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는 9세기에 활동한 프랑크족 출신 인물로, 스폴레토 공작, 카메리노 후작, 이탈리아 왕, 그리고 신성 로마 황제였다. 그는 스폴레토 공작 구이도 1세의 아들이자 카롤링거 왕조와 외척 관계에 있었으며, 889년 트레비아 강 전투에서 베렌가리오 1세를 격파하고 이탈리아 왕위에 올랐다. 891년에는 교황 스테파노 5세로부터 로마 황제로 대관받아 아들 람베르토와 공동으로 황제위를 유지했다. 아르눌프의 이탈리아 침공으로 세력이 약화되었고, 894년 사망하여 아들 람베르토 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귀데스치 왕조 - 구이도 1세 스폴레텐시스
    구이도 1세 스폴레텐시스는 9세기 이탈리아 중부 스폴레토의 공작으로, 베네벤토 공국 내전 개입, 사라센의 로마 약탈 격퇴 등 군사적, 정치적 활동을 했으며, 낭트 백작 람베르 1세의 아들이자 람베르토 1세의 아버지이고, 구이도 3세의 할아버지이다.
  • 귀데스치 왕조 - 람베르투스 2세 스폴레텐시스
    람베르투스 2세 스폴레텐시스는 9세기 이탈리아의 군주로, 아버지와 함께 황제 칭호를 받았으나 교황과의 갈등과 아르눌프의 침공을 겪었으며, 교황 시신 재판 등 격동의 시기를 보낸 후 898년 암살당했다.
  • 894년 사망 - 대현석
    대현석은 대야발의 7대손이자 발해의 왕으로, 일본과 교역하고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894년 사망 - 유지겸
    유지겸은 9세기 당나라 말기에 활약한 군인으로, 남한 건국의 기반을 마련했으며, 봉주자사를 거쳐 성무황제로 추존되었다.
  • 스폴레토 공작 - 데시데리우스
    8세기 롬바르드 왕국의 왕이었던 데시데리우스는 토스카나 공작 출신으로 왕위에 올라 교황령 문제에 개입했으나, 프랑크 왕 카롤루스 1세와의 대립 끝에 폐위되어 롬바르드 왕국 최후의 독립적인 왕으로 남았다.
  • 스폴레토 공작 - 구이도 1세 스폴레텐시스
    구이도 1세 스폴레텐시스는 9세기 이탈리아 중부 스폴레토의 공작으로, 베네벤토 공국 내전 개입, 사라센의 로마 약탈 격퇴 등 군사적, 정치적 활동을 했으며, 낭트 백작 람베르 1세의 아들이자 람베르토 1세의 아버지이고, 구이도 3세의 할아버지이다.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귀도 디 스폴레토
황제로 묘사된 귀도 (12세기 산 클레멘테 수도원 문서)
이름귀도 3세 디 스폴레토
독일어 이름비도
이탈리아어 이름귀도
통치
신성 로마 황제재위 기간: 891년–894년
대관식: 891년 2월 21일, 로마
이전: 카를 3세
이후: 람베르토
이탈리아 왕재위 기간: 889년 2월 – 894년
이전: 베렌가리오 1세
이후: 람베르토
가문
가문귀데스키 가문
개인 정보
아버지귀도 1세
어머니이타 디 베네벤토
배우자아젤트루데
자녀람베르토
아르날도 디 스폴레토 (아르날도 데 바이앙)
베르나르도 디 스폴레토
귀도 4세 디 스폴레토
출생855년
사망894년 12월 12일, 타로 강, 이탈리아
매장지파르마 대성당

2. 생애

구이도 3세는 프랑크 가문 출신으로, 846년 로마가 사라센인의 공격을 받았을 때 싸웠던 구이도 1세 디 스폴레토의 아들이다. 비도 가문에서 두 번째 구이도였기 때문에 구이도 2세라고 불렸다. 외가를 통해 카롤링거 왕가와 혈연 관계가 있었다. 880년 형 람베르토 1세가 사망하고, 883년 형의 아들 구이도 3세(스폴레토 공으로서는 2세)도 사망하여 공위를 계승했다. 베네벤토 공 아델키의 딸 아젤트루데와 결혼하여 아들 람베르토 2세를 얻었다.

