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후민생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후민생당은 2020년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정당이다. 2020년 2월 24일 민주통합당으로 창당하려 했으나, 당명 문제와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반대로 무산되어 기후민생당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원내 진입에 실패하여 원외정당이 되었으며, 이후 당내 분열과 법적 분쟁을 겪었다. 2024년 3월 당명을 기후민생당으로 변경하고 서진희 대표 체제로 재출범했다. 이 정당은 호남 지역, 고령층, 보수적인 기독교인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하며, 낙태와 LGBT 문제에 대한 입장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수자유주의 정당 - 자유민주당 (독일, 1948년)
    자유민주당은 1948년 서독에서 창당되어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자유주의 정당들을 계승하며, 기민련/기사련 또는 사민당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며 캐스팅보트 역할을 수행했고, 자유시장 경제와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중도우파 정당이다.
  • 보수자유주의 정당 - 국민의당 (2020년)
    안철수를 중심으로 창당된 국민의당은 중도 성향의 정당으로 21대 총선에서 원내 진출에 성공했으나, 2022년 대선 이후 국민의힘과 합당하여 소멸되었다.
  •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바른미래당
    바른미래당은 2018년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합당으로 창당된 대한민국 정당으로, 중도와 개혁적 보수를 표방했으나 이념 갈등, 선거 참패, 분당을 겪고 민생당으로 합당되며 소멸되었다.
  • 대한민국의 중도정당 - 국민의당 (2016년)
    국민의당 (2016년)은 2016년 안철수의 탈당으로 시작되어 20대 총선에서 38석을 얻었으나, 리베이트 의혹 등으로 당 대표가 사퇴하고 바른정당과 통합하여 바른미래당으로 해산되었다.
  • 지역주의 정당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은 1995년 김종필을 중심으로 창당된 중도 보수 정당으로, 충청권 기반을 바탕으로 제15대 총선에서 제2야당으로 도약했으나, DJP 연합을 통해 여당이 된 이후 지지율 하락과 내부 갈등으로 2006년 한나라당에 흡수 합당되어 해체되었다.
  • 지역주의 정당 - 대안신당
    대안신당은 2019년 민주평화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2020년 창당되었으나, 2020년 민생당에 흡수되어 소멸된 정당이다.
기후민생당 - [정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민생당 로고
로고
정당 이름기후민생당
로마자 표기Gihuminsaengdang
다른 이름민생당
로마자 표기 (다른 이름)Minsaengdang
창당일2020년 2월 24일
재창당일2024년 3월 19일
해산된 정당바른미래당
새로운대안
민주평화당
정치
지도자서진희
사무총장김창완
이념중도개혁주의
보수자유주의
지역주의
정치적 위치중도주의 ~ 중도우파
색상녹색
의석
국회0석 / 300석
광역자치단체장0석 / 17석
기초자치단체장0석 / 226석
광역의원0석 / 824석
기초의원0석 / 2927석
기타
웹사이트민생당
추가 정보
이념 (추가)자유주의
사회보수주의
실용주의
당 조직
중앙당사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74길 20, 308호
정책연구소혁신과미래연구원
민주평화연구소
당원 수380,399명
당원 수 기준 연도2020년 12월
옛 지도부
상임공동대표김정화
공동대표유성엽
박주현
사무총장 (옛)노동곤

2. 역사

20대 총선 이후 대한민국 정치 지형은 더불어민주당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양당 체제에 국민의당이라는 제3지대 정당이 등장하며 변화를 맞았다. 이후 국민의당은 바른정당과 통합하여 바른미래당이 되었으나, 통합에 반발한 세력이 민주평화당을 창당하고, 바른미래당 내에서도 손학규 대표와의 갈등으로 새로운보수당과 미래를 향한 전진 4.0이 창당되는 등 복잡한 분화 과정을 겪었다. 민주평화당 역시 대안신당이 분당하며 제3지대 정당들은 난립하는 상황에 놓였다.

