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승호는 1917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나 경성부에서 성장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1930년대 동양극장에서 배우 활동을 시작하여, 1946년 영화 《자유만세》로 데뷔했다. 이후 《시집가는 날》, 《로맨스 빠빠》 등 다수의 영화에 출연하며 25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1967년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1968년 고혈압으로 사망했다. 배우 김희라가 아들이고, 금성이 손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양공과대학교 동문 - 양택조
양택조는 일제강점기 예술가 부부의 아들로, 연극, 영화, 드라마, 뮤지컬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며 1963년 연극 《화랑도》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한양공과대학교 동문 - 이봉조
이봉조는 '한국의 스탠 게츠'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대한민국의 재즈 색소폰 연주자이자 작곡가, 영화 음악 감독으로, 1960년대부터 다양한 히트곡을 작곡하고 영화 음악감독으로 활동하며 1981년 문화공보부 문화산업자문위원을 지냈다. - 부일영화상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 부일영화상 - 김종수 (배우)
김종수는 1984년 극단 고래에 입단하여 연극 배우로 활동을 시작, 영화 《밀양》으로 스크린에 데뷔하여 다수의 영화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였으며, 2023년 영화 《밀수》로 여러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 청룡영화상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 청룡영화상 - 남산의 부장들
남산의 부장들은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을 배경으로 중앙정보부 부장들의 갈등과 권력 암투를 그린 영화이며, 김충식 작가의 논픽션을 원작으로 이병헌, 이성민 등이 출연하여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한 배역을 연기하고, 10.26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호평을 받았다.
김승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승호 |
본명 | 김해수 |
출생일 | 1917년 7월 13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강원특별자치도 철원 (현재 서울특별시) |
사망일 | 1968년 12월 1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직업 | 가수, 연극배우, 영화배우, 영화 기획가 |
종교 | 불교 |
학력 | 경성 수송보통학교 졸업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졸업 한양공과대학교 영화학과 학사 |
배우자 | 추성자(推聲慈, 1923년 10월 31일~2000년 1월 2일) |
자녀 | 김희라(아들) |
친척 | 김선주(손자) 김금성(손자) 김채주(손녀) |
활동 기간 | 1945년 ~ 1968년 |
기타 |
2. 생애
김승호는 1917년 7월 13일 강원특별자치도 철원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김해수(金海壽)이다. 어린 시절 춘천에서 잠시 지내다가 경성부에서 성장하였다. 1930년대 중반 김두한의 소개로 동양극장 청춘좌에서 배우 활동을 시작하였다. 1945년 광복 이후에는 자유극장 창립 단원으로 참여했고, 1946년 영화 《자유만세》에 출연하며 영화배우로 데뷔했다.
1956년 영화 《시집 가는 날》에서 맹 진사 역을 맡아 1957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제4회 아시아영화제에서 특별상(희극상)을 수상하며 스타로 떠올랐다. 이후 《로맨스 빠빠》, 《마부》, 《돈》, 《인생차압》, 《박서방》, 《삼등과장》, 《굴비》, 《돌무지》 등 25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1960년 4·19 혁명 당시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부정선거(3·15 부정선거) 관련 연설 때문에 4.19 혁명 관련 단체로부터 자택을 습격받기도 했지만, 김두한 덕분에 오해가 풀렸다.[5] 1967년에는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68년 12월 1일 고혈압으로 세상을 떠났다.
