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기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기문은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이학 석사 학위를,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한 후,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지능초분자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다. 큐커비투릴 연구로 이자트-크리스텐센 상을 수상했으며, 금속-유기 골격체, 다공성 유기 케이지 연구, 비가역적 공유 결합을 이용한 자기 조립 연구 등 주요 연구 업적을 남겼다. 대한민국학술원 회원, 대한민국 과학기술상, 호암상,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등을 수상했으며, 여러 학술지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백성기
    백성기는 코넬 대학교에서 재료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소와 오크리지 국립연구소 연구원을 거쳐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부총장, 포항가속기연구소 소장, 포스텍 총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재료공학자이다.
  •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 박이문
    박이문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시인, 문학 평론가로, 서울대학교 등에서 수학하고 이화여자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으며, 실존주의 문학 평론과 프랑스 문학 번역, 다수의 저서 출간 등의 활동을 하다가 2017년에 사망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남창희 (물리학자)
    남창희는 서울대학교, KAIST,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KAIST와 GIST 교수를 거쳐 IBS 상대론적 레이저 과학 센터 초대 센터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물리학자로, 펨토초 레이저, 고차조화파, 아토초 펄스, 연엑스선 간섭계 및 현미경 기술 등을 연구하며 IUPAP 등 국제 학술 단체에서 활동했고, 미국 물리학회 및 미국 광학회 펠로우, 한국과학기술한림원상, 숭도광과학상,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했다.
  •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 - 현택환
    현택환은 나노 입자 합성 분야의 권위자로, 승온법을 개발하고 균일한 나노 입자 합성 및 MRI 조영제 개발 등의 업적을 통해 젊은 화학자상과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화학자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임지순
    대한민국의 물리학자 임지순은 전산재료물리학 분야를 개척하고 "Momentum-space formalism" 논문으로 알려져 있으며, 서울대학교 교수 및 이론물리센터 소장 역임, 다수의 수상 경력과 함께 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 호암 과학상 수상자 - 천진우
    천진우는 나노 입자와 자기장을 이용한 생체 제어 기술, MRI 조영제 개발 등 나노 기술과 의학 융합 연구를 통해 질병 진단 및 치료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연세대학교 교수 및 IBS 나노의학연구단 단장이다.
김기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기문
한글 이름김기문
한자 이름金基文
로마자 표기Gim Gi-mun
출생 연도1954년
출생지서울특별시
국적대한민국
분야화학
근무 기관포항공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웹사이트자기 조립 및 복잡성 센터
학력
학사서울대학교 화학과 (1977년)
석사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1979년)
박사스탠퍼드 대학교 (1986년)
박사 학위 논문 제목흑연에 흡착된 금속 포르피린에 의한 다이옥시젠의 전기 촉매 4전자 환원
박사 학위 논문 URL스탠퍼드 대학교 SearchWorks
박사 지도교수제임스 P. 콜먼
전무식
업적
주요 업적초분자 화학
자기 조립
쿠커비투릴
금속-유기 골격
수상
수상 내역이자트-크리스텐슨 상 (2012년)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 (2008년)
호암상 (2006년)

2. 학력

김기문은 1977년 서울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197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전무식 교수의 지도하에 이학 석사 학위를, 1986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제임스 P. 콜먼 교수의 지도하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제임스 A. 이버스 교수의 지도하에 2년간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했다.

2. 1. 학사

김기문은 1977년 서울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197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전무식 교수의 지도로 이학 석사 학위를, 1986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제임스 P. 콜먼 교수의 지도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제임스 A. 이버스 교수의 지도로 2년간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었다.

2. 2. 석사

김기문은 197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전무식 교수의 지도로 이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1]

2. 3. 박사

김기문은 1977년 서울대학교에서 이학사 학위를, 197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전무식 교수의 지도로 이학 석사 학위를, 1986년 스탠포드 대학교에서 제임스 P. 콜먼 교수의 지도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제임스 A. 이버스 교수의 지도로 2년간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었다.