882년, 카를 3세에게 반역 혐의로 영토를 빼앗겼지만, 다음 해에 다시 점령하여 카메리노 후작이 되었다. 885년에는 갈릴리아노 강에서 사라센인을 격퇴했다.

888년 황제가 붕어하자, 서프랑크 왕 선출 과정에 참여했으나 외드가 선출되어 실패했다. 이후 이탈리아 왕위를 두고 베렌가리오와 경쟁하였다. 889년 트레비아 강 전투에서 베렌가리오를 격파하고 파비아에서 이탈리아 왕으로 즉위했다.

891년 2월 21일, 교황스테파노 5세로부터 로마 황제로 대관받아 황제위를 아들 람베르토와 공동으로 유지했다. 이후 교황 포르모소와 대립했고, 교황은 동프랑크의 아르눌프를 이탈리아로 불렀다.

894년, 아르눌프가 이탈리아를 침공하여 베르가모, 밀라노, 파비아를 정복하고, 베렌가리오에게 영토를 주고 게르마니아로 돌아갔다. 그러나 구이도의 도움 요청을 받은 이브레아 후작 안스카리오 1세는 부르군트 왕 루돌프 1세가 파견한 원군으로 아르눌프의 진군을 저지하려 했다. 같은 해, 구이도는 사망하고, 아들 람베르토에게 대립 왕위를 남겼다.

2. 1. 출생과 가계 배경

외할아버지 싸이코가 새겨진 베네벤토 공국의 동전 (817년~832년에 사용되던 베네벤토의 데나리온 금화)


구이도는 스폴레토 공작 귀도 1세와 베네벤토의 싸이코(Sico of Benevento) 딸 이타의 아들이었다.[1] 그의 증조부 낭트의 귀도는 샤를마뉴의 브르타뉴낭트 원정(796년~799년, 811년)에 동행했던 인물로, 샤를마뉴 치세에 낭트백작으로 임명되었다가 후작으로 격상되었다. 구이도의 친할아버지 람베르토 1세는 로타르 1세의 측근으로, 834년부터 836년까지 스폴레토 공작을 지냈다. 프랑크 왕국에 정복된 후 스폴레토 공작직은 프랑크 왕국 정부에서 임명하는 것이 보통이었으나, 842년 구이도 3세의 아버지 귀도 1세가 황제 로타르 1세에 의해 스폴레토 공작에 임명되면서 그의 집안이 스폴레토 공작령을 계승하게 되었다.

구이도 3세는 친할머니 쪽으로 샤를마뉴의 먼 후손이었다. 아버지 귀도 1세는 낭트 백작 람베르토 1세와 롬바르디아의 아델라이드의 아들이었다. 친할머니 롬바르디아의 아델라이드는 샤를마뉴의 아들이자 롬바르디아의 왕인 피피노 카를로만의 딸이었다. 훗날 황제가 되는 뚱보왕 카를 3세 및 황제관을 놓고 경쟁하는 베렝가리오 1세는 구이도 3세의 7촌 아저씨뻘 되는 친척이었다.

아버지 귀도 1세는 846년 로마를 침공한 사라센 족을 격퇴하여 명성을 얻었다. 구이도 3세의 친삼촌인 낭트 백작 낭트의 람베르토 3세(880년 사망)는 황제이자 중프랑크 왕국의 왕 로타르 1세의 딸 로틸데와 결혼하였다.

