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명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명운은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로, MSL에서 준우승 1회,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에서 2회 우승을 기록했다. '퀸의 아들'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퀸을 활용한 독특한 전략을 구사했으며, 프로토스전에 강한 면모를 보였다. 2009년 박카스 스타리그 8강, 아발론 온라인 MSL 8강에 진출하며 양대리거가 되었으나, 8강 징크스를 겪기도 했다. ABC마트 MSL 2011에서 이영호에게 패해 준우승을 기록했으며, 2013년 은퇴했다. 은퇴 후에도 ASL 등에서 활동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박상우 (프로게이머)
    박상우는 이스트로와 웅진 스타즈에서 활동하며 프로토스전 12연승과 저그전 11연패를 기록하는 등 특정 종족전에 극단적인 성적을 보였던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다.
  • 웅진 스타즈의 선수 - 노준규
    노준규는 웅진 스타즈, SK텔레콤 T1, 삼성 갤럭시 칸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 출신으로, 2017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진행하며 개그맨 정형돈과 닮은 외모로 '항도니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 해남군 출신 - 임영득
    임영득은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고등고시 합격 후 해군 법무관으로 관료 생활을 시작, 무소속 및 민주정의당 국회의원과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변호사, 세무사로서 한국세무사회 회장과 대한양돈협회 회장을 지냈다.
  • 해남군 출신 - 박경두
    박경두는 에페를 주 종목으로 하는 대한민국 펜싱 선수로, 아시아 선수권에서 개인전 1회 및 단체전 4회 우승, 세계 선수권 단체전에서 은메달 4개를 획득했으며, 도하 그랑프리 개인전과 헤이덴하임 월드컵 개인전에서 우승했다.
  • 저그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저그 선수 - 어윤수
    어윤수는 대한민국의 스타크래프트 및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로, SK텔레콤 T1에서 데뷔 후 GSL에서 활약하며 '콩라인'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롯데홈쇼핑 KeSPA컵 시즌2에서 우승했고, GSL 10회 연속 진출 기념 '임재덕 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 대회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김명운 - [인물]에 관한 문서
프로게이머 정보
이름김명운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90년 2월 18일
출생지전라남도 해남군
종족저그
아이디Queen
별명퀸의 아들
접대저그
어린왕자
쥬인배
퀸명운
야생마

2. 선수 경력

김명운은 2007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한빛 스타즈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1] 초기에는 곰TV MSL 시즌4와 클럽데이 온라인 MSL에서 32강 탈락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로스트사가 MSL 2009에서 김택용을 꺾고 16강에 진출, 박명수를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8강에 진출했다.[1] 8강에서 마재윤을 꺾고 4강에 진출했으나, 박찬수에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1]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 김명운은 김구현을 꺾고 16강에 진출, 김택용을 꺾고 8강에 진출하며 '퀸의 아들'이라는 별명을 얻었다.[1] 아발론 온라인 MSL 2009에서도 16강에 진출하며 양대리거로 자리매김했다.[1]

이후 김명운은 여러 스타리그와 MSL 8강에서 연이어 패배하며 '8강 징크스'를 겪었다.[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8강에서도 패배하며 온게임넷 기준 8강 8전 전패라는 불명예를 안았다.[1]

피디팝 MSL 2010 4강에서 차명환에게 패배했지만, ABC마트 MSL 2011 4강에서 이제동을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1] 그러나 결승에서 이영호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1]

티빙 스타리그 2012 4강에서 허영무에게 패배한 후, 2013년 은퇴했다.[1] 은퇴 이후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시작했고,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에서 3위를 차지했다.[1]

전역 후 2020년, 김명운은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9와 시즌10에서 연이어 우승하며 데뷔 13년 만에 개인리그 첫 우승을 달성했다.

2. 1. 프로게이머 데뷔 및 초기 활동

2007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한빛 스타즈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였다.[1] 곰TV MSL 시즌4에 처음으로 진출했으나 32강에서 2패로 탈락했고, 클럽데이 온라인 MSL에서도 32강에서 탈락하며 어려움을 겪었다.

