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수도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수도주의는 세상으로부터의 은둔과 격리를 특징으로 하는 기독교 신앙의 한 형태이다.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시작되어, 은둔 수도주의와 공동체 수도주의 두 가지 주요 형태로 발전했다. 초기에는 사막 교부들을 중심으로 은둔 생활이 시작되었으며, 성 안토니우스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이후 성 파코미우스에 의해 공동 수도원 생활이 체계화되었다. 동방 정교회, 서방 기독교(로마 가톨릭, 개신교) 등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각자의 수도원 규칙과 형태를 발전시켰다. 수도원 생활은 청빈, 정결, 순명을 핵심 가치로 하며, 교육, 의료, 문화 예술 분야에 기여해 왔다. 현대에는 에큐메니칼 수도주의 형태로 초교파적인 공동체들이 등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건축물 - 목사관
목사관은 교회에서 성직자에게 제공하는 주거 시설로, 잦은 이동과 주택 부족 해결, 급여 혜택 등의 역할을 하며, 문화유산으로 보존되거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운영 투명성 등의 논쟁이 있다. - 기독교 수도주의 - 시나이산
시나이산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모두에게 중요한 장소로 여겨지는, 알칼리성 화강암과 화산암으로 이루어진 산으로, 북쪽에는 성 카타리나 수도원이, 정상에는 모스크와 예배당이 있다. - 기독교 수도주의 - 몬세라트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톱니 모양 산인 몬세라트는 분홍색 역암 지형과 수도원으로 유명하며 등반 및 하이킹 명소이자 카탈루냐의 상징으로, 《몬세라트의 붉은 책》을 소장하고 있다. - 금욕주의 - 나실인
나실인은 구약성경 시대에 하나님께 헌신하기로 서약한 사람들을 뜻하며, 포도주를 멀리하고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는 등의 규정을 지켰고, 삼손과 사무엘이 대표적인 예이며 현대의 영적인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 금욕주의 - 탁발
탁발은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 등 여러 종교에서 수행 또는 생계 방식으로 여겨져 왔으며, 가톨릭의 탁발 수도회, 개신교의 순회 설교자 파송, 이슬람의 구걸 전통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현대 사회의 사회적 약자 지원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기독교 수도주의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종교적 삶의 방식 |
종교 | 기독교 |
관련 종교적 삶 | 동방 기독교 수도주의, 기독교 사막 수도주의, 기독교 은둔주의 |
관련 인물 | 파코미우스, 대 바실리오, 베네딕토, 클뤼니의 오도, 시토의 로베르토, 아빌라의 테레사, 로욜라의 이냐시오, 빈센트 드 폴, 마리아 테레사 |
목적 | |
목적 | 하느님과의 합일, 개인적인 성화, 이웃에게 봉사 |
특징 | |
특징 | 공동체 생활 기도 노동 복음적 권고 청빈 정결 순명 |
기원 | |
기원 | 3세기, 이집트 |
영향 | |
영향 | 병원 자선 활동 학교 필사본 보존 예술 음악 건축 기술 |
2. 역사
대 안토니우스는 기독교 수도원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16] 초기 기독교 수도원 생활은 에세네파와 테라페우타이와 같은 1세기 단체들의 생활 방식에서 그 전조를 찾아볼 수 있다.[8] 이들은 엘리야, 세례자 요한, 예수가 사막에서 고독하게 사탄과 싸운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9]
3세기에는 시리아 기독교를 통해 "언약의 아들" 운동으로 "원시 수도주의"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다. 동방 정교회는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를 수도원 입법의 창시자로 여기며, 광야의 교부들의 모범을 따른다.
바울로스(은수자)는 역사상 최초의 기독교 수도사로 알려져 있다. 3세기에 이집트의 안토니우스는 사막에서 은둔자로 살았고, 점차 추종자들을 얻었다. 성 파코미우스는 346년에 이집트에서 최초의 공동 수도원 기독교 수도원을 세웠다.[9] 이집트 상부의 타베나에서 대략 서기 323년경, 파코미우스는 제자들을 더 조직적인 공동체로 만들었다. 수도승들은 개별 오두막이나 방에서 살았지만, 공동 공간에서 일하고, 식사하고, 예배를 드렸다. 수도원의 지도자는 수도원장으로 불렸다.
파코미우스 수도원은 벽으로 둘러싸인 건물들의 집합이었다. 수도승들은 집으로 나뉘었고, 각 집에는 약 40명의 수도승이 있었다. 수도원에는 30~40채의 집이 있었고, 각 수도원에는 수도원장이, 각 집에는 감독관과 하위 관리자가 있었다. 수도승들은 종사하는 일에 따라 집으로 나뉘었다.
대 바실은 카이사레아의 주교가 되었고 금욕적인 삶의 원칙을 썼다. 동방 수도원 가르침은 요한 카시아누스에 의해 서방 교회로 전해졌다. 아우구스티누스는 388년에 기독교인으로 아프리카로 돌아온 후 타가스테에 평신도 공동체를 세웠다.[22]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성 베네딕토 규칙서를 썼다.[22]
동방 정교회 수도원주의는 공식적인 수도원 규칙(''Regulae'')은 없다. 대신 각 수도승과 수녀는 모든 성부의 글을 읽고 그들의 덕을 본받도록 권장된다. 동방 정교회 내에는 은둔 수도원, 공동체 수도원, 스키테의 세 가지 유형의 수도원주의가 존재한다.
서방 기독교 수도원 생활은 기독교 수도주의의 다양한 형태를 포괄하며, 여러 수도회와 공동체가 발전해 왔다. 요한 카시아누스는 '규범'과 '강론'을 통해 기독교 수도원주의에 심오한 복음주의적이고 신학적인 기초를 제공했다.[9]
수도주의가 서방에 도입된 시기는 약 서기 340년경, 성 아타나시우스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이다.[5] 투르의 마르틴은 푸아티에 근처에 은둔소를 중심으로 공동체를 형성했고, 372년에 투르 주교가 되어 마르무티에에 수도원을 세웠다. 마르세유의 호노라투스는 410년에 레랭 수도원을 설립했다. 요한 카시아누스는 385년경 팔레스타인과 이집트의 한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하여 수도 생활을 연구했다. 415년경 그는 마르세유 근처에 두 개의 수도원을 세웠다.[28]
아일랜드의 초기 수도원 정착지는 5세기 말에 등장했다. 아란의 엔다는 "아일랜드 수도주의의 선구자"로 불린다.[39] 아일랜드 수도주의는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북부, 갈리아와 이탈리아로 전파되었다. 콜룸바와 그의 추종자들은 방고르, 이오나, 린디스판에 수도원을 세웠다. 콜룸바누스는 레인스터 귀족 가문 출신 수도원장으로, 6세기 후반에 열두 명의 동료와 함께 갈리아로 여행했다. 콜룸바누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아일랜드식 수도원 모델을 유럽 대륙에 전파했다.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서방 수도사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서방 수도원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그는 성 베네딕토 규칙을 제정했는데, 이 규칙은 수도원의 활동, 임원, 그리고 그들의 책임을 정의했다.
헨리 8세 시대의 수도원 해산으로 잉글랜드의 수도원 생활은 갑작스럽게 종말을 맞이했다. 수도원의 재산과 토지는 몰수되었고, 수도사와 수녀는 연금을 받고 은퇴하거나, 대륙으로 도망가거나, 직업을 포기해야 했다.
