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이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이대진은 은퇴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투수와 타자로 활동했다. 아마추어 시절 3루수로 활약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1993년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해태와 KIA 타이거즈에서 100승을 달성하며 팀의 에이스로 활약했으며, 1997년에는 최다승을 기록했다. 2002년 타자로 전향하기도 했으나 다시 투수로 복귀했고, 2012년 LG 트윈스에서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은퇴 후에는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 SSG 랜더스 등에서 투수 코치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진흥중학교 동문 - 김상진 (1977년)
    해태 타이거즈의 전 야구 선수 김상진은 1997년 한국시리즈에서 최연소 완투승을 기록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지만, 위암으로 투병 중 1999년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광주진흥중학교 동문 - 손주인
    손주인은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LG 트윈스에서 '2루의 주인'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주전 2루수로 활약한 프로야구 선수 출신으로, 은퇴 후 삼성 라이온즈 프런트 임원을 거쳐 현재 코치로 재직 중이다.
  • 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 - 최동원
    경상남도 남해군 출신 프로 야구 투수 최동원은 1984년 한국시리즈에서 4승을 거두며 롯데 자이언츠의 첫 우승을 이끌었고, '무쇠팔'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선동열과 함께 한국 프로 야구 초창기를 대표하는 투수였으나 선수협 파동 이후 은퇴, 지도자 및 해설가로 활동하다 대장암으로 사망했다.
  • 한국 프로 야구 100승 클럽 - 선동열
    선동열은 아마추어 시절부터 야구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 MVP를 수상했고, KBO 리그와 일본 프로 야구에서 투수로 활약하며 KBO 리그 통산 평균자책점 1.20, WHIP 0.80의 압도적인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에는 프로 야구팀 감독과 야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야구 해설위원 겸 KBO 기술위원이다.
  • 광주서림초등학교 동문 - 김상진 (1977년)
    해태 타이거즈의 전 야구 선수 김상진은 1997년 한국시리즈에서 최연소 완투승을 기록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지만, 위암으로 투병 중 1999년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광주서림초등학교 동문 - 이대형
    이대형은 뛰어난 주루 능력으로 '슈퍼소닉'이라 불리며 LG, KIA, kt에서 활약, 4년 연속 도루왕과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KBO 리그에 이름을 남긴 은퇴한 야구 선수이자 현재 해설위원 및 방송인이다.
이대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선수명이대진
원어명Lee Dae-Jin
소속 구단한화 이글스
등번호71
국적대한민국
출신지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생년월일1974년 6월 9일
신장180
체중83
수비 위치투수
투구
타석
프로 입단 연도1993년
드래프트 순위1993년 고졸우선지명(해태 타이거즈)
첫 출장KBO / 1993년 4월 10일 광주LG전 구원
마지막 경기KBO / 2012년 4월 14일 잠실KIA전 선발
획득 타이틀
계약금
연봉
계약금3,000만원
선수 경력
코치 경력
감독 경력

2. 선수 시절

2. 1. 아마추어 시절

고교 3년간 3루수로 활동하며 기록한 21홈런 중 14개가 장외 홈런이었다.[2] 1992년 제14회 대붕기 감투상을 수상했다. 1992년 7월~8월에는 세계청소년선수권(멕시코)에 참가했다.

2. 2. 해태 타이거즈 시절

1993년에 입단하여 데뷔 첫 해부터 10승(2구원승)을 거두며 팀 마운드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3] 1994년에 2년차 징크스를 겪으며 잠시 주춤했고, 1995년에 방위 대체 복무로 홈 경기에만 등판하면서도 14승(11선발승) 6패, 평균자책점 2점대를 기록하며 팀의 새로운 에이스로 떠올랐다.[3] 1996년에는 선동열의 일본 진출 등으로 마운드가 약화되자 전천후로 투입되어 16승(9구원승) 8패, 평균자책점 2점대를 기록했다.[3] 1997년에는 17승(모두 선발)으로 최다승 1위(타이틀)를 차지했고, 6패, 평균자책점 3점대를 기록하며 팀의 에이스로 활약했다.[3] 1996년 한국시리즈1997년 한국시리즈에서 선발 등판한 4경기에서 3승 1패를 기록하며 팀의 한국시리즈 2연패에 기여했다. 특히 1996년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는 세이브를 기록하기도 했다.[3] 1998년 5월 14일 현대 유니콘스와의 경기에서 10타자 연속 탈삼진 기록을 세우며 완봉승을 거두었다.[4] 이는 당시 현대 유니콘스의 감독이었던 김재박이 번트를 지시해 고의적으로 막았다는 루머가 있었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5]