21대 총선을 앞두고 정당 재편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우파 성향의 새로운보수당과 미래를 향한 전진 4.0은 자유한국당과 통합하여 미래통합당이 되었다. 이러한 흐름에 영향을 받아 2020년 2월,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 3당은 합당하여 '민주통합당'을 창당하기로 합의했으나, 손학규 당시 바른미래당 대표의 반대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당명 유사성 문제 제기로 무산되었다. 결국 3당은 합당과 동시에 지도부 사퇴에 합의하고, 2020년 2월 24일, 현재의 기후민생당(당시 당명은 민생당)을 창당했다.

창당 당시 기후민생당은 원내교섭단체 구성 요건인 20석을 확보했으나, 2020년 4월 총선에서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단 한 석도 얻지 못하는 참패를 당하며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 총선 이후 당은 긴축 운영을 위해 시도당을 소멸시켰으나, 이는 당적 문제와 관련된 또 다른 논란을 야기했다.

이후 당은 이수봉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전환되었으나, 202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도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수봉 위원장은 사퇴와 번복을 거듭하는 혼란 끝에 결국 사퇴했고, 이관승, 김정기 공동 비대위원장 직무대행 체제가 들어섰다.

2021년 8월, 서진희를 당 대표로 선출한 전당대회가 개최되었으나, 시도당 소멸에 따른 당적 문제로 인해 서진희 대표의 당선 무효 소송이 제기되는 등 당내 분란이 격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당원들이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으로 이탈했고, 2022년 대선과 재보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후보를 내지 못하거나 낙선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상실해 갔다.

2023년에는 임시전당대회가 열려 김정기, 이관승, 최상임을 공동대표로 선출했으나, 이 역시 법원의 무효 결정으로 이어졌다. 이후 김정기 단독 비대위원장 대행 체제를 거쳐, 2024년 2월, 서진희 대표 복귀와 함께 당명을 기후민생당으로 변경하며 새로운 출발을 알렸다.

2. 1. 창당 배경

제20대 총선 결과, 국회에는 더불어민주당, 새누리당(후의 자유한국당)에 이어 제3지대 정당으로 국민의당이 등장했다. 국민의당은 2018년 2월 바른정당과 통합하여 바른미래당이 되었으나,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반발한 의원들이 국민의당을 탈당하여 민주평화당을 창당했다. 2019년부터 2020년 초까지 손학규 대표와 대립하는 보수계 의원들이 탈당하여 새로운보수당과 미래를 향한 전진 4.0을 창당했으며, 민주평화당에서도 대안신당이 분당하면서 2020년 1월 말 기준으로 제3지대 정당들은 난립 상태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0년 4월 실시 예정인 제21대 총선을 앞두고 정당 재편 움직임이 활발해졌다. 새로운보수당과 미래를 향한 전진 4.0은 자유한국당과 합당하여 미래통합당이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2020년 2월 15일에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 3당은 합당하여 신당 "민주통합당"을 결성하기로 합의했고[23], 약간의 수정을 거쳐 2월 24일에 민생당(현 기후민생당)이 창당되었다.[24] 정당 재편 과정에서 안철수[25]를 비롯한 일부 당원들이 바른미래당을 탈당했고, 일부 의원들은 미래통합당으로 이동했으며, 안철수와 그의 지지자들은 같은 해 2월 23일에 새로운 국민의당을 창당했다.[26]

2. 2. 창당 과정

2020년 2월 24일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이 통합하여 기후민생당(당시 민생당)이 창당되었다.[33] 이들 세 정당은 2월 17일에 '민주통합당'이라는 이름으로 합당할 예정이었으나,[33]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또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16년에 창당한 원외정당인 통합민주당과 당명이 유사하다는 이유로 새 정당의 당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34]

이에 세 정당은 2020년 2월 20일에 합당과 동시에 지도부에서 사퇴하기로 결의했다.[35] 기후민생당은 창당 당시 국회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는 20석을 확보했다.[36] 창당 당시 공동대표는 김정화, 유성엽, 박주현이었다.[42]

2. 3. 21대 총선 참패와 원외정당화

2020년 4월 15일에 실시된 총선에서 민생당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에서 한 석도 얻지 못하고 원외정당으로 전락했다.[37][38] 정당 득표율은 2.71%에 그쳤다.

