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7년 한국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7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해태 타이거즈와 플레이오프 승리팀 LG 트윈스가 맞붙어 해태 타이거즈가 4승 1패로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 정규 시즌에서 해태 타이거즈가 1위를, LG 트윈스가 2위를 기록했고,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삼성 라이온즈가 쌍방울 레이더스를, 플레이오프에서는 LG 트윈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이종범이 수상했다. 해태 타이거즈는 이 우승으로 2년 연속 9번째 우승을 달성했지만, 이듬해 아시아 경제 위기로 인해 팀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고, 2001년 기아자동차에 매각되어 기아 타이거즈로 팀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10월 - 1997년 월드 시리즈
    플로리다 말린스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4승 3패로 꺾고 창단 5년 만에 첫 우승을 차지한 1997년 월드 시리즈는 극적인 접전 끝에 7차전 11회말 에드가 렌테리아의 끝내기 안타로 막을 내렸으며, 리반 에르난데스가 MVP를 수상했다.
  • 1997년 10월 - 1997년 일본 시리즈
    1997년 일본 시리즈는 노무라 가쓰야 감독의 야쿠르트 스왈로스가 히가시오 오사무 감독의 세이부 라이온즈를 4승 1패로 꺾고 2년 만에 우승했으며, 'ID 야구'를 활용한 야쿠르트의 전략과 세이부 구장에서의 마지막 일본 시리즈였다는 특징을 가진다.
  • 1997년 야구 - 1997년 월드 시리즈
    플로리다 말린스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4승 3패로 꺾고 창단 5년 만에 첫 우승을 차지한 1997년 월드 시리즈는 극적인 접전 끝에 7차전 11회말 에드가 렌테리아의 끝내기 안타로 막을 내렸으며, 리반 에르난데스가 MVP를 수상했다.
  • 1997년 야구 - 1997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97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대결로, 1차전은 마쓰이 가즈오가 MVP를, 2차전은 기요하라 가즈히로가 MVP를 수상했으며,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 해태 타이거즈 포스트시즌 - 1983년 한국시리즈
    1983년 한국시리즈는 전기 리그 1위 해태 타이거즈와 후기 리그 1위 MBC 청룡의 대결에서 해태가 4승 1무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봉연이 MVP를 수상했고 KBS와 MBC에서 중계되었다.
  • 해태 타이거즈 포스트시즌 - 1993년 한국시리즈
    1993년 한국시리즈는 해태 타이거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4승 2패 1무를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고, MVP는 해태의 이종범이 선정되었다.
1997년 한국시리즈
1997년 한국시리즈 정보
우승 팀해태 타이거즈
우승 팀 감독김응용
우승 팀 시즌 성적75승 1무 50패 (정규시즌 1위)
상대 팀LG 트윈스
상대 팀 감독천보성
상대 팀 시즌 성적73승 2무 51패 (정규시즌 2위)
경기 일정1997년 10월 19일 ~ 10월 25일
MVP이종범
우승 횟수4
무승부 횟수0

2. 정규 시즌

1997년 정규 시즌에서는 해태 타이거즈가 1위를 차지했고, LG 트윈스가 2위를 기록했다. 이 결과에 따라 해태 타이거즈는 한국시리즈에 직행했으며, LG 트윈스는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2. 1. 순위표

wikitext

순위구단승률승차
1위해태751500.5990.0
2위LG 트윈스732510.5872.0
3위쌍방울 레이더스712530.5713.5
4위삼성 라이온즈667530.5526.0
5위OB 베어스575640.47216.0
6위현대 유니콘스514710.42123.5
7위한화 이글스512730.41324.5
8위롯데 자이언츠481770.38528.0


3. 포스트시즌

1997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정규리그 3위 쌍방울 레이더스와 4위 삼성 라이온즈 간의 준플레이오프, 정규리그 2위 LG 트윈스와 준플레이오프 승자 간의 플레이오프, 그리고 정규리그 1위 해태 타이거즈와 플레이오프 승자 간의 한국시리즈 순서로 진행되었다.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삼성 라이온즈가 2승 1패로 쌍방울 레이더스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플레이오프에서는 LG 트윈스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3승 2패의 접전 끝에 한국시리즈 진출권을 따냈다.

