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서현은 가야의 왕족이자 신라의 장군인 김유신의 아버지이다. 그는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의 11대손이며,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 구형왕의 손자이다. 신주군주 김무력과 아양공주의 아들이며, 만노군 태수로 재직하며 만명부인과 결혼하여 김유신을 낳았다. 김서현은 629년 고구려 낭비성 전투에서 소판으로 김용춘과 함께 참여하여 김유신의 활약으로 5,000여 명을 참살하고 성을 함락하는 전과를 올렸다. 벼슬은 소판, 대량주도독, 안무대량주제군사를 역임했으며, 양주총관으로 백제와 싸워 공을 세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잡찬 - 안승
안승은 고구려 부흥 운동을 이끌고 신라에 투항하여 보덕국왕이 되었으며, 신라의 나당전쟁에 참전하여 당군 격퇴에 기여하고 신라 귀족으로 편입되었다. - 564년 출생 - 양용
양용은 수 문제의 장남으로, 북주 시대에 박평후에 봉해지고 황태자에 책봉되었으나, 동생 양광의 모략으로 폐위되어 살해당했다. - 564년 출생 - 이백약
이백약은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의 관료이자 역사가로, 수나라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당나라에서 중서사인, 예부시랑 등을 역임하며 《제서》를 완성했고, 그의 《제서》는 제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신라의 도독 - 김무력
김무력은 가락국 구형왕의 아들이자 신라 장군으로, 신주 도독 재임 중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전사시키는 공을 세워 신라의 삼국통일 기반 마련에 기여하고 신라 사회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 신라의 도독 - 김헌창
김헌창은 신라 하대에 아버지 김주원의 왕위 계승 실패에 불만을 품고 웅천주에서 반란을 일으켜 장안국을 세웠으나 진압군에 패배하여 자결한 인물로, 그의 난은 신라 하대 정치적 혼란의 대표적 사건이다.
김서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귀족 정보 | |
이름 | 김서현 |
원어 이름 | 金舒玄 |
묘사 | 김서현의 묘사 |
작위 | 신라의 만노군태수 |
휘 | 서현(舒玄) |
별호 | 김소연(金逍衍), 김서운(金舒雲)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미상 |
사망일 | 미상 |
사망지 | 미상 |
국적 | 신라 |
성별 | 남성 |
자녀 | 김유신, 김흠순, 문희, 보희 |
가문 | 신김씨 |
부친 | 김무력 |
배우자 | 만명 |
복무 | 신라군 |
참전 | 낭비성 전투 |
2. 생애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의 11대 손이자 금관가야 마지막 왕 구형왕의 손자이다. 아버지는 신주군주(新州軍主)를 지낸 김무력(金武力)이고, 어머니는 아양공주(阿陽公主)이다.[4] 신라에 편입된 가야 왕족 출신으로, 만노군(萬弩郡, 지금의 충청북도 진천군) 태수로 있을 때 진흥왕의 조카인 만명(萬明)을 만나 결혼하였다. 이 과정에서 진골 귀족인 장인 숙흘종(肅訖宗)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으나, 결국 만명부인과 함께 임지로 가게 되었다.[4] 부부의 특별한 태몽 이후 595년에 아들 김유신이 태어났으며, 이후 아들 김흠순과 딸 문희, 보희를 두었다. 진평왕 51년인 629년에는 소판(蘇判)의 관등으로 김용춘(金龍春)과 함께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하여 승리하는 데 기여했으며, 아들 김유신이 이 전투에서 큰 활약을 펼쳤다. 이후 대량주도독(大梁州都督), 안무대량주제군사(安撫大梁州諸軍事), 양주총관(良州總管) 등을 역임하며 백제와의 전투에서도 공을 세웠다.
2. 1. 가야 왕족 출신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의 11대 손이며, 금관가야 마지막 왕 구형왕의 손자이다.[4] 아버지는 신주군주(新州軍主)를 지낸 김무력(金武力)이고, 어머니는 아양공주(阿陽公主)이다. 김서현은 망한 가야국의 왕족으로, 그의 이모가 신라 법흥왕의 비였기에 신라 왕실과 먼 인척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진골 귀족 신분에도 불구하고 가세가 한미하다는 평가를 받았다.만노군(萬弩郡, 지금의 충청북도 진천군) 태수로 있을 때 진흥왕의 조카인 만명(萬明)을 만나 서로 마음에 들어 결합하고자 하였다.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따르면, 김서현이 만노군 태수가 되어 만명과 함께 임지로 떠나려 하자 만명의 아버지 숙흘종(肅訖宗)은 딸이 가세가 기울어진 가야 왕족 출신인 김서현과 야합(野合)한 것을 알고 크게 반대하며 딸을 별채에 가두고 사람을 시켜 지키게 했다.[4] 이는 당시 신라 진골 귀족 사회의 배타적인 단면을 보여주는 일화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갑자기 벼락이 문을 내리쳐 지키던 사람이 정신없는 틈을 타 만명이 창문으로 빠져나와 김서현과 함께 만노군으로 도망쳤다고 전해진다.[4]
어느 날 김서현은 형혹성(熒惑星, 화성)과 진성(鎭星, 토성) 두 별이 자신에게 내려오는 꿈을 꾸었고, 부인 만명 역시 황금 갑옷을 입은 동자가 구름을 타고 집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다. 이후 만명부인이 임신하여 20개월 만에 아들을 낳으니(595년), 그가 바로 김유신이다. 김서현은 자신이 길몽을 꾼 날이 경진일(庚辰日)이었으므로, '경(庚)' 자와 글자 모양이 비슷하고 '진(辰)' 자와 음이 비슷한 글자를 따서 아들의 이름을 '유신(庾信)'이라 지었다. 또한 당시 북주에 같은 이름을 가진 유명한 표기대장군이 있었다는 점도 작명의 이유로 설명하였다. 김유신 외에도 아들 김흠순과 딸 문희, 보희를 두었다.
