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는 콜롬비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1953년 쿠데타를 통해 대통령에 취임하여 1957년까지 재임했다. 그는 1900년 툰하에서 태어나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 경력을 쌓았으며, 1930년대 콜롬비아-페루 전쟁에 참전했다. 1940년대에는 군 요직을 두루 거치며 두각을 나타냈고, 1953년 대통령 라우레아노 고메스를 축출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여성 투표권 부여, 공공 사업 추진 등 개혁을 시도했지만, 권위주의적 통치와 경제난으로 인해 지지를 잃고 1957년 사임했다. 이후 1962년과 1970년 대선에 출마했으나 낙선했고, 1975년 멜가르에서 사망했다. 그의 딸 마리아 에우헤니아 로하스 역시 정치 활동을 했으며, 그는 페론주의의 영향을 받은 포퓰리즘적 통치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롬비아의 군인 -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산탄데르는 콜롬비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그란콜롬비아 부통령과 누에바그라나다 공화국 대통령을 역임하며 독립운동,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다가 1840년 사망했다. - 콜롬비아의 토목공학자 - 비르힐리오 바르코 바르가스
콜롬비아의 정치인이자 제27대 대통령이었던 비르힐리오 바르코 바르가스는 토목 공학을 전공하고 경제학 학위를 받았으며, 국민 전선 구성 기여, 상원 의원, 보고타 시장, 세계 은행 이사, 미국 주재 대사를 역임한 후 대통령에 당선되어 빈곤 퇴치, 좌익 게릴라와의 대화 재개, 마약 거래상과의 전쟁을 추진했다. - 콜롬비아의 정치인 - 카를로스 홀메스 트루히요
콜롬비아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인 카를로스 홀메스 트루히요는 칼리 시장, 콜롬비아 교육부 장관, 미주 기구 대사, 유럽 연합 대사, 외무부 장관 등 다양한 직책을 역임하고 민주중도당을 결성하여 활동하다 2021년 코로나19로 사망했다. - 콜롬비아의 정치인 - 구스타보 페트로
구스타보 페트로는 콜롬비아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M-19 게릴라 활동 참여, 하원 의원, 상원 의원, 보고타 시장을 역임한 후 콜롬비아 최초의 좌파 대통령으로서 농지 개혁, 친환경 에너지 전환, 사회적 불평등 해소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 |
원어 이름 | Gustavo Rojas Pinilla |
출생일 | 1900년 3월 12일 |
출생지 | 툰하, 보야카 주 |
사망일 | 1975년 1월 17일 |
사망지 | 멜가르, 톨리마 주, 콜롬비아 |
국적 | 콜롬비아인 |
정당 | 국민대중동맹 |
배우자 | 카롤라 코레아 론도뇨 (1930–1975) |
자녀 | 구스타보 에밀리오 로하스 코레아 마리아 에우헤니아 로하스 코레아 카를로스 로하스 코레아 |
모교 | 호세 마리아 코르도바 육군사관학교 트라이스테이트 노멀 칼리지 (BCE, 1927) |
직업 | 토목 기사 |
서명 | signature_alt: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 서명 |
군사 경력 | |
소속 | 콜롬비아군 |
군종 | 육군 |
계급 | 대장 |
복무 기간 | 1920–1957 |
참전 | 콜롬비아-페루 전쟁 한국 전쟁 라 비올렌시아 |
정치 경력 | |
직책 | 콜롬비아 대통령 |
임기 시작 | 1953년 6월 13일 |
임기 종료 | 1957년 5월 10일 |
이전 대통령 | 라우레아노 고메스 |
다음 대통령 | 가브리엘 파리스 (군사 정부 대통령) |
기타 직책 | 군 총사령관 우편 및 전신부 장관 |
군 총사령관 임기 시작 | 1953년 5월 31일 |
군 총사령관 임기 종료 | 1953년 6월 13일 |
이전 군 총사령관 | 레굴로 가이탄 |
다음 군 총사령관 | 에르난도 카밀로 수니가 |
우편 및 전신부 장관 임기 시작 | 1949년 12월 3일 |
우편 및 전신부 장관 임기 종료 | 1950년 8월 7일 |
이전 우편 및 전신부 장관 | 호세 비센테 다빌라 테요 |
다음 우편 및 전신부 장관 | 호세 토마스 앙굴로 로우리도 |
대통령 | 마리아노 오스피나 페레스 |
