKJJ
[5]
웹사이트
KAC
https://www.airport.[...]
2022-02-20
[6]
뉴스
광주공항 국제노선 한시 허용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07-11-02
[7]
뉴스인용
광주공항 국제선 무안공항으로 이전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8-05-15
[8]
웹사이트
공항별 통계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17-01-29
[9]
문서
1998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국제선 노선 운항 중단
[10]
뉴스
광주 군비행장 이전, 시민이 나섰다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3-17
[11]
뉴스
광주 주민 고통 나 몰라라…소음 기준 오히려 완화
http://mbn.mk.co.kr/[...]
mbn
2011-03-31
[12]
뉴스
광주공항 주변, 전국에서 가장 시끄럽다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06-10
[13]
뉴스
'소음 최고' 광주 전투비행장 이전 대책위 발족
http://www.ytn.co.kr[...]
ytn
2011-06-28
[14]
뉴스
광산구청장 "광주 미군기지 주변 마을 오염실태 조사"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29
[15]
뉴스
광주ㆍ무안공항 통합 난항, 왜?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9-12-17
[16]
뉴스
광주공항 적자폭, 무안보다 적어… 폐쇄 안될 말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0-11-23
[17]
뉴스
무안군민들 "광주공항 국내선 조속히 이전해야"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3-18
[18]
뉴스
광주공항, 2021년까지 무안국제공항으로 통합
https://news.naver.c[...]
뉴스1
2018-08-20
[19]
뉴스
국토부 "광주·무안공항 통합, 군공항 이전 연계"
https://news.kbs.co.[...]
KBS
2021-09-24
[20]
뉴스
광주공항 아시아나 여객기 활주로 이탈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4-28
[21]
뉴스
'훈련기 추락' 이번에도 민간인 피해 '아찔'
https://news.v.daum.[...]
뉴시스
2013-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