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베네딕토 8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베네딕토 8세는 1012년부터 1024년까지 재위한 인물이다. 그는 대립 교황 그레고리오 6세에 의해 로마에서 쫓겨났으나, 하인리히 2세의 지원으로 복위했다. 재위 기간 동안 사라센족의 침입, 노르만족의 이탈리아 정착 등의 상황에 직면하여, 노르만족과의 동맹을 통해 이탈리아의 평화를 증진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의 협력을 통해 성직 매매와 성직자 독신 의무 위반을 억제했다. 또한, 클뤼니 수도원의 개혁을 지지하고, 신의 휴전을 장려했다. 그의 뒤를 이어 형제인 요한 19세가 교황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24년 사망 - 하인리히 2세 (신성 로마 황제)
하인리히 2세는 973년 바이에른 공작 하인리히 2세와 부르군디의 기젤라 사이에서 태어나 100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신성 로마 제국의 왕이자 1014년부터 황제를 지낸 오토 왕조의 마지막 통치자로, 왕권 강화, 폴란드와의 전쟁, 이탈리아 원정, 교회와의 관계 속에서 신권적인 제국 통치를 추구하다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작센 왕조가 단절되었고 1147년 시성되었다. - 1024년 사망 -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
아토스의 에우티미우스는 조지아 왕족 출신으로 이베론 수도원 설립에 기여하고 조지아어 번역 활동을 통해 조지아 문화 발전에 영향을 미친 조지아 정교회 성인이다. - 11세기 대주교 - 아르눌푸스 레멘시스
아르눌푸스 레멘시스는 랭스 대성당 사제이자 랭스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반역을 시도하다 폐위 후 복권되었으며, 이후 정치적 현실에 순응하며 카롤링거 가문의 멸망을 가속화했다. - 11세기 대주교 - 교황 레오 9세
교황 레오 9세는 알자스 출신으로 툴 주교를 지냈으며 하인리히 3세의 추천으로 교황에 선출, 성직매매와 성직자 축첩 금지 등 교회 개혁에 힘썼으나 노르만족과의 전투 패배, 동서 교회 분열 심화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 11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그레고리오 7세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1073년 교황이 되어 교황권 강화, 교회 개혁, 하인리히 4세와의 서임권 투쟁, 성직 매매 금지, 성직자 독신 강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업적은 교황 수위권 발전에 기여했으나 로마 침공으로 망명 중 사망 후 시성되었다. - 11세기 이탈리아 사람 - 교황 베네딕토 9세
교황 베네딕토 9세는 투스쿨룸 백작 가문 출신으로, 1032년부터 1048년까지 세 차례 교황으로 재임하며 성직 매매와 방탕한 생활로 비판받고 재임과 사임을 반복하는 혼란스러운 행보로 교회의 권위를 실추시킨 인물이다.
교황 베네딕토 8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베네딕토 8세 |
본명 | 테오필락투스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 | |
재임 기간 | |
즉위 시작 | 1012년 5월 18일 |
즉위 종료 | 1024년 4월 9일 |
이전 교황 | 세르지오 4세 |
다음 교황 | 요한 19세 |
개인 정보 | |
출생지 | 교황령, 로마 |
사망 | 1024년 4월 9일 |
사망지 | 교황령, 로마 |
가문 | |
부모 |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오 1세 |
2. 생애
교황 베네딕토 8세(재위 1012년 - 1024년)는 테오필락투스 2세라는 본명으로 투스쿨룸 백작 그레고리우스 1세와 마리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로마 귀족 가문인 투스쿨라니 가문 출신으로, 이 가문은 10세기 초부터 11세기 중반까지 교황청과 로마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베네딕토 8세는 대립 교황 그레고리오 6세에 의해 로마에서 추방되었으나, 1014년 독일의 하인리히 2세의 도움으로 복위되었다.[2] 하인리히 2세는 베네딕토 8세를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하였으며, 이후 베네딕토 8세는 재위 기간 내내 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
그는 사라센의 침입에 맞서 노르만족과 동맹을 맺고 사르데냐에서 그들을 격퇴하는 등 이탈리아의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5] 또한 성직 매매와 성직자 독신 의무 위반을 억제하기 위해 파비아에서 시노드를 개최하고, 클뤼니 수도원의 개혁을 지지하는 등 교회 개혁에도 힘썼다.[6] 1020년에는 비잔틴 제국의 위협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독일을 방문하여 하인리히 2세와 협의하고, 밤베르크 대성당을 축성하기도 했다.[7] 그는 신의 휴전을 장려하여 평화를 증진하고자 했으며,[9] 그의 사후에는 그의 형제인 요한 19세가 교황직을 계승했다.[9]