2. 초기 생애 및 교육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는 1900년 3월 12일 보야카 주 툰하에서 훌리오 로하스 히메네스와 에르멘시아 피니야 수아레스의 아들로 태어났다.[2] 툰하, 비야 데 레이바, 아르카부코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툰하 프레젠테이션 학교와 툰하 수 레이바 사범학교에서 공부했다.[2]
1932년 로하스는 페루와의 전쟁으로 콜롬비아 육군에 복귀하여 대위로 보고타 제1포병대에 배치되었다.[4] 1933년 콜롬비아-페루 전쟁에서 페루의 공격에 취약하다고 여겨지던 부에나벤투라만 연안 포대의 지휘를 맡았다.[4] 콜롬비아의 태평양 연안 지역이 공격받는 일은 없었지만, 전쟁은 콜롬비아의 레티시아에 대한 영유권을 인정한 리오 의정서 조인으로 그 해에 종결되었다.[4]
1917년 학사 학위를 받은 후 보고타의 호세 마리아 코르도바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20년 소위로 임관했다. 1923년 칼다스 주 마니살레스에서 복무 중 육군 중위로 진급했으나, 군 생활에 불만을 느껴 1924년 전역했다.[3] 이후 미국 트라인 대학교에서 토목 공학 학위를 1927년에 취득했으며, 이 과정에서 포드 공장 조립 라인에서 일하기도 했다.[3]
콜롬비아로 돌아온 후에는 벨렌에서 소차까지의 고속도로 건설을 감독하는 등 도로 건설 및 기타 토목 공사에 참여했다.[2]
3. 군 경력
1936년 로하스는 육군 탄약 공장의 수석 기술자가 되었다.[4] 같은 해, 보고타에서 군수품 생산에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기 위해 나치 독일에 특사로 파견되었다.[4] 콜롬비아로 돌아오자 그는 공장의 기술 부문 책임자로 임명되었다.[4] 1943년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무기 대여 지원의 형태로 무기와 기타 물품을 확보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다.[4]
이 기간 동안 로하스는 1942년 포병학교 교장, 1944년 전쟁학교 부교장을 역임했다.[4] 1945년에는 민간 항공청장(당시 육군성의 기관)으로 임명되어 엘도라도 공항 건설 계획을 주도했다.
1946년 대령으로 진급한 이후의 내용은 "라 비올렌시아" 시기에서 다룬다.
1951년 UN 콜롬비아 대표로 지명되어 한국 전쟁에 참전한 콜롬비아 대대를 시찰했다.[4] 1952년에는 육군 대장으로 진급하여 콜롬비아군 참모총장에 임명되었다.[4]
3. 1. 라 비올렌시아 (La Violencia) 시기
1946년 대령이 된 로하스는 툰하의 제1여단장에 임명되었고, 1948년에는 칼리의 제3여단장에 임명되었다.[4] 1948년 4월 9일, 민중 지도자 호르헤 엘리에세르 가이탄의 암살로 인해 이 지역에서 발생한 반란을 진압하여 국내에서 큰 인정을 받았다.[4] 이 공로로 당시 보수당 대통령 마리아노 오스피나 페레즈로부터 훈장을 받았다.[4] 1949년 10월 11일, 중장으로 진급했고, 10월 19일에는 육군 참모부에 배속되었다.[4]
로하스의 군대 내 승진은 집권 보수당 내 온건파인 "오스피니스타"(전임 대통령 지지자)와 1950년에 선출된 극우파 라우레아노 고메스 카스트로 지지자 "라우레아니스타" 사이에 분열이 일어나는 시기였다.[4] 고메스는 자유주의자들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고, 많은 보수주의자들조차도 고메스가 고조되는 폭력을 억제할 것이라고 믿지 않았다.[4] 로하스는 "오스피니스타" 진영에 속했는데, 이는 오스피나가 복무 기간이 더 긴 다른 장교들을 제치고 그를 승진시킨 것에서도 알 수 있다.[4] 1949년 12월 3일, 로하스는 마리아노 오스피나 페레즈 대통령 정부의 우편 및 전신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5][6][7]
4. 1953년 쿠데타
1953년 6월 13일, 로하스는 국내의 평화와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유혈 사태 없는 쿠데타로 당시 라우레아노 고메스 카스트로 대통령을 축출했다.[4] 이 쿠데타는 오스피나주의 보수당뿐만 아니라 로하스가 국가의 평화와 정치 질서를 재건하리라고 기대한 자유당의 지지를 받았다.[11]
