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병준 (1954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병준은 1954년 경상북도 고령군 출생으로, 영남대학교에서 정치학 학사 학위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국민대학교 행정정책학부 교수를 역임했으며,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지냈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되었으나 임명되지 못했고,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여의도연구원 이사장을 역임했다. 2020년에는 미래통합당 소속으로 세종특별자치시 을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현재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경제인연합회 - SK (기업)
    SK 주식회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 에너지, 화학, 정보통신, 반도체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며 대한민국 재계 서열 3위의 대기업 집단이다.
  • 전국경제인연합회 - 박용만 (1955년)
    대한민국의 기업인 박용만은 두산그룹 회장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역임하며 그룹 경영을 이끌고 경제 발전에 기여했을 뿐 아니라 문화예술계 발전에도 힘썼다.
  • 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이상주
    이상주는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관료, 정치인으로서, 여러 대학교의 총장을 역임하고 노태우, 김영삼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및 비서실장을, 김대중, 참여정부에서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및 부총리를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 김진표 (정치인)
    김진표는 재무부 관료 출신으로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에서 요직을 맡았고, 17대 국회부터 21대 국회까지 5선 국회의원과 21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동문 - 노승우
    노승우는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정치학 석사 및 MBA 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와 국회의원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동문 - 권노갑
    권노갑은 동국대학교 등에서 학위를 받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진승현 게이트에 연루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을 거쳐 현재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병준 (1954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병준
로마자 표기Gim Byeongjun
한자 표기金秉準
출생일1954년 3월 26일
출생지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후암리
소속 정당국민의힘
학력
학력델라웨어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경력
경력새천년민주당 당무위원 (2001년 1월 6일~2002년 2월 15일)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2018년 7월 17일~2019년 2월 27일)
자유한국당 당무위원 (한국당 복당)
미래통합당 당무위원
주요 직책
직책대한민국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임기 시작2006년 7월 21일
임기 종료2006년 8월 7일
대통령노무현
총리한명숙
기타 정보
본관의성
종교불교
웹사이트나우루 공식 홈페이지
전직 정당
정당새천년민주당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임기 시작2018년 7월 17일
임기 종료2019년 2월 26일
이전김성태 (권한대행)
이후황교안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임기 시작2006년 7월 21일
임기 종료2006년 8월 7일
이전김진표
이후이종서 (권한대행)
이미지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

2. 생애

김병준은 1954년 3월 26일 경상북도 고령군에서 태어났다.[1][4] 대구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영남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델라웨어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4] 1986년부터 국민대학교 행정정책학부 교수로 재직했다.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역임했으며, 2006년에는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 임명되었으나 한나라당의 논문 표절 의혹 제기로 13일 만에 사퇴했다.[33] 박근혜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내정되었으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임명되지는 못했다.[33]

2018년 7월 17일 자유한국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으로 공식 추대되었다.[34] 김 비대위원장은 인적 청산보다 가치와 비전 정립이 우선임을 강조하며 박정희 시대의 국가기획주의를 비판하고 시장 자유 확대를 주장했다. 또한 문재인 정부국가주의라고 비판했다.[36][37]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학력



초기 경력


2. 2. 노무현 정부 참여

2002년 5월,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던 새천년민주당의 노무현 후보 정책자문단 단장을 맡으면서 본격적으로 정치에 참여하게 되었다. 12월 대선에서 노무현이 당선되자, 김병준도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참여하였다.[5] 노무현 정부 출범 후에는 대통령 자문기구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였다.[4]

2004년 6월, 병으로 입원 중이던 박봉흠을 대신하여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에 임명되었다. 당시 윤태영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은 김병준에 대해 행정학 이론과 실무에 대한 식견과 경험을 갖춘 개혁 지향적인 학자라고 평가하며, 국가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조정을 원만하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를 표명하였다.[6]

김병준은 정책실장으로서 대통령 정책기획위원장인 이정우 (1950년)|이정우한국어와 함께 노무현 정부의 정책 설계에 참여하여 수도 이전[7], 부동산 투기 대책[8], 교육, 지방 분권, 행정 개혁, 격차 해소 등의 문제에 대처하였다.[9] 2005년 7월 이정우가 사퇴하면서 김병준은 그 업무까지 맡게 되었다.[10] 그러나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고, 특히 부동산 투기 대책과 세금 정책의 실패가 여당의 지지율 하락, 그리고 2006년 5월 31일 지방선거에서 여당의 참패를 불러왔다고 평가된다.[11] 더불어 김병준의 건강 문제도 제기되었고, 선거 이틀 전 정책실장직에서 사퇴하였다.[11]