3. 경력

기간경력
1986 ~ 1988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 연구원
1988 ~ 1992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조교수
1992 ~ 1997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부교수
1995 ~ 1995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객원 연구원
1997 ~ 현재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과 교수
1997 ~ 현재포항공과대학교 지능초분자연구단(창의적연구진흥사업) 단장
2004 ~ 2005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 연구원
2007 ~ 2009홍덕석좌교수
2009 ~ 현재포항공과대학교 WCU 첨단재료과학부 주임교수
2012.08 ~ 현재기초과학연구원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 단장
2012.12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명예교수



김기문은 1988년 포항공대 화학과에서 학문적 경력을 시작했으며, 현재 석좌교수(POSTECH 펠로우)이다.[17] 1997년 교육과학기술부의 창의적 연구 진흥 사업 지원을 받아 스마트 초분자 센터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2008년 세계 수준의 대학 육성 사업 지원을 받아 포항공대에 첨단재료과학과를 설립했다. 2012년 8월 1일, 기초과학연구원 (IBS) 산하 자기 조립 및 복잡성 연구단 초대 단장으로 임명되었다.[17] 이 연구단은 비평형 자기 조립, 복잡계에서의 분자 인식, 그리고 새로운 재료에 중점을 두고 있다.[18]

4. 주요 연구 업적

김기문은 큐커비투릴, 금속-유기 골격체, 비가역적 공유 결합을 이용한 자기 조립 등의 연구 분야에서 উল্লেখযোগ্য 업적을 남겼다. 특히 큐커비투릴 동족체(CB[5], CB[7], CB[8]) 발견 및 분리는 큐커비투릴 기반 화학 및 초분자 화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21] 또한 금속-유기 골격체와 다공성 유기 케이지 연구를 통해 모듈형 다공성 재료 분야 발전에 기여했으며, 비가역적 공유 결합을 이용한 자기 조립 연구는 나노구조 재료 구축의 새로운 경로를 제시했다.[38]

4. 1. 큐커비투릴 (Cucurbiturils)

큐커비투릴은 1905년 로버트 베렌드에 의해 글리콜유릴을 포름알데히드와 축합하여 처음 합성되었지만,[19] 그 구조는 1981년에 밝혀졌다.[20] 2000년 김기문에 의해 큐커비투릴 동족체 CB[5], CB[7] 및 CB[8]이 발견 및 분리되면서 이 분야가 확장되었으며, 이는 큐커비투릴 기반 화학 및 초분자 화학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21] 큐커비투릴 동족체는 예외적으로 높은 결합 친화력을 가진 매크로사이클릭 호스트 분자로서 독특한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호스트-게스트 화학 및 초분자 구조/어셈블리 형성에 사용된다. 이로 인해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고, 이후 CB[10]과 CB[14]가 발견되었다.[22] 첫 번째 CB 전용 워크숍은 2007년 미국 국립 과학 재단의 지원을 받아 메릴랜드에서 개최되었으며,[23] 이는 2009년부터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큐커비투릴 회의의 길을 열었다. 이 회의는 김기문에 의해 처음 조직되었고 포스텍에서 주최되었다.[24][25] 초분자 화학, 특히 큐커비투릴에 대한 그의 연구는 그가 이자트-크리스텐센 상을 수상하는 데 기여했다.[26] 2018년 김기문은 큐커비투릴에 관한 최초의 교재를 공동 저술했다.[23][27]

4. 2. 금속-유기 골격체 (Metal-organic framework)

김기문은 모듈형 다공성 재료인 금속-유기 골격체 및 다공성 유기 케이지와 같은 다기능 재료에 대한 연구에 집중해왔다. 그의 연구팀은 에난티오 순수 유기 빌딩 블록과 금속 이온을 사용하여 POST-1이라는 호모키랄 금속-유기 다공성 물질을 합성하고, 이를 키랄 촉매로 활용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5] 그의 연구 그룹은 합성 방법론과 응용 분야를 시연함으로써 모듈형 다공성 재료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 이후 연구팀은 포르피린으로 구성된 새로운 종류의 다공성 유기 케이지인 포르피린 박스를 설계하고 합성했다. 포르피린 박스는 합성 이온 채널, 전기화학적 촉매, 계층적 초구조체의 구축에 적용되어 왔다.[28]

4. 3. 비가역적 공유 결합을 이용한 자기 조립 (Self-assembly via irreversible covalent bonds)

김기문은 가역적 상호작용/결합을 통해 제작된 기존의 나노구조와 달리, 딱딱한 디스크 형태의 빌딩 블록의 비가역적인 티올-엔 중합으로 좁은 크기 분포를 가진 견고한 속이 빈 고분자 나노캡슐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29] 그는 구,[29][30] 필름,[31] 토로이드, 튜브 구조를 포함한 나노구조 재료의 크기, 모양, 특성 및 기능을 제어할 수 있었다.[32] 이러한 나노구조는 치료,[33][34][35] 촉매,[36] 분리,[37] 전자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자기 조립을 통해 특정 형태를 가진 나노구조 재료를 구축하는 대체 경로를 제시했다.[38]

