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군산공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군산공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공항으로, 1938년 일본군 비행장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1970년 민간 공항으로 운영을 시작했으나, 여러 차례 폐쇄와 재개를 거쳐 현재는 이스타항공과 진에어가 제주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군산공항은 미 공군과 대한민국 공군이 공동으로 사용하며, 제7공군 예하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국제선 취항 문제와 군용 기지 사용에 따른 소음 피해, 높은 착륙료 등의 논란이 있으며, 대체 공항 건설 논의가 있었으나 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공군의 기지 - 청주국제공항
    청주국제공항은 1978년 군사 비행장으로 개항하여 1997년 민간 국제공항으로 전환된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공항으로, 무비자 환승 공항 지정 후 이용객이 급증하였으나, 군사 공항으로 사진 촬영 제한 및 시설 확장, 명칭 변경 논란이 있다.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김해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은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 이후 2023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이용객을 기록하며 동남권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시설 부족, 안전 및 소음 문제로 인해 김해신공항 건설이 백지화되고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 공군의 기지 - 사천공항
    사천공항은 경상남도 사천시에 위치한 국내선 공항으로, 한국 전쟁 당시 공군 기지로 사용되다가 대한항공 취항으로 민간 항공 운항을 시작했으며, 현재 대한항공과 진에어가 제주 및 김포 노선을 운항하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본사가 위치한 공군 관련 기관과 연계된 공항이다.
  • 군산시의 건축물 - 군산역
    군산역은 전라북도 군산시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2008년 신군산역에서 개칭되었으며,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ITX-새마을, 무궁화호, 서해금빛열차가 정차하고 화물 취급도 가능하다.
  • 군산시의 건축물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군산공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항 이름군산공항
로마자 표기Gunsan Gonghang
한자 표기群山空港
영어 이름Gunsan Airport
IATA 코드KUV
ICAO 코드RKJK
공항 종류공공/군사
소유 기관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운영 기관한국공항공사
대한민국 공군
미국 공군
개항일1970년 8월
취항 도시군산시
위치전라북도 군산시
해발 고도9m
웹사이트군산공항 영문 웹사이트
활주로 정보
활주로 방향18/36
활주로 길이2,743m
활주로 표면콘크리트
통계 (2019년)
항공기 운항 횟수1,955회
여객 수306,518명
화물 톤수1,614톤
통계 (2022년)
이용 여객409,738명
운항 횟수2,681회
처리 화물0.7톤
기타 정보
운영 시간06:00 ~ 22:00 (민항)
주둔 부대제8전투비행단 (미국)
대한민국 38전투비행전대
활주로 폭46m
계기 착륙 시설YES
군산 공군기지 위를 비행하는 F-16 전투기
군산 공군기지 위를 비행하는 F-16

2. 연혁

군산기지 정문(1995년)


군산공항은 1938년 일본군이 설치한 비행장을 기반으로 1945년 광복 이후 미군이 주둔하여 소규모 연락 기지로 사용하였다. 민간 공항과 군용 기지로서의 역사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2. 1. 민간 공항 역사


  • 1970년 8월, 대한항공이 군산~서울 노선을 개설하여 운항을 시작하였다.[9]
  • 1974년 3월, 1차 오일쇼크로 인한 오일 절감 조치로 공항이 폐쇄되었다.[9]
  • 1991년 12월, 군산공항 민항 시설 공사가 착공되었다.[9]
  • 1992년 12월 14일, 군산공항이 재개항하고 대한항공이 취항하였다.[9]
  • 1996년 6월, 아시아나항공이 군산~제주 노선에 취항하였다.[9]
  • 2001년 10월 10일, 아시아나항공이 군산~제주 노선 운항을 중단하였다.[9]
  • 2002년 5월 15일, 대한항공이 군산~서울(김포) 노선 운항을 중단하였다.[9]
  • 2008년 5월, 대한항공이 군산~제주 노선을 매일 1회 운항하였다.[9]
  • 2009년 1월 6일, 이스타항공이 군산~제주 노선에 취항하였다.[9]
  • 2020년 3월, 코로나19로 인하여 전 노선 운항이 중단되었다.[9]
  • 2020년 10월, 대한항공이스타항공이 철수하고 제주항공, 진에어가 제주 노선에 신규 취항하였다.[9]
  • 2023년 4월~8월, 미공군 활주로 공사로 공항 운항이 중단되었다.[9]

2. 2. 군용 기지 역사

1938년 일본군이 설치한 비행장을 기반으로 1945년 광복 이후 미군이 주둔하여 소규모 연락 기지로 사용하였다.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후, 북한군의 신속한 진격으로 같은 해 7월 13일에 점령되었다. 그 후 10월에 미군 제24사단이 기지를 탈환하였다. 1951년부터 기지 정비 및 확장이 시작되어 제27비행장군과 제808항공설비대대에 의해 1520m의 활주로가 정비되었다. 8월에는 B-26을 장비한 제3폭격항공단의 배치가 시작되었다. 그 후에도 해병대 항공단과 F-84를 장비한 전투폭격항공대 등이 배치되었다.