2006년 7월 개각을 통해 김병준은 교육인적자원부(현재 교육부) 장관이 되었고, 부총리를 겸임하게 되어 부총리(교육담당 부총리)를 역임하였다. 그러나 이 개각 자체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았다.[12] 또한 김병준이 과거 제출한 논문에 대해 제자의 논문 표절 의혹, 과거 논문과 유사한 논문을 새로 작성하여 중복 제출함으로써 연구비를 이중으로 수령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야당으로부터 사퇴 요구가 빗발쳤고, 취임 12일 만인 8월 2일 사퇴 의사를 표명하였다.[13] 그러나 10월에는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으로 청와대에 복귀하였고, 이듬해 11월에는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을 겸임하게 되었다.[14]

2008년 2월 노무현 정부 종료와 함께 정계를 떠나 모교인 국민대학교 교수로 돌아왔다.[15] 또한 경제 전문 매체 이투데이|이투데이한국어 회장과 사회 디자인 연구소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4] 2009년 5월 노무현이 서거하자, 김병준도 조문에 참석하였다.[16]

2. 3. 노무현 정부 이후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역임하고, 2006년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에도 임명되었지만 한나라당에서 논문 표절 의혹을 제기하여 취임 13일 만에 사퇴하였다.[33] 박근혜 정부에서 국무총리로 내정되었으나,[33] 실제로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인하여 임명되지는 않았다.

2008년 2월 노무현 정부 종료와 함께 정계를 떠나 모교인 국민대학교 교수로 돌아왔다.[15] 또한 경제 전문 매체 이투데이|이투데이한국어 회장과 사회 디자인 연구소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4] 2009년 5월 오랜 기간 함께 했던 노무현이 서거하자, 김병준도 조문에 참석하였다.[16]

자유한국당은 2018년 7월 17일 김병준을 신임 혁신비상대책위원장으로 공식 추대했으며, 이날 전국위원회를 열고 김 위원장 추대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34] 김 비대위원장은 인적청산보다 가치와 비전 정립이 먼저임을 강조하였다.[35] 또한 "박정희 시대처럼 국가기획주의에 입각해 기업을 간섭하는 국가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한국당에) 따라올 수 없는 것이다."면서 시장자유 확대를 강조하였고, 문재인 정부를 향해서도 국가주의라고 비판하였다.[36] 문재인 정부에서 '먹방'을 규제하겠다고 하자 다시 국가주의적이라고 비판하였다.[37]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와중에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본인이 공식적으로 승낙하였으나 국회에서 인준되지 않은 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가 이뤄지면서 내정자 신분이 소멸해 자연히 낙마하였다.[38][39]

연도직책
2018년 3월~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명예교수
2018년 7월~2019년 2월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2018년 7월~2019년 2월여의도연구원 이사장
2020년 3월~2020년 4월미래통합당 4·15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중부권역 선대위원장
2020년 5월~2020년 9월미래통합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을 당원협의회 위원장
2020년 7월~2020년 9월미래통합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2020년 9월~2021년 7월국민의힘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2020년 9월~2023년 2월국민의힘 세종특별자치시당 세종특별자치시 을 당원협의회 위원장
2021년 3월~2021년 4월국민의힘 2021년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본부장
2021년 11월~2022년 1월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상임선대위원장
2022년 3월~2022년 5월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2022년 12월~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상임고문
2023년 2월~제11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
2023년 2월~2023년 8월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 겸 미래발전위원장
2023년 8월~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 고문
2023년 5월~재단법인 백선엽장군기념재단 자문위원 겸 백선엽장군기념사업회 이사


2. 4. 박근혜 정부 국무총리 지명

박근혜 정부 박근혜-최순실 게이트의 여파로 국무총리로 내정되었으나,[33] 임명되지는 않았다.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와중에 국무총리 후보로 지명되어 본인이 공식적으로 승낙하였으나 국회에서 인준되지 않은 채 박근혜 대통령 탄핵 소추가 이뤄지면서 내정자 신분이 소멸해 자연히 낙마하였다.[38][39]

김병준은 국무총리 후보로 여러 차례 거론되었다.

