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고등여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제고등여학교는 1872년 일본 문부성이 설치를 포고한 관립 여자학교에서 시작되어, 1882년 '고등여학교' 명칭이 처음 사용되었다. 1899년 고등여학교령 공포로 중학교령에서 분리·독립되었으며,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학생 모집이 중단되고 1948년 폐지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한국인을 위한 여자고등보통학교가 고등여학교로 개칭되었으며, 전국 각지에 공립 및 사립 고등여학교가 설립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여자고등학교로 전환되거나 남녀공학으로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여학교 - 가쿠슈인 여자고등과
가쿠슈인 여자고등과는 닌코 천황이 교토 어소에 마련한 학습소의 여자교과에서 시작된 일본 사립 여자 고등학교로, 화족여학교를 거쳐 여자 학습원으로 분리되었다가 학교법인 가쿠슈인에 통합되었으며, 황실 인사와 사회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졸업생을 배출하고 학생들의 자립심을 존중하는 교풍을 지향하며 다양한 클럽 및 위원회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전인적인 성장을 지원한다. - 일본의 여학교 - 메이지 여학교
1885년 기무라 구마지가 설립한 메이지 여학교는 기독교주의 여자 학교로, 외국의 여자 교육법을 따르지 않고 선교 자금에 의존하지 않는 자체 학교를 표방하며 여성의 자립과 사회 참여를 중시하는 교육을 제공했으나, 재정난과 화재로 1909년 폐교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교육 - 구제중학교
구제중학교는 일본 중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5년제 후기 중등 교육 기관으로, 엘리트 등용문으로 여겨졌으나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되어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유사 학교들도 해방 후 학제 개혁을 거쳐 신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교육 - 조선교육령
조선교육령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교육 제도를 규정한 법령으로, 조선인을 위한 교육을 규정하였으나 일본인과의 차별, 일본 중심 교육, 민족 의식 말살 정책 강화 등으로 비판받았으며 현재는 효력을 상실하였다.
구제고등여학교 | |
---|---|
개요 | |
명칭 | 고등 여학교 (高等女學校) |
약칭 | 고여 (高女) |
영문 명칭 | Higher Girls' School |
역사 | |
설립 시기 | 1899년 (일본) |
폐지 시기 | 1947년 (일본), 1950년 (한국) |
배경 | 고등 교육을 받은 여성 인력 양성 필요성 증대 |
연혁 | 1899년: 일본에서 고등 여학교 설립 시작 1908년: 여자 고등 교육 기관에 관한 규정 (일본) 1947년: 일본에서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 1950년: 한국에서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 |
교육 | |
교육 목표 | 여성의 교양 함양 여성의 직업 능력 함양 여성의 사회 참여 능력 함양 |
교육 내용 | 수신 교육칙어 낭독 국어 (일본어) 역사 지리 수학 이과 외국어 재봉 가사 체조 음악 습자 |
특징 | |
입학 자격 | 소학교 졸업생 (만 12세 이상) |
수업 연한 | 4년 (후에 5년으로 연장) |
졸업 후 진로 | 여자 전문학교 진학 교사 (소학교, 여자 실업학교) 일반 기업 취업 결혼 |
한국의 고등 여학교 | |
배경 | 일제강점기 시대, 한국 여성 교육의 주요 기관 |
교육 과정 | 일본어 교육 강화 황민화 교육 실시 |
졸업생의 역할 | 독립 운동 참여 여성 계몽 운동 참여 |
관련 단어 | |
관련 단어 | 여자 고등학교 사범학교 여자 전문학교 신여성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조선총독부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진명여자고등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고등학교 |
구제 고등 여학교 | |
유형 | 구제 학교 |
영문 명칭 | Girls' Higher School under the old system |
일본어 명칭 | 高等女学校 (こうとうじょがっこう) |
약칭 | 고여 (高女, こうじょ) |
설명 | 일본 제국 시기에 설립된 중등 교육 기관으로,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고등 교육을 제공 |
역사 | |
설립 목적 | 여성의 교양 함양과 사회 활동에 필요한 지식 및 기술 교육 |
교육 과정 | 수신 (修身): 도덕 교육 국어 (国語): 일본어 및 문학 외국어 (外国語): 주로 영어 역사 (歴史): 일본사 및 세계사 지리 (地理): 일본 지리 및 세계 지리 수학 (数学): 산술 및 대수 이과 (理科): 물리, 화학, 생물 가사 (家事): 요리, 재봉, 육아 재예 (才芸): 음악, 미술, 서예 체조 (体操): 신체 단련 |
특징 | 수업 연한: 초기에는 4년, 이후 5년으로 연장 입학 자격: 소학교 졸업생 졸업 후 진로: 여자 전문학교 진학, 교사, 일반 회사 취업, 결혼 |
폐지 |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학제 개편에 따라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 |
2. 일본의 구제 고등여학교
1871년(메이지 4년) 도쿄에 설치된 관립여학교를 시초로, 1899년(메이지 32년) '고등여학교령(高等女學校令)'이 공포되면서 제도화되었다. 각 현에는 제1고등여학교(第一高等女学校)가 설치되었다.
