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경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경록은 고려 시대에 편찬 및 증수된 역사서로, 과거를 거울 삼아 현재와 미래를 조명하려는 동아시아 역사관을 반영한다. 충선왕 시기 처음 등장하여, 충렬왕 대에 증수되었으며, 원 간섭기에는 내용이 개편되었다. 공민왕 대에도 증수가 이루어져 정도전의 《고려국사》 편찬에 활용되었다. 조선 시대에는 이제현의 《해동금경록》 존재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
과거의 역사를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감계(鑑戒), 즉 '거울'에 비유하는 것은 중국 고대 이래 동아시아에 널리 퍼진 역사관이었다.[1] 이러한 역사관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역사책이 북송 시대의 《자치통감》이다. '금경록'이라는 명칭은 중국 당 현종 때 장구령이 현종의 천추절을 맞아 지어 바쳤다는 《천추금경록》(천추금감록이라고도 함)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1]
과거의 역사를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거울'에 비유하는 역사관은 중국 고대 이래 동아시아 전반에 널리 퍼져 있었다.[1] 이러한 역사관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역사책이 북송 시대의 《자치통감》이다. 《금경록》이라는 책 제목은 당 현종 때 장구령이 지은 《천추금경록》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2. 금경록의 등장 배경
《금경록》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충선왕 복위년(1308년) 원에 하정사로 들어가는 평리(評理) 조련(趙璉)에게 충선왕이 왕명으로 《세대편년절요》와 《금경록》을 가지고 가서 바치게 하였다는 기록에서이다.[2] 《고려사》에는 정가신이 《금경록》(천추금경록)을 썼고[3], 충렬왕이 민지에게 이 책을 증수하게 하였으나, 당시 나라에 변고가 많아 완성하지 못했다가 후에 권보와 함께 교열, 찬술하여 《세대편년절요》(전7권)로 완성하였다는 기록이 있다.[4] 정가신이 저술한 《금경록》은 충렬왕의 정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5]
《금경록》 증수, 개찬의 표면적 이유는 빠진 내용을 보충하는 것이었지만, 고려가 원을 의식해서 혹은 원의 압력에 의해 원의 심기를 거스를 만한 내용을 수정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6][7] 당시 원은 고려에 역대 국왕들의 사적 및 중국 왕조에 조공한 기간 등을 자세히 기록하여 바치도록 요구했고,[8] 충렬왕은 오양우에게 원에 바칠 《국사》(國史) 편찬을 명하기도 했다.[9] 또한 많은 반대를 무릅쓰고 역대 고려 왕실의 실록 185책을 원에 보내기도 했다(이 실록은 충선왕 4년(1312년)에 고려로 돌아왔다).[10] 고종 및 원종의 실록도 원에서 보낸 시호에 맞춰 《충헌왕실록》과 《충경왕실록》으로 개찬되었는데, 이 역시 원의 간섭에 의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11] 반대로 《금경록》을 《세대편찬절요》로 개찬한 것은 원의 압력보다는 고려 국내의 정치적 상황에 따른 결과라는 견해도 있다.[12]
공민왕 20년(1371년)에는 왕명으로 이인복, 이색 등에게 《본조금경록》을 증수하게 하였는데, 이 책은 정도전이 《고려국사》를 저술하는데 직접적인 기본 자료로 쓰였다.[13]
정총의 '고려국사서'에는 이색, 이인복이 증수한 《금경록》(본조금경록)은 태조에서 정왕까지를 다루었으며 그 내용이 지나치게 소략하였다고 평하고 있다.[14] 조선 후기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정가신과 민지의 《금경록》 편찬 및 증수에 대해 왕이 증수를 명한 것은 후세에 본받을 만한 일이라 호평하며, 그 책들이 전해지지 않게 된 것은 문헌을 숭상하지 않은 탓이라며 탄식했다.[15]