2014년 4월, 정홍원 총리가 세월호 참사 초기 대응에 대한 비판을 받고 사임 의사를 밝히자, 정홍원의 후임으로 지명된 안대희가 변호사 시절 고액 보수를 받았다는 의혹으로 사퇴했고, 이어 지명된 문창극은 과거 친일 발언이 문제가 되어 사퇴하면서, 김병준도 후보로 거론되었다.[22]

2016년 10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정권 지지율이 급락하자, 거국중립내각을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새 정부의 수반 후보로 김병준의 이름이 거론되었다.[23] 11월 2일, 박근혜 대통령은 황교안 총리의 후임으로 김병준을 새 총리로 지명했다.[24] 야당과 가까운 인물인 김병준의 총리 지명은 박 대통령이 야당을 배려한 결과였지만, 사전에 야당과의 협의가 없었기에 오히려 반발을 사서, 국회 인준에 필요한 인사청문회조차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다.[25][26] 그 결과, 11월 8일 박 대통령은 김병준에 대한 총리 지명을 철회할 수밖에 없었다.[27]

2. 5.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자유한국당은 2018년 7월 17일 전국위원회를 열고 김병준 신임 혁신비상대책위원장 추대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하며 공식 추대했다.[34] 김 비대위원장은 인적청산보다 가치와 비전 정립이 먼저임을 강조하였다.[35] 또한 "박정희 시대처럼 국가기획주의에 입각해 기업을 간섭하는 국가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한국당에) 따라올 수 없는 것이다."면서 시장자유 확대를 강조하였고, 문재인 정부를 향해서도 국가주의라고 비판하였다.[36] 문재인 정부에서 '먹방'을 규제하겠다고 하자 다시 국가주의적이라고 비판하였다.[37]

2. 6. 국민의힘 활동 및 이후

자유한국당은 2018년 7월 17일 김병준 신임 혁신비상대책위원장을 공식 추대했으며, 이날 전국위원회를 열고 김 위원장 추대 안건을 만장일치로 의결했다.[34] 김 비대위원장은 인적 청산보다 가치와 비전 정립이 먼저임을 강조하였다.[35] 또한 "박정희 시대처럼 국가기획주의에 입각해 기업을 간섭하는 국가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한국당에) 따라올 수 없는 것이다."면서 시장자유 확대를 강조하였고, 문재인 정부를 향해서도 국가주의라고 비판하였다.[36] 문재인 정부에서 '먹방'을 규제하겠다고 하자 다시 국가주의적이라고 비판하였다.[37]

노무현 정부 시절 여당이었던 한나라당(당시 노무현 대통령과 대립했던 제1 야당)이 당명을 변경한 자유한국당의 비상대책위원장에 2018년 7월 17일 선출되었다. 6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참패한 당의 재건을 맡게 되었다.[17]

2021년, 윤석열 대통령 후보의 상임선거대책위원장에 취임하였다.[18]

2022년 3월, 윤석열 차기 대통령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에 취임하였다.[19]

2023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에 취임[20]했다.

연도내용
2018년 3월~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명예교수
2018년 7월~2019년 2월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여의도연구원 이사장
2020년 3월~2020년 4월미래통합당 4·15총선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중부권역 선대위원장
2020년 5월~2020년 9월미래통합당 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 을 당원협의회 위원장
2020년 7월~2020년 9월미래통합당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2020년 9월~2021년 7월국민의힘 세종특별자치시당 위원장
2020년 9월~2023년 2월국민의힘 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 을 당원협의회 위원장
2021년 3월~2021년 4월국민의힘 2021년 재보궐선거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선거대책위원회 명예선대본부장
2021년 11월~2022년 1월국민의힘 선거대책위원회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선거대책위원장단 공동상임선대위원장
2022년 3월~2022년 5월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
2022년 12월~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 상임고문
2023년 2월~제11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회장
2023년 2월~2023년 8월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직무대행 겸 미래발전위원장
2023년 8월~전국경제인연합회 상근 고문
2023년 5월~재단법인 백선엽장군기념재단 자문위원 겸 백선엽장군기념사업회 이사