총선 참패 이후, 민생당은 긴축 운영을 위해 여러 시도당을 개편대회 없이 소멸시켰다. 그러나 이는 더 큰 문제를 야기했다. 21대 총선 이후 시도당 소멸과 함께 대전시당 소속 서진희 등의 당적이 소멸되었다는[39][40] 이의 제기가 발생하면서 당내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후 많은 민생당 당원들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탈당자 사면 발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캠프 합류 등으로 인해 더불어민주당(박지원, 정동영, 천정배, 유성엽, 주승용 등)과 국민의힘(박주선, 김한길, 조배숙, 김동철, 윤영일 등)으로 나뉘어 탈당했다.

2. 4.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참패한 후, 민생당은 이수봉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하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했다.[43] 그러나 2021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이수봉은 비대위원장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가 번복하는 등 혼란이 있었으나, 결국 사퇴했다.[43] 이후 이관승, 김정기가 공동으로 비상대책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아 전당대회를 개최했다.[43]

2. 5. 2021년 전당대회와 당내 분란

2021년 8월 말, 민생당은 제1차 전당대회를 개최하여 민주평화당 최고위원을 지낸 서진희를 당 대표로 선출했다. 이승한이 2위, 이진이 3위, 진예찬이 4위로 최고위원에 당선되었고, 지난 총선에서 비례대표 2번으로 출마했던 이내훈 작가는 5위로 낙선하였다.[39][40]

그러나 민생당 통합 과정에서 시도당 통합 대회를 열지 않고 시도당을 소멸시킨 것이 문제가 되었다. 21대 총선 후 시도당 소멸과 함께 대전시당 소속이었던 서진희 등의 당적이 소멸되었다는 이의 제기가 있었기 때문이다.[39][40] 이로 인해 서진희의 당적 회복 후 당대표 인정을 주장하는 측과 차점자인 이승한 승계론, 전당대회 무효론이 대립했다.

2021년 11월 1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서진희를 당 대표로 인정했다. 그러나 차점자 등이 제기한 당선자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이 서울남부지법에서 인용되었고, 선거 무효 본안 소송 1심과 2심에서도 선거 무효 판결이 내려졌다.

이후 많은 민생당 당원들은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의 탈당자 사면 발표,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캠프 합류 등으로 인해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으로 나뉘어 탈당했다. 법적 분쟁으로 인해 2022년 3월 대선과 재보선에서 후보를 내지 못했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호남 지역 후보를 내지 못하고 수도권 광역의원 2명만 공천했으나 1명은 등록 무효, 1명은 낙선하여 지방 정부 참여 기회를 잃게 되었다. 선거 후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전당대회를 무효로 보고 전당대회 이전의 비상대책위원장 공동직무대행을 대표자로 변경했다.

하급법원은 서진희가 선출된 전당대회가 시도당 소멸에 따라 비당원이 참여한 선거로 보고 선거무효임을 판단하였으나, 2024년 2월 29일 대법원은 소멸한 시도당의 당원도 당원이라는 취지로 파기환송했다.[41]

2024년 3월 19일, 민생당 서진희 대표를 지지하는 당원들은 당사에서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를 열어 전당대회 결과에 따라 서진희 대표의 복귀와 새로운미래로 탈당한 진예찬을 제외한 이승한, 이진도 최고위원으로 복귀했고 이내훈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하여 새로운 지도부가 출범되었다. 한편 민생당 비상대책위원회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종료되었다는 입장이다.[42]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 요청을 승인하여 2024년 3월 22일 서진희를 대표자로 공고하여 바른미래당, 대안신당, 민주평화당 3당 합당한 민생당은 전 당원에 의해 선출된 첫 당대표인 서진희가 당의 미래를 짊어지게 되었다.