5. 수상

연도수상 내역
1995년연암재단 연암 학술상
1997년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최우수 논문상
1998년대한화학회 무기화학 분과 우수 연구상
1999년대한화학회 탁월한 연구상
2000년대한민국학술원 회원 선출
2000년한국과학재단 이달의 과학자상
2001년한국과학상
2001년대한민국 과학기술상
2001년대한민국 정부 과학기술훈장 도약훈장
2002년세계과학한림원 TWAS상
2002년대한민국 과학기술상
2003년대한민국학술원 정회원 선출
2005년스트라스부르 대학교 방문 교수
2006년과학기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계 롤 모델[39][40]
2006년호암재단 호암상 (삼성(Samsung))[41]
2007년나노코리아 어워즈 과학기술혁신 부문 국무총리상
2007년과학기술부 2008년도 대한민국 우수과학자 선정
2008년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42][43]
2009년포스텍 펠로우 선출
2009년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자랑스러운 포스테키안상
2011년동아일보 대한민국을 이끄는 100인[44]
2011년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E. 뮤터티스 기념 강연상[45]
2012년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시베리아 지부 명예 박사[46][47]
2012년이자트-크리스텐센 상[48]
2014년미래창조과학부 지식창조 대상[49][50]


6. 학회 활동

김기문은 대한화학회, 미국 화학회 회원이며,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도단체
1983년 – 현재미국 화학회
1988년 – 현재대한화학회
2000년 – 현재한국과학기술한림원


6. 1. 학술지 편집 위원


  • 2016년 – 현재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편집 자문 위원
  • 2008년 – 2015년 Angewandte Chemie 국제 자문 위원[51]
  • 2006년 – 현재 나노 편집 위원
  • 2006년 – 2012년 ChemComm 편집 자문 위원
  • 2006년 – 현재 Chemistry-An Asian Journal 편집 자문 위원[51]
  • 2006년 – 2009년 CrystEngComm 편집 자문 위원
  • 2002년 – 현재 Supramolecular Chemistry 편집 자문 위원
  • 2002년 – 2009년 대한화학회지 부편집인
  • 2000년 – 2004년 Dalton Transactions 국제 자문 편집 위원
  • 1998년 – 2004년 Crystal Engineering 편집 자문 위원