2. 2. 초기 활동

860년 형 람베르토 1세가 스폴레토 공작위를 계승하였다. 아버지 귀도 1세는 그의 몫으로 스폴레토 지역의 동부지역을 물려준다 하였으나, 그는 받지 않았다. 귀도와 그의 형 람베르토 1세는 황제인 이탈리아인 루트비히에 대해 반기를 든 주요 지도자 중의 한 사람이었다. 867년 12월 13일 이후 귀도와 람베르토 형제는 수시로 교황령을 침공했고, 여러번 사면받았으나 계속 교황령 약탈을 계속하였다.[4] 871년 형 람베르토 1세는 스폴레토 공작직에서 면직되고 수포니드 가문 출신 수포 3세가 새로 공작에 임명된다. 귀도는 베네벤토로 피신, 베네벤토 공작 아델히스의 비호를 받았다. 아델히스는 그의 처남으로, 아겔트루드의 오빠 또는 남동생이었다. 875년 8월 이탈리아인 루트비히 사후 그해 10월 서프랑크 왕국의 대머리 카를 2세가 알프스산맥을 넘어와 이탈리아 왕관 및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을 차지하면서 형제는 사면받고, 다시 스폴레토로 돌아올 수 있었다. 876년 카메리노 후작이 되었다. 같은 해 6월부터는 아버지 귀도 1세의 유언대로 스폴레토의 동부 지역의 통치권을 위임받았다.[1]

876년877년 귀도 3세는 교황 요한네스 8세를 도와, 이탈리아 남부 캄파니아의 지중해변으로 쳐들어온 사라센 군대와 맞서 싸웠지만 이렇다할 성과는 얻지 못했다. 878년 장인 아델히스가 암살당하자 귀도는 베네벤토 공국의 계승권에 개입하여 처가 친척 라델히스 2세와 대립했으나 실패했다.

귀도와 그의 형 람베르토 1세는 황제인 대머리 카를 2세 및 교황 요한네스 8세, 나폴리의 귀족들과 함께 사라센인의 침략에 대비해 일시적으로 동맹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귀도와 그의 형 람베르토 1세는 평소 교황이나 나폴리, 남부 이탈리아의 귀족들과는 사이가 좋지 않았다.

880년에 람베르토가 사망하면서 그는 카메리노의 변경백령을 구이에게 물려주었고,[5] 882년에 구이는 조카 스폴레토의 구이 2세의 교황령 침공을 지원했다.[2] 이로 인해 그는 황제 뚱보 카를과 충돌하게 되었고, 같은 해 베로나에서 열린 회의에서 황제는 그와 함께 많은 수의 다른 중요한 이탈리아 귀족들의 봉토를 박탈했다.[6] 반란을 일으킨 구이는 인근 사라센과 동맹을 맺고 추가 영토를 획득하기 시작했다. 이 시점에서 라벤나에서 열린 제국 회의에서 황제는 그에게 반역죄를 선고했고, 프리울리의 베렌가리오는 무력으로 그의 봉토를 빼앗으라는 명령을 받았다.[7]

883년, 구이는 조카의 스폴레토 칭호를 상속받아 공국을 재통합했고, 이후 "스폴레토와 카메리노 공국"으로 불리며 ''dux et marchio''(공작이자 변경백)라는 칭호를 받았고 (통치자 번호 III을 얻음), 884년 말까지 황제 카를 3세는 구이와 화해를 해야 했고, 그는 공식적으로 자신의 칭호를 회복했다.[8] 그 후 885년에 그는 때때로 동맹이었던 가릴리아노의 사라센과 싸웠다.

882년, 카를 3세에게 반역 혐의로 영토를 빼앗겼지만, 다음 해에 다시 점령하여 카메리노 후작이 되었다. 885년에는 갈릴리아노 강에서 사라센인을 격퇴했다.