2. 1. 초기 기독교 수도원 생활
초기 기독교 수도원 생활은 에세네파와 테라페우타이와 같은 1세기 단체들의 생활 방식에서 그 전조를 찾아볼 수 있다.[8] 이들은 예언자 엘리야와 세례자 요한, 그리고 예수가 사막에서 고독하게 사탄과 싸운 이야기에서 영감을 받았다.[9] 또한, 나실인들의 삭발,[10] 단식,[11] 헌신적인 삶,[12][13] 위생 관련 관습[14] 등도 수도 생활의 선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나실인들의 서약은 야훼교와 관련된 개인적인 의례의 중요성 때문에 수도회의 직접적인 선례가 되기보다는 역사적인 유대교의 서원 또는 맹세의 한 형태로 정의된다.
초기 기독교 금욕주의자들은 기록에 단편적으로만 나타난다. 2세기에는 그리스도께 헌신한 처녀들의 공동체가 있었고, "경건한 자"로 알려진 개인 금욕주의자들은 거주지 가장자리에 살면서 금욕 생활을 실천했다. 이들은 독신 생활, 금식, 고기와 포도주를 삼가고, 수공예로 생계를 유지하며 가난한 사람들을 도왔다.[21]
3세기에는 시리아 기독교를 통해 "언약의 아들" 운동으로 "원시 수도주의"의 초기 형태가 나타났다. 동방 정교회는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를 수도원 입법의 창시자로 여기며, 광야의 교부들의 모범을 따른다.
은둔 수도주의는 사회로부터의 완전한 은둔이 특징이다. '은둔'이라는 단어는 사막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에서 유래했다.[15] 이 명칭은 3세기에 문명을 떠나 이집트의 외딴 산에서 살았던 성 안토니우스의 이름에서 붙여졌다. 그는 최초의 기독교 은둔자는 아니지만, 최초로 알려진 은둔자로 인정받고 있다.[16]
바울로스(은수자)는 역사상 최초의 기독교 수도사로 알려져 있다. 3세기에 이집트의 안토니우스는 사막에서 은둔자로 살았고, 점차 추종자들을 얻었다. 이러한 유형의 수도 생활을 "은둔적" 또는 "은둔자적"이라고 부른다.
독거 수도사가 되는 또 다른 선택은 여성 은수자/남성 은수자가 되는 것이었다. 이들은 주교의 허가를 받아 봉쇄 의식을 수행하고, 교회로 열린 창문이 있는 방에서 혼자 살았다. 노리치의 줄리안이 대표적인 여성 은수자였다.[17][18]
초기 사막 교부들은 은둔자로 살았지만, 서로 가까이 살았으며, 니트리아 사막과 스케테 사막과 같은 곳에서 느슨하게 연결된 공동체가 형성되기 시작했다.[9] 성 마카리우스는 338년에 켈리아와 같은 개별적인 수도원 집단을 세웠다. 이 수도승들은 성 안토니우스의 수도원 이상을 따르는 은수자들이었다. 그들은 혼자 살면서 토요일과 일요일에만 공동 예배를 위해 모였다.[19]
346년 이집트에서 성 파코미우스가 최초의 공동 수도원 기독교 수도원을 세웠다.[9] 이집트 상부의 타베나에서 대략 서기 323년경, 파코미우스는 제자들을 더 조직적인 공동체로 만들었다. 수도승들은 개별 오두막이나 방에서 살았지만, 공동 공간에서 일하고, 식사하고, 예배를 드렸다. 이러한 수도원 조직 방식을 '공동 수도원'이라고 부른다. 수도원의 지도자는 시리아어로 'Abba', 영어로는 "수도원장"으로 불렸다.
성 파코미우스는 공동 수도원 생활의 규율을 도입하여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음식과 복장을 제공했다. 수도승들은 수도원의 공동선을 위해 순종을 수행했다. 성 파코미우스는 열정을 다해 수행된 순종이 금식이나 기도보다 더 훌륭하다고 여겼다.[20]
파코미우스 수도원은 벽으로 둘러싸인 건물들의 집합이었다. 수도승들은 집으로 나뉘었고, 각 집에는 약 40명의 수도승이 있었다. 수도원에는 30~40채의 집이 있었고, 각 수도원에는 수도원장이, 각 집에는 감독관과 하위 관리자가 있었다. 수도승들은 종사하는 일에 따라 집으로 나뉘었다.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모든 수도승들이 미사를 위해 교회에 모였고, 다른 날에는 사무실과 다른 영적 훈련이 집에서 거행되었다.[21]
세속적인 관점에서 수도원은 거의 모든 종류의 무역이 행해지는 산업 공동체였다. 수도승들은 나일 강에 자체 선박을 가지고 농산물과 제조 상품을 시장으로 운송하고 수도원에 필요한 것을 가져왔다. 영적인 관점에서 파코미우스 수도승은 규율 아래 사는 종교인이었다.[21]
파코미우스의 공동체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테바이드에 3,000개에 달하는 공동체가 있었다. 거기에서 수도원주의는 팔레스타인, 유대 사막, 시리아, 북아프리카를 거쳐 로마 제국으로 퍼져나갔다.
370년 카파도키아의 수도원 창시자인 대 바실은 카이사레아의 주교가 되었고 금욕적인 삶의 원칙을 썼다. 동방 수도원 가르침은 성 요한 카시안(c. 360 – c. 435)에 의해 서방 교회로 전해졌다. 그는 마르세유 근처에 수도원을 세웠고, '규범'과 '강론'을 썼다.[9]
386–387년에 밀라노에서 개종했을 당시, 아우구스티누스는 이집트 사막에서 성 안토니우스의 삶을 알고 있었다. 388년에 기독교인으로 아프리카로 돌아온 아우구스티누스는 타가스테에 평신도 공동체를 세웠다.[22]
성 베네딕토(c. 480 – 547 AD)는 이탈리아 수비아코 근처의 동굴에서 오랫동안 은둔자로 살았다. 그는 공동체 생활을 통해 파코미우스의 수도원 스타일로 바꾸고 싶어하는 여러 수도승의 수장이 되어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530년과 560년 사이에 그는 성 베네딕토 규칙서를 썼다.[22]
레스터 K. 리틀과 같은 학자들은 수도원주의의 부상을 콘스탄티누스의 기독교 합법화로 인해 교회에 일어난 변화에 기인한다고 본다. 기독교가 로마의 주요 종교로 변화하면서, 금욕주의의 장기적인 "순교"는 박해의 폭력적인 육체적 순교를 대체했다.
2. 2. 동방 기독교 수도원 생활
동방 정교회 수도원주의는 서방의 종교 단체와 같은 종교 단체가 없으므로[26], 공식적인 수도원 규칙(''Regulae'')은 없다. 대신 각 수도승과 수녀는 모든 성부의 글을 읽고 그들의 덕을 본받도록 권장된다. "활동적인" 삶과 "관상적인" 삶 사이의 구분도 없다. 정교 수도 생활은 활동적인 측면과 관상적인 측면을 모두 포괄한다.동방 정교회 내에는 은둔 수도원, 공동체 수도원, 스키테의 세 가지 유형의 수도원주의가 존재한다. 스키테는 원로의 지도를 받는 매우 작은 공동체로, 종종 두세 명()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일주일의 대부분을 개인적으로 기도하고, 일요일과 축일에 공동 기도회를 위해 모여 은둔 수도원과 공동체 수도원의 측면을 결합한다.
성 안토니우스 대 ("수도주의의 아버지")가 사막으로 나가기 전에도, 기독교인들은 금욕적인 수련에 헌신하고 복음적 삶(복음의 가르침에 따른 삶)을 살기 위해 노력했다. 수도주의가 이집트 사막의 은둔자들로부터 팔레스타인, 시리아를 거쳐 소아시아로, 더 나아가 동방으로 퍼져 나가면서, 사막 교부와 사막 어머니들의 어록(''apophthegmata'')과 행적(''praxeis'')이 기록되고 유포되었는데, 처음에는 동료 수도자들 사이에서, 그 다음에는 평신도들 사이에서도 그러했다.