2. 2. MSL에서의 활약과 4강 신화

로스트사가 MSL 2009 32강 A조에서 김명운은 첫 경기에서 박문기를 꺾었지만, 승자전에서 마재윤에게 패했다.[1] 그러나 최종전에서 김택용을 히드라웨이브로 잡아내며 16강에 진출했다.[1] 16강에서는 박명수를 상대로 0:1에서 2:1로 역전하며 8강에 진출했고,[1] 8강에서 다시 만난 마재윤에게 뛰어난 뮤탈리스크 컨트롤을 선보이며 3:1로 승리, 생애 첫 4강 진출에 성공했다.[1]

4강에서는 박찬수를 만나 0:3으로 셧아웃당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하고 시드 획득에 만족해야 했다.[1]

2. 3. 스타리그 진출과 양대리거 등극

박카스 스타리그 2009 예선을 통과한 김명운은 36강 B조에서 장민철, 김구현을 모두 2:0으로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특히 김구현과의 경기에서는 중립 커맨드 센터를 활용, 인페스티드 테란을 생산하여 승리하는 명장면을 연출했다.[1] 16강 C조에서는 김택용, 김창희, 진영수를 모두 꺾고 8강에 진출했다. 김택용과의 경기에서는 다수의 퀸 브루들링으로 하이 템플러를 무력화시키며 '퀸의 아들'다운 면모를 과시하며 돌풍의 핵으로 떠올랐다.[1]

아발론 온라인 MSL 2009에서는 D조 승자전에서 김윤환에게 패했지만, 최종전에서 조병세를 꺾고 16강에 진출, 프로리그에서의 부진을 만회했다. MSL 16강에서는 박세정을 2:0으로 꺾고 8강에 진출, 차기 MSL 시드를 확보하며 양대리거로서의 입지를 굳혔다.[1]

2. 4. 8강 징크스와 좌절

김명운은 박카스 스타리그 2009 8강에서 이제동에게 0:2로 패배했고, 아발론 온라인 MSL 2009 8강에서는 한상봉에게 0:3으로 완패했다.[1] EVER 스타리그 2009 8강에서는 진영화에게 0:2로 패배했다.[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1 8강에서는 김정우에게 0:2로 패배했고,[1]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8강에서는 같은 팀 소속 윤용태에게 0:2로 완패하며 온게임넷 기준 8강 8전 전패를 기록, '8강 필패'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1]

2. 5. MSL 결승 진출과 준우승

피디팝 MSL 2010 8강에서 송병구를 3: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으나, 저그전에 약한 탓에 차명환에게 1:3으로 패배했다.[1]

ABC마트 MSL 2011 4강에서 이제동을 3:1로 꺾으며 저그전 약점과 심리적 약점을 극복하고 결승에 진출했다.[1] 그러나 결승전에서 이영호에게 0:3으로 완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1]

2. 6. 마지막 불꽃과 은퇴

티빙 스타리그 2012 4강에서 허영무에게 2:3으로 패배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1] 2013년 10월 1일 웨이버 선수로 공시되어 무소속 신분이 되었고, 2013년 10월 24일 은퇴하였다.

2. 7. 은퇴 이후의 활동과 ASL 우승

은퇴 이후 아프리카TV 개인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아프리카 콩두 소속으로 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에서 3위를 차지하였다.[1]

전역 이후 2020년 4월 26일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9 결승전에서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 우승자인 이재호를 4:1로 꺾고 데뷔 13년 만에 처음으로 개인리그 우승을 차지하였다. 그해 11월 15일,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 결승전에서도 승리하며 ASL 2연속 우승을 달성하였다. 현재까지 ASL은 그 전신인 VANT 리그를 포함하여 12개의 시즌이 진행되었는데, 2회 이상 우승 경력을 지닌 선수는 김명운, 김정우, 이영호뿐이다.

3. 플레이 스타일

김명운은 퀸을 활용한 전략을 즐겨 사용했으며, 프로토스전에 강했지만 저그전에는 약했다.

2013년 4월 29일 기준, 스타크래프트 II 전적을 포함한 김명운의 통산 전적은 다음과 같다.

상대 종족경기 수승-패승률
테란11460-5452.6%
저그189102-8754.0%
프로토스12474-5059.7%
총합427236-19155.3%


3. 1. '퀸의 아들' 김명운

김명운은 퀸을 활용한 독특한 전략을 자주 구사하여 '퀸의 아들', '퀸명운'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박카스 스타리그 2009에서 김구현, 진영수, 김택용 등을 상대로 퀸을 활용하여 승리했는데, 특히 김택용과의 경기에서는 다수 퀸의 브루들링으로 하이템플러를 저격하는 보기 드문 장면을 연출하기도 했다. NATE MSL 2009 패자전에서는 문성진을 상대로 퀸의 인스네어를 활용해 뮤탈리스크를 전멸시키고 승리했으며, 빅파일 MSL 2010 32강 패자전에서는 차명환을 상대로 퀸과 디바우러를 조합하는 전략을 선보였다.