2. 1. 교황 재위 기간
베네딕토 8세는 대립 교황 그레고리오 6세에 의해 로마에서 추방되었으나, 1014년 독일의 하인리히 2세의 도움으로 복위되었다.[2] 하인리히 2세는 베네딕토 8세를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대관하였으며, 베네딕토 8세는 재위 기간 내내 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베네딕토 8세는 사라센의 침입에 맞서 노르만족과 동맹을 맺고 사르데냐에서 그들을 격퇴하는 등 이탈리아의 평화를 위해 노력했다.[5] 또한 성직 매매와 성직자 독신 의무 위반을 억제하기 위해 파비아에서 시노드를 개최하고, 클뤼니 수도원의 개혁을 지지하는 등 교회 개혁에도 힘썼다.[6]
1020년에는 비잔틴 제국의 위협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독일을 방문하여 하인리히 2세와 협의하고, 밤베르크 대성당을 축성하기도 했다.[7] 그는 신의 휴전을 장려하여 평화를 증진하고자 했으며,[9] 그의 사후에는 그의 형제인 요한 19세가 교황직을 계승했다.[9]
2. 1. 1. 대립 교황과의 갈등과 신성 로마 제국과의 관계
대립 교황인 그레고리오 6세는 베네딕토 8세에 반대하였고, 베네딕토 8세는 로마에서 도망쳐야 했다.[2] 그는 1014년 2월 14일에 하인리히 2세에 의해 복위되었는데, 하인리히 2세는 그를 황제로 대관한 인물이다. 베네딕토 8세는 교황 재위 기간 내내 하인리히 2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베네딕토 8세의 재위 기간 동안 사라센족이 이탈리아 남부 해안을 다시 공격했다. 그들은 사르데냐에 정착지를 마련하고 피사를 약탈했다.[4] 당시 노르만족도 이탈리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교황은 노르만족과 동맹을 맺어 이탈리아의 평화를 증진했고, 사르데냐에서 사라센족을 격퇴하고 크레센티 가문을 복종시켰다.[5] 1022년, 베네딕토 8세는 황제와 함께 파비아에서 시노드를 열어 성직 매매와 성직자 독신 의무 위반을 억제했다.[6] 그는 클뤼니 수도원이 후원하는 개혁을 지지했으며, 수도원장인 성 오딜로의 친구였다.
1020년, 베네딕토 8세는 비잔틴 제국이 메초조르노에서 다시 위협을 가하는 문제에 대해 하인리히 2세와 협의하기 위해 독일로 갔다. 베네딕토 8세는 부활절에 밤베르크에 도착하여 그곳의 새로운 대성당을 축성했고, 샤를마뉴와 오토 1세의 기증을 확인하는 하인리히 2세의 칙허장을 얻었으며, 풀다 수도원을 방문했다.[7] 1022년, 베네딕토 8세는 팔리움을 얻기 위해 여행한 캔터베리 대주교 에델노스를 로마에서 맞이했다.[8]
베네딕토 8세는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신의 휴전을 장려했다.[9]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이탈리아 남부로 원정을 이끌고 비잔틴 권위에 반역한 그의 봉신들을 복종시키도록 설득했다. 호레이스 만은 베네딕토 8세를 "가정에서도 강력하고 해외에서도 위대한 몇 안 되는 중세 교황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베네딕토 8세의 뒤를 이어 그의 형제인 요한 19세가 교황이 되었다.[9]
2. 1. 2. 사라센의 침입과 이탈리아 평화
대립 교황인 그레고리오 6세가 베네딕토 8세에 대항하여, 베네딕토 8세는 로마에서 피신해야 했다.[2] 1014년 2월 14일, 하인리히 2세가 베네딕토 8세를 복위시켰으며, 하인리히 2세는 베네딕토 8세에 의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 즉위한 인물이었다. 베네딕토 8세는 교황 재임 기간 동안 하인리히 2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베네딕토 8세 재위 기간에 사라센족이 이탈리아 남부 해안을 다시 공격했다. 사라센족은 사르데냐에 정착지를 마련하고 피사를 약탈했다.[4] 이 시기 노르만족도 이탈리아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교황은 노르만족과 동맹을 맺어 이탈리아의 평화를 증진했고, 사르데냐에서 사라센족을 격퇴하고 크레센티 가문을 복종시켰다.[5] 1022년, 베네딕토 8세는 하인리히 2세와 함께 파비아에서 시노드를 열어 성직 매매와 성직자 독신 의무 위반을 억제했다.[6] 그는 클뤼니 수도원이 후원하는 개혁을 지지했으며, 수도원장인 성 오딜로와 친구였다.
2. 1. 3. 교회 개혁
베네딕토 8세는 대립 교황 그레고리오 6세에 의해 로마에서 추방되었으나,[2] 1014년 2월 14일 독일의 하인리히 2세에 의해 복위되어 황제로 대관되었다. 베네딕토 8세는 교황 재위 기간 내내 하인리히 2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1022년, 베네딕토 8세는 하인리히 2세와 함께 파비아에서 시노드를 열어 성직 매매와 성직자 독신 의무 위반을 억제했다.[6] 그는 클뤼니 수도원이 후원하는 개혁을 지지했으며, 수도원장인 성 오딜로의 친구였다.
