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 (191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일은 1910년 함경도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했으며,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 그는 조선노동당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김일성을 보좌했고, 1972년 북한 정무원 총리를 거쳐 국가부주석을 지냈다. 1980년대 남북 관계에서 강경한 입장을 보였으며, 김정일의 후계 구도 확립에도 기여했다. 1984년 사망했으며, 북한 현대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부수반 - 김영주 (1920년)
김영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일성의 동생이자 김정일의 삼촌이며, 한때 후계자로 여겨졌으나 김정일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났고, 7·4 남북 공동 성명 당시 북측 대표, 국가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부수반 - 강량욱
북한의 정치인이자 종교 지도자였던 강량욱은 김일성의 외삼촌으로, 장로교 목사 출신으로 조선기독교연맹 의장, 북한 부수상 등을 역임하며 김일성의 존경을 받았고 사후 국장으로 애도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총리 - 김일성
김일성은 김성주라는 본명으로 1930년대 항일 무장 투쟁을 했고, 소련의 지원을 받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수립하여 통치했으며, 한국 전쟁을 일으키고 주체사상을 내세워 독재 체제를 강화하고 개인 숭배를 조장한 정치인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총리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빨치산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빨치산 - 류락진
류락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남로당, 통일혁명당, 구국전위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서예가로 활동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김일 (1910년)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김일 |
로마자 표기 | Gim Il |
한자 표기 | 金一 |
출생일 | 1910년 3월 20일 |
출생지 | 함경도, 대한제국 (현재의 북한) |
사망일 | 1984년 3월 9일 |
사망지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부쿠레슈티 (현재의 루마니아) |
직책 | |
제1 국가부주석 | 재임 시작: 1976년 5월 1일 재임 종료: 1984년 3월 9일 국가주석: 김일성 이전 직책: 신설 다음 직책: 박성철 |
제2대 정무원 총리 | 재임 시작: 1972년 12월 28일 재임 종료: 1976년 4월 19일 국가주석: 김일성 이전 직책: 김일성 다음 직책: 박성철 |
제1 정무원 제1 부총리 | 재임 시작: 1959년 3월 재임 종료: 1972년 12월 28일 국가주석: 김일성 이전 직책: 신설 다음 직책: 강성산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 제4기 중앙위원회 재임 시작: 1961년 9월 18일 재임 종료: 1966년 10월 12일 위원장: 김일성 동료: 박금철, 최용건, 김창만, 이효순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 제2기 중앙위원회 재임 시작: 1953년 8월 6일 재임 종료: 1954년 3월 23일 위원장: 김일성 동료: 박창옥, 박정애 |
소속 정당 |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기타 | |
관련 정보 | 김일 (동음이의) 김일성 |
2. 생애
함경북도 출생으로, 1932년부터 조선공산당에서 지하 활동과 대중 단체 선동을 하였다. 중국공산주의청년단 연길현위 서기를 지냈다.[2] 1935년 10월 만주에서 항일팔로군에 참가하였고, 동북항일연군 제6사 제8단 정치위원을 역임했다.[2] 소련 영토에서는 제88독립저격여단(소련군) 제1대대 당서기로 있었다.[2] 1945년 9월, 적성훈장(赤星勳章)을 받았다.[25]
1945년 한국 광복과 함께 소련군 배인 푸가초프호로 9월 19일 원산항에 들어왔다.[25] 이후, 조선공산당 당중앙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46년 4월 북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겸 정치위원이 되었고, 9월에는 제1사단 문화부사단장을 겸임하며 조선인민군 강화에 기여하였다. 같은 해, 보안간부훈련대대 부사령관 겸 문화부사령관을 역임했다.[25] 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후 제1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에 선출되어 사망할 때까지 대의원직을 수행하였다. 같은 해 8월, 민족보위성 문화훈련국장 겸 부상이 되었다.[25]
1949년 조선인민군 정치보위국장을 지냈다.[25] 중국공산당 비밀 특사로 마오쩌둥 등에게 한국 전쟁 남침 계획을 설명하고 지원을 요청하였다.[25]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 후, 조선인민군 전선사령부 군사위원을 역임했다.[25] 같은 해 12월 21일 당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비행기가 없으면 싸울 수 없다며 투항주의에 빠졌다는 비판을 받고 해임되었다.[25] 이후 복귀하여 내무성 정치국장, 평안남도 당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53년 6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다. 같은 해 8월, 제2기 당중앙위원회 제6회 총회에서 신설된 당중앙위원회 부위원장에 선출되었다.[25] 1954년 3월, 내각 부수상, 다음 달에는 농업상을 겸임하였다. 한국 전쟁 이후 복구와 사회주의 건설 정책을 추진하여 당 노선을 정비하였다. 1956년 4월 제3회 당대회에서 당상무위원회 위원(정치국원)으로 선출되어 당내 서열 4위가 되었다.[25] 1962년 10월 23일, 제1부수상으로 승격하였다.
