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여자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화여자고등학교는 1886년 미국 선교사 스크랜튼 여사에 의해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 기관으로 설립되었다. 1887년 고종 황제로부터 이화학당이라는 교명을 하사받았으며, 1918년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개칭되었다. 일제강점기, 6.25 전쟁 등 한국 근현대사의 격동기를 거치며 여러 차례 학제 개편과 학교 명칭 변경을 겪었다. 현재는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다양한 동아리 활동과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심슨기념관을 비롯한 역사적인 학교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김헬렌, 유관순, 윤여정 등 사회 각 분야의 저명한 동문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화여자고등학교 - 이화여자고등학교 여자 정구단
이화여자고등학교 여자 정구단은 1924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여자 단체전에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 이화학원 - 이화학당
1886년 메리 스크랜턴이 설립한 이화학당은 한국 최초의 사립 여성 교육기관으로, 고종에게서 교명을 받았으며 이화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모체가 되었다. - 이화학원 -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는 이화학원이 설립하여 1992년 개교한 사립 외국어고등학교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중국어과를 운영하며 방송인 신아영과 변호사 임윤선 등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 1886년 개교 - 미국 유대신학교
미국 유대신학교는 1886년에 설립된 유대교 교육기관으로, 역사적 유대교 보존을 목표로 랍비, 하잔, 유대교 교육자 등을 양성하며, 보수 유대교 운동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1886년 개교 - 켄터키 주립 대학교
켄터키 주립 대학교는 1886년 유색 인종을 위한 사범학교로 설립되어 여러 차례 학교명 변경과정을 거쳐 1972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3개의 단과 대학과 다양한 학위 과정을 제공하고 스포츠팀을 운영한다.
이화여자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교 이름 | 이화여자고등학교 |
영문 이름 | Ewha Girls' High School |
한자 표기 | 梨花女子高等學校 |
과거 교명 | 양국관 이화학당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이화고등여학교 |
모토 | 자유, 사랑, 평화 |
설립일 | 1886년 |
설립자 | 메리 F. 스크랜튼 |
학교 유형 | 사립 |
성별 | 여학교 |
위치 |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26 (정동) |
교장 | 김혜정 |
교화 | 배꽃 |
학교법인 | 이화학원 |
관할 관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
학생 수 | 1,178명 (2023년 5월 1일 기준) |
교직원 수 | 97명 (2023년 5월 1일 기준) |
공식 웹사이트 | www.ewha.hs.kr |
이미지 | |
![]() |
2. 역사
1886년 5월 31일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스크랜튼 여사(Mrs. Mary F. Scranton)에 의해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기관으로 창립되었다.[4] 1887년에는 고종황제가 '''이화학당'''이라는 교명을 하사하였다. 1900년에는 메인홀(Main Hall, 구 교사와 기숙사 및 강당)이 준공되었다. 1904년에는 4년제 중학과가 설치되었다.
1915년 3월에는 심슨기념관(Simpson Hall, 당시 심슨홀)이 준공되었다. 1929년,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와 이화여자보통학교의 행정이 분리되고 미스 처치(Miss E. Church)가 교장에 취임하였다. 1935년에는 이화여자보통학교가 폐지되었고, 전문학교를 대현동 신촌교사로 이전하였다.