2. 3. KIA 타이거즈 시절

2001년 팀명이 KIA 타이거즈로 변경되었고, 광주진흥고 후배인 김상진이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그의 등번호 11번을 잠시 달았다.[12] 1999년 어깨 부상을 당한 후 재활에 많은 시간을 쏟았고, 미국에서 어깨 수술을 받으며 익힌 영어 실력이 수준급이어서 외국인 용병과 어렵지 않게 대화했다. 2000년에는 마무리 투수로 전향하여 8승(2선발승) 6패, 13세이브를 기록했다.[7] 당시 해태 타이거즈이강철[8], 임창용[9]의 공백과 더불어 연고 지역 고교 최고 투수 서재응, 김병현의 메이저리그 진출, 임창용삼성 라이온즈 트레이드, 김상진의 사망[12] 등으로 인해 투수진이 약화된 상황이었고, 이로 인해 김응용 감독에게 혹사당했다.

2002년에는 타자로 전향하여 LG 트윈스 투수 이상훈을 상대로 3루타를 치는 등 활약했으나,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다시 투수로 복귀했다. 이후 몇 년간 재활을 거친 후, 2007년 4월 7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선발 투수로 복귀하여 6이닝 무실점으로 2003년 이후 약 4년 만에 선발승을 거두었다.[13] 2009년 9월 11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승리 투수가 되며 통산 100승(당시 77선발승)을 달성했다.[14][1] 2009년 한국시리즈에서 구원 등판하여 2.2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2010년과 2011년에는 주전 경쟁에서 밀려났고, 현역 생활을 이어가기 위해 팀에 방출을 요청했다.

2. 4. LG 트윈스 시절

2012년 4월 14일 친정 팀 KIA전에 선발 등판했으나 3.1이닝 5피안타, 5사사구, 6실점(5자책)을 기록하고 조기 강판당하며 김기표에게 마운드를 넘기고 패전 투수가 됐다. 이 경기를 마지막으로 시즌 중 은퇴를 선언했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해태 타이거즈 시절 은사이자 당시 한화 이글스의 감독이었던 김응용의 부름을 받아 한화 이글스의 투수코치로 선임되며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2013년부터 한화 이글스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 2014년부터 친정 팀 KIA 타이거즈로 3년 만에 복귀해 투수코치로 활동했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친정팀 기아 타이거즈의 투수 코치였다. 2021년부터 SSG 랜더스(구 SK 와이번스) 코치를 역임했고, 2023년부터 한화 이글스 코치를 역임했다.

4. 수상 및 기록

4. 1. 아마추어 시절

이대진은 1992년에 제14회 대붕기 감투상을 수상했다. 1992년 7월부터 8월까지는 멕시코에서 열린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에 참가했다.

4. 2. 프로 선수 시절

이대진은 1997년 스포츠서울에서 선정한 매직글러브상을 수상(투수 부문)했으며, 그 해 팀 내 최다승(17승)을 기록했는데 모두 선발승으로 거둔 최다 선발승이었다. 1998년 5월 14일 인천 현대전에서는 연속 타자 탈삼진 기록을 10타자로 경신했고, 정규 이닝 16탈삼진(당시 타이 기록)과 매회 선발 전원 탈삼진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6월 5일 마산 롯데전에서 통산 17번째로 700탈삼진, 8월 26일 군산 쌍방울전에서 통산 16번째로 800탈삼진을 달성했다. 2003년 5월 4일에는 2000년 10월 13일 광주 SK전 이후 2년 7개월 만에 수원 현대전에 선발 등판했고, 5월 11일에는 2000년 8월 29일 대구 삼성전 이후 SK를 상대로 첫 선발승을 기록했다. 2009년에는 통산 100승을 달성하였다.