2. 6. 주요 인사 탈당 및 분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탈당자 사면 발표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 캠프 합류 등으로 인해, 많은 민생당 당원들이 더불어민주당(박지원, 정동영, 천정배, 유성엽, 주승용 등)과 국민의힘(박주선, 김한길, 조배숙, 김동철, 윤영일 등)으로 나뉘어 탈당했다.[39][40] 2022년 3월 대선과 재보선에서는 법적 분쟁으로 인해 후보를 내지 못했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호남 지역에 후보를 내지 못하고 당선 가능성이 없는 수도권 광역의원 2명만 공천했으나, 1명은 등록 무효, 다른 1명은 낙선하여 더 이상 지방 정부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다.[27]

2. 7. 2023년 임시전당대회와 법정 공방

2023년 김정기, 이관승 비대위원장 직무대행은 전주 화산체육관에서 2월 22일 임시전당대회를 열고 김정기, 이관승, 최상임을 공동대표로 선임하였다. 그러나 이내훈 전 최고위원이 제기한 소송에서 법원은 2023년 9월 1일 임시전당대회 무효 결정을 내렸다.[41]

이후 이관승은 탈당하여 김정기가 단독으로 비대위원장 대행을 맡았다.

하급법원은 서진희가 선출된 전당대회가 시도당 소멸에 따라 비당원이 참여한 선거로 보고 선거 무효임을 판단하였으나, 2024년 2월 29일 대법원은 소멸한 시도당의 당원도 당원이라는 취지로 파기환송했다.[41]

2. 8. 기후민생당으로 당명 변경

2024년 2월 8일, 김정기 민생당 비상대책위원장 직무대행은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중시하는 정책을 제시하는 정당으로 전환할 것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2024년 3월 13일에 열린 비상대책위원회는 당명을 '''기후민생당'''으로 변경하는 당헌 개정안을 가결했다. 2024년 3월 1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민생당의 당명 변경을 공고했다.[41]

3월 19일, 서진희 대표를 지지하는 당원들은 당사에서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를 열어 서진희 대표의 복귀와 새로운미래로 탈당한 진예찬을 제외한 이승한, 이진을 최고위원으로 복귀시켰고, 이내훈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하는 새로운 지도부를 출범시켰다. 민생당 비상대책위원회는 대법원 판결에 따라 종료되었다는 입장이다.[42]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024년 3월 22일 서진희를 대표자로 공고했다.[42]

새로운 지도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직책이름
대표서진희
최고위원이승한, 이진, 이내훈(지명직 최고위원)
사무총장김창환→노동곤
기획부총장권오성
디지털부총장김병석
수석대변인이내훈


3. 역대 지도부

임기직책이름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공동대표김정화 (2020년 2월 24일 ~ 5월 28일), 유성엽 (2020년 2월 24일 ~ 4월 20일), 박주현 (2020년 2월 24일 ~ 3월 23일)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최고위원이인희, 이관승, 황인철, 이내훈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원내대표장정숙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사무총장황한웅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총무부총장양윤녕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조직부총장김영동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홍보부총장김시래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디지털부총장류관선
2020년 2월 24일 ~ 2020년 5월 28일수석대변인최도자
대변인강신업, 김정현, 손동호, 문정선
부대변인송현혜, 김형구, 김상원
2020년 5월 29일 ~ 2021년 6월 18일비상대책위원장이수봉[43]
2021년 6월 18일 ~ 2021년 8월 28일비상대책위원장 직무대행이관승, 김정기 (공동)
2020년 5월 29일 ~ 2021년 8월 28일비상대책위원김정기, 오창훈, 이연기, 배준현, 남정숙, 정주영, 임동순, 황한웅
2020년 5월 29일 ~ 2021년 11월 18일사무총장박동명 → 김창현
수행대변인박정희
2020년 5월 29일 ~ 2021년 11월 18일대변인양건모, 이내훈(사퇴)
2021년 11월 19일 ~ 2022년 6월 3일대표서진희
2021년 11월 19일 ~ 2022년 6월 3일최고위원이승한, 이진, 진예찬, 박소영(지명직)
2021년 11월 19일 ~ 2022년 6월 3일사무총장김창현 → 김창환
2023년 2월 28일 ~ 2024년 3월공동대표김정기, 이관승, 최상임
2023년 2월 28일 ~ 2024년 3월최고위원임동순, 이진, 김영숙(여성), 이현배(청년), 박성준(청년)
2023년 2월 28일 ~ 2024년 3월사무총장임동순
2024년 3월 ~대표서진희
2024년 3월 ~최고위원이승한, 이진, 이내훈(지명직)
2024년 3월 ~사무총장김창환 → 노동곤
기획부총장권오성
디지털부총장김병석
수석대변인이내훈


