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통은 무역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육상, 해상, 항공을 포괄하는 수송 활동을 의미한다. 도로 교통 규칙은 운전자의 준수 사항을 규정하며, 교통의 종류는 육상, 해상, 항공으로 나뉜다.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이 활용된다. 항공 교통에서는 기동성이 낮은 항공기가 우선권을 가지며, 착륙 중인 항공기가 지상에서 운행하는 항공기보다 우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로 교통 관리 - 교통 체증
교통 체증은 도로 용량 초과로 차량이 저속 또는 정지하는 현상으로, 시간 낭비, 환경 오염, 스트레스, 사고 증가 등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며, 도로 확장, 신호 최적화, 대중교통 활성화 등의 해결책이 모색되고 있다. - 도로 교통 관리 - 속도 제한
속도 제한은 교통 안전을 위해 자동차 등장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해 왔고, 효과 및 정당성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다. - 도로 교통 - 도로교통법
도로교통법은 도로교통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각국에서 제정된 법률로, 운전자의 준수 사항, 차량 안전 기준, 교통사고 처리 절차 등을 규정하며, 국제적 조화를 위한 노력과 함께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및 교통약자 보호 조항이 강화되는 추세이지만, 과도한 벌금 등 개선 과제도 남아있다. - 도로 교통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교통량 |
---|
2. 교통의 의미
"교통"이라는 단어는 원래 "무역"을 의미했으며 (지금도 그렇듯이) 고대 이탈리아어 동사 ''trafficare''와 명사 ''traffico''에서 유래되었다. 이탈리아어 단어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제안된 내용으로는 카탈루냐어 ''trafegar'' "따르다",[2] 추정되는 속 라틴어 동사 ''transfricare'' '문지르다',[3] 추정되는 속 라틴어의 ''trans-'' 와 ''facere'' '만들거나 하다'의 조합,[3][4] 아랍어 ''tafriq'' '분배',[3] 그리고 '이익을 추구하다'라는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아랍어 ''taraffaqa''가 있다.[4] 일반적으로 이 용어는 네트워크 트래픽, 항공 교통, 해상 교통 및 철도 교통을 포함한 많은 종류의 교통을 포괄하지만, 도로 교통만을 의미하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교통은 크게 육상, 해상, 항공 운송으로 나눌 수 있다.
교통 수송은 상품 거래의 전제 조건이다. 교통 수송의 개선에 따라 인류의 물질 생산은 자급자족에서 분업 교역으로 점차 이행했다. 제품의 분업 교역은 현대 산업 사회의 기초 중 하나이다.
3. 교통의 종류
3. 1. 육상 교통
육상 교통은 육상 교통수단을 이용한 수송을 의미하며, 기차, 열차 등이 이에 해당한다.[1] 육상 교통은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대부분 지역에서 단거리 수송을 주로 담당한다.[1]
3. 2. 해상 운송
해상 운송은 보트, 쌍동선 등 선박을 이용하는 운송 방식이다. 항공 화물보다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해상 화물은 일반적으로 다른 국가로 화물을 운송하는 데 사용된다.
3. 3. 항공 운송
항공 수송은 항공기, 헬리콥터, 제트 여객기 등을 이용한 공중 운송 수단이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대륙 간 항공 운송에 사용된다.
4. 도로 교통 규칙
'''도로 교통 규칙'''과 운전 에티켓은 도로 이용자가 따라야 하는 일반적인 관행과 절차를 말한다. 이러한 규칙은 차량과 보행자 간의 상호 작용을 규제하며,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흐름을 보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다른 차량 및 보행자와의 충돌을 피해야 한다.[5][6]
기본 규칙 외에도, 교통 표지판과 신호등을 준수해야 하며, 경찰관의 지시를 따를 수 있다. 경찰관은 혼잡한 교차로에서 신호등 대신 지시를 내리거나, 건설 구역, 사고 또는 기타 도로 혼란 주변에서 도로 교통 통제를 할 수 있다.