1948년 학제 개혁으로 고등여학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으며,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대부분 남녀공학으로 전환되었다.
2. 1. 역사
1872년(메이지 5년) 관립 여자학교 개교를 시작으로, 여러 차례의 학제 개편을 거치며 고등여학교의 명칭과 제도가 정립되었다. 1899년 (메이지 32년) 고등여학교령 공포, 1943년 (쇼와 18년) 중등학교령 공포 등을 거쳐 1947년 (쇼와 22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될 때까지 일본 여성 중등교육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다.메이지 시대 초기에는 여자에 대한 중등 교육 기관에 대한 구체적인 법령이나 규정이 없었다. 그러나 점차 정비되어 1882년 (메이지 15년) 여자사범학교 부속 고등여학교 설립으로 '고등여학교'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1] 1891년 (메이지 24년) 중학교령 개정에서는 제14조에 여자 중등 교육 규정이 마련되어, 고등여학교가 처음으로 칙령 안에 등장했다. 1895년 (메이지 28년)에는 '고등여학교 규정'이 공포되었고, 1899년 (메이지 32년)에는 독립된 학교령으로 고등여학교령이 공포되었다.
1943년 (쇼와 18년) 공포된 중등학교령에 의해, 중학교, 실업학교와 함께 구제 중등 교육 학교로서 같은 법령으로 묶였다.
1947년 (쇼와 22년) 학제 개혁 (학교교육법 공포·시행)에 의해 고등여학교는 학생 모집을 중단했고, 다음 해 1948년 (쇼와 23년) 3월에 고등여학교는 폐지되었으며, 같은 해 4월에 신제 고등학교로 발족했다. 이때, 구제 중학교와 함께 대부분의 공립고등학교가 남녀 공학을 실현했다.
시작 시 (수료 시) 연령 | 고등여학교 학년 | 다른 구제 학교·학년 (1946년 (쇼와 21년) 시점) | 현재의 학교·학년 |
---|---|---|---|
12세 (13세) | 고등여학교 1학년 | 국민학교 고등과 1학년, 청년학교 보통과 1학년, 구제 중학교 1학년, 실업학교 1학년, 고등학교(구제) 1학년 | 신제 중학교 1학년 |
13세 (14세) | 고등여학교 2학년 | 국민학교 고등과 2학년, 청년학교 보통과 2학년, 구제 중학교 2학년, 실업학교 2학년, 고등학교 (구제) 2학년 | 신제 중학교 2학년 |
14세 (15세) | 고등여학교 3학년 | 국민학교 특수과, 청년학교 본과 1학년, 구제 중학교 3학년, 실업학교 3학년, 고등학교 (구제) 3학년, 사범학교 예과 1학년 | 신제 중학교 3학년 |
15세 (16세) | 고등여학교 4학년 | 청년학교 본과 2학년, 구제 중학교 4학년, 실업학교 4학년, 고등학교 (구제) 4학년, 사범학교 예과 2학년 | 신제 고등학교 1학년 |
16세 (17세) | 고등여학교 5학년 | 청년학교 본과 3학년, 구제 중학교 5학년, 실업학교 5학년, 고등학교 (구제) 고등과 1학년, 사범학교 예과 3학년, 대학 예과 1학년 | 신제 고등학교 2학년 |
- 1872년
- * 1월 (구력: 메이지 4년 12월[1]) - 문부성, 도쿄부 아래에 관립 (국립) 여자학교 설치를 포고.