4. 정치적 입장

기후민생당은 호남 지역의 고령층 및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기독교인들 사이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21] 과거 호남 지역 정당이었던 민주평화당낙태에 대해 강하게 반대했지만, 기후민생당은 낙태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LGBT 문제와 관련하여, 기후민생당 국회의원들은 동성 결혼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했지만, 더불어민주당 내 일부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의원들의 LGBT 혐오 성향을 비판하기도 했다.[22]

5. 역대 선거 기록

국회의원 선거
날짜합계지역구비례대표정당 득표율비고
제21대2020년 4월 15일0002.71%민생당으로 참여, 개선 전 의석수는 19석이었으나 참패.
제22대2024년 4월 10일0000.02%기후민생당으로 참여, 원외정당.



지방 선거
날짜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비고
제8회2022년 6월 1일0/170/2260/8720/2988민생당으로 참여, 원외정당.


참조

[1] 웹사이트 민생당 중도개혁 정신으로 총선 승리 http://www.labortoda[...] 2024-02-23
[2] 웹사이트 손학규·정동영 등 칩거 민생당, 대선 국면 전환점 노리나 https://www.nocutnew[...] 2024-02-23
[3] 뉴스 호남기반 '민생당' 출범…전북 출신 의원 공동대표에 https://www.jjan.kr/[...] 2024-02-23
[4] 뉴스 Political parties officially kick off election campaigns https://www.koreatim[...] 2020-04-02
[5] 뉴스 COVID-19 Factor Powers South Korea's Ruling Party to Historic Victory https://thediplomat.[...] 2020-04-17
[6] 뉴스 DP to join initiative to form satellite party https://koreajoongan[...] 2020-03-13
[7] 뉴스 After the 2020 Parliamentary Elections, What's Next for South Korean Politics? https://thediplomat.[...] 2020-04-22
[8] 뉴스 The substance of a Korean Green New Deal is still being defined https://www.eco-busi[...] 2020-07-09
[9] 뉴스 민주통합당 vs 안철수 국민의당…여당의 호남 상대는 누구? http://www.donga.com[...] 2020-02-16
[10] 뉴스 선관위, "호남신당 '민주통합당' 당명 사용불가" 유권해석 http://www.newsis.co[...] 2020-02-18
[11] 뉴스 바른미래·대안·평화 24일 합당…손학규 포함 지도부 사퇴 https://www.yna.co.k[...] 2020-02-20
[12] 뉴스 '호남계 주축' 바른미래·대안신당·평화당 3당 합당…'민생당' 출범 http://www.hani.co.k[...] 2020-02-24
[13] 뉴스 민생당, 창당 두달만에 교섭단체서 원외정당으로…사실상 '소멸' https://www.yna.co.k[...] 2020-04-16
[14] 뉴스 박·오에 가려졌던 민생당 이수봉, 3자 토론서 의외의 존재감 https://www.fnnews.c[...] 2021-03-31
[15] 뉴스 박영선·오세훈 다 때린 미친 존재감, 민생당 이수봉이 누구야? https://www.chosun.c[...] 2021-03-31