3. 논란

2005년 7월, 철도청(현재의 한국철도공사)의 유전 개발 투자 의혹과 한국도로공사의 행담도 개발 의혹이 제기되자, 청와대는 이러한 사건들과 무관하다며 "청와대가 배후에 있는 것처럼 언론이 풍선껌처럼 이야기를 부풀리고 있지만, 국가 발전에 백해무익하다"고 발언하여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32]

3. 1. 교육부총리 시절 논문 표절 및 자녀 특혜 의혹

2006년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으로 지명된 후, 청문회에서 두 딸이 대원외고와 대일외고에 편법으로 편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40] 이와 관련하여 정운찬 전 서울대학교 총장과 김대용 전 대일외고 교감 등이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3. 2. 골프 접대 청탁금지법 위반 논란

2017년 8월 하이원리조트에서 열린 KLPGA 투어에 앞서 펼쳐진 프로암 경기가 청탁금지법 위반 소지가 있는지 논란이 있었다. 경찰은 해당 행사 초청자 중 청탁금지법 적용 대상자 수, 프로암 경기 골프 비용, 기념품 및 식사 비용 등 접대 비용이 100만원을 초과했는지 등 세 가지 쟁점을 수사했다.[41]

3. 3. 자유한국당 비대위원 시절 인사 논란

2006년 당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으로 지명된 후, 청문회에서 두 딸이 대원외고와 대일외고에 각각 편법으로 편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40] 정운찬 전 서울대학교 총장과 김대용 전 대일외고 교감 등이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골프 접대와 관련해 청탁금지법 위반 논란이 있다. 2017년 8월 하이원리조트에서 열린 KLPGA 투어에 앞서 펼쳐진 프로암 경기가 청탁금지법의 적용을 받는 골프 접대로 볼 수 있는지, 또 이 행사 초청자 가운데 청탁금지법 적용을 받는 참가자가 모두 몇 명인지, 그리고 당시 프로암 경기 골프비용과 기념품, 식사비 등 접대 비용이 100만을 초과하는지 이 3가지 쟁점에 대해 경찰이 수사 중이다.[41]

김병준 비대위원장이 임명한 김대준 비대위원은 비대위원으로 임명된 날까지도 더불어민주당 당원이었으며, 6.13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광역의원으로 공천을 신청했지만 예비경선에서 탈락했던 전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음주운전과 주거침입, 절도 등의 혐의로 벌금형을 받는 등 2건의 전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논란이 됐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당내 의원들은 김 비대위원의 교체를 공공연히 요구해왔으며, 김대준 비대위원은 사퇴하게 되었다.[42]

4. 한일 관계 관련 활동 및 발언

김병준은 노무현 정부에서 정책실장을 지내며 독도 문제와 역사 교과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상설 조직인 "동북아시아 평화를 위한 올바른 역사 정립 기획단" 구성을 주도하고 단장을 맡았다.[28][29] 2005년 3월 노무현 대통령이 국민 담화에서 일본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밝히자, 김병준은 "일본이 어떻게 하든 한국은 한국의 길을 갈 것이다", "우리 정부는 과거 정부와 다르며, 과거로부터 자유로운 정부다"라고 말했다.[28]

2018년 11월 6일, 시오자키 야스히사(塩崎恭久) 중의원 의원이 방한하여 가진 회담에서,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문제 제기에 "일본이 항상 우리에게 피해를 주었다는 감정이 매우 강하다"며 일본 측의 지적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30]

2019년 2월 20일에는 자유한국당 김석기 의원 등과 함께 일본을 방문, 전년도에 방한하여 방일을 요청했던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자유민주당 간사장 등과 악화된 한일 관계에 대해 회담했다.[31]

4. 1. 노무현 정부 시절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의 정책자문단 단장을 맡으며 정치에 참여했다. 노무현이 대통령에 당선되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참여했다.[5] 노무현 정부 출범 후에는 대통령 자문기구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였다.[4]

2004년 6월, 청와대 정책실장에 임명되었다. 당시 윤태영 대통령비서실 대변인은 김병준에 대해 행정학 이론과 실무 경험을 갖춘 개혁 지향적인 학자라고 평가하며, 국가 주요 현안 해결을 위한 조정을 원만하게 해줄 것이라고 기대했다.[6]

