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흥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흥남은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화순군 출생으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출신의 정치인이다. 숭실중학교와 와세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서울공립농업학교 교원, 교통부 총무과장, 서울대학교 강사를 역임했다. 한국통운 사장과 외자 모터풀 협회 회장을 지냈으며, 자유당 소속으로 제3대와 제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국회 부흥위원장으로 활동하며 가뭄 해결을 위한 저수지 건설을 주도했으나, 4·19 혁명 이후와 박정희 정권 시기의 선거에서는 낙선했다. 이후 택시업체를 운영하다가 사업 실패로 생활고에 시달렸으며, 1966년 자살 미수 후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능성 구씨 - 구자춘
구자춘은 5·16 군사정변에 가담한 후 박정희 정부에서 제주도지사, 수산청장, 경상북도지사, 서울특별시장, 내무부 장관을 역임하고 국회의원도 지낸 인물로, 서울시장 시절 서울 지하철 2호선 건설과 강남 개발을 추진했으며 군사정권 협력, 부정축재 혐의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지만, 지하철 2호선 건설과 강남 개발은 주요 업적으로 평가받는다. - 능성 구씨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 자살한 정치인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자살한 정치인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대한민국의 교사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대한민국의 교사 - 육영수
육영수는 박정희 대통령의 부인이자 퍼스트레이디로서 사회복지 사업과 민원 해결에 힘썼으며 육영재단 설립 등으로 아동 복지 증진에 기여했으나,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저격으로 사망했다.
구흥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흥남 |
출생일 | 1914년 5월 20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
사망일 | 1966년 12월 27일 |
국적 | 대한민국 |
정치 | |
의원 선수 | 2 |
의원 대수 | 3·4 |
2. 약력
구흥남은 일제강점기 화순군 출신으로, 현재 서울특별시 서대문구를 기반으로 활동했다.[2][1] 평양숭실중학교와 와세다 대학 영문과를 졸업한 후, 서울공립농업학교 교원, 교통부 총무과장, 서울대학교 예과 강사를 거쳐 부산에서 한국통운 사장을 역임했다.[2] 외자 모터풀 협회 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3. 정치 활동
1954년 제3대 총선에서 자유당 후보로 화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고, 1958년 제4대 총선에서도 재선되었다.[1] 국회의원 임기 중이던 1956년에는 국회 부흥위원장을 맡았으며, 화순군 능주면 일대의 가뭄 해소를 위해 한천면에 저수지 건설을 주도했다.[2]선거명 직책 선거구 정당 득표수 득표율 순위 당락 비고 제3대 총선 국회의원 화순군 자유당 13,373표 30.77% 1위 당선 초선 제4대 총선 국회의원 화순군 자유당 38,078표 77.58% 1위 당선 재선 제5대 총선 국회의원 화순군 헌정동지회 5,114표 10.92% 4위 낙선 제6대 총선 국회의원 화순군·곡성군 민주공화당 26,416표 32.09% 2위 낙선
3. 1.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구흥남은 1954년 제3대 총선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남도 화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30.7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당시 득표수는 13,373표였다.[1][2]
3. 2.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제4대 총선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남 화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 득표수는 38,078표(득표율 77.58%)였다.[1]
3. 3. 4.19 혁명 이후
4·19 혁명 이후 제5대 총선에서는 헌정동지회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서 출마했으나 낙선했으며, 박정희의 군사 정권 발족 이후에는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겨 1963년 제6대 총선에서 화순군·곡성군 선거구에서 출마했으나 다시 낙선했다. 이후 정계를 떠나 서울에서 택시업체 조양운수를 운영했다.[2]
3. 4. 박정희 정권 시기
박정희의 군사 정권 발족 이후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옮겨 1963년 제6대 총선거에서 화순군·곡성군 선거구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정계를 떠나 서울에서 택시업체 조양운수를 운영했다.[2]
4. 정치 활동 이후
구흥남은 정계를 떠난 후 서울에서 택시업체 조양운수를 운영했다.[2] 사업 실패로 만년에 생활고에 시달렸으며,[2] 1966년 8월에는 독극물을 이용한 자살 미수를 일으켰다.[3] 같은 해 12월 14일, 조양운수 사장직에서 사임한 후 행방불명되었고, 12월 27일 새벽 서울특별시 성북구 우이동(현 강북구 관할)의 산중턱에서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시신 옆에는 유서와 부채가 있었다.[3]
5. 사망
만년에는 사업 실패로 생활고에 시달렸으며,[2] 1966년 8월에는 독극물 자살 미수를 일으켰다.[3] 조양운수 사장에서 물러난 후, 같은 해 12월 14일에 행방불명되었고, 12월 27일 새벽, 서울특별시 성북구 우이동(현 강북구)의 산중턱에서 변사체로 발견되었다. 시신 옆에는 유서와 부채가 있었다.[3]
6. 가족 관계
7. 역대 선거 결과
연도 | 선거명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1954년 | 총선 | 국회의원 | 전남 화순군 | 자유당 | 13,373표 | 30.77% | 1위 | 당선 | 초선 |
1958년 | 총선 | 국회의원 | 전남 화순군 | 자유당 | 38,078표 | 77.58% | 1위 | 당선 | 재선 |
1960년 | 총선 | 국회의원 | 전남 화순군 | 헌정동지회 | 5,114표 | 10.92% | 4위 | 낙선 | |
1963년 | 총선 | 국회의원 | 전남 화순군·곡성군 | 민주공화당 | 26,416표 | 32.09% | 2위 | 낙선 |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3-01-30
[2]
웹사이트
정치인물사 수완이 풍부한 타협과 대화의 정치인, 화순 구흥남
http://www.namdonews[...]
2001-07-02
[3]
웹사이트
前民議員=具興南씨自殺
https://newslibrary.[...]
1966-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