한국시리즈에서는 정규 시즌 1위 해태 타이거즈가 플레이오프 승리팀인 LG 트윈스를 4승 1패로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우승은 해태 타이거즈의 통산 9번째이자 2년 연속 우승이었으며, 해태 타이거즈라는 이름으로 거둔 마지막 우승이기도 하다. 당시까지 한국 프로 야구에서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한 팀은 해태 타이거즈가 유일했고, 해태는 한국시리즈에 9번 진출하여 모두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단계승리팀성적승패표패배팀
준 플레이오프삼성 라이온즈 (정규 시즌 4위)2승 1패○●○쌍방울 레이더스 (정규 시즌 3위)
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2위)3승 2패○○●●○삼성 라이온즈 (정규 시즌 4위)
한국시리즈해태 타이거즈 (정규 시즌 1위)4승 1패○●○○○LG 트윈스 (정규 시즌 2위)


3. 1. 준플레이오프

정규리그 3위 쌍방울 레이더스와 4위 삼성 라이온즈가 플레이오프 진출을 놓고 맞붙었다. 삼성 라이온즈가 2승 1패로 시리즈를 승리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 '''1차전'''

123456789R
삼성 라이온즈0111002005
쌍방울 레이더스0020000114
colspan="11" |


  • '''2차전'''

123456789R
쌍방울 레이더스1001100003
삼성 라이온즈0000001001
colspan="11" |


  • '''3차전'''

123456789R
삼성 라이온즈0001003004
쌍방울 레이더스0020001003
colspan="11" |



'''삼성 라이온즈'''가 '''2승 1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3. 2. 플레이오프

1997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플레이오프는 정규리그 2위 LG 트윈스와 준플레이오프 승자인 4위 삼성 라이온즈 간의 5전 3선승제 경기로 치러졌다.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삼성 라이온즈쌍방울 레이더스를 2승 1패로 꺾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LG 트윈스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접전 끝에 '''3승 2패'''를 기록하며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했다.

'''1차전: LG 11, 삼성 5'''

123456789총점
삼성0003001015
LG01041050X11
승리투수: 차명석 (1-0) 패전투수: 성준 (0-1)
홈런: 삼성 - 김한수 (4회 1점), 류중일 (7회 1점), 이만수 (9회 1점) / LG - 유지현 (4회 4점), 김동수 (5회 1점)



'''2차전: LG 6, 삼성 5'''

123456789총점
삼성0100000405
LG002101002X6
승리투수: 이상훈 (1-0) 패전투수: 박동희 (0-1)
홈런: 삼성 - 신동주 (8회 3점)



'''3차전: 삼성 6, LG 4'''

123456789총점
LG0100000304
삼성20120001X6
승리투수: 김상엽 (1-0) 패전투수: 손혁 (0-1) 세이브: 변대수 (1S)
홈런: LG - 신국환 (2회 1점), 김동수 (8회 2점) / 삼성 - 최익성 (3회 1점)



'''4차전: 삼성 6, LG 4'''

123456789총점
LG0000031004
삼성10020030X6
승리투수: 김태한 (1-0) 패전투수: 이상훈 (1-1)
홈런: 삼성 - 이승엽 (1회 1점), 최익성 (7회 2점)



'''5차전: LG 7, 삼성 2'''

123456789총점
삼성2000000002
LG00000610X7
승리투수: 이상훈 (2-1) 패전투수: 전병호 (0-1)
홈런: 삼성 - 최익성 (1회 1점)


4. 한국시리즈

1997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해태 타이거즈와 플레이오프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꺾고 올라온 정규 시즌 2위 LG 트윈스 간의 대결이었다. 시리즈는 2-2-3 방식의 7전 4선승제로 진행되었다.

해태 타이거즈LG 트윈스를 상대로 4승 1패를 거두며 통산 9번째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1996년에 이어 2년 연속 우승이었으며, 해태는 한국 프로 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2연패를 두 번 달성한 팀이 되었다. 또한, 해태는 한국시리즈에 9번 진출하여 단 한 번의 패배 없이 모두 우승하는 대기록을 세우며 당대 최강팀으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그러나 이 우승은 해태 타이거즈에게 마지막 영광이었다. 이듬해부터 IMF 외환위기가 닥치면서 모기업인 해태 그룹이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고, 구단은 운영비를 마련하기 위해 주축 선수들을 현금 트레이드로 내보내야 했다. 이로 인해 팀 전력은 급격히 약화되었고, 결국 2001년 기아자동차에 매각되어 기아 타이거즈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따라서 1997년 한국시리즈는 해태 타이거즈라는 이름으로 거둔 마지막 우승이자 마지막 한국시리즈 진출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기아 타이거즈로 재창단된 이후 팀 운영은 안정되었지만, 과거의 영광을 되찾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 1998년부터 2008년까지 포스트시즌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고, 한국시리즈 무대에는 오르지 못했으며, 해태 시절에는 겪어보지 못했던 시즌 최하위를 두 번이나 기록하는 등 부진을 면치 못했다. 오랜 침체기를 겪은 기아 타이거즈는 2009년에 이르러서야 12년 만에 정규 시즌과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을 달성하며 부활을 알렸다.