1944년 4월 24일, 재단법인 유하학원(有厦學院)이 설립되었다.[10] 유하 강의영(姜義永)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재단으로, 당초 이화학원이라는 이름을 계획하였으나 총독부의 개입이 있어 명칭을 다르게 정하였다.[10] 재단의 자본은 현재의 철원군 동송읍 양지, 하갈, 강산리 일대 32.5만 평의 부지였다.[10]
1946년 4년제 여자고등학교를 6년제 여자중학교로 학제를 개편하였다. 1950년에는 4년제 중학교와 3년제 고등학교를 병설하고 다시 3년제 중학교와 2년제 고등학교로 개편하였으며, 6.25 전쟁으로 메인홀이 소실되었다. 1951년 8월 10일 ~ 30일에는 부산 남성여자고등학교의 건물을 빌려 수업을 재개하였고,[11] 1951년 9월 17일에는 부산 영도에 천막으로 된 가교사를 설치하고 수업을 재개하였다.[11] 1951년 12월 4일에는 천막 가교사에서 목조 가교사로 이전하였다. 1952년 4월 2일 ~ 1953년 3월 28일에는 피난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하여 ‘서울 서부 잔류 학생 훈육소 이화 분교장’을 운영하였다.[11] 1952년 5월 28일, 손몌례(孫袂禮)가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에 있던 정명여자중학교의 운영에 어려움을 겪어, 교지 541.8평과 건물 130.9평을 기증하였다.[12] 이 건물은 환도 이후 이화여자중학교 2학년생이 임시로 사용하였다.
1953년 3월 21일, '''이화예술고등학교'''를 신설하였으나,[13] 남녀공학임에도 여학교를 연상시키는 이름 때문에 학생 모집이 저조하여 1953년 9월 19일에 '''서울예술고등학교'''로 개칭하였다.[13] 1953년 6월 15일, 정동 1-45번지의 1443.3평 국유지를 무상으로 대부받았다.[12] 이 부지에는 이후 건물이 들어서 서울예술고등학교에서 사용하다가, 현재 예원학교에서 사용한다.[12] 1953년 9월 12일에는 서울로 환도하였다.
1955년 교통부로부터 교통부 관사 용지 9638.4평을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1956년에는 정동 17-4번지의 미국 선교사 숙소 부지 682평을 매입하여 이화여자중학교 운동장으로 사용하다가 이후 서울예술고등학교 운동장, 예원학교 운동장으로 차례로 변경되었다.[14] 1957년에는 정동 14-1번지의 관세청 불하지 227평을 매입하여 예원학교의 부지로 사용하였다.[14] 1958년에는 충정로1가 83번지의 체신부 부지 707.51평을 매입하였다.[14]
1958년 4월 19일, 재단법인 유하학원을 이화학원으로 개칭하였고,[15] 5월 30일에는 스크랜튼 기념관을 준공하였다. 1961년에는 순화동의 645평 부지와 747.8평 부지를 매입하여 앞의 부지는 강당으로, 뒤의 부지는 테니스코트로 사용하였다.[14] 1963년 9월 2일, 서울예술고등학교가 정동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13] 1965년에는 재단법인 이화학원을 학교법인 이화학원으로 개편하였다.[15]
1966년, 중학생 대상의 예술학교로서 예원학교를 설립하였다.[13] 1968년 문교부 지시에 의하여 1971년 이화여자중학교가 폐지되고 고등학교가 각 학년 20학급씩 총 60학급으로 인가되었다. 1970년에는 본관 신축교사를 준공하였고, 1971년 1월 25일에는 이화여자중학교 마지막 졸업식이 거행되었다.[16] 1988년 학교법인 이화학원에서 예원학교 및 서울예술고등학교가 분리되었고, 1992년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가 신설되었다. 2004년에는 이화 100주년 기념관을, 2007년에는 이화 체육관을 준공하였다. 2009년 자율형사립고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에는 등록문화재 제3호인 심슨기념관을 복원하였다. 2013년에는 이화기숙사 김점동관을 준공하였다. 2017년 김혜정 교장이 취임하였다.[5]
2. 1. 설립 초기 (1886년 ~ 1910년)
1886년 5월 31일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스크랜튼 여사(Mrs. Mary F. Scranton)에 의해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기관으로 창립되었다.[4] 같은 해 3월 31일, 스크랜튼 여사는 이화학당의 전신인 '양국관(洋國館)'을 설립하고 한국어, 영어, 성경을 가르쳤다.[4] 처음에는 학생 1명으로 시작하였다. 1887년에는 고종황제가 '''이화학당'''이라는 교명을 하사하였다.[4]1900년에는 교사와 기숙사 및 강당으로 사용될 메인홀(Main Hall)이 준공되었다. 1904년에는 4년제 중학과가 설치되었으며, 1908년 첫 중학과 졸업식을 거행하였다.