1965년 7월 13일,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북베트남을 방문, 한국군의 베트남 전쟁 참전에 대항해 북한 측도 파병할 의사를 밝히며 북한의 베트남 전쟁 참전 포석을 마련하였다.[26] 1966년 10월 제2회 당대표자회의에서 당정치위원회 상무위원(정치국 상무위원)·중앙위원회 서기가 되었다.
1972년 12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제정,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되면서 12월 28일, 초대 정무원 총리(수상)에 임명되었다. 1976년 4월 29일, 국가부주석으로 전임하였다. 김일은 수상과 국가부주석으로서 북한 대외 활동을 주도하고, 1979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겸임, 한국과의 협상에 임하였다. 1980년 10월 제6회 당대회에서 당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재선되었다.
1984년 3월 9일, 국가부주석 재직 중 사망하였다.
2. 1. 항일무장투쟁과 초기 활동 (1910~1945)
1910년 3월 20일 함경도에서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다.[7][20] 1932년 조선공산당에 입당하여 지하 활동 및 대중 단체 사업을 전개했으며, 중국공산주의청년단(中國共産主義青年團) 연길현위 서기를 지냈다.[2][7]1935년 10월, 만주에서 항일팔로군(抗日パルチザン)에 참가하여 일제 식민 통치에 맞서 싸웠다.[2][7] 김일성의 휘하에서 "김일"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며 동북항일연군(東北抗日聯軍) 제6사 제8단 정치위원을 지냈다. 소련 영토에서는 제88독립저격여단(第88獨立狙擊旅團)(소련군) 제1대대 당서기로 활동했고, 1945년 9월 소련군으로부터 적성훈장(赤星勳章)을 받았다.
2. 2. 북한 정권 수립과 권력 강화 (1945~1972)
1945년 한국 광복 이후, 김일은 소련군과 함께 귀국하여 조선공산당 평안북도 당비서를 맡았다.[1] 1946년 4월 북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상무위원 겸 정치위원이 되었고, 9월에는 제1사단 문화부사단장을 겸임하며 조선인민군 강화에 기여하였다.[1] 같은 해, 보안간부훈련대대 부사령관 겸 문화부사령관을 역임했다.[1]194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부 수립 후, 김일은 최고인민회의 제1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고, 9월 2일 민족보위성 부상에 선임되었다.[31]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민족보위성 부상 겸 조선인민군 문화부 사령관, 전선사령부 군사위원 등으로 활동했다.[31]
1953년 6월 김일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8월에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중앙위원회 상무위원회 위원, 중앙당 정치위원회 위원, 당 군사위원회 위원 등에 선출되며 당내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1954년 3월 내각 부수상, 4월에는 농업상에 임명되어 전후 복구 및 사회주의 건설 정책을 추진했다.[32] 1959년 1월 내각 제1부수상이 되었고, 1966년 10월에는 조선로동당 정치위원회 상무위원 겸 비서가 되었다.