가장 초기의 기록 중에는 헬레노폴리스 주교 갈라티아의 팔라디우스의 ''낙원''(''라우시악 역사''로도 알려져 있으며, 총독 라우수스에게 헌정되었다)이 있었다.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 성인(그의 ''성 안토니우스 대의 생애''는 수도원 성인전의 틀을 잡았다), 제롬 성인, 그리고 다른 익명의 편집자들도 매우 영향력 있는 기록을 작성하는 데 책임이 있었다. 공동 수도원의 아버지인 성 파코미우스와 그의 제자인 성 테오도르가 설립한 공동체에 관한 글도 매우 중요하다. 성 테오도르는 수도주의의 스케테 형태를 창시했다.
수도원 생활에 대한 계율을 처음으로 제시한 사람 중 한 명은 카이사리아, 콘스탄티노플, 아테네에서 교육을 받은 전문직 가문 출신인 바실리우스 대성인이었다. 성 바실은 팔레스타인과 이집트의 은둔자 공동체를 방문했지만, 성 파코미우스의 지도 아래 발전한 조직화된 공동체에 가장 깊은 인상을 받았다. 성 바실의 금욕적인 저술은 잘 훈련된 공동체 생활의 기준을 제시하고, 이상적인 수도원의 덕목, 즉 겸손이 되는 것에 대한 교훈을 제공했다.
성 바실은 수도원 생활을 위한 일련의 안내서(''소 아스케티콘'', ''대 아스케티콘'', ''도덕'', 등)를 저술했는데, 이는 후기 서방 규칙의 법률적 의미에서의 "규칙"은 아니었지만, 같은 지붕 아래, 그리고 강력한 수도원장의 지도와 훈련 아래 사는 단일 수도사 공동체의 중요성을 굳게 시사했다. 그의 가르침은 그리스와 러시아 수도원주의의 모델을 제시했지만, 라틴 서방에서는 영향력이 적었다.
수도주의 발전에 매우 중요한 곳은 이집트 시나이 산에 있는 성 카타리나 수도원이다. 여기서 요한 클리마쿠스 성인(c.600)은 신성한 상승의 사다리를 썼는데, 이 작품은 오늘날까지 많은 정교회 수도원에서 정시 기도 중이나 대사순절 동안 식당에서 공개적으로 읽을 정도로 중요하다.
동로마 제국의 전성기에, 황제들은 아토스 산의 20개의 "주권 수도원"[27]을 포함하여 수많은 대 수도원을 설립했는데, 이는 영혼을 하나님께 더 가까이 인도하는 데 전념하는 실제 "수도원 공화국"이었다. 이 환경에서 필로칼리아가 편집되었다.
대분열이 동서 간에 커지면서, 헤시카즘에 대한 오해로 인해 갈등이 발생했다. 테살로니카의 주교이자 경험 많은 아토스 산 수도사인 그레고리 팔라마스 성인은 칼라브리아의 바를람의 비판에 맞서 동방 정교회 영성을 옹호했고, 영적인 삶에 대한 수많은 중요한 작품을 남겼다.

기독교 수도주의는 평신도 신분이었고, 지금도 그렇다. 수도자들은 성사를 위해 지역 교구 교회에 의존했다. 그러나 수도원이 사막에 고립되어 있는 경우(이집트의 많은 사례처럼),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수도원은 사제 회원을 받아들이거나 수도원장 또는 다른 회원을 서품해야 했다. 사제 수도자는 때때로 히에로몬크라고 불린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교구의 주교를 채워야 할 때, 영적으로 성숙하고 일반적으로 주교에게 필요한 다른 자질을 갖춘 사람들의 좋은 원천이 되기 때문에 인근 수도원에서 적합한 후보자를 찾았다. 결국, 동방 정교회에서는 모든 주교가 수도사여야 한다는 것이 교회법으로 확립되었다.
수도원은 오늘날에도 불가리아, 에티오피아, 조지아, 그리스, 북마케도니아, 러시아, 루마니아, 세르비아, 성지 등 동방 정교 세계의 여러 지역에서 번성하고 있으며, 아토스 산 자치 수도국은 동방 정교회의 수도주의 영적 중심지로 남아 있다. 철의 장막 붕괴 이후 수도주의 부흥이 크게 일어나 이전에는 비어 있었거나 파괴되었던 많은 수도 공동체가 다시 문을 열었다.
수도주의는 동방 정교회에서 계속해서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성전에 따르면 모든 주교는 수도사여야 하며(단순한 독신자가 아니라), 성인 수도 성인의 축일은 교회의 전례 전통의 중요한 부분이다. 금식, 헤시카즘, 그리고 영적 삶의 추구는 수도자들뿐만 아니라 평신도들에게도 강력하게 권장된다.
2. 3. 서방 기독교 수도원 생활
서방 기독교 수도원 생활은 기독교 수도주의의 다양한 형태를 포괄하며, 여러 수도회와 공동체가 발전해 왔다.초기 사막 교부들은 은둔 생활을 했지만, 완전히 고립되지 않고 서로 가까이 살면서 공동체를 형성했다. 성 마카리우스는 켈리아와 같은 개별적인 수도원 집단을 세웠는데, 이들은 성 안토니우스의 수도원 이상을 따르는 은수자들이었다. 그들은 혼자 살면서 토요일과 일요일에만 공동 예배를 위해 모였다.[19]
346년 성 파코미우스는 이집트에서 최초의 공동 수도원 기독교 수도원을 세웠다.[9] 수도승들은 개별 오두막에서 살았지만, 공동 공간에서 일하고, 식사하고, 예배를 드렸다. 이러한 수도원 조직 방식을 '공동 수도원'이라고 부른다. 수도원의 지도자는 '수도원장'으로 불렸다. 성 파코미우스는 공동 수도원 생활의 규율을 도입하여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음식과 복장을 제공했다. 수도승들은 수도원의 공동선을 위해 그들에게 할당된 순종을 수행했으며, 책을 베끼는 것도 중요한 일이었다.[20]
파코미우스 수도원은 벽으로 둘러싸인 건물들의 집합이었다. 수도승들은 집으로 나뉘었고, 각 집에는 약 40명의 수도승이 있었다. 수도원에는 30~40채의 집이 있었고, 각 수도원에는 수도원장이, 각 집에는 감독관이 있었다. 수도승들은 그들이 종사하는 일에 따라 집으로 나뉘었다. 토요일과 일요일에는 모든 수도승들이 미사를 위해 교회에 모였고, 다른 날에는 사무실과 다른 영적 훈련이 집에서 거행되었다.[21] 파코미우스의 공동체는 매우 성공적이어서 이집트, 특히 테바이드에 3,000개에 달하는 공동체가 있었다. 거기에서 수도원주의는 팔레스타인, 유대 사막, 시리아, 북아프리카로, 그리고 결국 로마 제국의 나머지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370년 카파도키아의 수도원 창시자인 대 바실은 카이사레아의 주교가 되었고 금욕적인 삶의 원칙을 썼다. 동방 수도원 가르침은 요한 카시아누스 (c. 360 – c. 435)에 의해 서방 교회로 전해졌다. 카시안은 마르세유 근처에 수도원을 세웠고, '규범'과 '강론'을 통해 기독교 수도원주의에 심오한 복음주의적이고 신학적인 기초를 제공했다.[9] 388년,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친구들은 아프리카 타가스테에 평신도 공동체를 세웠다.[22] 성 베네딕토 (c. 480 – 547 AD)는 이탈리아 수비아코 근처의 동굴에서 오랫동안 은둔자로 살다가, 530년과 560년 사이에 성 베네딕토 규칙서를 썼다.[22]
레스터 K. 리틀과 같은 학자들은 수도원주의의 부상을 콘스탄티누스의 기독교 합법화로 인해 교회에 일어난 변화에 기인한다고 본다. 기독교가 로마의 주요 종교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형태의 헌신으로 금욕주의의 장기적인 "순교"가 박해의 폭력적인 육체적 순교를 대체했다.