2. 1. 동아시아 역사관과 《자치통감》
과거의 역사를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한 '거울'에 비유하는 것은 중국 고대 이래 동아시아 전체에 널리 퍼진 역사관이다.[1] 이러한 의식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역사책이 바로 북송 시대의 《자치통감》이다. 《금경록》이라는 책 제목은 이미 중국 당 현종 때 장구령이 현종의 천추절을 맞아 《천추금경록》(천추금감록이라고도 함) 10권을 지어 바쳤다고 전해지는 데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2. 2. 《천추금경록》의 영향
당 현종 때 장구령이 현종의 천추절을 맞아 《천추금경록》(천추금감록이라고도 함) 10권을 지어 바쳤다고 전해지는데, 《금경록》 제목은 해당 책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1]
3. 금경록의 편찬과 증수
1371년(공민왕 20년) 왕명으로 이인복, 이색 등이 《본조금경록》을 증수하였는데, 이 책은 정도전이 《고려국사》를 저술하는데 직접적인 기본 자료로 쓰였다.[13] 정총의 '고려국사서'에는 이색, 이인복이 증수한 《금경록》(본조금경록)은 태조에서 정왕까지를 다루었으며 그 내용이 지나치게 소략하였다고 평하고 있다.[14]
조선 후기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정가신과 민지의 《금경록》 편찬 및 증수에 대해, 비록 개인이 사적으로 지은 역사책이라고는 해도 왕이 증수를 명한 것은 후세에 본받을 만한 일이라고 호평하였다. 또한, 그 책들이 전해지지 않게 된 것은 우리나라가 문헌을 숭상하지 않은 결과라고 탄식하였다.[15]
3. 1. 초기 금경록
《금경록》이라는 책 제목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충선왕 복위년(1308년) 원에 하정사로 들어가는 평리(評理) 조련에게 충선왕이 왕명으로 《세대편년절요》와 《금경록》을 가지고 가서 바치게 하였다는 기록에서이다.[2]
《고려사》 정가신열전과 민지열전에는 정가신이 《금경록》(천추금경록)을 편찬하였고,[3] 충렬왕이 이 《천추금경록》을 민지에게 명하여 증수하게 하였는데, 당시 나라에 변고가 많았던 까닭에 그것을 완성할 겨를이 없었다가 후에 권보와 함께 교열을 보고 찬술하여 《세대편년절요》(전7권)로 완성하였다고 한다.[4] 정가신이 저술한 《금경록》(천추금경록)은 충렬왕의 정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5]
3. 2. 충렬왕 대의 증수
충렬왕은 민지에게 《천추금경록》 증수를 명했으나, 당시 잦은 변고로 인해 완성하지 못했다. 훗날 민지는 권보와 함께 교열 및 찬술하여 《세대편년절요》(전7권)로 완성하였다.[4] 정가신이 저술한 《천추금경록》은 충렬왕의 정치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5]
《금경록》 증수 및 개찬의 표면적 이유는 빠진 내용을 보충하는 것이었지만, 고려가 원을 의식했거나 원의 압력으로 원의 심기를 거스를 만한 내용을 수정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실제로 충렬왕 4년(1278년) 원의 중서성(中書省)은 고려에 역대 국왕들의 사적 및 중국 왕조에 조공한 기간 등을 자세히 기록하여 바치도록 요구했고,[8] 충렬왕은 재위 12년(1286년) 오양우에게 원에 바칠 《국사》(國史) 편찬을 명하기도 했다.[9] 또한 충렬왕 33년(1307년)에는 많은 반대를 무릅쓰고 역대 왕실 실록 185책을 원에 보냈는데, 이 실록들은 충선왕 4년(1312년)에 고려로 반환되었다.[10]
3. 3. 원 간섭기의 개찬
충선왕 복위년(1308년) 원에 하정사로 들어가는 평리(評理) 조련(趙璉)에게 충선왕이 왕명으로 《세대편년절요》(世代編年節要)와 《금경록》(金鏡錄)을 가지고 가서 바치게 하였다는 데에서 《금경록》이라는 책 제목이 처음 등장한다.[2] 《금경록》의 증수, 개찬에 대해 표면적인 이유는 빠진 것을 보충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노우에 히데오[6]나 김상현[7]은 고려가 원을 의식해서 혹은 원의 압력에 의해 원의 심기를 거스를 만한 내용을 보정 및 개편한 것으로 추측하였다.
