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민학교는 1941년 일본 제국에 의해 소학교 제도를 개편하여 설립된 초등 교육 기관이다. "국민의 기초 교육을 베푸는 학교"라는 의미로 명명되었으며, 독일어 Volksschule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교육칙어에 따라 황국의 도에 입각한 초등 보통 교육을 통해 국가주의적 색채를 띠며 국민의 기초적 연성을 목표로 했다. 소학교 심상과를 초등과(6년), 고등과를 고등과(2년)로 개편하고, 의무 교육 연장, 학구제 도입, 취학 의무 강화 등의 제도가 시행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초등 교육을 국민학교로 칭했으나, 1995년 초등학교로 개칭되었다. 북한에서는 인민학교로 불리다가 2002년 소학교로 변경되었고, 대만에서는 1941년에 설립되어 국민소학교로 불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일본)는 1868년 교토에 설립되어 프랑스식, 프로이센식 교육 제도를 거쳐 장교를 양성하다가 1945년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일본 방위대학교가 그 역할을 수행한다. - 일본의 구제교육기관 - 구제중학교
구제중학교는 일본 중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5년제 후기 중등 교육 기관으로, 엘리트 등용문으로 여겨졌으나 1947년 학제 개혁으로 폐지되어 신제 고등학교로 개편되었고, 일제강점기 조선의 유사 학교들도 해방 후 학제 개혁을 거쳐 신제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분리되었다. - 일본의 교육 - 방송대학학원
방송대학학원은 1981년 방송대학학원법에 따라 설립된 일본의 특수법인으로, 교육 방송 계획이 1983년 방송대학 개설로 이어졌고, 2018년 지상파 방송 종료 후 BS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었으며, 2003년 학교법인으로 재편되어 문부과학성과 총무성의 공동 관리를 받는다. - 일본의 교육 - 데라코야
데라코야는 에도 시대에 서민들에게 실용적인 지식을 가르치던 사립 교육 기관으로, 불교 사찰 교육에서 시작되어 상공업 발달과 함께 발전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쇠퇴했으나 현대에는 그 정신을 계승하여 개발도상국의 교육 지원에도 기여하고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 국가총동원법
국가총동원법은 1938년 일본에서 전시 또는 유사시 국방 목표 달성을 위해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할 목적으로 제정되어 국민 징용, 물자 통제 등 광범위한 권한을 정부에 부여했으나, 1945년 폐지되었고 과도한 권한 위임과 자유 침해로 비판받았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 일본의 항복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은 이오지마와 오키나와 함락, 본토 침공 위협, 경제 붕괴 직전 상황,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소련의 대일 참전 등으로 항복을 결정, 1945년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패전을 선포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국민학교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국민학교 |
영문 명칭 | National school |
일본어 명칭 | 국민学校 (こくみんがっこう, Kokumin gakkō) |
존속 기간 | 1941년 ~ 1945년 (일본) |
존속 기간 | 1941년 ~ 1996년 (대한민국) |
폐지 | 1996년 (대한민국) |
후신 | 초등학교 (대한민국) |
역사 | |
설립 배경 | 태평양 전쟁으로 인한 전시 체제 |
일본 국민학교 시행 | 1941년 (일본) |
조선 교육령 개정 | 1941년 (조선) |
명칭 변경 | 소학교 → 국민학교 (일본, 조선) |
국민학교 폐지 | 1945년 (일본) |
국민학교 폐지 | 1996년 (대한민국) |
초등학교로 명칭 변경 | 1996년 (대한민국) |
교육 과정 | |
교육 목표 | 황국신민 양성 (일본) |
교육 내용 | 군사 훈련, 일본어 교육 강화 (일본) |
교육 내용 | 전쟁 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능 교육 (일본) |
특징 | |
특징 | 일본 제국주의 교육 강화 |
특징 | 국민학교령에 의해 설립 |
특징 | 국민학교령에 의해 운영 |
특징 | 심상소학교를 계승 |
대한민국 국민학교 | |
설립 | 1945년 광복 후 |
변화 | 일제 교육 잔재 청산 노력 |
변화 | 1950년대 ~ 1960년대 의무 교육 단계 확대 |
변화 | 교육 과정 재정비 |
명칭 변경 | 1996년 초등학교로 변경 |
명칭 변경 이유 | 민족주의적 잔재 청산 |
참고 자료 | |
관련 법령 | 국민학교령 (일본) |
관련 법령 | 교육법 (대한민국) |
2. 상세
1941년 국민학교령에 따라 심상소학교와 고등소학교로 이루어져 있던 소학교(小學校) 제도가 개편되어 설립되었다. 명칭은 당시 문부성 보통학무국 초등교육 과장에 따르면 "국민의 기초교육을 베푸는 학교"에서 유래한다.[9] 당시 동맹국이던 독일의 초등교육에 기원을 두고 독일어 Volksschulede(Volks는 '국민·민족', schule은 '학교'를 뜻함)의 번역이라는 설이 있다.