3. 학력
4. 주요 경력
-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
5. 작품 활동
김승호는 1946년 영화 《자유만세》로 데뷔한 후, 《시집가는 날》, 《어느 여대생의 고백》, 《육체의 길》, 《로맨스 빠빠》, 《마부》, 《촌놈 오복이》, 《혈맥》 등 여러 영화에 출연했다.[4]
또한 《돈》, 《인생차압》, 《박서방》, 《삼등과장》, 《굴비》, 《돌무지》, 《사화산》 등에 출연했고, 1959년에는 영화 《남성 대 여성》을 제작했다.[4]
5. 1. 영화 (출연)
연도 | 한국어 제목 | 역할 |
---|---|---|
1946년 | 자유만세 | 데뷔작 |
1955년 | 어느 여대생의 고백 | |
1956년 | 시집가는 날 | |
1959년 | 육체의 길 | |
1960년 | 로맨스 빠빠 | 신상옥 감독, 김진규, 신성일 출연 |
1961년 | 마부, 촌놈 오복이 | |
1963년 | 혈맥 | |
연도 미상 | 돈, 인생차압, 박서방, 삼등과장, 굴비, 돌무지, 사화산 | [4] |
연도 | 한국어 제목 | 역할 |
---|---|---|
1971년 | 족보 (Jogbo) | |
1969년 | 마법의 배 (The Magical Ship) | |
1969년 | 사화산 (Sahwasa) | |
1968년 | 허공에 핀 청춘; 어머니의 풍선 (Heogong-e Jin Cheongchun; Eomma-ui Pungseon) | |
1968년 | 장군의 수염 (Janggun-ui Suyeom) | |
1968년 | 바람과 구름 (Pung-un; Imran Yahwa) | |
1968년 | 팔도강산 (Paldo-gangsan) | |
1968년 | 무명 | |
1968년 | 내 목숨 다하도록 (Nae Moksum Dahadorog) | |
1968년 | 아빠, 아빠, 우리 아빠 (Abba, Abba, U-ri Abba) | |
1968년 | 칠인의 밀사 (Chil-inui Milsa) | |
1968년 | 춘향 (Chunhyang) | |
1968년 | 아네모네 마담 (Anemone Madam) | |
1967년 | 연합전선 (Yeonhapjeonseon) | |
1967년 | 여대생과 노신사 (Yeodaesaenggwa Nosinsa) | |
1967년 | 어느 기생 며느리 (Eoneu Gisaeng Myeoneuri) | |
1967년 | 무번지 (Mubeonji) | |
1967년 | 제삼의 청춘 (Jesamui Cheongchun) | |
1967년 | 만선 (Manseon) | |
1967년 | 돌무지 (Dolmusi) | |
1967년 | 내한테 복수를 해라 (Naehaneul Pureodao) | |
1967년 | 길을 묻는 여대생 (Gil-eul Munneun Yeodaesaeng) | |
1967년 | 팔도강산 (The Land of Korea / Paldogangsan) | |
1967년 | 사랑은 파도를 타고 (Sarangeun Padoreul Tago) | |
1967년 | 춘희 (Chunhui) | |
1967년 | 유모차 (Yeogma) | |
1967년 | 환희 (Hwanhui) | |
1967년 | 제트 부인 (Jeteu Buin) | |
1967년 | 철면황제 (Cheolmyeonhwangje) | |
1967년 | 육체의 길 (Yugcheui Gil, The Way of All Flesh) | |
1966년 | 대폭군 (Daepokgun) | |
1966년 | 삼천포 아가씨 (Samcheonpo Agassi) | |
1966년 | 소문난 여자 (Somunnan Yeoja) | |
1966년 | 성황당 고갯길 (Seonghwangdang Gogaetgil) | |
1966년 | 진정 어머니 (Chinjeong Eomeoni) | |
1966년 | 이혼상담소 (Ihonsangdamso) | |
1966년 | 여정 (Yeojeong) | |
1966년 | 땅 (Ttang) | |
1966년 | 나는 왕이다 (Naneun Wang-ida) | |
1966년 | 긴 여로 (Gin Yeoro) | |
1966년 | 꽃가마 (Ggockgama) | |
1966년 | 딸이면 어때 (Ttalimyeon Eottae) | |
1966년 | 아버지의 청춘 (Appaui Cheongchun) | |
1966년 | 연애탐정 (Yeonae Tamjeong) | |
1966년 | 셋방살이 (Setbang Sali) | |
1966년 | 자식들 (Jasikdeul) | |
1966년 | 섬색시 (Seomsaeksi) | |
1966년 | 금지된 입술 (Geumjidoen Ibsul) | |
1966년 | 외동딸 (Oedongttal) | |
1966년 | 맨발의 연인 (Maenbalui yeonin) | |
1966년 | 양반전 (Yangbanjeon) | |
1966년 | 요화 배정자 (Yohwa Bae Jeong-ja) | |
1966년 | 병사는 죽어서 말한다 (Byeongsaneun Jugeoseo Malhanda) | |
1966년 | 망향 (Manghyang) | |
1966년 | 하루살이 인생 (Harusal-i Insaeng) | |
1966년 | 김서방 (Gim Seobang) | |
1966년 | 그늘진 삼남매 (Geuneuljin Samnammae) | |
1965년 | 시장 (Sijang) | |
1965년 | 가슴을 펴라 (Gaseum-eul Pyeora) | |
1965년 | 과부의 딸 (Gwabu-ui Ttal) | |
1965년 | 함흥차사 (Hamheungchasa) | |
1965년 | 푸른별아래 잠들게 하라 (Pureunbyeol-arae Jamdeulge Hara) | |
1965년 | 큰 사위 작은 사위 (Keun Sawi Jageun Sawi) | |
1965년 | 출가외인 (Chulga-oe-in) | |
1965년 |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 (Cheong-iljeonjaenggwa yeogeol Minbi) | |
1965년 | 여자가 고개를 넘을 때 (Yeojaga Gogaereul Neom-eulttae) | |