- * 3월 (구력: 메이지 5년 2월[1]) - '''관립 여자학교''' 개교. 입학 시 연령을 8~15세, 수업 연한을 6년으로 함.
- * 9월 4일 (구력: 메이지 5년 8월 2일[1]) - 학제 공포.
- * 12월 (구력: 메이지 5년 11월[1]) - '''도쿄여학교'''로 개칭. 수업 연한 6년.
- 1875년 (메이지 8년) - 학칙 개정. 입학 자격을 초등학교 졸업 정도 (14세 이상)로 하여 중등 교육에 상당하는 기관으로 개편 (수업 연한은 6년 그대로).
- 1877년 (메이지 10년) 2월 19일 - 서남 전쟁에 따른 재정난으로 도쿄여학교 폐교. 재학생은 도쿄 여자사범학교로 이관되어 영문과에 수용.
- 1878년 (메이지 11년) 1월 - 도쿄 여자사범학교, 영문과를 별과로 개칭. 7월 - 도쿄 여자사범학교, 별과 폐지, 학생을 예과에 편입.
- 1879년 (메이지 12년) 3월 24일 - 도쿄 여자사범학교 예과 폐지. 학생을 사립 여자사범 예비학교에 수용.
- 1880년 (메이지 13년) 7월 - 도쿄 여자사범학교, 예과 재설치, 구 학생 복교.
- 1879년 (메이지 12년) 9월 29일 - 교육령 (메이지 12년 태정관 포고 제40호) 공포. 제42조에 초등학교를 제외하고 남녀별학이 '''명문화'''.
- 1882년 (메이지 15년) 7월 10일 - 도쿄여자사범학교 예과 개편. '''고등여학교''' 부설 (도쿄여자사범학교 부속 고등여학교 (※ 현 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부속 중학교·오차노미즈 여자대학 부속 고등학교)). '''이후, "고등여학교" 명칭 사용'''.
- * 수업 연한을 3년의 "하등"과 2년의 "상등"의 2등제 (총'''5년''')로 함.
- * 입학 자격을 초등학교[2] 6학년 (중등과 수료 정도) 수료 이상의 학력이 있는 자로 규정.
- 1885년 (메이지 18년) 8월 - 도쿄여자사범학교가 통합으로 도쿄사범학교 여자부가 됨.
- 1886년 (메이지 19년)
- * 2월 18일 - 도쿄사범학교 여자부에서 부속 고등여학교 분리. "'''고등여학교'''"로서 독립 (같은 해 6월 19일에 '''도쿄고등여학교'''로 개칭).
- * 4월 10일 - 중학교령 (메이지 19년 칙령 제15호) 공포. 여자의 중등 교육에 관한 규정은 없었음.
- 1891년 (메이지 24년) 12월 14일 - 중학교령 일부 개정 (메이지 24년 칙령 제243호)
- * 14조에 여자 중등 교육 규정 설치. '''고등여학교는 보통 중학교의 일종'''으로, '''여자 중등 교육 기관으로서 처음으로 법제상 명문화'''.
- 1893년 (메이지 26년) - "보통 중학교 고등여학교 기예학교 설치를 위한 읍면 학교 조합 설치 건" (메이지 26년 칙령 제33호)
- 1894년 (메이지 27년) - "보통사범학교 보통중학교 고등여학교 교원 면허 검정에 관한 규정" (메이지 27년 문부성령 제8호)
- 1895년 (메이지 28년) 1월 29일 - "고등여학교 규정" 공포.
- * 수업 연한을 '''6년'''으로 함. 단, 지역 상황에 따라 1년 신축 (5년 또는 7년)을 인정하고, 입학 시 수료 과정에 따라 3년까지 단축 (4년) 가능.
- * 입학 자격을 보통 초등학교 졸업자 (10세 이상)로 규정.
- * 주로 가정학 관련 학과를 전공으로 하는 '''기예전수과''' 설치 인가.