1972년 12월, 김일은 정무원 총리 겸 중앙인민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2. 3. 정무원 총리와 국가부주석 (1972~1984)
1972년 12월 27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이 제정되면서 내각이 정무원으로 개편됨에 따라, 김일은 12월 28일 초대 정무원 총리(수상)에 임명되었다.[2] 1976년 4월 29일, 건강 악화로 총리직에서 물러나고, 최고인민회의에 의해 곧바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부주석에 임명되었다.[7] 1977년 12월 15일에 국가부주석으로 재임명되었으며, 1984년 사망할 때까지 박성철과 함께 국가부주석직을 수행했다.[8][9][10][20]김일은 국가부주석으로서 북한의 대외 활동을 주도하였고, 1979년에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겸임하여 한국과의 협상에 임하였다.[14][15] 1980년 제6차 조선노동당 당대회에서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11] 당대회에서 김일은 전두환 대통령이 축출되는 경우에만 "고려민주연방공화국" 하에 한국의 통일을 제안했다.[12][13]
1981년 신년사에서 전두환이 김일성에게 남한 방문을 요청했을 때, 김일은 개입하여 남한 정권을 비난하고 어떠한 대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김일성의 모든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군은 남한에서 철수해야 하고, 남한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반공 대결 정책이 종식되어야 한다."고 말했다.[13]
3주 후, 김일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14][15] 북한과 남한을 각각 50명씩 대표하는 회의를 조직할 것을 요구했다. 이 제안에는 1980년 남한에서 금지된 정당의 저명한 정치인들을 포함한 원하는 남한 대표들의 이름이 포함되었지만, 여당 출신은 없었다.[13]
1982년 대부분의 시간을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치료를 받으며 보냈다.[7] 1983년 재등장한 후에도 여러 의례적인 모임에 불참한 것으로 미루어 그의 건강은 좋지 않았다.[16]
2. 4. 사망
1984년 3월 9일, 김일은 국가부주석 재직 중 7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7][20] 장례는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69명의 장례위원이 구성되었다.[20] 그의 사망은 김일성이 집권하기 전부터 함께했던 정치 지도자들의 "원로 세대" 지배가 끝났음을 알리는 것으로 여겨진다.[19] 사망 당시 김일은 김일성 다음으로 높은 서열에 있었으며,[17] 공식적으로 김일성의 후계자로 지명된 김정일보다도 높은 직위에 있었다.[18] 김일은 김정일을 비판했다고 알려져 있다.[19]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중앙통신(KCNA)은 그를 김일성의 "가장 가깝고 훌륭한 혁명 동지"라고 불렀고, 그의 죽음은 "우리 당과 인민에게 고통스럽고 큰 손실"이라고 했다.[20] 그의 묘는 대성산 혁명열사릉에 있다.김일은 김일성 훈장, 로력영웅 칭호를 받았다. 그 외에 국기훈장 제1급, 자유독립훈장 제1급, 공화국창건 기념훈장 등 많은 훈장과 메달을 받았다.
3. 외교 활동과 남북 관계
김일은 북한의 대외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1979년에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맡는 등 대남 관계에서도 활발히 활동했다.
3. 1. 외교 활동
김일은 1960년대 중소 분쟁에서 소련과 중국 모두로부터 북한의 독자적인 입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북한처럼 루마니아가 코메콘에 가입하지 않도록 설득하려고 했다.[4] 그는 소련과의 무역 및 방위 조약 협상에도 참여했으며, 1967년 3월 모스크바와 경제 및 군사 협정을 체결했다고 선언했다.[6]3. 2. 남북 관계
1980년 제6차 조선로동당 당대회에서 김일성은 전두환이 축출되는 경우에만 "고려민주연방공화국" 하에 한국을 통일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81년 전두환이 신년사에서 김일성에게 남한을 방문해 달라고 요청하자, 김일은 이를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12]김일은 남북 관계가 복잡한 상황에서 총선거는 시기상조이며, 남한에 주둔하는 미군과 군사 파쇼 체제를 그대로 둔 채 민주적 절차에 따라 총선거를 치르는 것은 논리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남한에서 민주화가 이루어져야 하고, 반공 대결 정책이 종식되어야 하며, 미군이 철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3]
3주 후, 김일은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14][15] 남북한 각 50명 대표 회의를 제안했다. 이 제안에는 1980년 남한에서 금지된 정당의 정치인들이 포함되었지만, 여당 출신은 없었다.[13]
4. 김정일 후계 체제와의 관계
북한에서는 김일이 김정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강력하게 추천했다고 알려져 있다. 1974년 2월 제5기 당중앙위원회 제8차 총회에서 김일성(당총서기·국가주석)이 김정일(당서기)의 당 정치국원 선출에 대해 김정일의 젊은 나이를 이유로 주저했으나, 김일이 앞장서서 김정일의 당 정치국원 선출과 후계자 지명을 주장했다. 다른 간부들도 이에 따랐고, 그 결과 김정일이 후계자로 간주되게 되었다.[30] 그러나 김일은 사망 당시 김일성 다음으로 높은 서열이었으며,[17] 공식적으로 김일성의 후계자로 지명된 김정일보다도 높은 직위에 있었다.[18] 또한 김일은 김정일을 비판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9]
5. 평가
김일은 항일 빨치산 투쟁부터 북한 정권 수립, 사회주의 건설에 이르기까지 북한 현대사의 주요 국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7][20] 김일성에게 충성하며 북한 체제 강화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권력 투쟁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평가가 공존한다.[27]
유성철은 김일을 "매우 훌륭한 인물로, 인간적인 따뜻함과 폭넓은 인품을 느끼게 하는 사람이었다. 사물을 이해하는 능력도 빠르고 정확했다. 다만 아쉬운 점은 권력욕이 적어 권력 투쟁을 거쳐 권력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나가는 술수를 부리지 않았다는 것이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소련파 김봉률이 김일성 체제하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은 김일 덕분이라고 언급했다.[27]
허진은 김일이 원칙적이지만 성격은 온화했고, 김책, 강건 등과 함께 항일빨치산 출신자 중 가장 높은 신망을 얻은 인물 중 한 명이었다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성격이 온화하고 인간성이 풍부하며 실무 능력이 있는 사람으로, 소련, 연안, 국내 및 빨치산 출신 간부들로부터 두루 존경과 신임을 받아왔다고 서술했다.
