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지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지겸은 9세기 후반 중국 당나라 말기에 활약한 군인으로, 남한의 건국 기반을 마련한 인물이다. 광저우의 야문장군으로 시작하여, 링난 동도 절도사 웨이저우의 발탁으로 그의 조카딸과 결혼했다. 황소의 난 이후 봉주를 장악하고 당나라로부터 봉주자사로 임명받아 군사력을 키웠다. 유지겸은 병사 1만 명과 전함 100여 척을 보유하며 지역 안정을 이루었고, 아들 유은이 봉주자사를 계승했다. 사후에는 남한에서 성무황제, 대조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한의 추존황제 - 유은 (874년)
    유은은 당나라 말기 오대십국 시대의 군벌이자 남한 건국자 유엄의 형으로, 봉주 자사를 거쳐 청해군절도사가 되어 광동과 광서 지역에 세력을 확장하고 후량으로부터 남평왕에 봉해졌으며, 사후 남한 건국으로 양황제로 추존되었다.
  • 894년 사망 - 대현석
    대현석은 대야발의 7대손이자 발해의 왕으로, 일본과 교역하고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며 국제적 위상을 높였다.
  • 894년 사망 -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
    구이도 3세 스폴레텐시스는 9세기 이탈리아 유력 가문 출신으로 스폴레토 공작, 이탈리아 국왕,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지냈으며, 권력 강화를 위해 교황청과 갈등을 겪었다.
유지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유지겸/유겸
원어이름劉知謙/劉謙
출생일불명
출생지중국 당나라 채주(蔡州, 지금의 허난성 주마뎬 시) 상채(?) (《신당서》·《신오대사》 ·《남한서(南漢書)》·《자치통감》)
봉주(封州, 지금의 광둥성 자오칭시) 하수(賀水, 지금의 광시성 난닝시 신청현) 《당 고 연국명혜부인 팽성 유씨 묘지(唐故燕國明惠夫人彭城劉氏墓誌)》
사망일894년
사망지봉주
사망원인병사
국적중국 당나라
경력청해군(淸海軍) 소교(小校)/아교(牙校) (? ~ 883년)
봉주(封州) 자사 (883년 ~ 894년)
하수진사(賀水鎭使, 883년 ~ 894년)
직업당나라 군인, 봉주(封州)자사
활동 기간880년 이전 (?) ~ 894년
자녀아들 유은(劉隱), 유태(劉台), 유암(劉巖)

2. 생애

유지겸은 젊은 시절 광저우에서 야문장군으로 있었다[10]. 이후 링난 동도 절도사 위주에게 발탁되어 그의 조카딸 위씨와 혼인했다[11]. 878년 황소가 광저우를 침공하여 링난 지역이 혼란에 빠지자, 여러 차례 도적을 토벌하여 공을 세웠다. 883년 봉주자사 겸 하강 진알사로 임명되어 우저우·구이저우 이서를 관할하게 되었다. 유지겸은 병사와 재물을 모아 수년 후에는 정예병 1만 명과 전함 100여 척을 보유하게 되었다[10].

894년 11월 사망했다. 『남한서』에 따르면, 유지겸은 병상에서 아들들에게 "지금 오령(광둥, 광시)에서는 곳곳에서 도적들이 봉기하고 있다. 나에게는 정예 병사와 무기가 있다. 너희들은 힘써 공을 세워 시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라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남한 건국 후 성무황제의 시호[10]와 대조의 묘호를 받아 추존되었다.

2. 1. 배경

유지겸의 가계에 대한 기록은 여러 전거 자료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나지만, 그가 당시 사회적으로 낮은 지위에서 시작했다는 점에서는 일치한다. 《신당서》, 《구오대사》, 《신오대사》 등 여러 사서의 기록을 종합하면, 유지겸의 선조는 상채 출신으로, 전란을 피해 영남 지방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12][15][16]

그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유인안(劉仁安), 유안인(劉安仁), 유안(劉安) 등 다양한 이름이 전해지며,[15][16] 묘지 기록에 따르면 팽성 유씨 가문 출신으로 광주로 피난, 남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7]

2. 2. 초기 경력

유지겸은 청해군(淸海軍)의 하급 장교로 군 생활을 시작했다. 낮은 사회적 지위에도 불구하고, 유지겸의 재능을 알아본 영남동도(嶺南東道) 절도사 위주(韋宙)는 자신의 조카딸과 유지겸을 결혼시켰다. 위주는 "이 사람은 평범한 사람이 아니다. 아마도 언젠가는 나의 후손들이 그에게 의지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12]