멜가르에 있는 그의 핀카에서 로하스와 접촉한 오스피나는 고메스에 맞서 단호하게 행동하기로 결심했고, 상황이 터지기를 기다리고 있던 로하스는 칼다스 대대를 카사 데 나리뇨로 데려갔다. 고메스는 보이지 않아 임시 대통령 우르다네타에게 권력을 제안했지만, 우르다네타는 고메스의 사임 없이는 권력을 잡기를 거부했다. 이 시점에서 로하스와 쿠데타 공모자들은 다음 행동 방침을 확신하지 못한 듯 망설였다.[4] 파본 국방 장관의 증언은 우르바네타에 의해 뒷받침되었으며, 다음 몇 분 동안의 혼란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로하스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지만, 베리오 무뇨스 장군이 박수를 치기 시작했고 모든 사람들이 박수를 쳤고, 로하스는 매우 민주적으로 선출되었다.[10] 무혈 쿠데타가 굳어진 직후, 고메스가 가족과 함께 뉴욕으로 도망갔다는 사실이 드러났고, 이는 로하스의 권력 장악을 확고히 했다.[4]
5. 대통령 재임 (1953-1957)
로하스는 1900년 천일 전쟁 당시 호세 마누엘 마로킨 이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은 최초의 콜롬비아 대통령이었다. 1953년부터 1954년까지 콜롬비아의 군사 독재자였으며, 이후 국민 제헌 의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12][13]
초기 로하스 정부는 온건 보수 노선을 따랐고, 정치범과 게릴라에 대한 사면, 언론 검열 완화를 약속하면서 자유주의자들의 신뢰를 얻었다.[4] 다리오 에찬디아는 이 사건을 "여론의 쿠데타"라고 불렀다.
로하스는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하고, 텔레비전을 도입했으며, 여러 병원, 대학교, 국립 천문대를 건설했다.[14] 또한 대서양 철도, 레브리하 수력 발전 댐, 바랑카베르메하 정유소 등 인프라 건설을 추진했다.[14] 전국 노동 연맹(CNT)을 결성하여 노동 운동을 지원했다.[15]
정부의 개발 프로그램은 세금 인상으로 인해 산업, 상업 부문의 반발을 샀다. 로하스의 비판자들은 그의 경제 프로그램을 후안 페론의 통치와 비교했다.[4] 로하스는 국영 라디오 방송국을 설립하고 가톨릭 선전을 강화했으며, 전국 총기 허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총기 규제를 강화했다.[17][18]
1955년부터 콜롬비아 경제는 커피 가격 하락과 결제 위기로 어려움을 겪었고, IMF에서 대출을 받아야 했다.[4]
5. 1. 권위주의 통치 강화
로하스는 노동자 보호법을 제정하고 노동자의 대우 개선과 지위 향상에 힘썼지만, 이러한 민중 친화적인 정책은 지배층의 반발을 초래했고, 고립된 로하스는 독재 경향을 강화해 갔다.[1]1956년 2월 5일, 보고타에서 로하스 독재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던 시민·학생이 경찰과 충돌하여 다수의 시위 참가자가 학살되는 "소 목걸이 학살 사건"이 일어났다.[1]
로하스는 헌법을 개정하여 장기 독재를 꾀했지만, 그 무렵 스페인으로 망명 중인 보수당 고메스 전 대통령과 자유당은 "국민 전선"(프렌테 나시오날)의 밀약을 체결했다.[1] 그 내용은 자유당과 보수당이 합의하여 내전을 종식하고, 이후 자유·보수 양당에서 4년마다 교대로 대통령을 선출하며, 국회의 의석도 양당에서 공평하게 절반으로 나누는 것이었다.[1]
1957년이 되자 로하스는 반대파를 철저히 탄압하기 시작했고, 국민 전선의 밀담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보수당 당수 기예르모 레온 발렌시아를 체포했다.[1] 이는 학생과 노동자의 반감을 샀고, 그 전까지 로하스를 지지했던 민중도 "반 로하스"로 돌아섰다.[1]
이것을 기회로 본 자유·보수 양당은 대규모 총파업을 조직하고, 항의 시위를 벌였다.[1] 교회와 군부도 로하스 지지에서 돌아섰고, 지지 기반인 군부로부터도 외면받은 로하스는 1957년 5월 10일,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스페인으로 망명했다.[1]
5. 2. 실각
1956년 로하스는 헌법을 개정하여 장기 집권을 시도했지만, 스페인으로 망명 중이던 보수당의 고메스 전 대통령과 자유당은 "국민 전선(프렌테 나시오날)" 밀약을 체결했다. 이 밀약은 자유당과 보수당이 협력하여 내전을 종식시키고, 이후 양당에서 4년마다 번갈아 대통령을 선출하며, 국회 의석을 양당이 절반씩 나누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1957년 로하스는 반대파를 탄압하기 시작했고, 국민 전선 밀약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보수당 당수 기예르모 레온 발렌시아를 체포했다. 이는 학생과 노동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이전까지 로하스를 지지했던 민중들마저 등을 돌리게 되었다.