- 1899년 (메이지 32년)
- * 2월 8일 - "'''고등여학교령'''" (메이지 32년 칙령 제31호) 공포. 중학교령에서 분리·독립.
- ** 수업 연한'''4년을 기본'''으로 함. 토지 상황에 따라 1년 신축 (3년 또는 5년) 인정.
- ** 보충과 (수업 연한: 2년 이내), 기예전수과, 전공과 설치 가능.
- ** 입학 자격을 보통 초등학교 졸업자 (10세 이상)에서 고등 초등학교 2년 수료자 (12세 이상)로 함.
- * 3월 - "중학교 및 고등여학교 설치 폐지 규칙", "고등여학교 교원에 관한 건" 제정.
- * 4월 - "사범학교 중학교 및 고등여학교 건축 준칙" 제정.
- 1901년 (메이지 34년) 3월 22일 - "고등여학교령 시행 규칙" 제정.
- 1907년 (메이지 40년) 7월 18일 - 고등여학교령 개정 (메이지 40년 칙령 281호)
- * 의무 교육 연한 연장[3]에 따른 조치로, 입학 자격을 12세 이상, 보통 초등학교 (6년) 졸업자로 변경. 수업 연한 1년 신축을 인정하던 종래 규정을 개정, 1년 연장만 인정 (단축은 인정하지 않음). '''수업 연한 4년과 5년 2종류'''.
- 1910년 (메이지 43년) 10월 26일 - 고등여학교령 개정 (메이지 43년 칙령 제424호)
- * 기예전수과 규정 개정. 11조에 가정을 주로 배우는 자를 위해 '''실과''' 설치. '''실과만 설치하는 고등여학교를 실과고등여학교'''[4]라고 칭하는 것을 규정.
- * 실과 수업 연한 - 입학 자격에 따라 3종류.
- ** 보통 초등학교 졸업 정도 (12세 이상) 입학 시 4년
- ** 고등 초등학교 1학년 수료 정도 (13세 이상) 입학 시 3년
- ** 고등 초등학교 졸업 정도 (14세 이상) 입학 시 2년 (단, 이 경우 1년 연장도 가능).
- * 실과 과목 - 재봉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실업을 더함.
- * 지방 정황에 따라 실과고등여학교를 고등 초등학교에 부설하는 것 인정.
- 1920년 (다이쇼 9년) 7월 6일 - 고등여학교령 개정 (다이쇼 9년 칙령 제199호)
- * 설치자를 종래 도부현에서 시정촌·학교 조합에도 확충.
- * 수업 연한'''5년을 기본'''으로 함.
- * 종래 전공과에 더해, 고등여학교 졸업자에 대해 '''고등과 (수업 연한: 2~3년) 설치''' 가능.
- 1941년 (쇼와 16년) 4월 1일 - 국민학교령 시행. 고등여학교 입학 자격이 국민학교 초등과 수료 정도 (12세 이상)가 됨.
- 1943년 (쇼와 18년)
- * 1월 21일 - 중학교령 (쇼와 18년 칙령 제36호) 공포, 고등여학교 규정 제정.
- ** 중학교·고등여학교·실업학교 3종류 학교가 중학교 (구제)로서 같은 제도로 통일.
- ** 쇼와 18년도 입학생부터 수업 연한 '''4년'''으로 단축.
- ** 국민학교 고등과 졸업 정도 (14세 이상)를 입학 자격으로 하는 고등여학교 (수업 연한 2년) 설치 인가.
- ** '''야간 고등여학교''' (수업 연한 3년) 설치 인가.
- ** 종래 보충과 폐지.
- ** '''실과고등여학교 명칭 폐지'''.
- * 10월 12일 - 교육에 관한 전시 비상 조치 방책 각의 결정.
- ** 쇼와 19년도부터 4학년 수료자에게도 상급 학교 입학 자격 부여.
- ** 쇼와 20년 3월부터, 중학교령 시행 전 입학 학생 (1941년 (쇼와 16년) 입학생)에게도 수업 연한 4년 적용 (수업 연한 단축)[5].
- * 12월 - 제32군(오키나와 수비군) 사령부가 직접 오키나와현 측에 신청. 현내 15세부터 고등여학교 학도대 편성 결정.
