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진 (197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상진은 1977년생으로, 고등학교 졸업 후 1996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로 활동했다. 1997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완투승을 거두며 팀의 우승을 이끌었고, 한국시리즈 최연소 완투승 기록을 세웠다. 하지만 1998년 위암 판정을 받고 투병 생활을 하다 1999년 6월 10일,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선동열과 비교될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갖춘 투수로 평가받았으며, KIA 타이거즈는 그의 기일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진흥중학교 동문 - 손주인
손주인은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LG 트윈스에서 '2루의 주인'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주전 2루수로 활약한 프로야구 선수 출신으로,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프런트 임원을 거쳐 현재 코치로 재직 중이다. - 광주진흥중학교 동문 - 이대진
이대진은 투수와 타자로 활동하며 해태 타이거즈와 KIA 타이거즈에서 100승을 달성하고 최다승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에는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 광주서림초등학교 동문 - 이대형
이대형은 뛰어난 주루 능력으로 '슈퍼소닉'이라 불리며 LG, KIA, kt에서 활약, 4년 연속 도루왕과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KBO 리그에 이름을 남긴 은퇴한 야구 선수이자 현재 해설위원 및 방송인이다. - 광주서림초등학교 동문 - 김성욱 (야구 선수)
김성욱은 진흥고등학교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낸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NC 다이노스에서 주로 외야수로 활약하며 2015년 '4월 ADT 캡스플레이' MVP 수상, 2019년 골든글러브 후보에 오르는 등 꾸준한 활약을 펼치고 2022년 군 복무 후 복귀하여 현재까지 활동 중이다. - 광주진흥고등학교 동문 - 이한열
이한열은 1987년 6월 항쟁을 격화시킨 연세대생 민주화 운동가로,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여 민주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연세대학교 명예 학사 학위가 추서되었으며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광주진흥고등학교 동문 - 손주인
손주인은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LG 트윈스에서 '2루의 주인'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주전 2루수로 활약한 프로야구 선수 출신으로,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프런트 임원을 거쳐 현재 코치로 재직 중이다.
김상진 (197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선수명 | 김상진 |
본명 | 김상진 |
영어 표기 | Kim Sang-Jin |
국적 | 대한민국 |
출신지 | 광주광역시 |
생년월일 | 1977년 4월 26일 |
사망일 | 1999년 6월 10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성모병원 |
利き腕 | 우 |
打席 | 우 |
수비 위치 | 투수 |
프로 입단 연도 | 1996년 |
드래프트 순위 | 1996년 고졸우선지명 (해태 타이거즈) |
첫 출장 | KBO / 1996년 4월 14일 광주 대 쌍방울전 구원 등판 (3이닝 5실점) |
최종 출장 | KBO / 1998년 9월 19일 잠실 대 OB전 |
계약금 | 1억 2000만원 (1996년) |
연봉 | 3000만원 |
경력 | |
소속 구단 | 해태 타이거즈 (1996년 ~ 1999년) |
기타 | |
한글 표기 | 김상진 |
한자 표기 | 金相辰 |
가타카나 표기 | 키상진 |
로마자 표기 | Kim Sang-Jin |
2. 생애
광주진흥고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진학이 유력했지만,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에 1996년 고졸우선지명을 받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1997년 한국시리즈에서 좋은 활약을 펼쳤으나, 1998년 시즌 후 위암 판정을 받고 투병하다 1999년 6월 10일 23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2. 1. 선수 시절