3. 2. 프로토스전 강자

김명운은 데뷔 초에는 프로토스전에서 주목받는 선수는 아니었지만,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시즌부터 프로토스전에 강한 면모를 보이기 시작했다. 2009년 11월 11일, eSTRO의 신예 프로토스 신재욱을 꺾고 프로토스전 11연승을 달성하며 공동 1위에 올랐고, 2009년 11월 29일에는 공군 ACE의 프로토스 박정석을 제압하며 12연승을 달성했다. 이후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에서 이영호까지 꺾으며 13연승을 기록했다. EVER 스타리그 2009 16강 B조에서 박세정에게 패배하며 연승 기록은 13연승에서 멈췄지만, 이 기록은 이제동의 17연승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기록이다.

김명운의 프로토스전 13연승 기록은 2009년 5월 8일부터 2009년 12월 7일까지 7개월 동안 이어졌다.

날짜상대대회
2009년 5월 8일장민철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1차전 1, 2경기
2009년 5월 8일김구현박카스 스타리그 2009 36강 B조 2차전 1, 2경기
2009년 7월 5일박세정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5R 웅진 vs 위메이드 3세트
2009년 7월 8일김택용박카스 스타리그 2009 16강 C조 5경기
2009년 7월 9일박세정아발론 MSL 2009 16강 H조 1경기
2009년 7월 14일박세정아발론 MSL 2009 16강 H조 2경기
2009년 10월 13일김대엽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KT vs 웅진 2세트
2009년 11월 8일박세정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위메이드 3세트
2009년 11월 11일신재욱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eStro 3세트
2009년 11월 29일박정석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공군 2세트
2009년 12월 7일이영호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 1R 웅진 vs 위메이드 1세트



김명운은 프로토스를 상대로 뛰어난 경기력을 보여주며, 프로토스전에서 잔실수가 없다면 거의 승리할 정도로 강한 저그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프로토스의 강자인 김택용과 송병구를 상대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공식전에서 김택용을 상대로 4:3, 비공식전까지 포함하면 5:3으로 앞섰고, 송병구를 상대로는 9:6으로 우세했다. 다만, 김대엽과 진영화에게는 상대 전적과 경기력이 밀리는 모습을 보였다. 김대엽에게는 2:5, 진영화에게는 2:4로 상대 전적이 밀렸다. 김명운의 은퇴로 인해 이 선수들과의 경기는 더 이상 볼 수 없게 되었다.

2013년 4월 29일 기준, 김명운의 프로토스전 통산 전적은 74승 50패(승률 59.7%)이다.

3. 3. 저그전 약점과 극복 노력

김명운은 저그전에 약한 모습을 보여 '최종저막'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이제동, 김정우, 차명환 등에게 약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이제동에게는 10연패를 기록할 정도로 약했다.

그러나 ABC마트 MSL 2011 4강에서 이제동을 3:0으로 꺾는 등 저그전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4. 논란 및 사건 사고

2010년 11월 26일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K조 2차전에서 김상욱과의 경기 중, 스타크래프트 방송 경기 역사상 최초로 경기 외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은 저그 대 저그전 무승부가 발생했다.[1] 이로 인해 재경기가 실시되었고, 김명운은 스타리그 진출 이래 지켜 오던 36강 리그 5연속 통과 기록과 전승 기록을 모두 잃게 되었다.

4. 1. 저그 대 저그전 무승부

2010년 11월 26일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K조 2차전에서 김명운은 김상욱을 상대했다. 1세트는 김명운, 2세트는 김상욱이 승리하여 팽팽한 상황에서 3세트 아즈텍에서 경기가 진행되었다. 김명운은 12드론 스포닝 풀 빌드를 선택했고, 김상욱은 빠른 앞마당 해처리 빌드로 앞서 나갔다. 김상욱은 강력한 저글링 러시를 시도했으나, 김명운이 훌륭하게 방어하며 공중전을 압도했다. 김명운은 공중병력의 우위를 바탕으로 경기를 마무리하는 듯 보였다.