- 1945년 (쇼와 20년)
- * 3월 - 결전 교육 조치 요강[6] 각의 결정. 쇼와 20년도 (같은 해 4월부터 다음 해 3월 말까지) 수업 정지.
- ** 미군 오키나와 상륙 직전, 오키나와현 내 9개교 고등여학교 학생 학도대 (히메유리 학도대, 백매 학도대 등) 편성. 간호 활동 등에 종군하여 엄청난 희생자 발생.
- * 5월 22일 - 전시 교육령 공포. 수업 무기한 정지 법제화.
- * 8월 15일 - 종전.
- * 8월 21일 - 문부성, 전시 교육령 폐지 결정. 같은 해 9월부터 수업 재개.
- * 9월 12일 - 문부성, 전시 교육을 평시 교육으로 전환하는 긴급 사항 지시.
- 1946년 (쇼와 21년) - 수업 연한 '''5년'''으로 복귀.
- 1947년 (쇼와 22년) 4월 1일 - 학제 개혁 (육·삼 제도 실시, 신제 중학교 발족)
- * 고등여학교 학생 모집 정지.
- * 신제 중학교 병설 (명칭: 고등여학교 병설 중학교, 이하·병설 중학교). 고등여학교 1[7]·2년[8] 수료자를 신제 중학교 2·3학년으로 수용.
- * 신제 중학교는 경과 조치로 잠정 설치. 신규 학생 모집은 하지 않고, 재학생이 2·3학년뿐인 중학교. 단, 사립은 학생 모집 계속. 현재도 중고등학교 일관 학교로 남는 학교 다수.
- * 고등여학교 3[9]·4년[10] 수료자는 그대로 고등여학교 재적. 4·5학년 (4년 졸업도 가능).
- 1948년 (쇼와 23년) 4월 1일 - 학제 개혁 (육·삼·삼 제도 실시, 신제 고등학교 발족)
- * 고등여학교 '''폐지''', 신제 고등학교 발족. 구 고등여학교 다수 '''여자 고등학교'''로 전환.
- * 고등여학교 졸업생[10]을 신제 고등학교 3년, 고등여학교 4년 수료자[9]를 신제 고등학교 2년으로 편입.
- * 병설 중학교 졸업생[8]을 신제 고등학교 1년으로 함.
- * 병설 중학교는 고등학교에 계승 (명칭: 고등학교 병설 중학교). 재학생 3학년[7]뿐. 사립은 학생 모집 계속. 현재도 중고등학교 일관 학교로 남는 학교 다수.
:;【고등여학교에서 신제 고등학교로 이행】
1946년도 (쇼와 21년도) | 1947년도 (쇼와 22년도) | 1948년도 (쇼와 23년도) | 1949년도 (쇼와 24년도) | 1950년도 (쇼와 25년도) | 1951년도 (쇼와 26년도) | ||||
---|---|---|---|---|---|---|---|---|---|
학제 개혁 고등여학교 모집 정지 신제 중학교 발족 신제 중학교 병설 | 학제 개혁 고등여학교 폐지 신제 고등학교 발족 연도 말 병설 중학교 폐지 | ||||||||
1943년 (쇼와 18년) 입학생 | 고등여학교 4학년 | 고등여학교 5학년 | 신제 고등학교 3학년 | ||||||
1944년 (쇼와 19년) 입학생 | 고등여학교 3학년 | 고등여학교 4학년 | 신제 고등학교 2학년 | 신제 고등학교 3학년 | |||||
1945년 (쇼와 20년) 입학생 | 고등여학교 2학년 | 병설(신제) 중학교 3학년 | 신제 고등학교 1학년 | 신제 고등학교 2학년 | 신제 고등학교 3년 | ||||
1946년 (쇼와 21년) 입학생 | 고등여학교 1학년 | 병설(신제) 중학교 2학년 | 병설(신제) 중학교 3학년 | 신제 고등학교 1학년 | 신제 고등학교 2년 | 신제 고등학교 3년 |
- 1948년 (쇼와 23년) 이후 - 고교 3원칙에 기초한 공립 고등학교 재편
- * 구제 중학교·실업학교 전신 고등학교와 통합. '''종합제 고등학교 (남녀 공학) 서서히 증가'''.