진평왕 51년인 629년에는 소판(蘇判)의 관등으로 김용춘(金龍春)과 함께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하였다. 이때 아들 김유신의 활약에 힘입어 5,000여 명의 고구려군을 사살하고 성을 함락시키는 큰 공을 세웠다. 이후 벼슬이 소판, 대량주도독(大梁州都督), 안무대량주제군사(安撫大梁州諸軍事)에 이르렀으며, 양주총관(良州總管)으로서 여러 차례 백제와 싸워 공을 세웠다고 한다.
2. 2. 만명부인과의 혼인
김서현은 만노군(萬弩郡, 지금의 충청북도 진천군) 태수로 있을 때 진흥왕의 조카인 만명부인(萬明)을 만나 서로 마음에 들어 결합하였다.[4]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따르면, 김서현이 만노군 태수로 부임하여 만명과 함께 떠나려 하자, 만명의 아버지인 숙흘종(肅訖宗)은 뒤늦게 딸이 김서현과 야합(野合)한 사실을 알고 이를 탐탁지 않게 여겨 만명을 별채에 가두고 사람을 시켜 지키게 했다.[4]숙흘종이 김서현을 반대한 이유는 김서현이 비록 망한 가락국의 마지막 왕인 구형왕의 손자이자 신라 왕실과 멀게나마 인척 관계(김서현의 이모가 법흥왕의 비)를 맺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진골 귀족에 편입되었으나 가세가 한미했기 때문이었다. 이는 당시 신라 귀족 사회의 폐쇄적인 신분 의식을 보여주는 단면이라 할 수 있다.
어느 날 갑자기 벼락이 문을 치는 소동이 벌어졌고, 집을 지키던 사람들이 정신없는 틈을 타 만명은 창문으로 탈출하여 김서현과 함께 만노군으로 도망쳤다.[4]
이후 김서현은 형혹성(熒惑星, 화성)과 진성(鎭星, 토성) 두 별이 자신에게 내려오는 꿈을 꾸었고, 만명부인 역시 황금 갑옷을 입은 동자가 구름을 타고 집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었다고 한다. 그리고 595년, 만명부인은 임신한 지 20개월 만에 아들을 낳았다. 김서현은 자신이 길몽을 꾸었던 날이 경진일(庚辰日)이었기에, '경(庚)' 자와 글자 모양이 비슷하고 '진(辰)' 자와 음이 비슷한 글자를 조합하여 아이의 이름을 유신(庾信)이라고 지었다. 당시 북주에 같은 이름을 가진 유명한 표기대장군이 있었다는 점도 작명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김유신 이후로 아들 김흠순과 딸 문희, 보희가 태어났다.
2. 3. 김유신의 출생
김서현은 만노군(萬弩郡, 현재의 충청북도 진천) 태수로 있을 때 진흥왕의 조카인 만명을 만나 서로 마음에 들어 결합하였다.[4]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에 따르면, 김서현이 만명과 함께 임지로 떠나려 하자 만명의 아버지 숙흘종은 딸이 김서현과 정식 혼례 없이 관계를 맺은 것을 알고 노하여 그녀를 별채에 가두고 사람을 시켜 지키게 했다.김서현은 가락국 시조 김수로왕의 11대 손이자 금관가야 마지막 왕 구형왕의 손자였으며, 아버지는 신주군주(新州軍主)를 지낸 김무력이다. 비록 망국의 왕족 출신이고 이모가 신라 법흥왕의 비로서 왕실과 먼 인척 관계였으나, 진골 귀족으로 편입되었음에도 가세가 한미하여 숙흘종은 그의 사위로 삼는 것을 반대하였다.