충렬왕 4년(1278년) 원의 중서성(中書省)은 국사원(國史院)의 요구에 따라 고려에 역대 고려 국왕들의 사적 및 중국 왕조에 조공한 기간, 사신의 명목, 국왕의 친조 연월 등을 구체적으로 기록하여 바치도록 고려에 요구했고,[8] 충렬왕 12년(1286년) 직사관(直史館) 오양우(吳良遇)에게 원에 바칠 《국사》(國史)의 편찬을 명하는가 하면,[9] 33년(1307년)에는 많은 사람들의 반대를 무릅써가며 역대 고려 왕실의 실록 185책을 원에 보내기까지 했다(이 선대실록 185책은 충선왕 4년(1312년)에 다시 고려로 송환되었다).[10] 고종 및 원종의 실록도 원에서 보낸 시호에 맞춰 《충헌왕실록》과 《충경왕실록》으로 개찬되었는데, 이는 원의 간섭에 의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11]
반대로 《금경록》을 《세대편년절요》로 개찬한 것은 원의 압력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고려 국내의 정치적 상황에 따른 산물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12]
3. 4. 공민왕 대의 증수
1371년(공민왕 20년) 왕명으로 감춘추관사(監春秋館事) 이인복·지춘추관사(知春秋舘事) 이색 등이 《본조금경록》을 증수하였는데, 이 책은 정도전이 《고려국사》를 저술하는데 직접적인 기본 자료로 쓰였다.[13]
정총의 '고려국사서'에는 이색, 이인복이 증수한 《금경록》(본조금경록)은 태조에서 정왕까지를 다루었으며 그 내용이 지나치게 소략하였다고 평하고 있다.[14]
4. 《금경록》에 대한 평가
조선 후기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정가신과 민지의 《금경록》 편찬 및 증수에 대해, 개인이 사적으로 지은 역사책이라고는 해도 왕이 그 책을 증수할 것을 명한 것은 후세에 본받을 만한 일이라고 호평했다. 또한 그 책들이 전해지지 않게 된 것은 우리나라가 문헌을 숭상하지 않은 소치라며 탄식했다.[15]
이색, 이인복이 증수한 《금경록》(본조금경록)에 대해 정총은 '고려국사서'에서 태조에서 정왕(靖王)까지를 다루었으며 그 내용이 지나치게 소략하였다고 평했다.[14]
5. 이제현의 해동금경록
조선 중기 이수광의 《지봉유설》[16] 및 김노응의 《익재선생연보》[17]에 따르면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제현도 《금경록》(해동금경록)을 지었다고 적고 있다.
이에 대해 이마니시 류는 이인복과 이색 등이 증수한 것을 착각하였다고 부정하였고,[18] 한국의 사학자 변태섭도 이수광의 지적에 대해 정말 이제현의 저술인지 아니면 이제현이 지었다는 사략(史略)을 가리킨 것인지, 이마니시의 지적처럼 《본조금경록》을 착각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고 하는 등 이제현의 저술 《해동금경록》의 존재에 대해 회의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국사관논총》 제55집 '高麗後期 性理學 受容에 關한 硏究' Ⅳ. 性理學의 受容 2. 李齊賢의 歷史認識(이원명 집필) 및 같은 책 제71집 高麗時代의 書籍刊行 〈附錄〉高麗의 逸書目錄(허흥식 집필)에서는 이제현의 저술로 《금경록》을 언급한다.
참조
[1]
서적
日本の修史と史學
至文堂
1958
[2]
역사서
고려사
[3]
역사서
고려사
[4]
역사서
고려사
[5]
간행물
高麗後期 性理學 受容에 關한 硏究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6]
논문
高麗時代の歷史編纂
1980
[7]
논문
高麗後期의 歷史認識
[8]
역사서
고려사
[9]
역사서
고려사
[10]
역사서
고려사
[11]
서적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12]
논문
鄭可臣과 閔漬의 史書編纂活動과 그 傾向
[13]
서적
공민왕이 《본조금경록》 중수를 명한 것은 자주적인 역사의식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그 전년인 공민왕 18년([[1369년]])과 19년([[1370년]]) [[이성계]]와 [[지용수]], [[양백연]]을 보내 두 차례에 걸쳐 요동 동녕부(東寧府) 정벌을 명하고, 공민왕 18년 6월 초순 원의 지정 연호를 폐지하고 관제를 다시 공민왕 5년([[1356년]])의 개혁처럼 원 간섭기 이후 격하되었던 관제를 문종대의 체제로 복구하는 등 적극적인 반원정책을 펼쳤던 점이 지적되고 있다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14]
문헌
고려국사서
[15]
역사서
동사강목
[16]
문헌
지봉유설
[17]
문헌
익재집
[18]
논문
王氏高麗朝に於ける修史に就いて
國書刊行會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