5. 등번호

5. 1. 선수 시절

이대진은 해태 타이거즈에서 1993년부터 1999년까지 등번호 '26'번을 달고 선수 생활을 했다.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에서 등번호 '11'번을 사용했다. 2005년부터 2011년 중반까지는 KIA 타이거즈에서 '45'번 등번호를 달았고, 2011년 중반부터 2012년까지는 LG 트윈스에서 '34'번을 사용하며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5. 2. 코치 시절

이대진은 2013년 한화 이글스에서 코치 생활을 시작하여 등번호 75번을 달았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는 KIA 타이거즈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등번호 78번을 사용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는 SK 와이번스SSG 랜더스에서 코치로 재직하며 등번호 85번을 달았다. 2023년부터는 다시 한화 이글스 코치로 복귀하여 등번호 71번을 사용하고 있다.

6. 통산 기록

6. 1. 투수 기록

통산 17시즌 동안 283경기에 등판하여 100승 74패, 평균자책점 3.57, 22세이브, 2홀드, 1311.1이닝, 1081탈삼진을 기록했다.





































4














W
H
I
P
1993해태19105.6673.1131153020124.111385919741648435371.38
19942078.4674.2031181030137.0115205629050477645741.25
199521146.7002.5724217200168.113114433163801056486731.03
199622168.6672.3731164230159.21141340214650548426240.97
199723176.7393.1428263110180.2154146531401021068637501.21
1998241211.5223.2628282100179.11731755318390771657551.27
19992500----2.451100003.23030010011171.64
20002686.5713.1737710130105.0961243311741341374511.32
2003KIA2911.5009.4544000013.118370131031514661.88
20043001.00010.573200007.294907000119402.35
20063200----18.001000001.0311010002274.00
20073376.5384.111716000076.26554514741737353351.44
200834510.3334.832017000085.28855013771649463851.61
20093535.3756.331010000042.24562212550231301921.57
20103600----6.55143000222.03111901450121161162.27
20113700----0.001000000.2002010020043.00
LG3700----0.001000000.1000000000010.00
11합3700----0.002000001.0002010020052.00
20123801.00013.501100003.15040010165192.70
KBO 통산 : 17년10074.5753.572831852162221311.111631235232010816966758252055461.29


  • 시즌 기록 중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6. 2. 타자 기록

통산 2시즌 동안 24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0.081, 3안타, 1 2루타, 1 3루타, 4타점을 기록했다.

















2

3



















O
P
S












4
2000해태261110000000000.000.000.000.000000000
2002KIA2823383623110400218.083.132.167.298600000
KBO 통산 : 2년24393723110400218.081.128.162.290600000


참조

[1] 뉴스 KIA 앞으로 매직넘버'7'....이대진 100승 달성 http://www.mjknews.c[...] Daily 정경 뉴스 2009-09-11
[2] 뉴스인용 이대진 打(타)→投(투) 이승엽 投(투)→打(타) ‘전업 성공사례’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95-07-26
[3] 뉴스인용 [프로야구] 최상덕, 제2의 전성시대 https://sports.news.[...] 국민일보 2000-08-17
[4] 뉴스인용 사사키, 9이닝 19K 퍼펙트 게임! 한미일 최초 13타자 연속 탈삼진 https://sports.news.[...] OSEN 2022-04-10
[5] 간행물 이대진을 만나다 : 그는 여전히 마운드에 서 있다 SPORTS 2.0 2006-08-07
[6] 인터뷰 KIA 타이거즈 관련 인터뷰 내용
[7] 뉴스인용 [프로야구] 첫 안타 이대진 “감 잡았어” https://sports.news.[...] 국민일보 2002-07-28
[8] 뉴스인용 삼성 박충식, 고향팀 해태로 이적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9-12-08
[9] 뉴스인용 프로야구 구단 약점 보강 비상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9-11-18
[10] 뉴스인용 ‘국민 청량제’ 올해도 해냈다…야구 드림팀 쾌거사 https://sports.news.[...] 스포츠경향 2010-11-19
[11] 뉴스인용 ‘국민 청량제’ 올해도 해냈다…야구 드림팀 쾌거사 https://sports.news.[...] 스포츠경향 2010-11-19
[12] 뉴스인용 프로야구 해태투수 김상진,위암으로 사망(종합)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1999-06-10
[13] TV Ace of Ace', 이대진이 돌아왔다! http://www.ytn.co.kr[...] YTN
[14] 뉴스 KIA 앞으로 매직넘버'7'....이대진 100승 달성 http://www.mjknews.c[...] Daily 정경 뉴스 2009-09-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