수도주의가 서방에 도입된 시기는 약 서기 340년경, 성 아타나시우스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이다. "안토니우스의 생애"가 라틴어로 번역되면서 이집트 수도 생활에 대한 지식이 널리 퍼졌고, 많은 사람들이 이탈리아에서 그 모범을 따랐다.[5] 서유럽 수도주의의 초기 단계는 투르의 마르틴을 포함한다. 그는 푸아티에 근처에 은둔소를 중심으로 공동체를 형성했고, 372년에 투르 주교가 되어 마르무티에에 수도원을 세웠다. 그의 수도원은 단일 통합 공동체라기보다는 은둔자들의 식민지로 배치되었다.[5]
마르세유의 호노라투스는 410년에 레랭 수도원을 설립했다. 수도원은 공동체와 고립된 은둔소를 결합하여 나이가 많고 영적으로 증명된 수도승들이 고립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요한 카시아누스는 385년경 팔레스타인과 이집트의 한 수도원에서 수도 생활을 시작하여 수도 생활을 연구했다. 415년경 그는 마르세유 근처에 두 개의 수도원을 세웠다.[28]
켈트 수도원은 기독교인들이 일종의 종교적 씨족으로서 함께 생활하는 단순한 정착지였다.[28] 수도원 영성은 갈리아를 거쳐 레랭스, 투르, 오세르를 통해 영국과 아일랜드로 전해졌다. 일투드, 다윗, 길다스, 데이니올은 6세기 영국을 이끌었던 주요 인물들이었다. 토마스 오러플린에 따르면, 각 수도원은 수도원을 경험하고 은둔처를 세우거나 공동 수도원 공동체를 설립한 사람의 수도원 충동에 대한 개별적인 반응이었다.[32] 수도원은 가족 단위로 조직되었고, 원장 다음으로 중요한 사람은 서기였다.[33] 건물은 일반적으로 나무, 엮은 울타리, 짚으로 만들어졌다. 켈트 수도주의는 엄격한 금욕주의와 배움에 대한 사랑으로 특징지어졌다.[34] 킬데어의 브리기트가 세운 아일랜드 킬데어의 수도원은 이중 수도원으로, 여성과 남성이 함께 생활했으며 수녀원장이 감독했다.
약 397년경, 니니안은 화이트혼에 있는 자신의 교회를 투르의 성 마르탱에게 봉헌했다. 베다에 따르면, 니니안은 남부 픽트족을 개종시켰다.[35] 켄티건은 글래스고 시의 창립자이자 수호 성인이었다. 카독은 5세기 후반에 란카판을 설립했다.[36] 일티드는 란일티드 파우르에 수도원을 세웠다. 성 다윗은 성 다비드 대성당에 수도원을 세웠는데, 이는 도서 기독교의 중심지가 되기에 좋은 위치였다.[39]
아일랜드의 초기 수도원 정착지는 5세기 말에 등장했다. 아란의 엔다는 "아일랜드 수도주의의 선구자"로 불린다.[39] 그는 484년경 아란 모어의 킬리니에 최초의 아일랜드 수도원을 설립했다. 클로나드의 피니안은 란카판에서 카독 아래서 공부했다.[40] 모빌의 피니안은 칸디다 카사로 갔다.[41]
아일랜드는 시골에 사는 족장 사회였다. 한 씨족 족장이 기독교를 받아들이면 그가 다스리는 사람들도 그렇게 했다.[42] 일반적으로 아일랜드 수도원은 지역 귀족 가문 출신의 수도원장에게 토지를 기증하여 설립되었다. 수도원은 부족이나 친족 집단의 영적인 중심지가 되었다. 아일랜드에서 수도원장은 종종 "코아브"라고 불렸는데, 이는 설립자의 상속자 또는 후계자를 지정하는 용어였다.[35] 클로나드, 아르마, 클론맥노이스, 소드 등 주요 수도원의 수도원장들은 최고위 계급이었으며 가장 존경을 받았다. 수도원장은 대개 사제였지만, 대규모 수도원에는 1명 이상의 상주 주교가 있었다.[43]
아일랜드 규칙은 엄격했다. 수도원 생활의 일과는 기도, 공부, 육체 노동이었다. 음식과 관련하여 규칙은 매우 엄격했다. 일요일과 축일을 제외하고는 하루에 한 끼, 오후 3시에만 허용되었다. 수요일과 금요일은 부활절과 성령 강림절 사이를 제외하고 금식일이었다. 허용된 음식은 보리빵, 우유, 생선, 달걀이었다. 큰 축제를 제외하고는 육류는 허용되지 않았다.[43] 아일랜드에서는 고해성사의 독특한 형태가 발전했는데, 고해는 비밀리에 사제에게 이루어졌고, 고해는 비밀리에 주어졌으며, 일반적으로 비밀리에 수행되었다.[44] "참회록"이라고 불리는 특정 핸드북이 만들어졌다. 토마스 폴록 오클리에 따르면, 참회 지침은 웨일스에서 처음 개발되었으며, 선교를 통해 아일랜드로 퍼져나갔다.[46]
아일랜드 수도주의는 수도 공동체의 모델을 유지하는 동시에, 은둔자의 관상 생활을 수도주의의 가장 높은 형태로 간주했다. 아일랜드 수도 규칙은 기도, 청빈, 순종이 중심 주제인 엄격한 기도와 규율의 삶을 명시한다. 아일랜드 수도사들은 교회의 언어인 라틴어를 배워야 했다. 가르치는 과목으로는 라틴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문법, 수사학, 시, 산수, 연대기, 성지, 찬송가, 설교, 자연 과학, 역사, 특히 성경 해석이 있었다.[43] 544년 성 키아란은 클론맥노이스에 수도원을 설립했는데, 이곳은 아일랜드에서 가장 중요한 학습 및 종교 생활의 중심지가 되었다. 557년 성 브렌단은 클론퍼트에 수도원을 설립했다. 7세기 말까지 아일랜드의 수도원 학교는 잉글랜드와 유럽에서 학생들을 유치했다.