자유·보수 양당은 이 기회를 틈타 대규모 총파업을 조직하고 항의 시위를 벌였다. 교회와 군부도 로하스 지지를 철회했고, 지지 기반이었던 군부로부터도 외면받은 로하스는 1957년 5월 10일,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스페인으로 망명했다. 로하스의 축출은 "여론 쿠데타"로 불렸다. 이후 5명의 장군으로 구성된 군사 정권이 부활했고, 가브리엘 파리스 고르디요 장군이 실권을 잡았다. 군정은 1958년까지 이어졌고, 콜롬비아는 민정으로 복귀했다.
6. 퇴임 이후
로하스는 대통령직에서 물러난 후, 독재자 라파엘 트루히요의 보호를 받으며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망명했다.[20] 1958년, 로하스에게 충성하는 세력은 군사 정권이 민간 정부에 권력을 이양하려는 계획에 반대하여 쿠데타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그 결과, 국민 전선의 초대 대통령으로 예라스가 취임했다.[20]
6. 1. 1962년 대선
1962년 선거에서 로하스는 새롭게 창당한 야당 ANAPO의 대통령 후보로 처음 출마했다. 그는 54,562표를 얻어 4위를 기록했지만, 쿠데타를 일으킨 전력이 있다는 이유로 그의 결과는 무효 처리되었다.6. 2. 1970년 대선

1970년 선거에서 로하스 피니야는 포퓰리즘 공약을 내걸고 다시 대통령에 출마했다. 그는 미사엘 파스트라나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했지만, 이것이 부정 선거의 결과라고 주장했다.[21]
1970년 4월 19일의 대통령 선거는 어렵고 논란이 많았다. 로하스와 미사엘 파스트라나 보레로 모두 출마했으며, 전국적인 통신 시스템 오작동이 발생하기 전까지 로하스가 선거에서 승리하는 듯했다. 통신 시스템이 복구된 후 투표는 이미 집계된 상태였고, 결과는 매우 근소한 차이로 파스트라나 보레로에게 약간의 우세를 안겨주었다. 로하스의 지지자들은 그 결과를 문제 삼고 카를로스 예라스 레스트레포 대통령 정부가 부정 선거를 저질렀다고 비난했다. 이 사건은 선거 법원에 회부되었고, 선거 법원은 1970년 7월 15일에 파스트라나 보레로의 손을 들어주며 그를 콜롬비아 대통령으로 인증했다.[21]
보수당 측은 로하스 당선 확실이 보도되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투표함에 투표 용지를 채워 넣었다고 한다. 한 선거구에서는 유권자 수를 훨씬 웃도는 파스트라나 표가 발견되기도 했다. 로하스 지지자들은 부정 선거라고 항의했지만, 법원은 1970년 7월 15일 파스트라나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렸다.
항의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군 내부의 로하스 지지 세력에 의한 쿠데타 계획이 발각되었다.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강행 돌파를 시도했으며, 쿠데타 관여 혐의를 받은 로하스는 가택 연금되었다.
이러한 부정 선거 의혹은 4월 19일 운동의 결성을 이끌었다. 항의자들은 선거가 치러진 날을 기념하여 게릴라 조직인 4·19 운동 (M-19)을 결성했다.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70년 선거 | 콜롬비아의 대통령 | 23대 | 전국민중동맹 | 39.09% | 1,561,468표 | 2위 | 낙선 |
7. 사망 및 유산
로하스 피니야는 1975년 1월 17일 톨리마 주 멜가르에서 사망했다.[22] 그의 딸 마리아 에우헤니아 로하스는 1974년 콜롬비아 총선에 ANAPO의 지도자로 출마했으며, 손자 사무엘 모레노 로하스는 보고타 시장을 역임했으나 2011년 부패 혐의로 기소되었다.