[16] 뉴스 허경영 1% 벽 넘었다…'모두 까기' 이수봉 0.23% https://www.mk.co.kr[...] 2021-04-08
[17] 뉴스 김정화, 민생당 탈당… "이상과 꿈은 내려놓지 않을 것" http://www.inews24.c[...] 2021-04-19
[18] 뉴스 민생당, 이수봉 비대위원장 징계 두고 내홍 https://www.magazine[...] 2021-05-05
[19] 웹사이트 기후민생당 "생명과 민주주의, 인권, 서민의 민생을 지키는 정당" 논평발표 http://www.breaknews[...] 2024-03-24
[20] 웹사이트 공고 위원회소식 알림마당 중앙선거관리위원회 https://www.nec.go.k[...] 2024-06-00
[21] 뉴스 목포 기독교 교계 지도자들 "민생당 박지원 후보 지지" 선언 http://www.honamtime[...] 2020-04-10
[22] 뉴스 민주당 "성소수자 문제 소모적" 발언에 민생·정의 "차별적 인식" 2020-03-07
[23] 뉴스 正しい未来党、代案新党、民主平和党の全羅道系3党が合併 http://japan.hani.co[...] 2020-02-15
[24] 뉴스 민생당 출범…손학규·최경환·정동영 합당 의결(종합) https://archive.is/w[...] 2020-02-24
[25] 뉴스 再び離党選んだ「アン・チョルスの道」 http://japan.hani.co[...] 2020-01-30
[26] 뉴스 「正しい未来党」離脱派が続々と統合党へ…すぼむアン・チョルスの「第3極」 http://japan.hani.co[...] 2020-02-25
[27] 문서 旧正しい未来党派閥の大多数と安哲秀派閥は第20代大統領選挙過程で国民の力側に行き、旧民主平和党と代案新党派閥の大多数は共に民主党側に行き、第20代大統領選挙以後の民生党は全国公職選挙で候補者を党内で公認できないほど党派が萎縮した.
[28] 뉴스 호남 중심 3당, '민생당'으로 통합.."중도개혁의 길" https://news.v.daum.[...]
[29] 웹사이트 https://news.chosun.[...]
[30] 웹사이트 https://www.jjan.kr/[...]
[31] 웹인용 민생당 “호남 돌풍으로 지지율 15%까지 견인” https://n.news.naver[...]
[32] 웹사이트 After the 2020 Parliamentary Elections, What’s Next for South Korean Politics? https://thediplomat.[...] 2020-04-22
[33] 뉴스 민주통합당 vs 안철수 국민의당…여당의 호남 상대는 누구? http://www.donga.com[...] 2020-02-16
[34] 뉴스 선관위, "호남신당 '민주통합당' 당명 사용불가" 유권해석 http://www.newsis.co[...] 2020-02-18
[35] 뉴스 바른미래·대안·평화 24일 합당…손학규 포함 지도부 사퇴 https://www.yna.co.k[...] 2020-02-20
[36] 뉴스 ‘호남계 주축’ 바른미래·대안신당·평화당 3당 합당…‘민생당’ 출범 http://www.hani.co.k[...] 2020-02-24
[37] 뉴스 ‘민생당의 몰락’ 20석→0~4석 전망… 사실상 존폐 위기 https://www.hankooki[...] 2020-04-15
[38] 뉴스 민생당, 창당 두달만에 교섭단체서 원외정당으로…사실상 '소멸' https://www.yna.co.k[...] 2020-04-16
[39] 뉴스 [단독] 민생당 당대표 선거 전면 무효선언, 서진희 당선자 비당원 판정 “등록 거부” http://www.tongildai[...] 통일경제뉴스 2021-09-12
[40] 뉴스 [단독] 민생당 대표 당선 무효? 선관위 “시·도당 소멸시 당원자격 상실” https://www.magazine[...] 매거진닷킴 2021-09-17
[41] 웹사이트 http://www.tongildai[...]
[42] 웹사이트 http://www.tongildai[...]
[43] 문서 직무집행정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