이 제도의 도입은 교육칙어의 가르침을 받들어 황국의 도에 입각한 초등보통교육을 베풀어 기초적 연성을 목적으로 한다는, 국가주의적 색채가 농후하게 가미되었다.
제도 상의 개혁은 다음과 같다.
- 소학교 심상과를 국민학교 초등과(수업연한 6년), 소학교 고등과를 국민학교 고등과(수업연한 2년)로 개조.
- 국민학교의 고등과 2년 수료자를 대상으로 수업연한 1년의 특수과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
- 1944년부터 의무교육 연한을 6년에서 8년(국민학교초등과 6년+국민학교고등과 2년/국민학교초등과 6년+구제중등학교 2년)으로 연장하는 것을 규정.[10] 단, 교육에 관한 전시비상조치방책에 의해 연기되어 국민학교가 폐지될 때까지 의무교육의 연장은 결국 행해지지 않음.
- 학구제를 도입하여 입학자를 학구 내에 주소하는 아동으로 한정.
- 다음과 같은 대책을 강구하여 취학의무를 철저히 함.
- 빈곤 등에 따른 아동취학의무면제·유예제도를 폐지.
- 심신이상아동을 위하여 지금까지 가정에서 의무교육을 행하여도 가능하게 한 제도를 폐지, 특별한 영호시설을 설치.
- 교두(敎頭)와 양호훈도(養護訓導)를 설치하거나 교장과 교두를 주임대우함으로써 직원의 조직·대우를 개선.
입학시(수료시)의 연령 | 1900년(메이지 33년) 소학교령(제3차) | 1907년(메이지 40년) 소학교령 일부 개정 | 1941년(쇼와 16년) 국민학교령 | 1947년(쇼와 22년) 학제개혁(현행) | 2016년(헤이세이 28년) 1947년 학제와 병립(현행) |
---|---|---|---|---|---|
6세(7세) | 보통소학교 1년 | 보통소학교 1년 | 국민학교 초등과 1년 | 소학교 1년 | 의무교육학교 1년 |
7세(8세) | 보통소학교 2년 | 보통소학교 2년 | 국민학교 초등과 2년 | 소학교 2년 | 의무교육학교 2년 |
8세(9세) | 보통소학교 3년 | 보통소학교 3년 | 국민학교 초등과 3년 | 소학교 3년 | 의무교육학교 3년 |
9세(10세) | 보통소학교 4년 | 보통소학교 4년 | 국민학교 초등과 4년 | 소학교 4년 | 의무교육학교 4년 |
10세(11세) | 고등소학교 1년 | 보통소학교 5년 | 국민학교 초등과 5년 | 소학교 5년 | 의무교육학교 5년 |
11세(12세) | 고등소학교 2년 | 보통소학교 6년 | 국민학교 초등과 6년 | 소학교 6년 | 의무교육학교 6년 |
12세(13세) | 고등소학교 3년 | 고등소학교 1년 | 국민학교 고등과 1년 | 중학교 1년 | 의무교육학교 7년 |
13세(14세) | 고등소학교 4년 | 고등소학교 2년 | 국민학교 고등과 2년 | 중학교 2년 | 의무교육학교 8년 |
14세(15세) | 국민학교 특수과 | 중학교 3년 | 의무교육학교 9년 |
1941년 국민학교령에 의해 설립되었다. 교육칙어의 가르침을 받들어 황국의 길에 따라 초등 보통 교육을 베풀고 국민의 기초적인 연성을 목적으로 하여, 국가주의적 색채가 짙게 가미되었다.