2. 2. 일제강점기 (1910년 ~ 1945년)
1910년 대학교과(4년제)가 설치되었다.[9] 1918년 2월, 학칙 변경으로 중학교과를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3년제, 12세 이상)로 개칭하고,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부분을 "'''이화여자보통학교'''"(4년제, 8세 이상)로 분리·개교하였다.[9] 1915년 3월에는 심슨기념관(Simpson Hall, 당시 심슨홀)이 준공되었다.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에 따라 여자고등보통학교는 4년제, 보통학교는 6년제로 변경되었다.[9] 1925년 4월 24일, 전문학교령에 따라 이화학당 대학교과는 "이화여자전문학교"(이화여자전문학교한국어) (이화여전, 4년제)로 개칭, 조선총독부로부터 인가를 받았다. 이는 현재의 이화여자대학교이다.[9] 1928년 2월, 조선총독부 고시 제55호에 따라 이화여전 졸업생은 사립 여자고등보통학교의 교원자격을 부여받았다.[9]
1929년,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와 이화여자보통학교의 행정이 분리되고 미스 처치(Miss E. Church)가 교장에 취임하였다. 1932년에는 이화여자보통학교가 폐지되었고, 1935년에는 전문학교를 대현동 신촌교사로 이전하였다. 1938년, "'''이화고등여학교'''"(4년제)로 개칭되었다.[9]
1944년 4월 24일, 재단법인 유하학원(有厦學院)이 설립되었다. 유하 강의영(姜義永)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재단으로, 당초 이화학원이라는 이름을 계획하였으나 총독부의 개입이 있어 명칭을 다르게 정하였다.[10] 재단의 자본은 현재의 철원군 동송읍 양지, 하갈, 강산리 일대 32.5만 평의 부지였다.[10]
2. 3. 해방 이후 (1945년 ~ 현재)
1946년 4년제 여자고등학교를 6년제 여자중학교로 학제를 개편하였다.[11] 1950년에는 4년제 중학교와 3년제 고등학교를 병설하고 다시 3년제 중학교와 2년제 고등학교로 개편하였으며, 6.25 전쟁으로 메인홀이 소실되었다.[11] 1951년 8월 10일부터 30일까지 부산 남성여자고등학교 건물을 빌려 수업을 재개하였고,[11] 9월 17일에는 부산 영도에 천막으로 된 가교사를 설치하고 수업을 재개하였다.[11] 같은 해 12월 4일, 천막 가교사에서 목조 가교사로 이전하였다. 1952년 4월 2일부터 1953년 3월 28일까지는 피난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하여 '서울 서부 잔류 학생 훈육소 이화 분교장'을 운영하였다.[11]1953년 3월 21일, '''이화예술고등학교'''를 신설하였으나,[13] 남녀공학임에도 여학교를 연상시키는 이름 때문에 학생 모집이 저조하여 9월 19일에 '''서울예술고등학교'''로 개칭하였다.[13] 1953년 9월 12일, 서울로 환도하였다.