단계승리팀성적승패표패배팀
준 플레이오프삼성 라이온즈 (정규 시즌 4위)2승 1패○●○쌍방울 레이더스 (정규 시즌 3위)
플레이오프LG 트윈스 (정규 시즌 2위)3승 2패○○●●○삼성 라이온즈 (정규 시즌 4위)
한국시리즈해태 타이거즈 (정규 시즌 1위)4승 1패○●○○○LG 트윈스 (정규 시즌 2위)


4. 1. 경기 결과

'''1차전'''

10월 19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23456789RHE
해태 타이거즈0010110216--
LG 트윈스0000010001--
colspan="13" |



'''2차전'''

10월 20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23456789RHE
해태 타이거즈0001000001--
LG 트윈스00055000X10--
colspan="13" |


  • LG, 한국시리즈 최초 연속이닝 타자 일순 기록


'''3차전'''

10월 22일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123456789RHE
LG 트윈스0010000001--
해태 타이거즈00000122X5--
colspan="13" |



'''4차전'''

10월 23일 -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123456789RHE
LG 트윈스1100000024--
해태 타이거즈01110040X7--
colspan="13" |



'''5차전'''

10월 25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23456789RHE
LG 트윈스1000000001--
해태 타이거즈00213000X6--
colspan="13" |



LG는 임선동, 해태는 김상진이 선발 등판했다. LG는 1회초 서용빈의 적시타로 먼저 선취점을 획득했다. 이후 해태가 3회말 장성호의 내야 땅볼과 최훈재의 적시타로 2점, 4회말 김종국의 적시타로 1점, 그리고 5회말 3점을 추가하며 승리했다. 해태 선발 김상진은 9이닝 동안 2피안타 1실점으로 호투하며 완투승을 거두었다.


  • 해태 김상진, 한국시리즈 최연소 완투승 (만 20세)


'''최종 결과'''

  • 해태 타이거즈4승 1패로 한국시리즈 우승
  • MVP: 이종범 (해태, 유격수) - 17타수 5안타 (타율 0.294), 3홈런, 4타점, 2도루, 6득점

4. 2. MVP


  • '''MVP''': 이종범 (해태, 유격수) - 17타수 5안타 (타율 0.294), 3홈런, 4타점, 2도루, 6득점

5. 해태 타이거즈의 몰락과 영향

1997년 한국시리즈 우승은 해태 타이거즈의 통산 9번째 우승이자 2년 연속 우승이었지만, 이것이 해태 타이거즈 이름으로 달성한 마지막 우승이자 마지막 한국시리즈 진출이 되었다.

이듬해부터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닥치면서 모기업인 해태그룹이 심각한 경영난에 빠졌다. 구단은 운영비를 충당하기 위해 주력 선수들을 현금 트레이드로 내보내기 시작했고, 이는 팀 전력의 급격한 약화로 이어졌다. 결국 팀은 계속된 부진을 겪다가 2001년 기아자동차에 매각되어 KIA 타이거즈로 새롭게 출발하게 되었다.

기아자동차에 인수된 후 팀 운영은 안정되었고 약화된 전력을 보강하려는 노력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1년 동안 타이거즈는 우승은 물론 한국시리즈 진출조차 하지 못했으며, 포스트시즌에서도 번번이 패배했다. 심지어 해태 시절에는 한 번도 없었던 시즌 최하위를 두 번이나 기록하는 등 깊은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오랜 암흑기를 거친 후, 기아 타이거즈는 2009년에 12년 만의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하며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6. 방송 중계

1997년 한국시리즈는 TV라디오를 통해 중계되었다.

6. 1. TV 중계

방송 채널캐스터(한국시리즈 차전)해설위원비고
KBS 1TV정도영(3)하일성[1]
MBC TV양진수(2·5)허구연
SBS TV유협(1·4)정동진


6. 2. 라디오 중계

wikitext

방송 채널캐스터(한국시리즈 차전)해설위원비고
KBS 제2라디오김재영(5)이광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