3. 역사
國民學校ハ皇國ノ道ニ則リテ初等普通敎育ヲ施シ國民ノ基礎的鍊成ヲ爲スヲ以テ目的トス|국민학교는 황국의 도에 입각하여 초등보통교육을 베풀어 국민의 기초적 연성을 행함을 목적으로 함일본어 (국민학교령 제1조)
; 명칭의 유래
: 당시 문부성 보통학무국 초등교육과장에 따르면, "국민의 기초 교육을 베푸는 학교"에서 유래한다.[9] 또한, 당시 동맹국인 독일의 초등 교육에 기원을 둔다고 하며, 독일어의 Volksschule|폴크스슐레de(Volks(폴크스)는 '국민·민족', schule(슐레)는 '학교'를 뜻함)의 번역이라는 설이 있다.
; 제도상의 개혁
; 연표
입학시(수료시)의 연령 | 1900년(메이지 33년) 소학교령(제3차) | 1907년(메이지 40년) 소학교령 일부 개정 | 1941년(쇼와 16년) 국민학교령 | 1947년(쇼와 22년) 학제개혁(현행) | 2016년(헤이세이 28년) 1947년 학제와 병립(현행) |
---|---|---|---|---|---|
6세(7세) | 보통소학교 1년 | 보통소학교 1년 | 국민학교 초등과 1년 | 소학교 1년 | 의무교육학교 1년 |
7세(8세) | 보통소학교 2년 | 보통소학교 2년 | 국민학교 초등과 2년 | 소학교 2년 | 의무교육학교 2년 |
8세(9세) | 보통소학교 3년 | 보통소학교 3년 | 국민학교 초등과 3년 | 소학교 3년 | 의무교육학교 3년 |
9세(10세) | 보통소학교 4년 | 보통소학교 4년 | 국민학교 초등과 4년 | 소학교 4년 | 의무교육학교 4년 |
10세(11세) | 고등소학교 1년 | 보통소학교 5년 | 국민학교 초등과 5년 | 소학교 5년 | 의무교육학교 5년 |
11세(12세) | 고등소학교 2년 | 보통소학교 6년 | 국민학교 초등과 6년 | 소학교 6년 | 의무교육학교 6년 |
12세(13세) | 고등소학교 3년 | 고등소학교 1년 | 국민학교 고등과 1년 | 중학교 1년 | 의무교육학교 7년 |
13세(14세) | 고등소학교 4년 | 고등소학교 2년 | 국민학교 고등과 2년 | 중학교 2년 | 의무교육학교 8년 |
14세(15세) | 국민학교 특수과 | 중학교 3년 | 의무교육학교 9년 |
4. 교육 내용
1941년 국민학교령에 따라 심상소학교와 고등소학교로 이루어져 있던 소학교(小學校) 제도가 개편되면서 국민학교가 설립되었다. 국민학교는 교육칙어의 가르침을 받들어 황국의 도에 입각한 초등보통교육을 베풀어 국민의 기초적 연성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주의적 색채가 짙게 가미되었다.[9]
4. 1. 황민으로서의 기초적 연성 자질
1941년 국민학교령에 따라 교육칙어에 가르침을 받들어 황국의 도에 입각한 초등보통교육을 베풀어 국민의 기초적 연성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주의적 색채가 농후하게 가미되었다.[9]황민(皇民)으로서의 기초적 연성(鍊成) 자질 내용은 다음과 같다.[7]
- 국민 정신을 체인(體認)하고, 국체(國體)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황국(皇國)의 사명에 대한 자각을 가지고 있는 것.
