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명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명환은 KT.MGW)Great라는 아이디로 활동한 전직 프로게이머이다. 삼성전자 칸에서 데뷔하여 공군 ACE에서 활동했으며, 브루드 워에서는 저그, 스타크래프트 II에서는 테란 종족을 주로 플레이했다. 특히 하이브 운영을 통해 '하이브 저그', '몽환저그' 등의 별명을 얻으며 주목받았다. 2011년 피디팝 MSL 2011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개인리그 통산 1회 준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군 ACE의 선수 - 한동욱
한동욱은 2003년 스파키즈에 입단하여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데뷔, 아마추어 신분으로 스타리그에 진출한 마지막 선수이자 2006년 신한은행 스타리그 시즌1 우승, 프로리그 프로토스전 17연패 기록을 가진 선수이다. - 공군 ACE의 선수 - 이주영 (프로게이머)
이주영은 드론 활용 전략으로 "드론의 아버지"라는 별명을 얻은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이자 GSL 해설가로,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며 대 프로토스와 대 저그전에서 강점을 보였다. - 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 - 이창훈 (프로게이머)
이창훈은 2001년부터 2008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직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개인 및 팀 단위 리그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박성훈 선수와 함께 최우수 팀플레이상을 2회 연속 수상하며 최고의 팀플레이 조합으로 인정받았다. - 삼성 갤럭시 (e스포츠)의 선수 - 강민수 (프로게이머)
강민수는 DreamHack Open: Stockholm, 스타크래프트 II 스타리그 등에서 우승하고 IEM Season IX - Shenzhen 등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대한민국의 프로게이머이다. - 남원시 출신 - 김근식
김근식은 경남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이자 서울대학교 정치학 박사 출신으로, 북한 및 통일 문제 전문가로서 남북정상회담 특별수행원으로 참여했으며 국민의힘 소속으로 여러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한 정치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남원시 출신 - 류락진
류락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남로당, 통일혁명당, 구국전위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서예가로 활동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차명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국적 | 대한민국 |
출생 | 1989년 11월 27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남원시 |
게임 정보 | |
랭킹 | 19 |
종족 | 스타크래프트: 저그 스타크래프트 II: 테란 |
아이디 | KT.MGW)Great |
별명 | 몽환이, 명환의숲, 차레기, 차pp, 몽환저그, 하이브저그, 차이코패스, 준우스운자 |
소속팀 | |
웹사이트 | 차명환 싸이월드 |
2. 생애
차명환은 2007년 삼성전자 칸에 입단하며 프로게이머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대한민국 공군 사병으로 입대하여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했으며, 2013년 제대 후에는 프로게이머로 복귀하지 않고 은퇴했다.
2. 1. 프로게이머 경력
2007년 상반기 드래프트에서 삼성전자 칸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하여 프로게이머 활동을 시작했다.[1] 'KT.MGW)Great'라는 아이디를 사용했으며,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는 저그를, 스타크래프트 II에서는 테란을 주 종족으로 플레이했다.2011년 7월 28일 공군 ACE 입대를 지원했고, 같은 해 9월 입대가 확정되었다. 이로 인해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에서는 공군 ACE 소속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하지만 공군 소속 기간 동안에는 다소 부진한 성적을 보였는데, 특히 2012년 초부터 그해 여름까지 공식전 12연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 종료 후 공군 ACE 팀이 해체되면서 남은 복무 기간은 일반병으로 보냈다. 2013년 9월 25일 제대했으며, 원소속팀인 삼성전자 칸으로 복귀하지 않고 프로게이머 생활을 은퇴했다.
2. 2. 공군 ACE 복무 및 은퇴
2011년 7월 28일 공군 ACE 입대 지원을 신청했고[1], 같은 해 9월 입대가 확정되었다. 이로써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과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에는 공군 ACE 소속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공군 ACE에서는KT.MGW)Great
라는 아이디를 사용했다.그러나 공군 소속으로 활동한 두 시즌 동안에는 전반적으로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으며, 특히 2012년 초부터 그해 여름까지 공식전 12연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II 프로리그 시즌 2 종료 후 공군 ACE가 해체되면서, 차명환은 남은 복무 기간을 일반병으로 보냈다. 2013년 9월 25일 제대한 후, 원소속팀이었던 삼성전자 칸으로 복귀하지 않고 프로게이머 은퇴를 선언했다.
3. 차명환과 하이브
차명환은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시절, 특히 저그 대 저그 전(저저전)에서 하이브 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독특한 스타일로 유명했다. 일반적으로 저저전은 다른 종족전에 비해 적은 유닛과 자원으로 빠르게 끝나는 경기가 많지만, 차명환은 후반 지향적인 하이브 운영을 통해 경기를 풀어나가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었다.