한국 전쟁 종전 후에는 부대 철수가 이어졌고, 1958년에 활주로가 2740m로 연장되었지만, 1960년대에는 대한민국 공군의 F-86 부대만 배치되어 있었다. 푸에르토블호 사건 당시에는 일시적으로 F-100이 배치되었다. 이후 기지는 다시 활성화되어 단속적이기는 하지만 부대의 순환 배치가 이루어졌다. 1974년 태국 기지에서 제8전투항공단이 이주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9]

3. 시설

이 공항은 평균 해수면으로부터 약 8.84m 상공의 고도에 위치해 있다. 활주로는 18/36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9000x 크기의 콘크리트 포장면을 갖추고 있다.[1]

4. 운항 노선

군산공항은 대한민국 남서부에 위치하며, 서울특별시에서 약 240km 떨어져 있다. 민간 공항으로도 사용되며, 대한항공제주 노선을 운항했었고, 서울, 부산 노선도 운항했었다.

4. 1. 국내선

항공사목적지
이스타항공제주[10][4] (2023년 10월 1일부터 운항)
진에어제주[5]


5. 이용객 추이

2001년서해안고속도로 개통으로 군산-서울(김포) 노선 이용률이 급감하면서 2002년 5월 해당 노선이 단항되었고, 2008년에는 연간 이용객 수가 9만 9천여 명까지 줄었다.[12] 2009년부터 이스타항공이 취항하여[12] 이용객 수가 15~17만 명 대를 유지하다가, 2015년에 20만 명 대를 회복하였고, 2019년에 30만 명을, 2022년에 40만 명을 각각 넘어섰다.

5. 1. 통계

연도[11]운항 (편수)여객 (명)
1997년4,926456,926
1998년4,148287,950
1999년3,547258,005
2000년3,563270,789
2001년3,151244,573
2002년1,728152,254
2003년1,388150,635
2004년1,366132,446
2005년1,366163,779
2006년1,194155,207
2007년1,109133,242
2008년78299,669
2009년1,324156,402
2010년1,387174,638
2011년1,398172,327
2012년1,350161,009
2013년1,444175,492
2014년1,205154,189
2015년1,432205,438
2016년1,427232,132
2017년1,420225,797
2018년1,798291,941
2019년1,955306,518
2020년1,012109,800
2021년2,404280,197
2022년2,681409,738



연도항공기 운항편 수여객 수화물 운송량 (톤)
2001년3,151244,5732,588
2002년1,728152,2542,259
2003년1,388150,6352,138
2004년1,366132,4461,724
2005년1,366163,7791,648
2006년1,194155,2071,944
2007년1,109133,2421,571
2008년78299,6691,456
2009년1,324156,4021,543
2010년1,387174,6381,610
2011년1,398172,3271,633
2012년1,350161,0091,485
2013년1,444175,4921,451
2014년1,205154,1891,046
2015년1,432205,4381,301
2016년1,427232,1321,320
2017년1,420225,7971,267
2018년1,798291,9411,636
2019년1,955306,5181,674
2020년1,012109,800551
2021년2,404280,1971,430
2022년2,681409,7382,101
2023년1,124172,939880
출처: 한국공항공사 교통 통계[6]



2001년 말 서해안고속도로 개통으로 군산 - 서울(김포) 노선의 이용률이 급감하면서 2002년 5월에 해당 노선이 단항되었고, 2008년에는 연간 이용객 수가 9만 9천여 명까지 줄었다.[12] 2009년부터 이스타항공이 취항하여 이용객 수가 15~17만 명 대를 유지하다가, 2015년에 20만 명 대를 회복하였고, 2019년에 30만 명을, 2022년에 40만 명을 각각 넘어섰다.

6. 주둔 부대


  • - 제7공군 (7th AF)
  • * 제8전투항공단 (8th Fighter Wing)
  • ** 제8작전대 (8th Operations Group) (Tail Code: WP)

제35전투비행대 (35th Fighter Squadron, 35 FS) (F-16C/D, 청색 테일 스트라이프)
제80전투비행대 (80th Fighter Squadron, 80 FS) (F-16C/D, 금색 테일 스트라이프)

  • ** 제8정비대 (8th Maintenance Group)
  • ** 제8임무지원대 (8th Mission Support Group)
  • ** 제8의무대 (8th Medical Group)

7. 논란

군산공항은 국제선 취항 문제와 군용 문제 등 여러 논란에 휩싸여 있다. 전북특별자치도2010년대 초 국제선 취항을 추진했으나, 전라남도광주광역시의 반발, 주한 미군의 소극적인 태도로 무산되었다.[15][16][17] 또한, 미국 공군대한민국 공군이 공항을 공동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소음 문제와 미군 측의 지속적인 착륙료 인상 요구는 지역 주민과 시민 단체의 비판을 받고 있다.[18][19][17]