2. 3. 이탈리아의 왕, 그리고 신성 로마 황제 즉위

888년 1월 조카인 아르눌프의 쿠데타로 축출된 황제 카를 3세가 퇴위하자, 귀도 3세는 888년 3월 자립을 선언하고 이탈리아의 왕을 선언함과 동시에 교황 포르모수스에게 압력을 가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관을 차지했다.[13] 889년 2월 16일에는 파비아에서 프리울리 후작 베렌가리오 1세를 격퇴하고 이탈리아 국왕으로 즉위했으며, 베렝가리오의 영향력하에 있는 프리울리, 제노바, 에밀리아로마냐 등 알프스산맥 근처와 이탈리아 북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실질적으로 통치하기 시작하였다.[14]

888년 여름, 귀도 3세의 군대는 브레시아 강에서 프리울리 후작 베렝가리오 1세의 군대와 맞붙었고, 10월 알프스산맥 근처에서 자신의 추종자들을 결집하여 스스로를 이탈리아의 왕으로 주장했다. 888년 12월 파비아에서 열린 귀족들, 주교들의 선거에서 귀도 3세는 다시 이탈리아의 왕으로 당선되었다. 같은 해 12월 연말, 교황 스테파노 5세파비아에서 귀도 3세를 이탈리아의 왕으로 공인하였다. 그러나 베렝가리오 1세는 불복했고, 889년 1월 초 에밀리아로마냐의 트레비아 강변에서 베렝가리오 1세의 군대를 꺾고, 1월 주현절(예수 공현 대축일) 티베르강가에서 베렝가리오 1세의 군대를 최종적으로 격파했다.[14]

889년 2월 16일 파비아포강변에서 이탈리아의 왕으로 대관식을 거행하였다. 889년 3월 여동생 로틸드(Rotilde)의 남편인 토스카나 후작 아달베르토 2세 등의 도움으로 이탈리아 귀족들 과반수의 지지를 얻어, 베렝가리오를 꺾고 이탈리아의 패권을 확정하였다. 하지만 귀도의 정치적 영향력은 이탈리아 중부 티베르강 이남, 중부와 남부 이탈리아로 한정되었다.[15]

891년 2월 21일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 즉위하였다. 귀도는 즉위와 동시에 "새로운 프랑크 왕국(Renovatio Francorum)"을 선언하였다. 같은 날, 귀도 3세는 왕권을 확정하고자 교황 스테파노 5세에 의해 아들 람베르토 2세에게 이탈리아 왕관을 주고, 람베르토 2세를 공동 황제 겸 이탈리아의 공동 국왕으로 선포하였다.[15] 즉위 후 귀도 3세는 카롤링거 왕조 시대의 전통을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선대의 카피툴라리아(Capitulary)를 존중하였다. 그는 자신의 영지에 만족하여 다른 군주, 영주들의 영지를 넘보지 않았고, 북부 이탈리아를 통제하려 하지 않았다. 그의 영향력은 프리울리, 제노바 등의 지역을 비롯한 이탈리아 북부를 제외한 이탈리아 중, 남부에 한정되었다.

2. 4. 전쟁과 최후

892년 4월 30일8월 30일, 그리고 893년 초, 구이도 3세는 라벤나를 방문하여 교황 포르모소에게 아들 람베르토를 공동 황제로 인정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구이도는 군사적 압력을 행사하여 교황 포르모소에게 아들 람베르토의 공동 황제 추인을 강요했다. 교황 포르모소는 비밀리에 아르눌프에게 사람을 보내 도움을 호소하였다.

동시에 구이도 3세는 아르눌프의 소환 명령을 거부하고 외드와 대립하던 서프랑크의 단순왕 샤를 3세를 보호하였다. 893년 1월 28일 단순왕 샤를 3세와 동맹을 맺었으나 샤를 3세가 아직 소년이었으므로, 구이도는 서프랑크 왕국의 일부 주교들을 통해 샤를을 보호하게 하였다.