이러한 플레이 스타일 덕분에 그는 '하이브저그', '몽환저그', '차이브'와 같은 별명을 얻었다. 그의 하이브 운영은 빅파일 MSL 2010 32강에서 김명운을 상대로 승리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후 피디팝 MSL 2010 등 여러 대회에서 인상적인 경기를 선보이며 하이브 운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3. 1. 하이브 운영의 특징
차명환은 특히 하이브 운영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저그 대 저그 동족전(저저전)은 다른 종족전에 비해 적은 유닛(드론, 저글링, 뮤탈리스크, 스커지)으로 짧은 시간 안에 승부가 나는 경우가 많지만, 차명환은 이러한 일반적인 양상과 달리 후반 지향적인 하이브 운영을 통해 경기를 풀어나가는 특징을 보였다.그의 하이브 운영은 빅파일 MSL 2010 32강에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당시 하이브 운영에 강점을 보이던 웅진 스타즈 소속의 김명운을 상대로 승리하며 하이브 운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 경기는 MBC게임 AWARD 명경기로 선정되기도 했다. 이후 2010년 6월 12일 프로리그 경기에서는 김명운의 팀 후배인 김민철을 상대로 다시 한번 하이브 운영으로 승리한 뒤, 승자 인터뷰에서 "앞으로 저그전에서 다양한 운영을 시도하고 싶고 그 트렌드를 이끌고 싶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다.
피디팝 MSL 2010에서는 그의 하이브 운영이 더욱 빛을 발했다. 32강에서 10연승을 달리던 신상문을 꺾고 김민철을 다시 만나, 초반 유리함을 바탕으로 하이브 단계까지 경기를 이끌었다. 이 경기에서 상대 본진에 나이더스 커널을 활용하고 러커로 저글링을 방어하며, 울트라리스크로 상대 러커 라인을 돌파하고 가디언으로 상대 드론을 견제하는 등 다채로운 전략을 선보여 해설자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이로 인해 차명환에게는 '하이브저그', '몽환저그', '차이브' 등의 별명이 붙었다.
이 대회에서 차명환은 승승장구하여 16강에서 김성대를 2:0으로, 8강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였던 김구현을 3:2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4강 상대는 빅파일 MSL 2010에서 만났던 김명운이었다. 1세트에서는 3해처리 기반의 저글링 물량으로 승리했고, 2세트에서는 하이브 운영을 시도했으나 멀티 차이로 패배했다. 하지만 이후 두 세트를 내리 따내며 3:1로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CJ 엔투스의 신동원에게 1:3으로 패배했지만, 1세트에서 보여준 뮤탈리스크, 퀸, 러커를 조합한 하이브 운영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4. 주요 기록
2012년 7월 16일 기준으로 스타크래프트 2 전적을 포함한 통산 전적은 101승 113패, 승률 47.2%이다. 종족별 세부 전적은 아래와 같다. 특히 저그 대 저그전에서 52.2%의 승률을 기록하며 강한 모습을 보였다.
종족 | 경기 | 승–패 | 승률 |
---|---|---|---|
테란 | 53 | 23–30 | 43.4% |
저그 | 92 | 48–44 | 52.2% |
프로토스 | 69 | 30–39 | 43.5% |
총합 | 214 | 101–113 | 47.2% |
4. 1. 개인리그 전적
- 2006년 4월 엘리트 학생복 캠퍼스 챔피언십 광주지역 고등부 준우승
- 2007년 1월 제28회 커리지매치 입상
- 2008년 5월 곰TV TG삼보-인텔 클래식 2008 시즌1 32강
- 2010년 4월 하나대투증권 MSL 2010 8강
- 2010년 7월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Season 2 36강
- 2010년 7월 빅파일 MSL 2010 32강
- 2010년 10월 박카스 스타리그 2010 36강
- 2011년 2월 피디팝 MSL 2011 준우승 (1:3 신동원)[2]
- 2011년 4월 ABC마트 MSL 2011 32강
4. 2. 기타
5. 별명
- '''몽환이''', '''몽환저그''': 이름인 '명환'과 '몽환'의 발음 및 글자가 거의 비슷해서 붙여진 별명이다.
- '''명환의숲''': 키네틱플로우의 히트곡인 '몽환의 숲'과 이름 '명환'을 합성하여 만들어졌다.
- '''하이브 저그''': 저그 종족 플레이 시 하이브 단계 운영을 잘해서 붙여졌다.
- '''준우스운자''': 신동원과 함께 ABC마트 MSL 2011 조지명식에서 우승자와 준우승자의 권한을 행사하여 D조에 이제동, 이영호, 김택용, 염보성을 몰아넣어 사상 최고의 '죽음의 조'를 만든 데서 비롯되었다.
- '''차이코패스''': 2011년 자신의 미니홈피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글을 올려 비판을 받았으며, 앞서 언급된 '준우스운자' 별명과 관련된 '죽음의 조' 사건을 풍자하는 인터넷 카툰 제목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해당 사건에 분노한 일부 팬들이 붙인 별명이기도 하다.
참조
[1]
뉴스
상반기 프로게이머 신인 드래프트 50명 중 37명 '안착'
http://game.donga.co[...]
게임동아
2007-03-13
[2]
문서
MSL 1회 준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