- 투철한 이지(理知) 능력을 가지고, 합리 창조의 정신을 체득(體得)하여, 나아가 국운(國運)의 진전(進展)에 공헌할 수 있는 것.
- 굳세고 건강한 심신과 헌신봉공(獻身奉公)의 실행력을 가지고 있는 것.
- 고아(高雅)한 정조(情操)와 예술적, 기술적인 표현력을 가지고, 국민 생활을 충실하게 하는 힘을 가지고 있는 것.
- 산업의 국가적 의의를 명확히 하고, 근로(勤勞)를 애호(愛好)하며, 직업보국(職業報國)의 실행력을 가지고 있는 것.
위의 자질 내용에 기초하여, 국민과·이수과(理數科)·체련과·예능과(이상 4교과는 초등과·고등과 공통)·실업과(고등과만)의 5교과로 분류되었다.
과정 | 교과 | 과목 |
---|---|---|
초등과·고등과 공통 | 국민과 | 수신(修身)·국어·국사·지리 |
이수과(理數科) | 산수·과학 | |
체련과 | 체조·무도(※여자아이는 무도를 빼는 것이 가능했다.) | |
예능과 | 음악·서예·미술·작업 재봉(초등과 여자아이) 살림·재봉(고등과 여자아이) | |
고등과만 | 실업과 | 농업·공업·상업·수산 중 1과목 선택 |
- 주지(主知)적 교수(教授)를 배제하고, 심신일체(心身一體)로서 교육하며, 교수·훈련·양호(養護)의 분리를 피하고, 국민으로서의 통일적 인격의 육성을 기하는 것.
- 의식(儀式)·학교 행사의 교육적 의의를 중시하고, 이것을 교과와 함께 일체로 하여, 전교(全校)를 “국민 연성(鍊成)의 도장(道場)”으로 삼고자 했던 것.
- 학교와 가정 및 사회와의 연락을 긴밀히 하고, 아동(兒童)의 교육을 완수하고자 했던 것.
4. 2. 교과
1941년 국민학교령에 따라 심상소학교와 고등소학교로 이루어져 있던 소학교(小學校) 제도가 개편되면서 국민학교가 설립되었다. 국민학교의 교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되었다.[7]과정 | 교과 | 과목 |
---|---|---|
초등과·고등과 공통 | 국민과 | 수신(修身)·국어·국사·지리 |
이수과(理數科) | 산수·과학 | |
체련과 | 체조·무도(※여자아이는 무도를 빼는 것이 가능했다.) | |
예능과 | 음악·서예·미술·작업 재봉(초등과 여자아이) 살림·재봉(고등과 여자아이) | |
고등과만 | 실업과 | 농업·공업·상업·수산 중 1과목 선택 |
이러한 교과를 바탕으로 주지(主知)적 교수를 배제하고 심신일체(心身一體)로 교육하며, 교수·훈련·양호(養護)의 분리를 피하고 국민으로서 통일적 인격 육성을 목표로 하였다.[7] 또한 의식, 학교 행사의 교육적 의의를 중시하여 교과와 함께 일체로 전개하여 전 학교가 "국민 연성(鍊成)의 도장(道場)"으로 삼고자 하였다.[7]
4. 3. 교육 방법
1941년 국민학교령에 의해 설립된 국민학교는 교육칙어에 기반하여 황국의 도에 따른 초등 보통 교육을 실시하고, 국민의 기초적 연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국가주의적 색채가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國民學校ハ皇國ノ道ニ則リテ初等普通敎育ヲ施シ國民ノ基礎的鍊成ヲ爲スヲ以テ目的トス일본어[9] (국민학교령 제1조)
국민학교의 교육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7]
- 주지(主知)적 교수를 배제하고, 심신일체(心身一體)로서 교육하며, 교수·훈련·양호(養護)의 분리를 피하고, 국민으로서의 통일적 인격 육성을 기하였다.