894년 아르눌프는 자신의 봉신이기도 한 베렝가리오 1세를 이탈리아 국왕으로 봉했고, 베렝가리오 1세는 다시 동프랑크 왕국아헨으로 갔다. 그 해 아르눌프는 다시 이탈리아를 공략하였다. 894년 가을 아르눌프의 군대는 알프스산맥을 넘어 베렝가리오 1세의 군대의 도움을 받아 베르가모밀라노, 트렌토, 파비아를 함락시키고 구이도에게 스폴레토로 은퇴할 것을 종용하였다. 그러나 겨울이 되면서 혹한과 기상 악화에 시달리면서 아르눌프의 군대는 몇 주 후 이탈리아를 떠나 독일로 되돌아갔고, 구이도 3세는 곧 잃어버린 도시들을 모두 회복하였다. 구이도 3세는 자신의 요새화된 성에서 군사를 재정비하여 다시 전투를 치를 계획을 세우고 아내 아겔트루드와 아들 람베르토를 피신시킨 뒤, 자신은 타로 강을 넘어 스폴레토로 갔다. 그러나 구이도는 894년 12월 12일피아첸차에서 파르마로 가던 중 갑자기 사망하였다.[18]

구이도 3세의 시신은 파르마 성당에 매장되었다. 그의 부인 아겔트루드의 보호 아래 공동 국왕 겸 공동 황제였던 람베르토 2세가 이탈리아 철왕관 및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베렝가리오 1세와 아르눌프는 계승권에 대해 계속 이의를 제기하였다.

896년부터는 사실상 이탈리아는 그의 아들 람베르토 2세, 베렝가리오 1세, 아르눌프가 공동으로 소유권을 주장하게 되었다.

구이도 3세 치세의 스폴레토 데나리우스

3. 유산

889년 파비아에서 열린 구이 왕의 대관식 문서에 찍힌 구이의 인장


구이의 권력은 그의 세습 영토를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이는 9세기 말에 이르러 보편적인 지배를 표방하는 황제의 칭호가 교황의 호의를 나타내는 징표가 되어, 여러 이탈리아 귀족들이 서로 다투는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주었다. 구이는 재위 기간 대부분 동안 왕좌를 놓고 다른 경쟁자들과 싸우며 이탈리아 북부조차 확고하게 통제하지 못했다. 그는 카롤링거 왕조의 전통을 유지하려 노력했고, 이전 황제들처럼 사령장을 발부했다. 891년, 구이는 토지 소유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아리만니에게 전통적인 군 복무를 요구했다.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람베르토 1세낭트 백작. 836년 사망.
할머니롬바르디아의 아델라이드피피노 카를로만의 딸, 샤를마뉴의 손녀.
삼촌람베르토 2세
숙모로틸드로타르 1세의 딸. 숙모이자 진외가 7촌 이모.
아버지귀도 1세스폴레토 공작. 860년 사망.
어머니베네벤토의 이타베네벤토의 싸이코(Sico of Benevento)의 딸.
람베르토 1세
조카귀도 2세
부인아겔트루드 드 토스카나베네벤토 공작 아델히스의 딸.
아들람베르토 2세황제이자 이탈리아 왕.
아들귀도 4세스폴레토 공작.
장인아델히스베네벤토 공작.
장모아겔트루드
처남아델히스


참조

[1] 서적 Mann III
[2] 서적 Mann III
[3] 서적 Mann III
[4] 서적 Mann III
[5] 서적 Mann III
[6] 서적 Mann III
[7] 서적 Mann III
[8] 서적 Mann III
[9] 서적 Mann III
[10] 서적 De Manteyer
[11] 서적 Comyn
[12] 서적 Mann III
[13] 서적 Mann III
[14] 웹사이트 "Representing Royal Authority at San Michele Maggiore in Pavia" https://www.academia[...] 2022-07-30
[15] 서적 Mann III
[16] 서적 Mann IV
[17] 서적 Comyn
[18] 서적 Mann IV
[19] 문서 뒤에 그와 황제관을 놓고 다투게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