4. 1. 교통 규칙의 강화 (대한민국 사례)
대한민국은 도시 내 교통 혼잡 완화를 위해 교통 규칙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교통 흐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일방통행, 좌회전 금지, 노상 주차 금지 등이 시행되고 있다.[1] 대형차 통행 금지와 같은 교통량 자체를 억제하는 조치도 취해지고 있다.[1] 마비 상태가 심하면 승용차 수 자체를 억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전면 금지 또는 주차료 인상 등의 경제적 부담을 부과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1] 현재 서울의 경우, 도심 지역에 한해 주간 트럭 운행을 제한하고 있으나, 이는 야간 화물 발착을 유발하여 도시 활동에 불편을 초래하기도 한다.[1]4. 2. 국제 협약
기본적인 교통 규칙은 국제 연합의 권한 아래 1968년 ''도로 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이라는 국제 조약에 의해 정의된다.[5][6] 모든 국가가 이 협약에 서명한 것은 아니며, 서명국 사이에서도 현지 관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현지 운전자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불문율의 현지 도로 규칙도 있다.4. 3. 방향성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교통은 서로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분리되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지침은 도로의 좌측 또는 우측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이다. 대한민국은 우측 통행을 시행하고 있다.4. 4. 교통 법규
도로 교통 규칙과 운전 에티켓은 도로 이용자가 따라야 하는 일반적인 관행과 절차를 말한다. 이러한 규칙은 일반적으로 모든 도로 이용자에게 적용되지만, 특히 자동차 운전자와 자전거 운전자에게 중요하다. 이 규칙은 차량과 보행자 간의 상호 작용을 규제한다. 기본적인 교통 규칙은 국제 연합의 권한 아래 1968년 ''도로 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이라는 국제 조약에 의해 정의된다. 모든 국가가 이 협약에 서명한 것은 아니며, 서명국 사이에서도 현지 관행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현지 운전자들이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불문율의 현지 도로 규칙도 있다.[5][6]일반적으로 운전자는 해당 도로 규칙이 그들이 있는 곳에 있는 것을 허용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다른 차량 및 보행자와의 충돌을 피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규칙 외에도, 교통 표지판과 신호등을 준수해야 하며, 경찰관이 정기적으로 (신호등 대신 혼잡한 교차로에서) 또는 건설 구역, 사고 또는 기타 도로 혼란 주변의 도로 교통 통제로 지시를 내릴 수 있다.
5. 조직화된 교통
조직화된 교통은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여기에는 통행 우선권, 회전, 교차로, 횡단보도, 건널목, 속도 제한, 추월, 차선, 일방통행 도로, 고속도로 등 다양한 요소가 포함된다.
- 통행 우선권: 누가 먼저 갈 권리가 있는지 정하는 원칙이다. 표지판, 신호, 노면 표시 등으로 명확하게 하거나, 위치에 따른 규칙을 적용한다.[1] 도로 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비엔나 협약은 국제적인 통일성을 추구한다.[1]
- 교차로: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으로, 통행 우선권 규칙이 중요하다. 직각 교차로(사거리)에서는 신호등이나 표지판으로 통행을 제어하며, 정지 신호가 있는 경우(사방 정지) 보행자 우선, 먼저 정지한 차량 우선, 동시 정지 시 우측 차량 우선 등의 규칙이 적용된다.[10] 유럽 등지에서는 오른쪽 접근 차량 우선, 좌회전 차량은 반대편 접근 차량에 양보 등의 규칙이 있다.
- 건널목: 철도와 도로가 같은 높이에서 교차하는 지점이다. 차단기, 경보, 표지판 등으로 안전을 확보한다.
- 속도 제한: 안전을 위해 허용되는 최고 속도를 제한한다. 레이더나 자동 감지 장치 등으로 시행된다. 독일의 ''녹색 신호''는 동기화된 녹색 신호를 위한 최적 속도를 나타내어 과속과 교통 흐름 방해를 막는다.
- 차선: 평행한 교통 통로로, 노면 표시로 경계와 방향을 표시한다. 분리된 고속도로에서는 도로 중앙에 가장 빠른 차선, 가장자리에 가장 느린 차선이 있다. 도로 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은 추월 및 차선 지정에 대한 통일된 규칙을 규정한다.
- 일방통행 도로: 모든 차량이 한 방향으로만 통행하는 도로이다.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교차로를 단순화한다.
