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애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애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2월 호수돈여자고등학교 기숙사에서 어윤희에게 독립선언서를 전달하고, 3·1 운동 당시 개성 만세 운동을 주도했다.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형을 선고받고 수감되었으며, 이후 여성 계몽 운동과 극동 인민대표회의 참여 등 독립운동을 이어갔다. 중일 전쟁 중 체포되어 징역 12년을 선고받고 투옥되었으며, 광복 후 귀국하여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 - 장준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정치인인 장준하는 일본군 학도병으로 징집 후 탈출하여 광복군에서 활동, 해방 후 김구의 비서를 지냈고, 《사상계》를 창간하여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의문사했고 그의 삶과 죽음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부분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자 - 나운규
나운규는 일제강점기 영화감독이자 배우, 각본가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조선인의 저항 의식을 고취하며 한국 영화사에 큰 획을 그었으나, 민족주의적 영화 제작 중 조선총독부의 탄압과 건강 악화로 요절한 독립운동가이다. - 1973년 사망 - 여운홍
여운홍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과 임시정부 활동에 참여하고 해방 후 과도입법의원과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친일 행적 의혹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정치인이다. - 1973년 사망 - 린든 B. 존슨
린든 B. 존슨은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 대통령직을 승계하여 "위대한 사회"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 시민권법과 투표권법을 통과시켰으나, 베트남 전쟁 개입으로 비판을 받으며 정치적 유산에 영향을 받았다. - 1897년 출생 - 정인승
정인승은 일제강점기 국어학자로서 국어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해방 후에는 여러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으며,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고를 치른 후 건국훈장과 국민훈장을 수훈받았다. - 1897년 출생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권애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권애라 |
원어 이름 | 權愛羅 |
출생일 | 1897년 2월 2일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개성시 |
사망일 | 1973년 9월 26일 |
국적 | 조선 → 대한제국 →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대한민국 |
민족 | 한민족 |
본관 | 안동 |
학력 | 이화학당 징하이 여숙 대학 |
직업 | 독립운동가 정치인 |
정당 | 한국독립당 |
상훈 | 건국훈장 애국장 |
2. 생애
권애라는 유관순의 이화학당 2년 선배였다. 1919년 3·1 운동과 개성에서의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도하여 9개월 동안 수감되었다.[1]
1920년대에는 한국인 여성들의 애국 사상을 높이기 위한 강연을 시도하다 구금되기도 했으며, 러시아에서 열린 극동 인민대표회의에 한민족 여성 대표로 참가했다. 이후 중국에서 유학하며 한국인 여성들의 지위 향상과 독립 운동에 참여했다.[1]
중일 전쟁 중에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12년 형을 선고받고 창춘 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945년 광복과 함께 석방되어 귀국했다.[1] 1967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국독립당 소속으로 출마했으나, 선거 직전 정계 은퇴를 선언하고 사퇴했다.
2. 1. 3.1 운동과 개성 만세 운동
유관순의 이화학당 2년 선배였던 권애라는 1919년 2월 26일 경기도 개성에 위치한 호수돈여자고등학교 기숙사에서 어윤희에게 독립선언서 80매를 전해 받아 주요 인사들에게 배포하였다. 3·1 운동이 일어나자 3월 3일에 어윤희, 신관빈, 심영식(심명철) 등과 함께 경기도 개성에서 일어난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도하였다. 그 후 5월 30일에 경성지방법원에서 열린 1심 재판에서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을 선고받았고, 7월 4일에 열린 경성복심법원에서 열린 항소심 재판에서도 징역 6개월을 선고받으면서 9개월 동안 수감되었다.[1]2. 2. 여성 운동과 임시정부 활동
1920년 4월 25일부터 5월 27일까지 6차례에 걸쳐 수표교 예배당, 정동 예배당에서 한국인 여성들의 애국 사상 고취를 위한 강연 개최를 시도했고 1920년 7월에는 종로경찰서에 구금되기도 했다.[1] 1922년 1월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 인민대표회의에서 한민족 여성 대표로 참가했다. 1929년부터 중국 쑤저우에 위치한 징하이 여숙 대학(景海女塾大學)에 재학했다.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국인 여성들의 지위 향상, 독립 운동에 참여하는 한편 중국 각지에서 지하 항일 운동을 전개했다.2. 3. 중국에서의 항일 투쟁과 투옥
1919년 3·1 운동 이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 인민대표회의에 한민족 여성 대표로 참가했다. 1922년부터 중국 쑤저우에 있는 징하이 여숙 대학(景海女塾大學)에서 공부했다. 상하이를 중심으로 한국인 여성들의 지위 향상과 독립 운동에 참여했고, 중국 각지에서 지하 항일 운동을 펼쳤다.[1]중일 전쟁 중이던 1942년 2월,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로 관동군에 체포되어 징역 12년 형을 선고받고 창춘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45년 8월, 광복과 함께 석방되어 한국으로 돌아왔다.[1]
3. 사후
4. 관련 작품
- 영화 《1919 유관순》 (2019년, 권애라 역: 김나니)
- 영화 《항거 : 유관순 이야기》 (2019년, 권애라 역: 김예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