켈스의 서와 같은 채색 필사본, 고대 십자가, 아다르 컵과 같은 금속 세공품, 그리고 필사본 장식의 경우 도서 예술의 업적은 서부 중세 미술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필사본은 수도원에 의해, 그리고 수도원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금속 세공품은 수도원과 왕실 작업장에서 모두 제작되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47]
아일랜드 수도주의는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북부, 갈리아와 이탈리아로 전파되었다. 콜룸바와 그의 추종자들은 방고르, 이오나, 린디스판에 수도원을 세웠다. 이오나의 수도원장은 일반적으로 창립자의 친족 중에서 임명되었으며, 수도원장이 종종 자신의 후임자를 지명했다.[35] 콜룸바누스는 레인스터 귀족 가문 출신 수도원장으로, 6세기 후반에 열두 명의 동료와 함께 갈리아로 여행했다. 콜룸바누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아일랜드식 수도원 모델을 유럽 대륙에 전파했다. 콜룸바누스가 설립한 뤽스외유와 퐁텐-레-뤽스외유를 시작으로, 프랑크 왕 킬데베르트 2세의 후원을 받아 아일랜드의 영향을 받은 일련의 새로운 수도원들이 설립되었다. 콜룸바누스의 추종자 중 한 명이 콘스탄스 호수 기슭에 성 갈 수도원을 세웠고, 콜룸바누스는 알프스를 넘어 이탈리아의 롬바르드 왕국으로 계속 나아가 보비오 수도원을 세웠다. 대략 698년부터 샤를마뉴 치세인 770년대까지 프랑크 제국에서의 히베르노-스코틀랜드 선교 노력은 앵글로색슨 선교에 의해 이어졌다. 처음에는 이 수도원 대부분에서 성 콜룸바누스의 규칙이 따랐지만, 결국 성 베네딕토의 규칙으로 대체되었다.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서방 수도사들 중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서방 수도원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그는 로마에서 교육을 받았지만 곧 수비아코의 동굴에서 은둔자의 삶을 추구했다. 그 후 그는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520년경에 창건하면서 추종자들을 모았다. 그는 성 베네딕토 규칙을 제정했는데, 이 규칙은 수도원의 활동, 임원, 그리고 그들의 책임을 정의했다. 9세기에는 베네딕토의 규칙이 서방 수도주의의 기본적인 지침이 되었다.
켈트 수도원은 레랭스와 투르를 통해 이집트의 반은둔자 전통과 더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베네딕토와 그의 추종자들은 성 파코미우스와 바실리우스 대제의 수도원 공동생활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초기 베네딕토 수도원은 비교적 작았으며 기도실, 식당, 기숙사, 서사실, 손님 숙소, 부속 건물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시기에는 약 12명의 수도사로 구성된 수도원이 일반적이었다. 중세 수도원 생활은 기도, 독서, 그리고 육체 노동으로 이루어졌다.[49] 기도 외에도 수도사들은 약을 만들고, 글씨를 쓰고, 책을 읽는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했다. 또한, 이 수도사들은 정원에서 일하고 토지에서 작업했다. 그들은 또한 안뜰 주변에 덮인 회랑인 회랑에서 기도하거나 책을 읽는 시간을 보낼 수도 있었다. 일부 수도원에는 수도사들이 책을 쓰거나 필사하는 서사실이 있었다.
베네딕토의 수도원 공동생활 규칙의 효율성과 수도원의 안정성은 그들을 매우 생산적으로 만들었다. 수도원은 지식의 중심 저장고이자 생산지였다. 793년에는 학습으로 유명했던 아일랜드 수도원을 바이킹이 공격하기 시작했다.[50] 11세기와 12세기에는 군주국과 국민 국가의 압력이 증가하면서 교단의 부와 권력이 약화되었다. 수도주의는 가톨릭 교회에서 계속 역할을 했지만, 개신교 종교 개혁 이후 북유럽의 많은 수도원들이 수도원 해산되었고 그 자산이 압수되었다.
2. 3. 1. 가톨릭 수도회
- 베네딕도회: 529년 누르시아의 베네딕토가 몬테카시노에 설립했으며, 자급자족하는 수도원에서 육체 노동을 강조한다. 이들은 독립적인 수도 공동체들의 연합체이다.[52]
- 클뤼니 수도회: 베네딕도회의 분파로, 950년경부터 1130년경까지가 전성기였다.
- 카말돌리회: 베네딕도회의 분파로, 1000년경 성 로무알도에 의해 설립되었다.
- 발롬브로사 수도회: 베네딕도회의 분파로, 1038년경 성 구알베르토 비스도미니에 의해 설립되었다.
- 카르투시오회: 성 브루노 수도회라고도 불리며, 1084년 쾰른의 브루노에 의해 설립되었다. 남녀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은둔 생활과 공동체 생활을 결합하였다.
- 시토회: 1098년 몰렘의 로베르에 의해 설립되었다. 성 베르나르도 수도회라고도 불린다.
- 바오로회: 1225년 복자 유세비우스에 의해 헝가리에서 설립되었다.
- 첼레스티노회: 1244년에 설립되었으며, 처음에는 성 다미아노의 은수자 또는 모로니테(또는 무로니테)라고 불렸다. 창립자가 교황으로 선출되어 첼레스티노 5세라는 이름을 사용하면서 첼레스티노회로 알려지게 되었다.
- 올리베타노회: 올리베트 산의 성모 수도회라고도 불리는 베네딕도회의 분파로, 1313년 베르나르도 톨로메이(본명 조반니 톨로메이)와 그의 친구 2명(시에나 귀족 가문 출신인 파트리지오 파트리지와 암브로조 피콜로미니)에 의해 설립되었다.
- 브리지타 수도회: 1344년 성녀 브리지타에 의해 설립되었다.
- 히에로니모회: 1364년 스페인에서 설립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성 제롬 수도회로 알려진 은수자 공동체이다.
- 수태회: 공식적으로 무염시태 수도회로, 1484년 성녀 실바의 베아트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
- 복되신 수태고지 수도회: 1604년 복녀 마리아 비토리아 데 포르나리 스트라타에 의해 설립되었다.
- 비지타디네회: 성모 방문 수도회는 여성 수도회이다. 이 수도회의 회원들은 방문 수녀라고도 불린다. 이 수도회는 1610년 성 프란치스코 드 살과 성 샹탈의 잔 프란치스카에 의해 프랑스 오트사부아 주의 안시에서 설립되었다.
- 트라피스트회: 1664년경에 시작된 시토회의 개혁 수도회이다.
- 베들레헴 수도 공동체: 베들레헴의 수도 형제단과 성모 승천 및 성 브루노의 수도 수녀단은 카르투시오회의 영성을 실천하며, 1950년 11월 1일 바티칸 시국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로마 가톨릭 교리의 성모 승천 교리가 선포된 것에 영향을 받은 소규모 프랑스 순례자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다. 수도 수녀회는 이 사건 직후 프랑스에서 설립되었으며, 수도 형제단은 1976년에 설립되었다.
2. 3. 2. 개신교 수도원 생활
루터교회 설립 후, 아멜룽스보른 수도원과 로쿰 수도원과 같은 루터교 지역의 일부 수도원과 수녀원이 루터교 신앙을 받아들였다.[53] 로쿰 수도원과 아멜룽스보른 수도원은 루터교 수도원으로서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19세기 이후, 개신교 내에서 수도 생활이 다시 시작되었으며, 오늘날 많은 루터교 신자들이 가톨릭 교회의 수도적 가르침을 실천하고 있다.1947년, 마더 바실레아 슐링크와 마더 마르티리아는 독일 다름슈타트에서 마리아 복음주의 자매회를 설립했다. 이 운동은 그 기원에서 복음주의 또는 루터교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48년 바이에른의 루터교 목사 발터 훔머와 그의 아내 한나는 Communität Christusbruderschaft Selbitz를 설립했다.
다른 루터교 전통에서 "그리스도의 종의 회중"은 1958년 미시간주 옥스포드의 성 어거스틴 하우스[54]에서 설립되었다. 이 공동체는 외스탄백 수도원[55] 및 성 비그베르트 수도원[56]과의 강한 유대가 남아 있다. 독일에서는 Communität Casteller Ring[57]이 루터교 베네딕토회 여성 공동체이다. 2011년, 어거스틴 수도회인 성 어거스틴 사제회(Societas Sacerdotalis Sancti Augustini)가 앵글로-루터교 가톨릭 교회에 의해 설립되었다.[58]
루터교 프란체스코회는 2011년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에서 설립되었으며, 2023년에는 텍사스주 휴스턴에 첫 번째 모원(母院)을 설립했다.