- * 종합제 고등학교 된 몇 년 후, 실업과 분리. 실업 (공업·농업·상업) 고등학교로 독립하는 예 다수.
- * 통합 없이 공학화된 학교도 있음. 현재까지 여자 고등학교로 존속하는 학교도 있음. (군마현, 사이타마현, 토치기현 등 북관동 지역 다수.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등 남토호쿠 지역 여자 고등학교는 21세기에 들어 남녀 공학화.)
- * 남녀 공학 되었지만, 고등여학교였다는 역사적 배경으로 남자 입학생 적어, 결국 남자 재적 0. 실질적 여자 학교 된 학교도 있음.
- * 사립 고등여학교는 대다수 여자 고등학교로 존속. 21세기 이후 학생 수 감소 영향으로 공학화로 전환하는 학교 증가.
- 1949년 (쇼와 24년) 3월 31일 - 마지막 졸업생[7] 배출, 병설 중학교 폐지.
- * 단, 사립 고등학교는 병설 중학교 폐지 않고, 현재까지 중고등학교 일관 학교로 남는 학교 다수.
2. 2. 교육 방침
1879년(메이지 12년) 9월 29일 공포된 「교육령」 제42조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등여학교에서의 교육은 "남녀별학"으로서의 여자 교육이었다.[1] 그 내용은 "현모양처가 될 소양을 갖추게 하고, 우미하고 고상한 기풍, 온량하고 정숙한 자질을 함양함과 더불어 중인 이상의 생활에 필수적인 학술 기예를 습득하게 하는 것을 요한다" (1899년, 가바야마 스케노리 문부상 발언)라고 하듯이, "가정 부인"으로서의 기예 교양 습득의 장으로 여겨졌으며, 고등 전문 교육은 필요 없다는 시각이 있었다.[1]2. 3. 진로
고등여학교 졸업 후 진학할 수 있는 곳은 고등여학교의 전공과 및 고등과, 사범학교의 여자부, 여자고등사범학교, 여자전문학교, 일부 사립대학 등으로 제한되었으며, 실제로 이들 고등 교육 기관에 진학한 자는 제2차 세계 대전 시기를 통틀어 1%에 미치지 못했다.[11] 대학이 여성에게 문호를 개방한 것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였다.[12]2. 4. 설치 수
1910년에는 193개교였던 고등여학교 수가 불과 10년 후인 1920년에는 배로 증가했고, 1925년에는 재학생 수가 5배 가까이 늘어 동시기 (남자의) 중학교 재학생 수를 넘어설 정도였다[11]. 이는 남자의 경우 교육이 “농업, 공업 등의 산업 종사나 병역으로의 즉시 전력” 육성이 요구되어 중학교 진학을 제한할 필요가 있었던 반면, 사회 진출이 제한된 여성에 대한 교육은 그럴 필요성이 적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과고등여학교 설치 또한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에도 고등여학교가 보급되는 계기가 되었다[11].1905년에 5%에도 미치지 못했던 고등여학교 진학률은 여성의 심상소학교 취학률이 거의 100%가 된 1910년 무렵부터 서서히 높아져, 1920년에는 9%, 1925년에는 15% 가까이 상승하여 거의 대중화 단계에 들어섰다[11].
3. 일제강점기 한국의 구제 고등여학교
1938년 조선교육령 개정에 따라, 한국인을 위한 여자고등보통학교도 고등여학교로 개칭되었다.[13] 이전에는 공립 고등여학교가 대부분 일본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학생들 역시 대부분 일본인이었다.