그러나 김상욱은 뮤탈리스크 병력을 후퇴시키며 에볼루션 챔버를 건설, 스포어 콜로니로 본진 방어에 성공했다. 김명운은 김상욱의 뮤탈리스크를 추격하며 저글링 난입으로 인한 드론 피해를 감수했다. 매우 불리한 상황에 놓인 김명운은 모든 병력으로 김상욱의 드론을 타격했고, 공중병력으로 스포닝 풀과 에볼루션 챔버를 파괴했다. 결국 두 선수 모두 드론이 없어 서로를 공격할 방법이 없게 되자, KeSPA 오형진 주심은 경기를 중단시키고 선수들의 의사를 물어 재경기를 실시했다.

이 경기는 스타크래프트 방송 경기 역사상 최초로 경기 외적 요소가 개입되지 않은 저그 대 저그전 무승부로 기록되었다.[1] 이어진 재경기에서는 김상욱이 승리하여, 김명운은 스타리그 진출 이래 지켜 오던 36강 리그 5연속 통과 기록과 전승 기록을 모두 잃게 되었다.

5. 라이벌 관계

김명운은 김택용, 이영호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김택용은 프로토스 대 저그, 신흥 강자 대 전통 강자라는 구도로 김명운과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ABC마트 MSL 2011 결승전에서 이영호와 김명운이 맞붙으며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

5. 1. 김택용

김명운과 김택용은 프로토스 대 저그, 신흥 강자 대 전통 강자라는 구도로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 공식전 전적은 김명운이 약간 앞서지만, 비공식전까지 포함하면 호각세이다.

5. 2. 이영호

ABC마트 MSL 2011 결승전에서 김명운과 이영호가 맞붙으며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 이영호는 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지만, 프로리그 및 포스트시즌에서는 김명운이 더 많이 이겼다.

두 선수의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날짜대회세트승자
2008년 6월 17일신한은행 프로리그 2008 2라운드2세트이영호
2008년 11월 25일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 1라운드5세트김명운
2009년 12월 17일NATE MSL 2009 16강E조 1경기이영호
2009년 12월 26일NATE MSL 2009 16강E조 2경기김명운
2009년 12월 26일NATE MSL 2009 16강E조 3경기이영호
2010년 7월 30일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2 16강B조 2경기이영호
2011년 1월 26일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3라운드6세트김명운
2011년 6월 11일ABC마트 MSL 2011 결승전1경기이영호
2011년 6월 11일ABC마트 MSL 2011 결승전2경기이영호
2011년 6월 11일ABC마트 MSL 2011 결승전3경기이영호
2011년 7월 16일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 준플레이오프 1차전7세트김명운
2012년 12월 17일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12-13 1라운드2세트김명운


6. 수상 경력

(0:3 이영호)2012년Tving 스타리그 20123위2012년2012 대한민국 e스포츠 대상스타크래프트: 브루드워 저그 최우수 선수상은퇴 이후2014년픽스 9차 소닉 스타리그16강2014년위메프 GOM 클래식 시즌44강2014년헝그리앱TV e스포츠 리그 스타크래프트 스페셜매치 1주차준우승
(1:2 구성훈)2014년스타즈파티 인 차이나준우승
(0:3 김택용)2014년스베누 10차 소닉 스타리그32강2015년헝그리앱 스타즈 리그 위드 콩두3위2015년스베누 11차 소닉 스타리그 시즌28강2015년스포타임즈 스타리그우승
(4:3 염보성)2016년니너스 스타리그우승
(4:3 김정우)2016년VANT 36.5 대국민 스타리그4강
(1:3 김정우)2019년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44강
(1:4 정윤종)2020년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9우승
(4:1 이재호)2020년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우승
(4:3 박상현)



스타크래프트 : '''메이저 개인리그 준우승 1회'''[2], 블리자드 공인 개인리그 우승 2회[3]

6. 1. 스타크래프트 II

연도대회
2013년제4회 인천 실내무도아시아경기대회 스타2 부문 국가대표 선발전 32강
2013년2013 WCS 코리아 시즌 2 챌린저리그 48강
2013년2013 WCS 코리아 시즌 3 챌린저리그 32강


참조

[1] 뉴스 상반기 프로게이머 신인 드래프트 50명 중 37명 '안착' http://game.donga.co[...] 게임동아 2007-03-13
[2] 기타 MSL 1회 준우승
[3] 기타 ASL 시즌9 우승. ASL 시즌10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