- 의식(儀式)·학교 행사의 교육적 의의를 중시하고, 이를 교과와 함께 일체로 하여, 전교(全校)를 “국민 연성(鍊成)의 도장(道場)”으로 삼고자 하였다.
- 학교와 가정 및 사회와의 연락을 긴밀히 하고, 아동(兒童)의 교육을 완수하고자 하였다.
교과는 국민과, 이수과(理數科), 체련과, 예능과(이상 4교과는 초등과·고등과 공통), 실업과(고등과만)의 5교과로 분류되었다.
과정 | 교과 | 과목 |
---|---|---|
초등과·고등과 공통 | 국민과 | 수신(修身), 국어, 국사, 지리 |
이수과 | 산수, 과학 | |
체련과 | 체조, 무도(※ 여자아이는 무도를 제외하는 것이 가능했다.) | |
예능과 | 음악, 서예, 미술, 작업 재봉(초등과 여자아이) 살림, 재봉(고등과 여자아이) | |
고등과만 | 실업과 | 농업, 공업, 상업, 수산 중 1과목 선택 |
5. 진학 실태
초등과(6년)를 수료한 후에는 고등과, 구제 중등교육학교(구제 중학교, 고등여학교, 실업학교), 청년학교 보통과 등에 진학하거나 취업하는 길이 있었다. 고등과(2년)를 수료한 후에는 구제 중등교육학교 3학년에 편입하거나 사범학교에 진학, 또는 취업하는 길 등이 있었다.
6. 타국
일본에서는 1947년 학제개혁에 따라 국민학교가 폐지되고 신제소학교로 개편되었다. 국민학교 초등과는 신제소학교로, 고등과 1학년생과 2학년생 중 희망자는 신제중학교 2, 3학년생이 되었다.
대한민국은 1995년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02년에, 대만은 1968년에 국민학교 명칭을 각각 초등학교, 소학교, 국민소학교로 변경하였다.
6. 1. 대만
일제 강점기 대만에서는 1941년에 국민학교가 설립되었다.1945년 독립 후에도 "국민학교"("국교"라고 약칭)로 불렸으나, 1968년에 "국민소학교"("국소"라고 약칭)로 개칭되었다.[2]

6. 2. 한국
대한민국에서는 독립 후 6·3제(6·6·4제, 후에 6·3·3·4제)를 도입했으나, 김영삼 정권 시절인 1995년까지 초등교육 6년 과정을 “국민학교(國民學校, Gungminhakkyo)”라고 불렀다. 1995년에 국민학교는 초등학교(初等學校, Chodeunghakkyo)로 개칭되었다. 국민학교 시절 교과서는 민족주의와 반공주의 등 한국 정부가 기반으로 하는 이데올로기를 어린이들에게 주입하고, 특히 한국군(韓國軍)에 대한 친근감을 갖도록 하는 내용이 많았다고 알려져 있다.6. 3.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독립 이후 초등교육 6년간을 '인민학교'(人民學校)로 호칭하며 계속 써오다 2002년 9월을 기해 '소학교'(小學校)로 이름을 바꿨다.[1]참조
[1]
저널
国民学校問答
1941-03-12
[2]
텍스트
[3]
웹사이트
ニュース映像 第43号|ニュース映像
https://www2.nhk.or.[...]
[4]
웹사이트
国民学校令等戦時特例
https://www.mext.go.[...]
[5]
웹사이트
学童疎開促進要綱
https://ndlsearch.nd[...]
[6]
텍스트
[7]
웹사이트
国民学校令の公布
https://www.mext.go.[...]
2015-07-26
[8]
텍스트
[9]
저널
国民学校問答
1941-03-12
[10]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