1965년 | 어머니의 전성기 (Eomeoni-ui Cheongchun) | |
1965년 | 얄개전 (Yalgaejeon) | |
1965년 | 슬픔이여 안녕 (Seulpeumiyeo Jal Itgeora) | |
1965년 | 수탉같은 사나이 (Sutakgat-eun Sana-i) | |
1965년 | 상속자 (Sangsokja) | |
1965년 | 막내딸 (Mangnaettal) | |
1965년 | 날개 부인 (Nalgae Bu-in) | |
1965년 | 나도 연애할 수 있다 (Nado Yeon-aehal Su Itda) | |
1965년 | 유부녀 (Yubunyeo) | |
1965년 | 배비장 (Baebijang) | |
1965년 | 제삼의 운명 (Jesam-ui Unmyeong) | |
1965년 | 정사 (Jeongsa) | |
1965년 | 정동대감 (Jeongdongdaegam) | |
1965년 | 이수일과 심순애 (I Suilgwa Sim Sunae) | |
1965년 | 이 세상 끝까지 (I sesang Kkeutkkaji) | |
1965년 | 울면서 한세상 (Ulmyeonseo Hansesang) | |
1965년 | 왕과 상노 (Wanggwa Sangno) | |
1965년 | 옥이 어머니 (Ogi Eomma) | |
1965년 | 오마담 (Omadam) | |
1965년 | 계약결혼 (Gyegag Gyeolhon) | |
1965년 | 대석굴암 (Dae Seoggul-am) | |
1965년 | 여자의 길 (Yeoja-ui Gil) | |
1965년 | 마포 사는 황부자 (Mapo Saneun Hwangbuja) | |
1965년 | 돌아오라 내 딸 금단아 (Dol-a-ora Nae Ttal Geumdan-a) | |
1965년 | 첫사랑 (cheossarang) | |
1965년 | 나그네 밤거리 (Nageune Bamgeori) | |
1964년 | 딸의 훈장 (Ttal-ui Hunjang) | |
1964년 | 아내는 고백한다 (Anaeneun Gobaekhanda) | |
1964년 | 명동에 밤이 오면 (Myeongdong-e Bam-i Omyeon) | |
1964년 | 싱모 (Singmo) | |
1964년 | 오빠 (Oppa) | |
1964년 | 밤안개 (Bamangae) | |
1964년 | 목숨보다 귀한 것 (Moksumboda Deohan Geot) | |
1964년 | 학생부부 (Haksaeng Bubu) | |
1964년 | 단골손님 (Dangol Sonnim) | |
1964년 | 총각김치 (Chonggak Gimchi) | |
1964년 | 떠날 때는 말없이 (Tteonal Ddaeneun Mareopossi) | |
1964년 | 니가 잘나 일세 (Niga Jalna Ilsaeg-inya) | |
1964년 | 홀어머니 (Hol-eomeoni) |
5. 2. 영화 (제작)
연도 | 영어 제목 | 한국어 제목 | 로마자 표기 | 역할 |
---|---|---|---|---|
1959 | 남성 대 여성 (Men vs. Women) | 남성 대 여성 | Namseong Dae Yeoseong | 제작자 |
1958 | 돈 (The Money) | 돈 | Don |
6. 가족 관계
7. 수상
연도 | 수상 내역 |
---|---|
1957년 | 제4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특별상 (희극상) |
1958년 | 제1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
1959년 | 제2회 부일영화상 남우주연상 |
1959년 | 제8회 서울시 문화대상 연극부문 |
1960년 | 제7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
1961년 | 제8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
1961년 | 제11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은곰상 |
1963년 | 제10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제1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혈맥)[1] |
1964년 | 제3회 대종상영화제 남우주연상 (혈맥) |
1967년 | 제14회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 남우주연상, 제5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만선) |
참조
[1]
웹사이트
ko:김승호
http://www.kmdb.or.k[...]
Korean Movie Database (KMDb)
2010-02-09
[2]
웹사이트
김승호 : 영화정보 : 씨네21
http://www.cine21.co[...]
[3]
웹사이트
Unknown
http://tv.co.kr/movi[...]
[4]
웹사이트
Cast and Crew DB >Kim Seung-ho >Filmograpies
http://www.kmdb.or.k[...]
Korean Movie Database (KMDb)
2010-02-14
[5]
뉴스
(새연재 | 한상진 기자의 ‘藝人’ 탐구) 영화배우 김희라
https://news.naver.c[...]
신동아
2010-10-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출산하자마자 아이 빼앗고 강제 피임시술…난 살고 싶었다
[단독] ‘김건희 불기소’로 고발된 심우정 사건, 특검으로 이첩
한국체대, 육상 남자 1,600m 계주 대학부 기록 경신
대법 “서울 기초학력 공개 적법”…학교 서열화 우려 커져
[속보] 공수처, 대검찰청 압수수색…'이정섭 검사 비밀 누설' 자료 확보
[인사] 웨버샌드윅,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부문 총괄 김승호 부사장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