주영복은 김일이 키가 크고 교양 있는 사람이었으며, 현실주의자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많은 장관들 중에서 현대전에서 항공기의 역할을 절실히 인정한 사람은 그가 거의 유일하다고 언급했다.
김일은 친일파 딱지를 붙여 아버지의 재산을 몰수당한 이괄을 보호하고 재산을 되찾아 주었다고 한다.[28]
6. 가족 관계
부인 | 중국 여성 (이름 미상) |
---|---|
아들 | 박용석 (1928년 ~ 2007년) |
아들 | 박기서 (1929년 ~ 2010년) |
7. 학위
타슈켄트종합대학교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
참조
[1]
서적
The Great Soviet Encyclopedia
The Gale Group, Inc.
2021-02-05
[2]
서적
Heads of States and Governments Since 1945
Routledge
[3]
서적
Journal of Korean Affairs
https://books.google[...]
Research Institute on Korean Affairs
[4]
웹사이트
Kim's New Year's speech reveals economic priorities
https://www.nknews.o[...]
2021-02-05
[5]
웹사이트
Anecdotes about President Kim Il Sung
http://www.kcna.co.j[...]
2021-02-05
[6]
서적
Bulletin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the Study of the USSR
1968
[7]
뉴스
Kim Il of North Korea, A Vice President, Dies
https://www.nytimes.[...]
2014-05-14
[8]
서적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CIA
1976-01-01
[9]
서적
Chiefs of State and Cabinet Members of Foreign Governments
CIA
1984-01-01
[10]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1981
https://books.google[...]
McGraw-Hill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Korea
Scarecrow Press
[12]
웹사이트
North Korea Scorns Offer, By South For Visits
https://www.nytimes.[...]
2021-02-04
[13]
웹사이트
Oct 1982 -Unsuccessful Talks on Re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Subsequent South Korea Proposals for Discussions rejected by North Korea
https://web.stanford[...]
Keesing's Worldwide, LLC
2021-02-05
[14]
웹사이트
North Korea Proposes Parley on Reunification
https://www.nytimes.[...]
2021-02-04
[15]
웹사이트
Modern Korean History Portal: Timeline: 1981
https://digitalarchi[...]
History and Public Policy Program,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21-02-05
[16]
서적
Asia 1984 Yearbook
https://books.google[...]
Far Eastern Economic Review
[17]
서적
Quarterly Economic Review of China, North Korea
https://books.googl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18]
서적
Asian Communism: Continuity and Transition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University of California, Center for Korean Studies
[19]
서적
The Far East and Australasia 2003
Europa Publications
[20]
웹사이트
North Korean vice president dies
https://www.upi.com/[...]
2021-02-04
[21]
웹사이트
金一
https://kotobank.jp/[...]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
2022-08-29
[22]
웹사이트
金一
https://kotobank.jp/[...]
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2-08-29
[23]
웹사이트
金一
https://kotobank.jp/[...]
百科事典マイペディア
2022-08-29
[24]
웹사이트
金一
https://kotobank.jp/[...]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2022-08-29
[25]
서적
북조선을 만든 고려인 이야기
경인문화사
[26]
뉴스
北朝鮮、派兵の用意
日本経済新聞
1965-07-14
[27]
뉴스
6ㆍ25때 북한군 작전국장/유성철 “나의 증언”:3
http://www.hankookil[...]
2019-01-04
[28]
웹사이트
朝鮮人民空軍創設者の死去
http://www.jiia.or.j[...]
日本国際問題研究所
2019-04-29
[29]
웹사이트
北 박용석 당중앙위 검열위원장 사망
https://www.dailynk.[...]
デイリーNK
2007-03-18
[30]
서적
北朝鮮データブック
講談社
[31]
웹사이트
김일 - Daum 백과사전
http://enc.daum.net/[...]
[32]
서적
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