김병준은 정책실장으로서 대통령 정책기획위원장인 이정우 (1950년)|이정우한국어와 함께 수도 이전[7], 부동산 투기 대책[8], 교육, 지방 분권, 행정 개혁, 격차 해소 등의 문제에 대처하였다.[9] 2005년 7월 이정우가 사퇴하면서 김병준은 그 업무까지 맡게 되었다.[10] 그러나 구체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했고, 특히 부동산 투기 대책과 세금 정책의 실패가 여당 우리당의 지지율 하락, 그리고 2006년 5월 31일 지방선거에서 여당의 참패를 불러왔다고 평가된다.[11] 김병준의 건강 문제도 제기되었고, 선거 이틀 전 정책실장직에서 사퇴하였다.[11]

2006년 7월, 교육인적자원부(현재 교육부) 장관이 되었고, 부총리(교육담당 부총리)를 겸임하였다. 그러나 이 개각 자체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았다.[12] 또한 김병준이 과거 제출한 논문에 대해 제자의 논문 표절 의혹, 과거 논문과 유사한 논문을 새로 작성하여 중복 제출함으로써 연구비를 이중으로 수령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야당으로부터 사퇴 요구가 빗발쳤고, 취임 12일 만인 8월 2일 사퇴 의사를 표명하였다.[13] 그러나 10월에는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으로 청와대에 복귀하였고, 이듬해 11월에는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을 겸임하게 되었다.[14]

2008년 2월 노무현 정부 종료와 함께 정계를 떠났다.[15]

노무현 정부 시절 정책실장을 지낸 김병준은 독도 문제, 역사 교과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 상설 조직인 “동북아시아 평화를 위한 올바른 역사 정립 기획단” 구성을 주도하여 단장이 되었다.[28][29] 2005년 3월 노무현 대통령이 국민 담화에서 일본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을 때, 김병준은 "일본이 어떻게 하든 한국은 한국의 길을 갈 것이다", "우리 정부는 과거 정부와 다르며, 과거로부터 자유로운 정부다"라고 발언했다.[28]

4. 2.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 시절

2018년 7월 17일, 노무현 정부 시절 여당이었던 한나라당(노무현 대통령과 대립했던 제1 야당)이 당명을 변경한 자유한국당의 비상대책위원장에 선출되었다. 6월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참패한 당의 재건을 맡게 되었다.[17] 자유한국당 당 대표에 취임하는 이례적인 인사가 되었다.

2018년 11월 6일, 방한한 시오자키 야스히사(塩崎恭久) 중의원 의원과 회담했다.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문제 제기에는 "일본이 항상 우리에게 피해를 주었다는 감정이 매우 강하다"며 일본 측의 지적에 동의하지 않는 입장을 보였다.[30]

2019년 2월 20일,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인 김석기 등과 함께 일본을 방문했다. 전년에 방한하여 방일을 요청했던 니카이 도시히로(二階俊博) 자유민주당 간사장 등과 악화된 한일 관계에 대해 회담을 가졌다.[31]