7. 1. 국제선 취항 문제

전북특별자치도2010년대새만금지구[13]를 둘러본 해외투자기업들이 인근에 국제공항이 없어서 새만금지구에 대한 투자에 난색을 표한다는 이유로 군산공항의 국제선을 추진하였다. 당시 국제선 노선을 신설해 부정기 노선부터 운행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14] 그러나, 무안국제공항의 수요가 감소하고 발전을 저해한다는 이유로 전라남도광주광역시가 반발하고 주한 미군이 미온적 태도로 일관해 국제선 취항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15][16][17]

7. 2. 군용 문제

군산공항은 미국 공군대한민국 공군이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어, 이로 인한 주민들의 피해가 상당히 많다. 군산공항 국제선 취항이 논의될 당시, 공항 인근 지역 주민들은 전투기 소음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음에도, 이에 관한 개선책 없이 소음 피해가 가중되는 국제선 취항을 논의하는 것에 대해 주민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비판하였다.[18]

군산공항은 평택시오산 공군기지와 더불어 미국 공군이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미군 측은 다른 나라의 미군 비행장 사용료 등을 예로 들며 지속적으로 공항 사용료 인상을 요구했고, 2012년 한·미 양국은 군산공항 국내선 민항기 착륙료를 보잉 737 기준 302.36USD로 24.1% 인상했다.[17][19] 이는 원화로 약 34만으로, 보잉 737 국내선 기준 13.4만의 착륙료를 받는 김포, 제주, 김해 등의 2.5배에 달하고, 그 밖의 국내공항에서 받는 착륙료 11만의 3배가 넘는다.[17][20] 이에 대해 지역 시민 단체들은 미국 공군이 기지 주변 환경 문제, 소음 피해 문제 등은 소홀히 한 채 착륙료 인상만 요구하며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19]

8. 신공항 논의

1998년부터 2005년까지 주한미군 공군 기지의 활주로를 빌려쓰는 문제 때문에 군산공항을 대체할 김제공항이 추진되어 부지 매입까지 이루어졌으나, 전라북도 내 시민단체들과 지역 주민들은 '지역민의 의사를 묻지 않고 정치권의 이해에 따라 추진된 혈세 낭비 공항'이라며 공항 건설 반대 운동을 벌였고, 결국 2008년 7월에 해당 건설 계획이 취소되었다.[21][22]

정부는 대신 군산공항의 기존 활주로에서 서쪽으로 1310m 떨어진 곳에 기존 활주로와 독립된 길이 2500m의 활주로를 건설하는 방식으로 민간공항(이른바 '새만금 국제공항')을 짓기로 하였다.[21][22]

참조

[1] 웹사이트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https://www.airport.[...]
[2] 웹사이트 Air Traffic by Airport http://kac.airport.c[...] 2007-09-29
[3] 웹사이트 군산공항 http://www.doopedia.[...] 2018-04-29
[4] 뉴스 이스타항공, 내달 군산∼제주 노선 신규 취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3-09-06
[5] 뉴스 진에어·제주항공, 제주 노선 신규 취항…매일 2회 운항 https://www.yna.co.k[...] Yonhap News Agency 2020-09-29
[6] 웹사이트 Air Traffic Statistics https://www.airport.[...] 2023-07-23
[7] DAFIF Airport information for RKJK http://www.worldaero[...] 2006-10
[8] GCM KUV
[9] 뉴스 활주로 공사... 군산공항 5개월간 '폐쇄' https://jtv.co.kr/20[...] JTV 2023-03-28
[10] 뉴스인용 이스타항공, 10월 1일부터 군산~제주 노선 재취항 https://www.jjan.kr/[...] 전북일보 2023-09-06
[11] 웹사이트 공항별 통계 https://www.airport.[...] 한국공항공사 2020-01-22
[12] 뉴스인용 군산공항 이용 탑승객 1년 만에 53% 증가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0-01-27
[13] 뉴스 김완주 지사 군산공항 국제선취항 새만금투자유치 필수조건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3-28
[14] 뉴스 군산공항 이르면 올해 국제선 취항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1-04-21
[15] 뉴스 군산공항 국제선 취항 놓고 '하늘길 갈등'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1-03-28
[16] 뉴스 군산시의회, 무안군의회 군산공항 국제선 철회 주장에 '발끈'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5-09
[17] 뉴스 한미, 군산공항 이착륙료 24.1% 인상 합의…국제선 취항은 제자리걸음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2-01-26
[18] 뉴스 군산공항 국제선 취항 '소음피해 주민 대책은 없다'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1-03-29
[19] 뉴스 군산공항 착륙료 24% 인상 논란 http://www.nocutnews[...] CBS 노컷뉴스 2011-07-21
[20] 웹사이트 공항시설사용료 http://www.airport.c[...] 한국공항공사 2016-02-21
[21] 뉴스 전북 하늘길 세계로 열린다 http://www.sjbnews.c[...] 새전북신문 2019-08-29
[22] 뉴스 '군산공항' 확장건설 미공군 협의 완료 https://www.ajunews.[...] 아주경제 2015-10-23
[23]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