참조

[1] 웹사이트 Director's Biography https://csc.ibs.re.k[...] Center for Self-assembly and Complexity 2018-11-11
[2] 웹사이트 Patents by Inventor Ki-Moon Kim https://patents.just[...] Justia 2019-02-11
[3] 웹사이트 IBS Places First Among Korean Institutions by Featuring 9 Scientists in List of Highly Cited Researchers https://www.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8-12-04
[4] 웹사이트 ICOMC 2018 - Kimoon Kim https://www.icomc201[...] 2018
[5] 논문 A homochiral metal-organic porous material for enantioselective separation and catalysis 2000-04-27
[6] 논문 New Cucurbituril Homologues: Syntheses,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X-ray Crystal Structures of Cucurbit[n]uril(n=5, 7, and 8)
[7] 논문 Cucurbituril Homologues and Derivatives: New Opportunities in Supramolecular Chemistry
[8] 논문 Microporous Manganese Formate: A Simple Metal-Organic Porous Material with High Framework Stability and Highly Selective Gas Sorption Properties
[9] 논문 Rigid and Flexible: A Highly Porous Metal-Organic Framework with Unusual Guest-Dependent Dynamic Behavior
[10] 논문 A Homochiral Metal-Organic Material with Permanent Porosity, Enantioselective Sorption Properties, and Catalytic Activity
[11] 논문 Functionalized cucurbiturils and their applications http://oasis.postech[...]
[12] 논문 Direct Synthesis of Polymer Nanocapsules with a Noncovalently Tailorable Surface
[13] 논문 Postsynthetic Modification Switches an Achiral Framework to Catalytically Active Homochiral Metal-Organic Porous Materials
[14] 논문 Metathesis in Single Crystal: Complete and Reversible Exchange of Metal Ions Constituting the Frameworks of Metal-Organic Frameworks https://figshare.com[...]
[15] 논문 Supramolecular fishing for plasma membrane proteins using an ultrastable synthetic host–guest binding pair
[16] 웹사이트 Looking Back http://www.nature.co[...] 2018-10-10
[17] 웹사이트 Center for Self-assembly and Complexity - Chemistry - Research Centers https://www.ibs.re.k[...] 2019-02-11
[18] 웹사이트 About CSC https://csc.ibs.re.k[...] Institute for Basic Science 2019-02-11
[19] 논문 I. Ueber Condensationsproducte aus Glycoluril und Formaldehyd https://zenodo.org/r[...]
[20] 논문 Cucurbituril
[21] 논문 New Cucurbituril Homologues: Syntheses,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X-ray Crystal Structures of Cucurbit[n]uril(n=5, 7, and 8)
[22] 논문 Twisted Cucurbit[14]uril
[23] 서적 Cucurbiturils: Chemistry, Supramolecular Chemistry and Applications World Scientific 2018-06-05
[24] 논문 ICCB 2009 https://pubs.rsc.org[...] 2009-01-21
[25] 논문 Cucurbituril chemistry: a tale of supramolecular success https://pubs.rsc.org[...] 2011-12-09
[26] 웹사이트 Prof. Kimoon Kim Wins the Izatt-Christensen Award http://times.postech[...] POSTECH 2011-09-06
[27] 웹사이트 포스텍 김기문 교수, 세계최초 쿠커비투릴 책 발간 http://www.veritas-a[...] 2018-08-28
[28] 논문 Porphyrin Boxes 2018-10-22
[29] 논문 Direct Synthesis of Polymer Nanocapsules with a Noncovalently Tailorable Surface 2007-04-27
[30] 논문 Direct Synthesis of Polymer Nanocapsules: Self-Assembly of Polymer Hollow Spheres through Irreversible Covalent Bond Formation 2010-06-24
[31] 논문 Free-Standing, Single-Monomer-Thick Two-Dimensional Polymers through Covalent Self-Assembly in Solution
[32] 논문 Hollow nanotubular toroidal polymer microrings 2014-01-05
[33] 논문 Facile, Template‐Free Synthesis of Stimuli‐Responsive Polymer Nanocapsules for Targeted Drug Delivery 2010-06-14
[34] 논문 Self-assembled, covalently linked, hollow phthalocyanine nanospheres http://oasis.postech[...] 2012-10-09
[35] 논문 A Multifunctional Subphthalocyanine Nanosphere for Targeting, Labeling, and Killing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2015-12-07
[36] 논문 Highly Stable, Water‐Dispersible Metal‐Nanoparticle‐Decorated Polymer Nanocapsules and Their Catalytic Applications 2014-06-16
[37] 논문 Permselective 2D-polymer-based membrane tuneable by host–guest chemistry 2016-07-06
[38] 논문 Self-Assembly of Nanostructured Materials through Irreversible Covalent Bond Formation 2015-04-17
[39] 웹사이트 MK News - 김기문ㆍ이덕환ㆍ백경희 교수 등 10명 닮고싶은 과학자 http://news.mk.co.kr[...] 2019-02-08
[40] 웹사이트 "<고침> 경제(\"닮고 싶은 과기인에...\")" https://news.naver.c[...] Yonhap 2006-08-23
[41] 웹사이트 Prize winners-By years http://www.samsungfo[...] Samsung Foundation 2019-02-01
[42] 웹사이트 김기문ㆍ최양도 교수 등 과학기술인상 http://www.hani.co.k[...] 2008-04-20
[43] 웹사이트 2008최고과학기술인상, 김기문 민계식 최양도 송호영 http://news.donga.co[...] 2008-04-20
[44] 웹사이트 10년 뒤 한국을 빛낼 100인 http://www.donga.com[...] 2020-02-27
[45] 웹사이트 Endowed Lectureships https://chemistry.be[...] UC Berkeley 2019-02-08
[46] 웹사이트 Плюс четыре http://www.sbras.inf[...] 2019-02-08
[47] 웹사이트 Почётными докторами СО РАН стали кореец и европеец http://www.sbras.inf[...] 2019-02-08
[48] 웹사이트 Izatt-Christensen Award Recipients https://www.chem.byu[...] Brigham Young University 2019-02-01
[49] 웹사이트 포스텍 김기문·이인범 교수 '지식창조대상' http://www.kbmaeil.c[...] 2019-02-08
[50] 웹사이트 포스텍 김기문·이인범 교수, 지식창조대상 수상 http://www.newsis.co[...] 2019-02-08
[51] 논문 Izatt–Christensen Award: K. Kim / Cram Lehn Pedersen Prize: J. Nitschke / Breyer Medal: J. Wang 2012-04-24
[52] 문서 "New Cucurbituril Homologues: Syntheses,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X-ray Crystal Structures of Cucurbit[n]uril(n=5, 7, and 8)"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