1955년 교통부로부터 교통부 관사 용지 9638.4평을 매입하는 계약을 체결하였고, 1956년에는 정동 17-4번지의 미국 선교사 숙소 부지 682평을 매입하여 이화여자중학교 운동장으로 사용하다가 이후 서울예술고등학교 운동장, 예원학교 운동장으로 차례로 변경되었다.[14] 1957년에는 정동 14-1번지의 관세청 불하지 227평을 매입하여 예원학교의 부지로 사용하였다.[14] 1958년에는 충정로1가 83번지의 체신부 부지 707.51평을 매입하였다.[14]
1958년 4월 19일, 재단법인 유하학원을 이화학원으로 개칭하였고,[15] 5월 30일에는 스크랜튼 기념관을 준공하였다. 1961년에는 순화동의 645평 부지와 747.8평 부지를 매입하여 앞의 부지는 강당으로, 뒤의 부지는 테니스코트로 사용하였다.[14] 1963년 9월 2일, 서울예술고등학교가 정동의 신축 교사로 이전하였다.[13] 1965년에는 재단법인 이화학원을 학교법인 이화학원으로 개편하였다.[15]
1968년 문교부 지시에 의하여 1971년 이화여자중학교가 폐지되고 고등학교가 각 학년 20학급씩 총 60학급으로 인가되었다. 1970년에는 본관 신축교사를 준공하였고, 1971년 1월 25일에 이화여자중학교 마지막 졸업식이 거행되었다.[16] 1988년 학교법인 이화학원에서 예원학교 및 서울예술고등학교가 분리되었고, 1992년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가 신설되었다. 2004년에는 이화 100주년 기념관을, 2007년에는 이화 체육관을 준공하였다. 2009년 자율형사립고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에는 등록문화재 제3호인 심슨기념관을 복원하였다. 2013년에는 이화기숙사 김점동관을 준공하였다. 2017년 김혜정 교장이 취임하였다.[5]
3. 교육 활동
3. 1. 동아리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는 모든 학생이 방과 후 활동의 일환으로 동아리에 가입해야 한다. 이화여자고등학교에는 34개의 동아리가 있으며, 이는 학술, 공연, 봉사, 미디어/토론, 예술/체육의 다섯 가지 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6]동아리 | 설명 |
---|---|
심리 | 심리학 |
주먹도끼 | 역사 |
미네르바 | 경제 경영 |
DSD | 독일어능력시험/Deutsches Sprachdiplomde |
아르테 | 도서관 |
지오누리 | 지리학 |
Brain-Storm | 뇌 과학 |
Ctrl-C | 코딩 |
Integral | 수학 |
Physica | 물리학 |
BIO | 생물학 |
Curie | 화학 |
MSG | 수학 |
별아해 | 천문학 |
선교 중창단 | 선교 중창단 |
성극반 | 성극 |
한맥 | 풍물 |
합창단 | 합창단 |
EBS | 교육 방송국 |
Flight | 무용 |
Muse | 기독교 오케스트라 |
밀알 | 선교 봉사 활동 |
샛별 | 다양한 봉사 활동 |
옥합 | 선교 활동 |
RCY | 대한적십자사 청소년단 |
Y-teen | YMCA 청소년 동아리 |
거울 | 논설 동아리 |
아톰(Atom) | 영어 회화 동아리 (경기고등학교와 연합 동아리) |
불레틴(Bulletin) | 이화대학교 소식지 The Ewha Bulletin 제작 |
코스모스(Cosmos) | 독서/토론 동아리 |
KIMC 이화 | 세계 사회에 대한 지식과 관심 확대 |
오크(Oak) | 영어 회화 동아리 (경기고등학교 및 서울고등학교와 연합 동아리) |
오딘(ODIN) | 영어 토론 동아리 |
베리타스(Veritas) | 한국어 논술 토론 동아리 |
문예창작반 | 문예 창작 |
AnC | 만화 그리기 |
Art Factory | 창작 미술 |
BOE | 배드민턴 |
Play | 사용자 제작 콘텐츠 |
2021년 오크(Oak), 오딘(ODIN), 아톰(ATOM)은 "EBATE"라는 하나의 토론 동아리로 통합되었다.
4. 학교 시설
5. 역대 교장
초대 교장은 메리 F. 스크랜턴 (Mary F. Scranton)(1886–1890)이다. 2대 교장은 루이사 C. 로스바일러 (Lousia C. Rothweiler) (1890–1893)이다. 3대 교장은 조세핀 O. 페인 (Josephine O. Paine) (1893–1907)이다. 4대 교장은 루루 E. 프레이 (Lulu E. Frey) (1907–1921)이다. 5대 교장은 A. 장넷 월터 (A. Jeanette Walter) (1921–1922)이다. 6대 교장은 앨리스 레베카 아펜첼러 (Alice Rebecca Appenzeller)(1922–1929)이다. 처음 여섯 명의 지도자는 교장이었으며 이화여자대학교의 초대 총장 6명으로도 간주된다.