5. 1. 통행 우선권
차량은 의도된 주행 경로가 교차하여 서로의 경로를 방해하기 때문에 다른 차량 및 보행자와 충돌하는 경우가 많다. 누가 먼저 갈 권리가 있는지 정하는 일반적인 원칙을 "통행 우선권", 또는 "우선 순위"라고 한다. 이는 도로의 충돌 부분 사용 권한이 누구에게 있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이 사용하기 전까지 누가 기다려야 하는지를 정한다.[1]표지판, 신호, 노면 표시 및 기타 특징은 우선 순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자주 사용된다. 정지 표지판과 같은 일부 표지판은 거의 보편적이다. 표지판이나 노면 표시가 없는 경우, 위치에 따라 다른 규칙이 적용된다. 이러한 기본 우선 순위 규칙은 국가마다 다르며, 심지어 국가 내에서도 다를 수 있다. 국제적으로는 필요한 경우 통행 우선권을 설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교통 통제 장치(표지판, 신호 및 노면 표시)를 규정하는 도로 표지 및 신호에 관한 비엔나 협약을 통해 통일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1]
횡단보도는 인구 밀집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보행자가 차량 통행보다 우선순위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대부분의 현대 도시에서는 신호등을 사용하여 혼잡한 도로에서 통행 우선권을 설정한다. 신호등의 주요 목적은 각 도로에 교통이 조직적으로 교차로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을 할당하는 것이다. 각 도로에 할당된 시간 간격은 교통량의 차이, 보행자의 필요 또는 기타 교통 신호와 같은 요인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횡단보도는 다른 교통 통제 장치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횡단보도가 어떤 방식으로든 규제되지 않으면, 차량은 사용 중일 때 횡단보도에 우선권을 부여해야 한다. 공공 도로의 교통은 일반적으로 사유지에서 나오는 교통과 같은 다른 교통보다 우선 순위를 갖는다. 철도 건널목과 도개교는 전형적인 예외이다.[1]
5. 1. 1. 통제되지 않는 교통
통제되지 않은 교통 상황은 차선 표시와 교통 신호가 없는 경우에 발생한다. 차선이 표시되지 않은 도로에서는 운전자들이 도로가 충분히 넓으면 적절한 차선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다. 운전자들은 다른 차량을 자주 추월하며, 방해물이 흔하게 발생한다.5. 2. 회전
운전자들은 다른 도로 또는 사유지로 진입하기 위해 회전을 시도한다. 차량의 깜빡이는 방향 지시등(일반적으로 "깜빡이" 또는 "지시등"이라고 함)은 회전 의사를 알리는 데 사용되어 다른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수단으로 사용된다.[7] 방향 지시등의 실제 사용법은 국가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그 목적은 운전자가 현재 교통 흐름에서 벗어나기 전에 (일반적으로 지침으로 3초) 이탈하려는 의도를 나타내는 것이다.일반적으로 회전하는 차량은 멈춰서 회전할 틈을 기다려야 하는데, 이는 회전하려는 운전자가 아닌 뒤따르는 운전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그래서 회전을 위한 전용 차선과 보호된 신호등이 가끔 제공된다. 보호된 차선이 효과가 없거나 건설될 수 없는 혼잡한 교차로에서는 회전이 완전히 금지될 수 있으며, 운전자는 회전을 완료하기 위해 "블록을 돌아" 운전해야 한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이러한 관행이 흔하기 때문에 세 번의 우회전을 하는 것을 구어체로 "샌프란시스코 좌회전"이라고 한다. 타이베이시의 많은 교차로도 직접 좌회전을 허용하기에는 너무 혼잡하여, 표지판은 종종 운전자에게 블록을 돌아 회전하도록 지시한다.
회전 규칙은 보편적이지 않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좌측 통행 국가)에서는 1977년에서 2012년 사이에 좌회전 차량이 동일한 도로를 이용하려는 반대 방향의 우회전 차량에게 양보해야 했다(복수 차선이 있는 경우는 제외).[7] 뉴질랜드는 2012년 3월 25일에 이 규칙을 폐지했지만, 로터리나 양보 또는 정지 표지판으로 표시된 경우는 예외였다.[7]
다차선 도로에서는 회전하는 차량이 회전하려는 방향에 가장 가까운 차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우회전 차량은 교차로 전에 가장 오른쪽 차선으로, 좌회전 차량은 가장 왼쪽 차선으로 이동한다.
5. 2. 1. 교차로

교차로는 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으로, 통행 우선권 규칙이 중요하다.
; 직각 교차로
"사거리" 교차로라고도 하며, 가장 일반적인 교차로 유형이다.
신호등이 없는 경우, 표지판 등으로 통행을 제어하고 우선 순위를 정한다.