1940년을 기준으로 조선 각지에 설립된 고등여학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지역별 학교 목록 (1940년 기준)
1940년을 기준으로 조선 각지에 설립된 고등여학교는 다음과 같다.도 | 학교 |
---|---|
경기도 | 경기여자고등학교, 수도여자고등학교, 창덕여자고등학교, 무학여자고등학교, 인천여자고등학교, 수원제일중학교, 수원여자고등학교, 개성공립고등여학교, 용곡고등여학교, 숙명여자고등학교, 진명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고등학교, 호수돈여자고등학교, 배화여자고등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 박문여자고등학교 |
충청북도 | 청주공립고등여학교[14], 충주여자고등학교 |
충청남도 | 대전여자중학교, 대전여자고등학교, 세종중학교 (세종), 세종여자고등학교, 강경고등학교, 강경여자중학교, 공주여자고등학교 |
전라북도 | 군산여자고등학교, 군산진포중학교, 전주여자고등학교, 이리여자고등학교, 익산지원중학교, 김제여자고등학교, 한들중학교, 정읍여자고등학교, 샘고을중학교 |
전라남도 | 광주여자고등학교, 목포제일여자고등학교, 전남여자고등학교, 여수여자고등학교, 순천여자고등학교 |
경상북도 | 대구일중학교, 김천여자고등학교, 경북여자고등학교, 포항여자고등학교 |
경상남도 | 부산여자고등학교, 마산여자고등학교, 진해여자고등학교, 경남여자고등학교, 동래여자고등학교 |
황해도 | 해주욱정공립고등여학교, 해주행정공립고등여학교, 사리원공립고등여학교, 겸이포공립고등여학교, 안악공립고등여학교 |
평안남도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진남포공립고등여학교, 평양서문공립고등여학교, 순천공립고등여학교, 남산고등여학교 |
평안북도 | 신의주공립고등여학교, 신의주남공립고등여학교, 정주공립고등여학교 |
강원도 | 춘천여자고등학교[1], 철원공립고등여학교[1], 강릉여자고등학교[1] |
함경남도 | 원산공립고등여학교, 함흥공립고등여학교, 흥남공립고등여학교, 함남공립고등여학교, 원산루씨고등여학교, 함흥일출고등여학교 |
함경북도 | 나남공립고등여학교(청진), 청진공립고등여학교, 회령공립고등여학교, 성진공립고등여학교, 나진공립고등여학교 |
3. 1. 1. 경기도 (서울 포함)
구분 | 학교명 | 설립연도 | 현황 |
---|---|---|---|
공립 | 京城第一公立高等女学校|경성제일공립고등여학교일본어 | 1908 | 경기여자고등학교 흡수 (해방 후) |
공립 | 京城第二公立高等女学校|경성제이공립고등여학교일본어 | 1922 | 수도여자고등학교 |
공립 | 京城第三公立高等女学校|경성제삼공립고등여학교일본어 | 1941 | 창덕여자고등학교 |
공립 | 京城舞鶴公立高等女学校|경성무학공립고등여학교일본어 | 1941 | 무학여자고등학교 |
공립 | 인천공립고등여학교 | 1908 | 인천여자고등학교 |
공립 | 수원공립고등여학교 | 1936 | 수원제일중학교(남여공학) & 수원여자고등학교(여학교) |
공립 | 開城公立高等女学校|개성공립고등여학교일본어 | ||
공립 | 한성(漢城)고등여학교 | 경성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경기공립고등여학교 → 경기여자고등학교 | |
사립 | 龍谷高等女学校|용곡고등여학교일본어 (서울) | ||
사립 | 숙명(淑明)여자고등보통학교 | 숙명고등여학교 → 숙명여자고등학교 | |
사립 | 진명(進明)여자고등보통학교 | 진명고등여학교 → 진명여자고등학교 | |
사립 | 이화(梨花)여자고등보통학교 | 이화고등여학교 → 이화여자고등학교 | |
사립 | 호수돈(好壽敦)여자고등보통학교 (개성) | 호수돈고등여학교 → 明德高等女学校|명덕고등여학교일본어 → 호수돈여자고등학교 (대전) | |
사립 | 배화(培花)여자고등보통학교 | 배화고등여학교 → 배화여자고등학교 | |
사립 | 동덕(同德)여자고등보통학교 | 동덕고등여학교 → 동덕여자고등학교 | |
사립 | 昭和高等女学校|소화고등여학교일본어 | 박문여자고등학교 |
3. 1. 2. 충청북도
- 청주공립고등여학교 (1923)[14]
- 충주공립고등여학교
3. 1. 3. 충청남도
학교명 | 설립 | 변천 과정 |
---|---|---|
대전여자중학교 | 1919년 | 대전공립실과고등여학교 → 대전공립고등여학교 (1921년) |