존 위클리프는 자신의 견해를 옹호하기 위해 롤라드 설교자 수도회("가난한 사제")를 조직했는데, 그의 견해 중 많은 부분이 후기 개신교 종교 개혁가들의 견해와 일치했다.
헨리 8세 시대의 수도원 해산으로 잉글랜드의 수도원 생활은 갑작스럽게 종말을 맞이했다. 수도원의 재산과 토지는 몰수되었고, 수도사와 수녀는 연금을 받고 은퇴하거나, 대륙으로 도망가거나, 직업을 포기해야 했다.
옥스퍼드 운동 이후, 수도원 생활의 부활의 필요성이 느껴졌다. 성공회 사제 존 헨리 뉴먼은 옥스퍼드 근처 리틀모어에 남성 공동체를 설립했다. 1848년, 마더 프리실라 리디아 셀론은 성공회 자선 수녀회를 창립했으며 종교 개혁 이후 성공회에서 종교 서약을 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그 이후로 수도사, 탁발 수도사, 자매, 수녀의 많은 공동체가 성공회 내에 설립되었다.
일부 성공회 종교 공동체는 관상적이고 일부는 활동적이지만, 대부분 관상 기도 생활과 활동적인 봉사를 결합한 "혼합된 삶"을 실천한다. 성공회 종교 생활은 로마 가톨릭교의 생활과 매우 유사하며, 청빈, 정결, 순명의 세 가지 서약을 한다.
20세기 초 앵글로-가톨릭 운동이 절정에 달했을 때, 성공회는 수천 명의 종교인을 거느리고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성공회 여러 지역,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종교인의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그러나 오늘날에도 전 세계 종교 공동체에서 수천 명의 성공회 종교인이 활동하고 있다. 성공회 종교 공동체는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에서 기하급수적인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1964년경, 성공회 선교사이자 R. A. 토레이의 손자인 루벤 아처 토레이 3세는 대한민국에 선교 공동체인 예수 수도원을 설립했다.
2001년 2월, 연합 감리교회는 킬데어의 성 브리지드 수도원을 조직했다. 수도원 외에도, 성 루가 수도회는 감리교 내에 분산된 종교 단체이다.
에마뉘엘 수녀 공동체는 카메룬 장로교회의 최초 여성 목사 중 한 명인 마리 수녀에 의해 1973년 설립되었다. 에마뉘엘 수녀회는 카메룬 유일의 장로교 수도원이다.
재세례파 기독교인들은 "참된 믿음을 따르는 '거룩한 삶'에 대한 수도원적 이해의 많은 요소를 유지했다."[59] 예를 들어, 후터라이트파와 브루더호프는 의도적인 공동체에서 생활한다.[60]
셰이커교도(Shakers)는 "흔들리는 퀘이커교도"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피난처와 초월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개신교 수도회"로 묘사되어 왔다.[61] 그들은 독신 생활과 공동체 생활, 평화주의, 남녀 평등 모델을 실천했다. 진실한 신규 입교자들은 셰이커교도가 되도록 초청받는다.[62] 현재 두 명의 셰이커교도, 아놀드 하드 형제와 준 카펜터 자매가 남아 있지만, 그들은 다른 사람들이 유일하게 남아있는 셰이커 공동체인 새버데이 호 셰이커 마을(Sabbathday Lake Shaker Village)에 합류하기를 바라고 있다.[63]
3. 수도원 생활의 유형
기독교 수도주의의 기본 개념은 세상이나 사회로부터의 은둔 또는 격리이다. 수도 생활은 탁발 수도사, 정규 성직자 등과는 구별된다. 탁발 수도사 등은 설교, 가르침, 포로 해방 등과 같이 본질적으로 특별한 일이나 목표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그들의 활동에서 큰 부분을 차지한다. 반면 수도사들은 다양한 성격의 노동을 수행했지만, 이 작업은 수도 상태의 본질과 관련이 없다.[5] 수도사와 탁발 수도사는 뚜렷하게 구별되는 역할이다. 13세기에 수도원이 쇠퇴하면서 기독교 신앙을 가르치기 위해 새로운 탁발 수도회들이 설립되었다.[6]
기독교 수도 생활은 이를 인정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등 해당 교파의 교회법에 의해 규제된다. 기독교 수도 생활이 항상 뜻이 맞는 기독교인들과의 공동 생활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기독교 수도주의는 외부적인 형태에서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은둔자형(은수자)과 공동체 수도원형(공주 수도자)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뉜다. 안토니우스 대제는 은둔자형 수도주의의 창시자로, 성 파코미우스는 공동체 수도원형 수도주의의 창시자로 불린다.[7] 수도 생활은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서 완전하신 것처럼 너희도 완전하여라."(마태오 5:48)라는 예수의 가르침에 기초한다. 완전의 상태라고도 불리는 이 이상은 수도 저술집인 ''필로칼리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수도자들은 청빈, 정결, 순명 서약의 세 가지 복음적 권고를 통해 자기 부인의 삶을 살아간다.
3. 1. 동방 정교회 수도자의 등급
정교회 수도원주의는 서방 교회와는 다르게 종교 단체가 없으며,[26] 공식적인 수도원 규칙(''Regulae'')도 없다. 대신 각 수도승과 수녀는 모든 성부의 글을 읽고 그들의 덕을 본받도록 권장된다. 또한 "활동적인" 삶과 "관상적인" 삶 사이의 구분도 없이, 정교 수도 생활은 활동적인 측면과 관상적인 측면을 모두 포괄한다.동방 정교회 내에는 은둔 수도원, 공동체 수도원, 그리고 스키테의 세 가지 유형의 수도원주의가 존재한다.
동방 정교회 수도자에는 세 가지 등급이 있다.
등급 | 설명 |
---|---|
라소포어 | 수도 입문자가 헤구멘(수도원장)에게 받아들여진 후 약 3년 뒤에 받는 등급이다. 라싸(그리스어: Rason)라고 불리는 겉옷을 받으며, 원한다면 평생 이 등급에 머물 수 있다. 라소포어 삭발 의식은 이 등급을 "초보자"라고 칭하므로, 수도자는 다음 단계로 나아갈 의도이다. 클로부크와 기도 끈을 받는다. |
스타브로포어 | "십자가를 짊어진 자"를 의미하며, 삭발될 때 항상 착용할 십자가를 받는다. 이 십자가는 파라먼드라고 불리는데, 수난의 도구와 "나는 내 몸에 주 예수의 흔적을 지니고 있습니다"()라는 글귀가 새겨진 사각형 천에 리본으로 부착된 나무 십자가이다. 파라먼드는 만토 아래에 착용한다. 스타브로포어는 삭발 때 나무로 된 손 십자가와 켜진 촛불, 그리고 기도 끈을 받는다. |
대 스키마 | 수도 생활의 최고 등급이다. (그리스어: Megaloschemos; 교회 슬라브어: Schimnik) 스키마 수도자 또는 스키마 수녀는 라소포어와 동일한 수도복을 입지만, 어깨를 덮고 앞과 뒤에서 무릎(또는 그 이하)까지 내려오는 십자가 모양의 아날라보스(교회 슬라브어: Analav)가 추가된다. |
4. 수도원 생활의 특징
기독교 수도 생활의 기본 개념은 세상이나 사회로부터의 은둔 또는 격리이다. 수도 생활은 탁발 수도사, 정규 성직자 등과는 구별된다. 수도사들은 다양한 노동을 수행했지만, 이 작업은 수도 상태의 본질과 관련이 없다.[5] 수도사와 탁발 수도사는 서로 다른 역할이다. 13세기에 "...수도원이 쇠퇴했기 때문에 기독교 신앙을 가르치기 위해 새로운 탁발 수도회들이 설립되었습니다."[6]
기독교 수도 생활은 로마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루터교 등 해당 교파의 교회법에 의해 규제된다. 기독교 수도 생활이 항상 뜻이 맞는 기독교인들과의 공동 생활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기독교 수도주의는 은둔자형과 공동체 수도원형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안토니우스 대제는 전자의 창시자로, 성 파코미우스는 후자의 창시자로 불린다.[7] 수도 생활은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의 완전하심과 같이 너희도 완전하여라"(마태오 5:48)라는 예수의 말씀에 기초한다. 완전의 상태라고도 불리는 이 이상은 수도 저술집인 ''필로칼리아''에서 볼 수 있다. 이들은 청빈, 정결, 순명 서약의 세 가지 복음적 권고를 따른다.