이후 유지겸은 농민 반란군을 격파하며 여러 차례 공을 세웠다.[18] 879년, 황소의 난으로 황소의 농민 대반란군이 영남동도 번진의 수도 광주(廣州)를 점령하였다.[19] 880년, 황소가 광주를 떠나자 일대는 혼란에 빠졌고, 유지겸은 이 기회를 틈타 봉주(封州)를 장악했다. 883년 7월 13일,[20] 당 희종은 유지겸을 봉주자사(刺史) 겸 하수진(賀水鎭)사(使)로 임명하였다.[18][12]

2. 3. 봉주의 통치

유지겸은 봉주(지금의 우저우)자사로 있으면서 피난민들을 받아들이고 경비를 절약하며 군사력을 증강시켜 를 안정시켰다. 그는 1만 명이 넘는 군대를 구축하고 상당수의 전함을 보유하게 되었다.[12]

그 후 병이 들자, 자신의 아들들을 불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12]

"요즈음 무릉 일대의 도적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나는 강한 군사들과 날카로운 무기들을 가지고 있다. 너희들은 이 기회를 놓치지 말고 그것들을 가지고 대업을 이루도록 하라!"[12]

894년 유지겸이 사망하자,[21] 그의 장병들은 그의 아들 유은을 대장으로 추대하였다. 당시 청해군 절도사 유숭구(劉崇龜)는 당 소종에게 유은을 추천하였고, 소종은 유지겸의 후임으로 유은을 봉주자사에 임명하였다.[12]

3. 이름에 대해

유지겸은 劉謙중국어, 劉謙望중국어, 德光중국어, 知謙중국어, 止謙중국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다. 『구오대사』, 『책부원구』, 『신오대사』, 『십국춘추』 등은 '유겸'으로 표기하고 있으며, 『십국기년』에는 "유겸망은 자가 덕광이고, 다른 이름은 지겸인데, 후에 지겸으로 고쳤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유겸의 손녀 청원공주의 묘지에는 "조상은 겸이라고 하며, 자는 내광이다"라고 기재되어 있어,[1] '유겸'이 본명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4. 가계

劉知謙중국어 또는 劉謙중국어의 가계는 여러 사서에 따라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관계이름비고
아버지劉仁安중국어[13][15]/劉安仁중국어[16]/劉安중국어[17]남한 건국 후 문황제(文皇帝)[10], 태조(太祖)로 추존됨.
정실韋氏중국어영남동도 절도사 위주(韋宙)의 조카딸. 사후 무황후(武皇后)로 추존됨.
측실段氏중국어劉巖중국어(훗날의 劉龑중국어)의 어머니. 889년 사망.
아들劉隱중국어 (874년 ~ 911년)청해군 절도사 역임.
아들劉台중국어
아들劉巖중국어 (889년 ~ 942년)남한의 초대 황제, 후에 劉龑중국어으로 개명.


참조

[1] 서적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2] 서적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https://zh.wikisourc[...]
[3]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4] 문서
[5]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6]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7] 서적 Zizhi Tongjian https://zh.wikisourc[...]
[8] 간행물 南漢劉氏の祖先につきて http://id.nii.ac.jp/[...] [[東洋文庫]] 1916-05
[9] 뉴스 劉復愚遺文中年月及其不祀祖問題 http://www2.ihp.sini[...] [[中央研究院歴史語言研究所]] 1939
[10] 서적 新五代史
[11] 서적 旧五代史
[12] 서적 신당서 https://zh.wikisourc[...]
[13] 서적 남한서 https://archive.org/[...]
[14] 문서
[15] 서적 구오대사 https://zh.wikisourc[...]
[16] 서적 신오대사 https://zh.wikisourc[...]
[17] 간행물 복건에서 출토된《당 고 연국명혜부인 팽성 유씨 묘지》(唐故燕國明惠夫人彭城劉氏墓誌)》에 대한 고찰과 분석 http://wenku.baidu.c[...] 2010-09
[18]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19]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20] 웹사이트 대만 중앙연구원 중국력(中國曆) ↔ 서력(西曆) 변환기 http://sinocal.sinic[...]
[21] 서적 자치통감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