대전여자고등학교 | 1937년 | 대전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대동(大東)공립고등여학교 |
세종중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 | ? | 조치원(鳥致院)공립실과고등여학교 → 조치원공립고등여학교 → 세종중학교 (2021년 3월~현재, 남녀공학) & 세종여자고등학교 (여학교) |
강경고등학교 강경여자중학교 | 1936년 4월 11일 | 강경(江景)공립실과고등여학교(3년제) → 강경공립고등여학교(4년제) (1943년 4월 22일~1945년 11월 30일) → 강경공립여자중학교(6년제) (1945년 12월 1일~1950년 11월 30일) → 강경여자중학교 & 강경여자고등학교 (1950년 12월 1일~1992년 2월, 3년제) → 강경여자중학교 (여학교) & 강경고등학교 (1992년 3월~현재, 남녀공학) |
공주여자고등학교 | 1928년 | 공주공립고등여학교 |
3. 1. 4. 전라북도
학교명 | 연혁 |
---|---|
군산여자고등학교 | 진포중학교(2000.03.01 ~ 현재/남녀공학) & 군산여자고등학교(여학교) |
전주여자고등학교 | 전주여자고등학교 |
이리여자고등학교 | 지원중학교(2000.03.01 ~ 현재/남녀공학) & 이리여자고등학교 |
김제여자고등학교 | 한들중학교(2021.03.01 ~ 현재/남녀공학) & 김제여자고등학교 |
정읍여자고등학교 | 샘고을중학교(2022.03.01 ~ 현재/남녀공학) & 정읍여자고등학교 |
3. 1. 5. 전라남도
3. 1. 6. 경상북도
대구공립고등여학교는 1916년 4월 개교하여 1946년 2월 대구여자중학교로, 2002년 3월 남녀공학으로 전환되면서 대구일중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김천공립고등여학교는 김천여자고등학교로, 대구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는 경북공립고등여학교를 거쳐 경북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포항공립고등여학교는 포항여자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3. 1. 7. 경상남도
부산공립고등여학교, 마산공립고등여학교, 진해공립고등여학교, 부산항공립고등여학교, 동래고등여학교(부산) 등이 있었다.3. 1. 8. 황해도
해주욱정공립고등여학교, 해주행정공립고등여학교, 사리원공립고등여학교, 겸이포공립고등여학교(송림), 안악공립고등여학교 등이 있었다.3. 1. 9. 평안남도
- 평양공립고등여학교
- 진남포공립고등여학교
- 평양여자고등보통학교 → 평양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평양서문공립고등여학교
- 순천공립고등여학교
-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정의고등여학교 → 남산고등여학교 (평양)
3. 1. 10. 평안북도
- 신의주공립고등여학교
- 신의주남공립고등여학교
- 정주공립고등여학교
3. 1. 11. 강원도
춘천여자고등학교[1], 철원공립고등여학교[1], 강릉여자고등학교[1]가 있었다.3. 1. 12. 함경남도
- 공립
- * 원산공립고등여학교
- * 함흥공립고등여학교
- * 흥남공립고등여학교
- * 함흥공립여자고등보통학교 → 함남공립고등여학교
- 사립
- * 루씨여자고등보통학교 → 루씨고등여학교 → 원산항공립고등여학교 → 사립원산루씨고등여학교 → (폐교상태)
- * 영생여자고등보통학교 → 영생고등여학교 → 함흥일출고등여학교 (함흥)
3. 1. 13. 함경북도
나남공립고등여학교(청진), 청진공립고등여학교, 회령공립고등여학교, 성진공립고등여학교, 나진공립고등여학교 등이 있었다.참조
[1]
문서
旧暦
[2]
문서
小学校令
[3]
문서
小学校令
[4]
문서
실과중학교, 실과고등여학교
[5]
문서
중등교육령
[6]
문서
국민학교
[7]
문서
고등여학교
[8]
문서
입학생
[9]
문서
입학생
[10]
문서
입학생
[11]
서적
女学校と女学生…教養・たしなみ・モダン文化
中央公論新社
2008-11-06
[12]
문서
동북대학
[13]
서적
朝鮮諸学校一覧
1940
[14]
웹인용
상세보기
http://thesaurus.his[...]
2020-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