2. 1. 4. 비잔틴 제국과의 관계
베네딕토 8세는 대립 교황인 그레고리오 6세에 의해 반대받았고, 로마에서 도망쳐야 했다.[2] 1014년 2월 14일, 독일의 하인리히 2세는 그를 황제로 대관하고 복위시켰다. 베네딕토 8세는 교황 재위 기간 내내 하인리히 2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1020년, 베네딕토 8세는 비잔틴 제국이 메초조르노에서 다시 위협을 가하는 문제에 대해 하인리히 2세와 협의하기 위해 독일로 갔다. 그는 부활절에 밤베르크에 도착하여 그곳의 새로운 대성당을 축성했고, 샤를마뉴와 오토 1세의 기증을 확인하는 하인리히 2세의 칙허장을 얻었으며, 풀다 수도원을 방문했다.[7]
2. 1. 5. 신의 휴전 장려와 사망
베네딕토 8세는 대립 교황인 그레고리오 6세에 의해 반대받았고, 로마에서 도망가도록 강요받았다.[2] 그는 1014년 2월 14일에 독일의 하인리히 2세에 의해 황제로 대관되었으며, 교황 재위 기간 내내 하인리히 2세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3]1020년, 베네딕토 8세는 비잔틴 제국이 메초조르노에서 다시 위협을 가하는 문제에 대해 하인리히 2세와 협의하기 위해 독일로 갔다. 그는 부활절에 밤베르크에 도착하여 그곳의 새로운 대성당을 축성했고, 샤를마뉴와 오토 1세의 기증을 확인하는 하인리히 2세의 칙허장을 얻었으며, 풀다 수도원을 방문했다.[7] 1022년, 베네딕토 8세는 팔리움을 얻기 위해 로마로 여행한 캔터베리 대주교 에델노스를 맞이했다.[8]
베네딕토 8세는 평화를 증진하기 위해 신의 휴전을 장려했다.[9]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에게 이탈리아 남부로 원정을 이끌고 비잔틴 권위에 반역한 그의 봉신들을 복종시키도록 설득했다. 호레이스 만은 그를 "가정에서도 강력하고 해외에서도 위대한 몇 안 되는 중세 교황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그의 뒤를 이어 그의 형제인 요한 19세가 교황이 되었다.[9]
3. 가계도
베네딕토 8세는 10세기와 11세기에 재위한 5명의 다른 교황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당시 이탈리아에서 가장 강력한 통치자들과도 관련이 있었다.[10]
테오도라 - 투스쿨룸의 테오필락토 1세 | ||||||||
---|---|---|---|---|---|---|---|---|
이탈리아의 휴 | colspan="1" | | 스폴레토의 알베리코 1세 - 마로치아 - 교황 세르지오 3세 (재위: 904–911) | ||||||
비엔의 알다 | colspan="1" | | 스폴레토의 알베리코 2세 (905–954) | colspan="1" | | 데이비드 또는 데오다투스 - 교황 요한 11세 (재위: 931–935) | ||||
colspan="5" | | colspan="1" | | 투스쿨룸의 그레고리오 1세 - 교황 요한 12세 (재위: 955–964) - 교황 베네딕토 7세 (재위: 974–983) | ||||||
colspan="1" | | colspan="5" | | 투스쿨룸의 알베리코 3세 - 교황 요한 19세 (재위: 1024–1032) - 교황 베네딕토 8세 (재위: 1012–1024) | ||||||
colspan="3" | | colspan="1" | | 피터 - 교황 베네딕토 9세 (재위: 1032–1044) |
참조
[1]
웹사이트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www2.fiu.edu/[...]
[2]
서적
Institutes of Ecclesiastical History Ancient and Modern, Vol. II
https://books.google[...]
A. H. Maltby, 5th Ed.
[3]
서적
Ars Sacra: 800–1200
Yale University Press
[4]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서적
Caliphs and Kings: Spain 796–1031
Blackwell Publishing
[6]
서적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Charles Scribner's Sons
[7]
서적
The Responsories and Versicles of the Latin Office of the Dead
Books on Demand
[8]
간행물
Anglo-Saxon Church and the Papacy
English Church and the Papacy
[9]
문서
Pope Benedict VIII
Catholic
[10]
서적
The lives of the popes in the early middle ages
https://archive.org/[...]
London, K. Paul, Trench, Trübner, & co
[11]
웹사이트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www2.fiu.edu/[...]
[12]
서적
Institutes of Ecclesiastical History
https://archive.org/[...]
A. H. Maltby
[13]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Caliphs and Kings: Spain 796–1031
Blackwell Publishing
[15]
서적
The Responsories and Versicles of the Latin Office of the Dead
Books on Demand
[16]
웹사이트
Pope Benedict VII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4-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