미국, 남아프리카, 캐나다에는 모든 입구에 정지 신호가 있는 사거리 교차로(사방 정지)가 있다. 사방 정지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보행자는 횡단보도에서 항상 우선권을 갖는다.
# 먼저 정지한 차량이 우선권을 갖는다.
# 동시 정지 시 우측 차량에 우선권이 주어진다.
# 여러 차량이 동시에 도착하면, 운전자 간 비공식적 신호(손짓, 전조등 깜빡임 등)로 양보를 표시하기도 한다.[10]
유럽 등지에도 유사한 교차로가 있으며, 특수 표지판(비엔나 도로 표지 및 신호 협약에 따름)으로 표시될 수 있다. 유럽과 북미 일부 지역의 통제되지 않는 사거리 교차로 기본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보행자 규칙은 국가마다 다르나,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보통 보행자가 우선권을 갖는다.
# 모든 차량은 오른쪽 접근 차량에 우선권을 양보해야 한다.
# 좌회전 차량은 반대편 접근 차량에도 우선권을 양보해야 한다(동시 좌회전 제외).
5. 2. 2. 자전거를 위한 보호 교차로
보호 교차로는 여러 특징을 가진다. 모서리 안전섬,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후퇴 교차로(일반적으로 1.5m~7m 후퇴), 전방 정지선은 자전거 이용자가 신호등 앞에서 자동차보다 먼저 정지할 수 있게 한다.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에게는 충돌이 없거나 교통 흐름보다 먼저 출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신호 설정, 또는 최소한 자전거 이용자와 보행자를 위한 사전 녹색 신호가 사용된다. 이 설계는 많은 경우 정지하지 않고도 적색 신호에서 우회전, 경우에 따라 교차로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적색 신호에서 좌회전이 가능하다.[11]이러한 유형의 교차로는 자전거 친화적인 네덜란드에서 흔히 볼 수 있다.[12]
5. 2. 3. 횡단보도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건너도록 지정된 도로 구역이다. 횡단보도의 실제 모습은 매우 다양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형태는 (1) 일련의 가로 흰색 줄무늬 또는 (2) 두 개의 세로 흰색 선이다. 어두운 포장도로와 더 뚜렷하게 대비되므로 일반적으로 가로 줄무늬 형태가 선호된다.
일부 횡단보도에는 보행자가 건널 수 있도록 차량을 정기적으로 정지시키는 신호등이 함께 설치된다. 일부 국가에는 보행자가 건너려는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버튼을 눌러야 하는 "지능형" 보행자 신호등이 있다. 일부 국가에서는 접근하는 차량을 레이더 또는 도로 표면에 매설된 전자기 센서로 감시하며, 속도 위반이 감지되면 횡단보도 신호등이 빨간색으로 설정된다.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도 흔하다. 이 경우, 교통 법규는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널 때 통행 우선권을 가지며, 차량은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할 때 정지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네바다 주에서는 횡단보도 신호가 보행자의 횡단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경우 차량이 통행 우선권을 가진다.[13]
일부 관할 구역에서는 횡단보도가 아닌 다른 곳에서 도로를 건너거나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며, 이를 ''무단횡단''이라고 한다. 다른 지역에서는 보행자가 원하는 곳에서 건널 권리가 있으며, 횡단하는 동안 차량 교통에 대해 통행 우선권을 가진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교차로는 페인트로 칠해지지 않더라도 도로가 대략 직각으로 만나는 한 횡단보도를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영국과 크로아티아는 이러한 예외에 해당한다. 횡단보도는 교차로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할 수도 있다.
5. 3. 건널목
건널목은 철도와 도로가 같은 높이에서 교차하는 지점이다. 안전 문제로 인해, 종종 차단기, 건널목 경보 및 경고 표지판이 설치된다.
5. 4. 속도 제한
차량의 속도가 빠를수록 충돌을 피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충돌이 발생할 경우 피해가 더 커진다. 따라서 세계 여러 나라는 도로에서 허용되는 최고 속도를 제한한다. 차량은 게시된 최고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운전해서는 안 된다.속도 제한을 시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두 가지 접근 방식이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경찰이 거리를 순찰하며 특수 장비(일반적으로 레이더)를 사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측정하고, 속도 제한을 위반한 차량을 단속한다. 브라질, 콜롬비아 및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도시 전체에 컴퓨터화된 속도 측정 장치가 설치되어 과속 운전자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번호판을 촬영하며, 이 사진은 나중에 티켓 발급 및 우편 발송에 사용된다. 미국의 많은 관할 구역에서도 이 기술을 사용한다.