5.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 종류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2020년총선미래통합당31,495표 (39.68%)2위낙선국회의원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of Kim Byong-joon http://www.korea.net[...] 2008-02-10
[2] 뉴스 学者出身の革新派ブレーンが前面配置 大統領府人事 http://japanese.dong[...] 2004-06-11
[3] 뉴스 [社説]金秉準室長も誤った道を進んでいる http://japanese.dong[...] 2005-08-05
[4] 웹사이트 김병준 http://people.search[...] NAVER人物検索 2016-10-31
[5] 뉴스 盧次期大統領「政策引継ぎ委は実務型で」委員長に林采正政策委議長 http://japanese.dong[...] 2002-07-05
[6] 뉴스 青瓦台政策室長に金秉準氏を任命 https://japanese.joi[...] 2004-06-11
[7] 뉴스 新行政首都、来年5、6月に予定地決定 http://japanese.dong[...] 2003-02-06
[8] 뉴스 青瓦台「憲法ほど変更が難しい不動産制度をつくる」 https://japanese.joi[...] 2005-07-03
[9] 뉴스 [社説]金秉準氏がやったこと http://japanese.dong[...] 2006-05-31
[10] 뉴스 [社説]失敗した李廷雨、その次は? http://japanese.dong[...] 2005-07-21
[11] 뉴스 「盧武鉉ドラマはこれ以上ない」金秉準前政策室長のインタビュー https://japanese.joi[...] 2006-06-07
[12] 뉴스 盧大統領・ウリ党、最低の支持率に https://japanese.joi[...] 2006-07-10
[13] 뉴스 金副総理が辞意表明 https://japanese.joi[...] 2006-08-02
[14] 뉴스 ‘盧武鉉の人たち’ 大統領特補に内定 https://japanese.joi[...] 2006-10-27
[15] 뉴스 【コラム】朴槿恵政権の中の勝負師(2) https://japanese.joi[...] 2014-02-06
[16] 뉴스 【動画】盧大統領逝去 公式焼香所を設置、涙の海に https://japanese.joi[...] 2009-05-26
[17] 뉴스 韓国最大野党 非常対策委員長に金秉準氏=党再建へ http://m.yna.co.kr/m[...] 聯合ニュース 2018-07-17
[18] 웹사이트 【2022年 韓国大統領選】 「検事」から「政治家」へ…候補になった尹錫悦氏の1カ月 https://koreawave.jp[...] KOREA WAVE 2021-12-19
[19] 뉴스 尹次期大統領「民情首席室を廃止」 引継ぎ委員会の人選進む https://world.kbs.co[...] KBS WORLD Radio 2022-03-14
[20] 뉴스 経済団体・全経連 12年ぶりトップ交代へ https://jp.yna.co.kr[...] 聯合ニュース 2023-02-23
[21] 뉴스 李首相、結局辞任 http://japanese.dong[...] 2006-03-15
[22] 뉴스 朴大統領「改革首相よりも、傷のない首相検索がもっと難しい」 https://japanese.joi[...] 2014-06-09
[23] 뉴스 朴大統領 首相も交代へ=週内にも追加の人事刷新 http://japanese.yonh[...] 2016-10-31
[24] 뉴스 朴大統領 内政の第一線退く=新首相が「もう一人の大統領」に http://japanese.yonh[...] 2016-11-02
[25] 뉴스 韓国野党 朴大統領に内閣改造撤回要求=人事聴聞会拒否へ http://japanese.yonh[...] 2016-11-02
[26] 뉴스 金大中・盧武鉉政権の要人を相次ぎ起用…野党「統合コスプレする浅知恵」と非難 http://japan.hani.co[...] 2016-11-04
[27] 뉴스 朴大統領「国会が推薦する首相を任命」 金氏指名を事実上撤回 http://japanese.yonh[...] 2016-11-08
[28] 뉴스 対日強硬姿勢の国民談話 盧大統領、外交戦の全面に http://japanese.dong[...] 2005-03-23
[29] 뉴스 潘長官、「独島を不問にして、真の韓日関係は不可能」 http://japanese.dong[...] 2005-03-30
[30] 웹사이트 元徴用工判決めぐる日本の反応 韓国で広がる反発・批判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11-05
[31] 웹사이트 韓国最大野党トップがきょう訪日 自民党執行部と両国関係改善協議へ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2-20
[32] 뉴스 [オピニオン]金秉準の「風船ガム」 http://japanese.dong[...] 2005-07-05
[33] 뉴스 김병준 "국정붕괴 보고있기 힘들어…헌법상 권한 100% 행사할 것" http://news.chosun.c[...] 2016-11-03
[34] 뉴스 김병준 "계파·진영논리와 싸우다 죽겠다" http://news.chosun.c[...] 2018-07-18
[35] 뉴스 [주영진의 뉴스브리핑] 김병준 "한국당, 인적청산보다 가치·비전 먼저 볼 것" https://news.sbs.co.[...] 2018-07-26
[36] 뉴스 [세계초대석] 김병준 “박정희식 국가 개입에 동의하는 사람은 같이 갈 수 없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8-07-26
[37] 뉴스 김병준 "조선 시대도 아닌데…먹방 규제는 국가주의적"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7-30
[38] 뉴스 김병준 총리 내정자, 38일만에 자연인으로 돌아가나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2-14
[39] 뉴스 김병준 "현 내각에 힘 실어줘야…내각도 일대 전환 필요"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2-14
[40] 뉴스 金교육 내정자 두딸 外高편법 입학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6-12-14
[41] 뉴스 김병준 골프 접대 논란…경찰,김영란법 관련 3가지 쟁점 수사 중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7-18
[42] 웹인용 한국당, '자격논란' 김대준 비대위원 사의표명 http://www.newsis.co[...] NEWS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