광주진흥고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진학이 유력했지만 가난한 집안 형편 때문에 1996년 고졸우선지명을 받아 계약금 1억원, 연봉 2000만원에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곧바로 프로로 선회했다. 1997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 선발 투수로 출전하여, 9이닝 동안 2안타 1실점(서용빈에게 적시타 허용)으로 완투승을 거두며 해태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9번째 우승을 이끌었고, 한국시리즈 최연소 완투승 기록도 세웠다. 그의 실력은 입단 전년까지 해태에서 활약하며 "한국 야구계 최고 투수"라고 불리던 선동열과 자주 비교되었는데, 당시 해태 배터리 코치였던 장채근|장채근한국어도 "제구력은 선동렬보다 낫다"고 평가하며 그의 미래를 촉망했다.[1]2. 2. 투병과 사망
1997년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선발 투수로 등판해 9이닝 2안타 1실점으로 한국시리즈 최연소 완투승을 기록하며 강한 인상을 남겼다.[1] 그러나 1998년 시즌 후 위암 판정을 받았다.[1] 1998년 9월 19일 OB 베어스와의 경기 중 목 통증으로 강판되었고, 정밀 검사 결과 위암 말기(4기)였다.[1] 이후 방사선 치료와 항암 치료를 받았지만 병세가 악화되어 1999년 6월 10일 강남성모병원에서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2. 2. 1. 투병 일지
- 1998년 9월 19일 - 잠실 야구장에서 열린 OB 베어스와의 경기 2회말 투구 중 목 통증을 호소하며 자진 강판되었다.[1]
- 1998년 10월 8일 - 광주 시내에서 친구들과 저녁 식사 도중 머리 뒤쪽 통증을 호소한 뒤 기절, 전남대학교병원에 입원했다.[1]
- 1998년 10월 16일 - 경추 3번 종양 제거 수술을 받았다.[1]
- 1998년 10월 23일 - 전남대학교병원에서 위암 4기 진단을 받았다.[1]
- 1998년 10월 26일 - 중앙대학교 부속 용산병원 입원, 재검사 결과 전남대학교병원과 동일한 진단을 받았다.[1]
- 1998년 10월 30일 - 서울중앙병원에 입원, 방사선 치료와 함께 4주 간격으로 항암제 투여를 받았다.[1]
- 1999년 3월 6일 - 각혈로 서울중앙병원에 입원, 암세포로 인한 천공이 원인으로 밝혀졌다.[1]
- 1999년 3월 8일 - 천공 부분 봉합 수술을 받았다.[1]
- 1999년 6월 2일 - 병세 악화로 강남성모병원에 입원, 산소호흡기에 의존했다.[1]
- 1999년 6월 10일 - 오후 3시 55분 - 강남성모병원에서 위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23세)[1]
3. 평가
김상진은 요절한 탓에 선수 생활은 짧은 기간이었지만, 선동열에 비교되는 실력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해태 타이거즈의 포수였던 장채근은 제구력이 선동열보다 뛰어났다고 평가하였다.[2]
4. 추모
KIA 타이거즈에서는 김상진을 기리기 위해 김상진이 숨진 날인 매년 6월 10일 경기일에 검은색 리본을 달고 경기에 임한다.[3]
하지만 2008년 이후 비경기일인 월요일이었던 2013년을 제외하고 김상진의 기일에 열린 경기에서 KIA 타이거즈는 2016년 6월 10일에 정동현이 연패를 끊을 때까지 계속 연패를 당했다.[4]
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연도 | 소속 팀 | 평균자책점 | 경기 수 | 승 | 패 | 세이브 | 이닝 | 피안타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1996 | 해태 | 4.29 | 29 | 9 | 5 | 0 | 123.2 | 115 | 52 | 3 | 64 | 62 | 59 |
1997 | 3.60 | 30 | 9 | 10 | 1 | 147.2 | 135 | 54 | 17 | 91 | 60 | 59 | |
1998 | 3.87 | 25 | 6 | 11 | 1 | 121.0 | 120 | 42 | 8 | 69 | 63 | 52 | |
통산 | 3.90 | 84 | 24 | 26 | 2 | 392.1 | 370 | 148 | 28 | 224 | 185 | 170 |
참조
[1]
뉴스
6월10일 연패는 끝났다. 그를 기억하며
https://sports.news.[...]
NAVER Sports
2021-05-14
[2]
웹사이트
비운의 투수 김상진
http://www.mbcplus.c[...]
2015-06-12
[3]
뉴스
기아 타이거즈 선수들이 검은 리본을 단 까닭은?
http://sports.khan.c[...]
스포츠칸
[4]
뉴스
6월 10일 연패는 끝났다. 그를 기억하며
http://sports.news.n[...]
10구단 칼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