독일에서 개발된 메커니즘은 Grüne Welle 또는 ''녹색 신호''인데, 이는 해당 구간을 따라 동기화된 녹색 신호를 위해 주행하는 최적의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신호등의 작동에 의해 설정된 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운전하면 운전자는 많은 적색 신호를 만나게 된다. 이는 운전자가 과속하거나 교통 흐름을 방해하는 것을 막는다.
5. 5. 추월
추월(또는 앞지르기)은 같은 방향으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을 지나치는 것을 말한다. 2차선 도로에서는 중앙선이 점선일 때 안전하게 추월할 수 있다. 다차선 도로에서는 대부분 "느린" 차선에서 추월이 허용되지만, 많은 곳에서 특별한 상황이 필요하다.[1]영국과 캐나다에서는 도로 바깥쪽에 더 가까운 실선 흰색 또는 노란색 선이 있으면 해당 차선에서 추월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중 흰색 또는 노란색 선은 양쪽 모두 추월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1]
미국에서는 실선 흰색은 차선 변경을 권장하지 않음을 의미하고, 이중 실선 흰색은 차선 변경이 금지됨을 의미한다.[1]
5. 5. 1. 차선
도로는 여러 차량이 나란히 주행할 수 있을 만큼 넓으면, 교통은 일반적으로 "차선"으로 정리된다. 차선은 평행한 교통 통로를 의미한다. 도로는 각 방향으로 1차선만 있거나, 여러 차선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국가는 노면 표시를 통해 각 차선의 경계와 해당 차선을 사용해야 하는 교통 방향을 명확하게 표시한다.같은 방향으로 여러 차선이 있는 도로에서는 운전자가 원하는 대로 차선을 변경할 수 있지만, 다른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아야 한다.
분리된 고속도로에서 차선은 일반적으로 도로 중앙에 가장 빠른 차선이 있고, 도로 가장자리에 가장 느린 차선이 있다. 운전자는 보통 추월을 제외하고 가장 느린 차선을 유지해야 하지만, 교통 체증이 심할 때는 모든 차선을 사용하기도 한다.
우측 통행 시:
- 더 빠른 차량을 위한 차선은 왼쪽에 있다.
- 더 느린 차량을 위한 차선은 오른쪽에 있다.
- 대부분의 고속도로 출구는 오른쪽에 있다.
- 왼쪽 추월이 허용되며, 경우에 따라 오른쪽 추월도 허용된다.
도로 교통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가입한 국가는 추월 및 차선 지정에 대한 통일된 규칙을 가지고 있다. 이 협약은 "모든 운전자는 교통 방향에 적합한 차도의 가장자리에 머물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추월하는 운전자는 마주 오는 교통 유무와 관계없이 교통 방향에 적합한 반대편에서 추월해야 한다"고 규정한다.
북미 지역의 많은 곳에서는 추월을 제외하고 가장 느린 차선을 유지해야 한다는 법률이 없다. 유럽의 많은 지역과 달리, 이러한 지역에서는 모든 방향에서 추월이 허용되며, 심지어 더 느린 차선에서도 추월이 가능하다.
루이지애나, 매사추세츠, 뉴욕 등 일부 미국 주에서는 공공 도로에서 모든 차량이 추월을 제외하고 가장 오른쪽에 있는 차선을 사용해야 한다는 법률이 있지만, 다차선 도로에서는 이 규칙이 잘 지켜지지 않는다.
캘리포니아에서는 차량이 다차선 도로에서 모든 차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교통 흐름보다 느리게 이동하는 운전자는 더 빠른 차량을 위해 길을 비우고, 교통 속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오른쪽 차선에 있어야 한다(캘리포니아 차량 규정(CVC) 21654).