어느 날, 숙흘종이 만명을 가둔 별채의 문에 갑자기 벼락이 쳤고, 지키던 사람이 놀라 정신없는 틈을 타 만명은 창문으로 빠져나와 김서현과 함께 만노군으로 도망쳤다.[4]
이후 김서현은 꿈에서 형혹성(화성)과 진성(토성) 두 별이 자신에게 내려오는 것을 보았고, 만명부인 역시 황금 갑옷을 입은 동자가 구름을 타고 집으로 들어오는 태몽을 꾸었다. 이윽고 만명부인은 임신하여 스무 달 만인 595년에 아들을 낳으니, 그가 바로 김유신이다. 김서현은 자신이 길몽을 꾸었던 날이 경진일(庚辰日)이었으므로, 아들의 이름을 유신(庾信)이라 지었다. 그는 '경(庚)' 자와 '유(庾)' 자가 비슷하고 '진(辰)' 자와 '신(信)' 자의 음이 비슷하며, 당시 북주에 같은 이름을 가진 유명한 표기대장군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이름의 유래를 설명했다.
김유신이 태어난 후, 김서현과 만명부인 사이에서는 아들 김흠순과 딸 문희, 보희가 더 태어났다.
2. 4. 낭비성 전투와 군사적 업적
진평왕 51년인 629년에 소판(蘇判)으로 재직하던 중 김용춘(金龍春)과 함께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하였다. 이 전투에서 아들 김유신의 활약에 힘입어 고구려군 5,000여 명을 죽이고 성을 함락시키는 큰 전과를 올렸다. 이후 벼슬이 소판(蘇判), 대량주도독(大梁州都督), 안무대량주제군사(安撫大梁州諸軍事)에 이르렀으며, 양주총관(良州總管)으로 임명되어 여러 차례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고 전해진다.2. 5. 양주 총관 재임
진평왕 51년인 629년에는 소판(蘇判)의 관등으로 김용춘(金龍春)과 함께 고구려의 낭비성(娘臂城)을 공격하였다. 이 전투에서 아들 김유신의 활약으로 5,000여 명을 참살하고 성을 함락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이후 소판(蘇判) 대량주도독(大梁州都督) 안무대량주제군사(安撫大梁州諸軍事)의 벼슬에 올랐으며, 양주총관(良州總管)으로 임명되어 여러 차례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3. 가계
- 조부 : 가락국 제10대 구형왕(仇衡王, ? ~ 532/562, 재위: 521~532/562)
- 조모 : 계화부인(桂花夫人)
아버지** : 김무력(金武力, 518~579)
어머니** : 아양공주(阿陽公主)
* 부인** : 만명부인(萬明夫人, 574~ ?), 숙흘종(肅訖宗)의 딸
아들 : 김유신(金庾信, 595~673)
아들 : 김흠순(金欽純, 598~680)
딸 : 김보희(金寶姬) - 무열왕의 후궁
딸 : 문명왕후(文明王后)
사위 :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604~661, 재위: 654~661)
딸 : 김정희(金政姬) - 잡찬 김달복(金達福)의 부인
4. 김서현이 등장하는 작품
5. 관련 문화재
- 양산 지산리 부부상 -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94호
참조
[1]
문서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
[2]
문서
이병도 역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 주석
[3]
서적
불멸의 세월: 김유신
역사디딤돌
2009
[4]
문서
입종 갈문왕의 둘째 아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두산, 올 시즌 첫 5연승 질주…조성환 체제 '승률 5할'
끝까지 가봐야 안다…마무리의 마무리
연장 11회 끝내기 밀어내기 볼넷…한화 4연승 질주
리베라토 동점포·이원석 끝내기 볼넷…한화, 롯데전 스윕
악몽의 8월, 불펜 붕괴 한화·타격 부진 롯데…주중 3연전 맞대결
이적생 손아섭 '원맨쇼'…한화 연패 탈출
미리 보는 한국시리즈, ‘마지막 퍼즐’ 손아섭 환상 슬라이딩…한화, LG에 진땀승
한국, 월드주니어테니스 파이널 남녀부 3·4위전 진출
'천성호 연장 끝내기' LG, 한화 꺾고 2경기 차 선두
'불펜 고민' LG·한화, 잠실서 '1위 고지전'
한국, 월드주니어테니스 파이널 남녀 동반 4강 진출
‘끝판 대장’ 오승환 “몸 이상 느껴 은퇴 고민…마지막 공 던지고 싶다”
'불패의 폰세' 최다 타이 14연승…한화, 선두 탈환
폰세, 개막 최다 14연승 타이…한화 하루 만에 1위 탈환
심준석, MLB 도전 3시즌 만에 마이애미서 방출
'7연승' LG, 52일 만에 1위 탈환
엘지, 7연승 질주…한화 제치고 52일 만에 단독 1위
‘불패 투수’ 폰세, 개막 뒤 선발 13연승…한화는 3연패 끝
한화 10연승 비결? 김서현 "구속보다 제구..롤모델 구대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