7대 교장은 E. 처치 (Miss E. Church) (1929–1938)이다. 8대 교장은 신봉조 (1938–1961)이다. 9대 교장은 서명학 (1961–1971)이다. 10대 교장은 정휘경 (1971–1982)이다. 11대 교장은 심치선 (1982–1995)이다. 12대 교장은 최종옥 (1995–2000)이다. 13대 교장은 정창용 (2000–2009)이다. 14대 교장은 강순자 (2009–2017)이다. 15대 교장은 김혜정 (2017–현재)이다.
6. 저명한 동문
헬렌 김은 교육자이자 한국 최초의 박사 학위를 받은 여성이다. 박인덕은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였다. 정현백은 전 역사학과 교수이다. 이광자는 서울여자대학교 전 총장(2001년–2013년)을 역임했다. 지은희는 상지대학교 석좌교수이자 덕성여자대학교 전 총장(2006년 2월 28일—2013년 2월 28일)을 역임했다. 차광은은 차의과학대학교 교수 및 의사이다. 소영 피는 보스턴 대학교 교수이다.
이명희는 신세계그룹 회장이다. 김예리, 남보라, 윤여정, 이응경, 조미령, 백지원, 전예서, 타이미, 사미자, 송혜교, 박혜수는 배우이다. 김주하는 뉴스 앵커이며, 진양혜는 아나운서 겸 MC이다. 채선엽은 피아니스트 겸 소프라노 가수이며, 송민도는 가수이다. 정은 김 버크는 피아니스트이다.
김이엽은 시인, 언론인, 작가였다. 인병선은 시인이며, 허근욱은 작가, 소설가이다. 오정희, 이녕희는 작가이다.
최영희는 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며, 강경화는 대한민국 전 외교부 장관(2017년~)이다. 김모임은 제36대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장관(1998.05.01—1999.05.23)을 역임했다. 김정숙은 제6대 식품의약품안전청장(2004.09.04—2006.01.31)을 역임했다. 김금래는 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다. 김진애는 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다. 이희호는 전 대한민국 대통령 배우자(1998–2003)였다. 이미경은 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다. 서영희는 전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다.
유관순은 3·1 운동의 독립운동가이다. 황애덕, 하란사, 김란사는 독립운동가였다. 박에스더는 한국 최초의 서양 의학 여의사였다.
참조
[1]
웹사이트
오시는길
http://www.ewha.hs.k[...]
2015-11-25
[2]
웹사이트
교장선생님
http://www.ewha.hs.k[...]
2015-11-25
[3]
뉴스
[임철순의 즐거운 세상] 가장 긴 제목
http://www.hankookil[...]
Hankook Ilbo
2014-01-30
[4]
웹사이트
Memorial exhibition to be held for Scranton
http://evoice.ewha.a[...]
Ewha Womans University
2009-05-18
[5]
웹사이트
학교연혁
https://web.archive.[...]
2015-11-25
[6]
웹사이트
동아리
https://web.archive.[...]
2015-11-25
[7]
웹사이트
植民地下朝鮮における梨花女子高等女学校
https://www.glocal.g[...]
岐阜大学留学生センター
2014
[8]
웹사이트
3・1独立運動記念式、天安の柳寛順記念館で初開催│韓国社会・文化│wowKora(ワウコリア)
https://www.wowkorea[...]
[9]
웹사이트
植民地朝鮮の女学校・高等女学校といけ花・茶の湯・礼儀作法
http://202.231.40.34[...]
[10]
서적
1994
[11]
서적
1994
[12]
서적
1994
[13]
서적
1994
[14]
서적
1994
[15]
서적
1994
[16]
뉴스
문닫는 梨花女中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네이버)
1971-01-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근대역사 체험하고 봄밤 즐겨요” 중구 5월 ‘정동야행’ 개최 [서울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