5. 6. 일방통행 도로
일방통행 도로는 모든 차량이 한 방향으로만 통행해야 하는 도로이다. 보행자는 일반적으로 일방통행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미 지나온 목적지에 도달하려는 운전자는 다른 도로를 통해 돌아가야 한다. 일방통행 도로는 일부 운전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교통 흐름을 더 빠르게 하고 교차로를 단순화하여 교통 흐름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5. 6. 1. 고속도로
고속도로(자동차 전용도로)는 완전 통제 진입과 입체 교차로(교차 교통 없음)가 있는 분리된 다차선 도로이다. 일부 고속도로는 지역에 따라 "고속도로", "슈퍼 고속도로" 또는 유료 도로라고 불린다. 고속도로 진입은 완전히 통제되며, 진입 및 진출은 입체 교차로에서만 허용된다.최소 속도 표지판이 때때로 게시되지만(점점 드물게) 일반적으로 40mph보다 느린 속도로 주행하는 모든 차량은 비상등을 켜서 다른 자동차에 느린 주행 속도를 알려야 한다.[3] 고속도로의 게시된 속도 제한에 따라 그보다 느린 대체 속도가 적용될 수 있다.[3]
고속도로 시스템은 원거리 및 지역 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며, 주목할 만한 시스템으로는 미국 주간 고속도로, 독일 아우토반, 중국 고속도로 네트워크가 있다.[4]
6. 교통 혼잡
교통 혼잡은 차량 수가 도로 용량을 초과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1] 도시 내 교통 혼잡이 심해짐에 따라 교통 규칙도 강화되고 있다.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방통행, 좌회전 금지, 노상 주차 금지 등이 시행되고 있다.[1] 이러한 조치로도 교통 마비가 예상되면 교통량 자체를 억제해야 하는데,[1] 대형차 통행 금지가 그 예이다.[1] 마비 상태가 심각하면 승용차 수도 억제해야 하는데, 이는 용도별 규제가 어려워 전면 금지나 주차료 인상 등의 방법으로 경제적 부담을 주는 방안이 고려된다.[1] 현재 서울 도심 지역에서는 주간에 트럭 운행을 제한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화물 운송이 야간으로 몰려 도시 활동에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1]
교통량은 지속적으로 많거나, '러시아워' 시간대, 또는 도로 공사나 차량 충돌과 같은 예외적인 상황으로 인해 교통 체증이 발생할 수 있다.[2] 이러한 교통 혼잡 관련 현상은 교통 흐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교통 공학자들은 서비스 수준을 통해 교통 흐름의 질을 측정하기도 한다.[2] 여러 국가의 고속도로에서 교통 혼잡의 일반적인 시공간적 특징이 비슷하게 나타난다.[2] 보리스 케르너의 3상 교통 이론에서는 혼잡 교통을 넓은 이동 체증 및 동기화된 흐름 단계로 구분한다.[2]
6. 1. 러시아워
대부분의 주요 도시에서는 업무일에 도로를 사용하는 차량 수가 많아 교통량이 예측 가능한 시간대에 극심해진다. 이러한 현상을 '''러시아워''' 또는 '''피크 아워'''라고 부르며, 교통량이 많은 시간대는 종종 한 시간을 넘기도 한다. 자동차 라디오가 등장한 이후, 러시아워 동안의 라디오 방송은 드라이브 타임이라고 불릴 가능성이 높다.
7. 교통 혼잡 완화
교통 혼잡 완화는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한 중요한 과제이다. 도시 내 교통 혼잡이 심해짐에 따라 교통 규칙은 점차 강화되고 있다.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방통행, 좌회전 금지, 노상 주차 금지 등이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교통 마비가 예상될 경우, 교통량 자체를 억제해야 한다. 차종별 교통 규칙에서 대형차 통행을 금지하는 것이 그 예시 중 하나이다.