4. 1. 수도원 생활의 반대

초기 교회에는 수도원 생활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이들 중에는 헬비디우스, 요비니아누스, 비질란티우스, 세바스테의 아에리우스 등이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수도 생활과 금욕적인 사상을 옹호한 제롬에게 공격받았다. 요비니아누스는 수도원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반대자였으며, 390년에 수도원 생활과 그 윤리적 원칙을 공격하는 저술을 썼으나 지금은 유실되었다.[23][24] 수도원 생활은 일부 아리우스파에 의해서도 반대받았다.[25]
5. 수도원의 사회적 기여
전통적인 가톨릭 사회에서 수도 공동체는 교육 및 의료와 같은 사회 서비스를 담당했다.[64][65][66] 수도원 밖의 유산은 현대 사회에서도 중요한 흐름으로 남아 있다. 막스 베버는 산업 혁명의 불을 지핀 영국의 청교도를 중심으로 한 폐쇄적인 청교도 사회를 수도회에 비유했다. 토머스 모어를 비롯한 많은 유토피아주의 사상가들은 수도사들의 공동 생활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사회 전체에 적용하려고 했다(예: 팔랑스테르).[64]
현대 대학교 또한 기독교 수도 생활을 모방하려 시도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도 대학교는 12세기 수도원의 고딕 건축 양식으로 지어졌다. 공동 식사, 기숙사, 정교한 의식 및 의복 등 모든 것이 수도 전통에서 크게 차용되었다.[64]
789년의 칙령에는 "모든 수도원과 수도원은 학교를 갖추어 소년들이 시편, 악보 체계, 성가, 산수, 문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하라."라는 내용이 있다. 여기서 소년들이란 수도원 후보생들과 수도사들이 돌보는 보호자(일반적으로 귀족의 자녀)뿐만 아니라 수도원 주변 마을이나 지역의 아이들까지 의미하며, 이들을 위해 일반적으로 수도원 건물에 부속된 외부 학교가 있었다.[64]
중세 시대에 수도원은 고대 필사본을 필사실에 보존하고 복사했다. 수도사가 될 사람은 먼저 문법, 논리학, 웅변술을 배웠고, 나중에는 수학, 천문학, 음악을 공부했다. 학생들은 왁스에 스타일러스를 사용했고, 필체가 향상되면 잉크와 양피지를 받았다. 많은 학교들이 대학교가 되었다.[65] 필사실의 수도사들은 그리스와 로마의 텍스트와 종교 텍스트를 복사하여 중세 시대에 사라지지 않도록 보존했다.
수도원 약국은 약물을 보관하고 연구했다. 수도사들이 필사한 작품 중에는 의학 저술가들의 저술도 있었으며, 이러한 작품을 읽고 필사하는 것은 의학 지식 축적에 도움이 되었다. 수도원에는 수도사, 여행자, 가난한 자, 노인, 약자, 병자를 치료하는 양호실이 있었다. 2005년 고고학자들은 Soutra Aisle에서 폐기물을 발굴하여 중세 시대 사람들이 괴혈병과 같은 특정 질병을 어떻게 치료했는지 알아냈다. 물냉이에 있는 비타민 C 덕분에 환자들은 이빨이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그것을 먹었다. 같은 고고학팀은 병원 배수구에서 진통제로 알려진 독미나리를 발견했다.[66]
수도원은 농업 기술 발전에도 기여했다. 미사를 위한 포도주의 필요성은 돔 페리뇽에 의해 ''메토드 샴파노아즈''의 발견에서 볼 수 있듯이 포도주 문화의 발달로 이어졌다. ''베네딕틴''과 트라피스트 맥주와 같은 여러 술도 수도원에서 개발되었다. 오늘날에도 많은 수도원과 수녀원은 요리 전문으로 지역에서 명성이 높다.
이러한 지식의 집중화 결과, 처음에는 그들이 공공 행정과 교육을 모두 통제했다. 여기서 트리비움은 콰드리비움을 거쳐 신학으로 이어졌다. 기독교 수도사들은 신을 찬양하는 방법으로 예술을 숭상했다. 그레고리오 성가와 세밀화는 콰드리비움 과목의 실용적인 예이다.
세속적인 삶과 구별되는 수도사들의 지위는 (최소한 이론적으로) 사회적 기능도 수행했다. 폐위된 서고트 왕국의 서고트 왕들은 삭발되어 수도원으로 보내져 왕위를 되찾을 수 없게 되었다. 수도원은 가족 상속이 장자 상속에게 돌아가도록 차남들이 독신으로 살 수 있는 장소가 되었고, 그 대가로 가족들은 수도원에 기증했다. 성 힐즈 집은 성벽 밖에 나병 환자를 위한 집이었고, 막달레나 집은 성벽 안에 창녀와 악명 높은 다른 여성을 위한 집이어서, 몇몇 수도회는 군주와 부유한 가족들이 정략 결혼 전에 처녀 딸을 보살피고 교육하는 것을 선호했다.
수도원은 만년에 유스테로 은퇴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왕족으로서 수도사와 거의 다름없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와 같은 사람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했다.
6. 현대 한국 사회와 수도원 생활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현대 한국 사회의 수도원 생활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에큐메니칼(교회 일치 운동) 수도원 생활에 대한 간략한 언급만 가능하다.
로제 쉬츠가 설립한 테제 공동체는 개신교 전통에서 수도 생활을 부활시키려는 시도였지만, 가톨릭 형제들도 받아들이는 초교파적 공동체였다. 에큐메니칼 프란체스코 수도회는 성 프란치스코와 성 클라라의 가르침을 따르는 다양한 교파의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큐메니칼 노력과 프란치스코 수도회 간의 관계 발전에 기여한다. 보세 수도 공동체와 개신교 복음주의에서 비롯된 뉴 수도주의 운동도 에큐메니칼 수도주의의 한 예이다.
6. 1. 에큐메니칼 수도원 생활
기독교 수도주의는 각 공동체를 위한 '초교파적' 비전을 가진 여러 새로운 재단 형태의 갱신을 경험하고 있다.1944년 로제 쉬츠(스위스 개혁 교회) 목사는 프랑스에 작은 종교 형제단을 설립했는데, 이는 테제 공동체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는 부분적으로 개신교 전통에서 수도주의를 부활시키려는 희망에서 영감을 받았지만, 이 형제단은 초교파적이었으며 로마 가톨릭 형제들을 받아들였기에 특별히 개신교 공동체가 아닌 에큐메니칼 공동체이다.