역사학자 다니엘 가르시아 페냐는 로하스가 집권 초기에는 미국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자유당과 보수당의 지지를 받았지만, 이후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하면서 과두 정치 세력의 반발을 샀다고 평가했다. 또한, ANAPO를 통해 다양한 좌익 그룹을 끌어들였지만 부정 선거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는 M-19의 탄생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27]
7. 1. 이념
구스타보 로하스 피니야는 보수주의자였지만, 후안 페론의 정책과 수사의 영향을 받은 포퓰리즘 정치를 펼쳤다. 그는 자유당과 보수당이라는 양당 체제에 맞서는 "제3세력"의 개념을 제시했다.[23] 그러나 이 "제3세력"을 정당으로 만드는 데는 실패했다.[4]1957년 권력에서 물러난 후, 로하스 피니야의 이념은 국민 전선 협정에 대한 반대로 구체화되었다. 이는 페론주의와 유사하게 국회 기성 체제를 공격하고 소규모 사업주와 하위 중산층의 이익을 지지했던 프랑스 노동조합원 피에르 푸자드의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다. 로하스는 집권 엘리트, 특히 기예르모 레온 발렌시아의 보수 정부를 부패하고 연고주의적이라고 비판했다.[24]
역사학자 다니엘 가르시아-페냐는 로하스의 변화하는 이념적 입장과 지지 기반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로하스는 아르헨티나의 후안 페론 대통령을 흉내 내어, 자신의 지지 기반을 자유·보수라는 전통적인 양당제가 아닌 민중에게 두려고 생각하여 포퓰리즘(대중 영합 정책)을 채택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민중의 지지를 얻기 전에 지배층의 반발을 초래하게 된다.
8.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62년 선거 | 콜롬비아의 대통령 | 21대 | 전국민중동맹 | 0% | 54,562표 | 4위 | 낙선 |
1970년 선거 | 콜롬비아의 대통령 | 23대 | 전국민중동맹 | 39.09% | 1,561,468표 | 2위 | 낙선 |
참조
[1]
뉴스
Gustavo Rojas Pinilla Dies at 74; Dictator of Colombia in 1953-57
https://www.nytimes.[...]
1975-01-18
[2]
Webarchive
http://historico.pre[...]
2020-12-02
[3]
Webarchive
Gustavo Rojas Pinilla Dies at 74; Dictator of Colombia in 1953-57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11-11
[4]
웹사이트
El golpe de Rojas y el poder de los militares
http://www.scielo.or[...]
2022-01-07
[5]
서적
Mariano Ospina Pérez, Un Hombre de Acción y de Principios
Universidad Nacional; Fundación de Estudios Históricos, Misión Colombia; Editorial El Globo, S.A.
[6]
서적
1946-1950 De La Unidad Nacional a la Hegemonia Conservadora
Editorial Pluma, Printer Colombiana
[7]
서적
Mariano Ospina Pérez, El Presidente
Cámara de Comercio de Medellín para Antioquia; Imprenta Universidad de Antioquia
2001-06
[8]
논문
The Colombian Army in Korea, 1950–1954
http://muse.jhu.edu/[...]
Project Muse (Society for Military History)
2005-10
[9]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0]
서적
La paz, la violencia, testigos de excepción
Planeta
[11]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2]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3]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4]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1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Latin America 8. Latin America Since 193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 Press
[16]
문서
ADIDA, 50 años de lucha
http://deslinde.org.[...]
[17]
뉴스
Radio classes help priest whip commies
1961
[18]
뉴스
Colombia has killing wave
1955
[19]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20]
뉴스
BOGOTA SMASHES ATTEMPTED COUP; Four Members of Colombian Junta Are Kidnapped but 5th Suppresses Rising BOGOTA CRUSHES A POLICE REVOLT
https://www.nytimes.[...]
1958-05-03
[21]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22]
서적
Gobernantes Colombianos
Interprint Editors Ltd.; Italgraf
[23]
뉴스
COLOMBIA: Third Force
https://content.time[...]
1956-06-25
[24]
뉴스
Corruption Charges Bolster Colombia Opposition
https://www.nytimes.[...]
1964-08-04
[25]
웹사이트
Los secretos presidenciales de la CIA en Colombia
https://www.eltiempo[...]
[26]
뉴스
Gustavo Rojas Pinilla Dies at 74; Dictator of Colombia in 1953‐57
https://www.nytimes.[...]
1975-01-18
[27]
Webarchive
Pinochet por Salazar y Joceyn-Holt
http://saladehistori[...]
2012-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