마비 상태가 심각하면 승용차 수 자체를 억제해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용도별 규제는 거의 불가능하며, 가능한 방법은 전면 금지나 주차료 인상 등을 통해 경제적 부담을 주는 것뿐이다. 현재 서울특별시의 경우, 도심 지역에서 주간에 트럭 운행을 제한하고 있지만, 이로 인해 화물 발착이 야간으로 변경되어 도시 활동에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7. 1. 러시아워 정책
일부 도시에서는 대중 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러시 아워 교통량과 대기 오염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파울루, 마닐라[15] 및 멕시코 시티에서는 차량 번호판 번호를 기준으로 특정 요일에 도로 주행을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이 규칙은 교통 경찰뿐만 아니라 위반 차량에 티켓을 발부하는 컴퓨터 이미지 인식 시스템으로 뒷받침되는 수백 개의 전략적으로 배치된 교통 카메라에 의해 시행된다.7. 2. 우선 처리
일부 지역에서는 응급 구조대에 이동식 적외선 송신기와 같은 특수 장비를 제공하여, 소방차와 같은 응급 차량이 경로상의 신호를 녹색으로 변경하여 우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술은 소방서 패널(특정 주요 도로에 대해 녹색 신호를 작동시키고 제어할 수 있었음)에서 광학 시스템(개별 소방차가 신호기에 있는 수신기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장착)으로 발전했다. 특정 관할 구역에서는 대중교통 버스와 정부 운영 제설 차량도 이 장비를 사용하여 녹색 신호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17]7. 3. 지능형 교통 시스템 (ITS)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은 교통 흐름을 최적화하기 위해 교통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운전자 연계 시스템이다. 차량 주행 차선 마일 수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건설되는 차량 주행 차선 마일 수는 이를 따라가지 못해 교통 체증이 심해지고 있다. ITS는 이러한 교통 체증을 줄이기 위한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센서와 실시간 카메라를 사용하여 교통 흐름을 모니터링하거나, 차량 내 휴대폰 데이터(플로팅 카 데이터)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가변 메시지 게시판(VMS), 고속도로 자문 라디오, 차량 내/외 내비게이션 장치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교통을 우회시키며, 내비게이션 시스템과의 교통 데이터 통합을 통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교통 운영 인력이 기상 조건을 모니터링하고, 유지 보수 인력을 파견하여 눈이나 얼음을 제거하며, 사고를 예방하는 자동화된 교량 제빙 시스템과 같은 지능형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로 네트워크에 통신 및 제어 인프라가 설치되고 있다.8. 항공 교통
항공 분야에서 우선 통행 규칙은 기동성이 가장 낮은 항공기가 우선권을 갖는다는 원칙에 따라 정해진다. 미국에서는 연방 규정집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항공 교통의 우선순위를 정한다.[18]
- 조난 중인 모든 항공기
- 열기구
- 글라이더
- 비행선
- 다른 항공기를 견인하거나 급유하는 항공기는 다른 모든 엔진 동력 항공기보다 우선권을 가진다.
- 동력 패러슈트, 중량 이동 제어 항공기, 항공기 및 회전익 항공기
또한, 정면으로 접근하는 항공기는 항로를 오른쪽으로 변경해야 한다. 추월당하는 항공기는 우선권을 가지며, 착륙 중인 항공기는 지상에서 운행하는 다른 항공기보다 우선권을 가진다.[18]
참조
[1]
웹사이트
Traffic definition and meaning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ttps://www.collinsd[...]
2020-01-03
[2]
서적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4-03-23
[3]
웹사이트
traffic (n.)
http://www.etymonlin[...]
2014-03-23
[4]
서적
OED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3
[5]
문서
Davies v. Mann
152 Eng. Rep. 588
1842
[6]
문서
see [[Last clear chance|legal doctrine of Last Clear Chance]]
[7]
뉴스
Give-way rule change: Campaign to avoid crashes
http://www.nzherald.[...]
The New Zealand Herald
2011-11-23
[8]
뉴스
'Wait and see approach' on left turn rule
http://www.nzherald.[...]
2012-02-26
[9]
웹사이트
The Highway Code – Rule 176
https://www.gov.uk/u[...]
2012-11-07
[10]
웹사이트
Traffic Talk: Breaking down four-way stop sign scenarios, laws and common-sense courtesies
http://www.mlive.com[...]
2012-09-03
[11]
웹사이트
Out of the Box Transcript.docx
http://www.protected[...]
2018-09-20
[12]
웹사이트
Junction design in the Netherlands
https://bicycledutch[...]
2014-02-23
[13]
간행물
Relationship between organisational safety culture dimensions and crashes
2014
[14]
웹사이트
All the info you need on lanesharing (lanesplitting)
http://www.whybike.c[...]
2006-03-06
[15]
뉴스
The World's Worst Traffic Jams
Time
2008-04-21
[16]
웹사이트
Traffic: Why It's Getting Worse, What Government Can Do
https://www.brooking[...]
2023-06-02
[17]
문서
Illinois Compiled Statutes
http://www.ilga.gov/[...]
Illinois General Assembly
2003-07-02
[18]
웹사이트
14 CFR 91.113
https://www.ecfr.gov[...]
2023-11-2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