에큐메니칼 프란체스코 수도회는 성 프란치스코 데 아시시와 성 클라라 데 아시시의 삶과 기독교 복음에 대한 이해를 따르기로 헌신한 남녀 종교 단체이다. 이들은 창조물과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사랑을 공유한다. 여기에는 가톨릭, 성공회, 동방 정교회, 다양한 개신교 전통을 포함한 여러 교파의 회원들이 포함된다. 이 수도회는 에큐메니칼 노력과 일반적으로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전통적인 강조점뿐만 아니라 다양한 프란체스코 수도회 간의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그들의 카리스마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에큐메니칼 수도주의의 추가적인 표현은 보세 수도 공동체와 개신교 복음주의에서 비롯된 뉴 수도주의 운동의 공동체에서 볼 수 있다.
참조
[1]
문서
OEtymD monk
[2]
서적
Cultural Atlas for Young People The Middle Ages Revised Edition
Facts On File, Inc.
2004
[3]
서적
Everyday Life in Medieval Times
Jarrold and Sons Ltd
1968
[4]
서적
The First Thousand Years: A Global History of Christianity
Yale University Press
2012-11-27
[5]
웹사이트
Huddleston, Gilbert. "Monasticism."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0.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31 May 2013
http://www.newadvent[...]
2009-08-21
[6]
서적
How would you survive in the Middle Ages?
Franklin Watts
1995
[7]
웹사이트
"Early Monasticism", Monastery of the Holy Spirit
http://www.trappist.[...]
2013-07-19
[8]
웹사이트
Source
http://www.orthodoxr[...]
[9]
웹사이트
"Early Christian Monasticism", Order of Cistercians of the Strict Observance
http://www.ocso.org/[...]
2013-06-01
[10]
문서
Numbers 6:5-18
[11]
문서
Mishneh Torah 5:1-7
[12]
문서
bibleverse Numbers 6:5 HE
[13]
문서
bibleverse Numbers 6:8 HE
[14]
문서
Numbers 6:6-7
[15]
웹사이트
Idiorrythmic Monasticism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10-09
[16]
웹사이트
St. Anthony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2-10-09
[17]
웹사이트
Anchoress
http://www.middle-ag[...]
2012-10-09
[18]
웹사이트
Juliana of Norwich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2-10-09
[19]
웹사이트
"Monasticism", Annunciation Greek Orthodox Church, Nassau, Bahamas
http://orthodoxbaham[...]
[20]
웹사이트
"Venerable Pachomius the Great, Founder of Coenobitic Monasticism",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www.oca.org/s[...]
2013-06-01
[21]
웹사이트
Bacchus, Francis Joseph. "Eastern Monasticism Before Chalcedon (A.D. 451)".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0.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31 May 2013
http://www.newadvent[...]
2013-06-01
[22]
웹사이트
"Monasticism", Augnet
http://www.augnet.or[...]
[23]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III: Nicene and Post-Nicene Christianity. A.D. 311–600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2-02-22
[24]
웹사이트
Philip Schaff: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ume III: Nicene and Post-Nicene Christianity. A.D. 311–600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2-02-22
[25]
서적
A Short History of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2018-05-15
[26]
문서
One may hear Orthodox monks referred to as "Basilian Monks", but this is really an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western categories to Orthodoxy.
[27]
문서
Both Mount Sinai and Mount Athos are referred to as "the Holy Mountain" in Orthodox literature,
[28]
웹사이트
Huddleston, Gilbert. "Western Monasticism."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29]
서적
The Sources for the Early History of Ireland
1929
[30]
웹사이트
"Celtic Monasteries", Orthodox Christian Contact Wales
http://www.orthodoxc[...]
2015-12-19
[31]
서적
The Celtic and Roman Traditions: Conflict and Consensus in the Early Medieval Church
Macmillan
2006
[32]
서적
"Celtic Monasticism", Encyclopedia of Monastic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33]
서적
The Distribution of Irish Scriptoria and Centres of Learning from 730 to 1111
1958
[34]
서적
"A History of the Christian Tradition"
https://books.google[...]
Paulist Press
1988
[35]
서적
"The Pastoral Structure of the Celtic Church in Northern Britain"
https://books.google[...]
Borthwick Publications
1973
[36]
웹사이트
Welsh Monastic Foundation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5-12-18
[37]
서적
A History of the Welsh Church to the Dissolution of the Monasteries
https://archive.org/[...]
Elliot Stock, London
1895
[38]
웹사이트
Thurston, Herbert. "Welsh Church."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15.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12. 19 Nov. 2013
http://www.newadvent[...]
2015-12-19
[39]
서적
Christian Spirituality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2015
[40]
웹사이트
"Irish Monasticism", Early Christian Sites in Ireland
http://www.earlychri[...]
2014-05-05
[41]
웹사이트
Grattan-Flood, William. "St. Finnian of Moville." The Catholic Encyclopedia. Vol. 6.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19 Jul. 2013
http://www.newadvent[...]
2015-12-20
[42]
서적
The Gateway to the Middle Ages: Monasticism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88
[43]
웹사이트
O'Halloran, W., ''Early Irish History and Antiquities and the History of West Cork'', Chapter XI, 1916
http://www.libraryir[...]
2014-05-06
[44]
서적
Medieval Handbooks of Penanc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38
[45]
서적
The Church Triumphant: A History of Christianity Up to 1300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1995
[46]
서적
English Penitential Discipline and Anglo-Saxon Law in Their Joint Influence
https://books.google[...]
The Lawbook Exchange, Ltd.
2003
[47]
서적
'The Work of Angels', Masterpieces of Celtic Metalwork
British Museum Press
1989
[48]
간행물
Culdees
Catholic Encyclopedia. 4.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49]
웹사이트
Middle-ages.org.uk
http://www.middle-ag[...]
2010-02-17
[50]
서적
Everyday Life in Medieval Times
Jarrold and Sons Ltd.
1968
[51]
서적
The Northern Crusades
Penguin Books
[52]
웹사이트
The beginnings of the Monastic Family of Bethlehem, of the Assumption of the Virgin and of Saint Bruno
http://www.bethleem.[...]
2022-11-16
[53]
웹사이트
Kloster Ebstorf
http://www.medievalh[...]
Medieval Histories
2017-11-20
[54]
웹사이트
Saint Augustine's House
http://www.staugusti[...]
2011-08-29
[55]
웹사이트
Östanbäck monastery
http://www.svenskaky[...]
[56]
웹사이트
Priorat St. Wigberti: Unser Kloster
http://www.wigberti.[...]
2011-08-29
[57]
웹사이트
Communität Casteller Ring
http://www.schwanber[...]
[58]
웹사이트
Priestly Society of St. Augustine
https://web.archive.[...]
[59]
서적
Anabaptist/Mennonite Faith and Economics
University Press of America
[60]
뉴스
Learning from the Bruderhof: An Intentional Christian Community
https://christlife.o[...]
2018-08-27
[61]
서적
The Sacred in a Secular Age: Toward Revision in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2]
웹사이트
A few good Shakers wanted
http://america.aljaz[...]
Al Jazeera
2017-06-19
[63]
뉴스
The only two Shakers left live in Maine community
http://www.nydailyne[...]
2017-06-19
[64]
웹사이트
Carolingian School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5-02-11
[65]
웹사이트
Historymedrend.about.com
http://historymedren[...]
2010-02-18
[66]
뉴스
The medical world of medieval monks
http://news.bbc.co.u[...]
2010-04-30
[67]
문서
monk
[68]
문서
Monks lived a very strict and regulated life.Life in a monastery included prayer,manualwork, and this promoted the idea of the dignity and labo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