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포 도시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포 도시철도는 김포시의 도시 철도로, 2019년 9월 28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9년 도시 철도 건설 기본 계획 승인 이후,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 및 중전철 건설 계획이 변경되는 과정을 거쳤다. 총 건설 비용은 1조 6,503억 원이며, 2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 개통 이후 과도한 혼잡과 안전 문제, 잦은 계획 변경 등으로 논란이 있었다. 2023년 7월 1일에는 김포공항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환승이 개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포 도시철도 - 김포골드라인운영 1000호대 전동차
    김포골드라인운영 1000호대 전동차는 김포 도시철도에서 운행하는 2량 1편성 전동차로, 2019년 개통에 맞춰 28편성이 도입되었고 혼잡 문제 해결을 위해 2024년 9월까지 6편성이 증차될 예정이며, 모든 차량은 김포한강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김포 도시철도 전 구간을 운행한다.
  • 201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영일만항선
    영일만항선은 2019년 12월 18일에 개통되어 포항역과 영일만항역을 잇는 총 11.2km의 철도 노선이다.
  • 201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월미바다열차
    월미바다열차는 인천광역시 월미도를 순환하는 관광 모노레일로, 안전 문제와 부실 공사 논란으로 개통이 지연되었으나 재추진을 거쳐 2019년 10월 개통되었으며 현재는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며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 철도 정보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철도 정보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김포 도시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김포 골드라인 로고
김포 골드라인 로고
노선 이름김포 도시철도 (김포 골드라인)
로마자 표기Gimpo Goldline
한국어 표기김포골드라인
한자 표기金浦都市鐵道
노선 종류경전철
노선 시스템수도권 전철
노선 상태운행 중
운영 기관김포시
운영 회사김포골드라인운영
노선 기점양촌역 (경기도 김포시)
노선 종점김포공항역 (서울특별시 강서구)
역 수10개
노선 길이23.67 km
궤간1,435 mm (표준궤)
전기 방식직류 750V 제3궤조방식
신호 방식CBTC (무인 반자동운전)
설계 최고 속도80 km/h
영업 평균 속도48 km/h
개통일2019년 9월 28일
김포 골드라인 1000호대 전동차
김포 골드라인 1000호대 전동차
김포 도시철도 노선도 (양촌-김포공항)
김포 도시철도 노선도 (양촌-김포공항)
차량 정보
차량 종류현대로템 1000호대 전동차
편성2량 1편성
차량 기지김포한강차량사업소
노선 정보
역 목록
G100양촌역
G101구래역
G102마산역
G103장기역
G104운양역
G105걸포북변역
G106사우역
G107풍무역
G108고촌역
G109김포공항역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 골드라인, 수도권 전철 서해선)

2. 연혁

2009년 7월 10일, 국토해양부에서 도시 철도 건설 기본 계획을 승인했다.[31][8] 2010년 1월 12일에는 명칭을 '김포한강 메트로'로 확정했으며,[32][9] 같은 해 7월 1일 경전철 사업단이 파기되었다.[10] 이후 7월 28일 지하철 사업단이 출범하고[33][11]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을 요구했으나,[34] 2011년 8월 김포시는 환승안으로 변경을 확정했다.[12]

2014년 3월 26일 기공식을 열고,[14] 2016년 6월 20일 전 구간 역명을 확정했다.[35][15] 같은 해 6월 30일 위탁 운영사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로 선정했다.[36][16] 2018년 4월 18일 풍무역의 역명을 풍무사우역으로 변경했다가[37][20] 다음날인 4월 19일 다시 풍무역으로 환원했다.[38][21] 2018년 8월 3일에는 김포시청역의 역명을 사우(김포시청)역으로 변경했다.[39]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9일까지 종합시운전 및 시설물검증을,[22] 5월 10일부터 6월 23일까지 영업시운전을 진행했다. 이후 6월 24일부터 9월 27일까지 시설물보완작업 및 서류작업을 거쳐 9월 28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22] 2023년 7월 1일에는 김포공항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환승이 개통되었다.

2016년 6월 30일, 김포 도시철도의 위탁 운영사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선정되었다.[36][16] 2017년 1월 4일, 김포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운영 및 보수 계약을 체결했다.[17]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인 김포골드라인운영 주식회사가 2019년 9월 28일 개통 이후부터 2024년 9월 27일까지 5년간 운영을 담당했다. 이후 현대로템의 자회사인 김포골드라인SRS 주식회사가 2024년 9월 28일부터 5년간 운영을 맡게 되었다.

김포 도시철도는 김포시의 세 번째 시장인 김동식 시장 재임 시절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양촌읍 차량기지 건설을 원해 무산되었다. 이후 강경구 시장 재임 기간 동안 추진되었으나, 한나라당 소속의 김동식, 강경구 시장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던 유영록 민주당 시장 당선으로 계획이 취소되고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 연장 또한 실패했다. 이후 유영록과 정하영 시장 재임 기간 동안 개통이 여러 차례 연기되어 시민들의 비판을 받았다.

총 건설 비용은 1조 6,503억 원이었으며, 이 중 1조 2,000억 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지원했다. 이는 한강 신도시 주민들이 납부한 광역 교통 분담금에서 충당되었다.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량 1편성 열차가 운행되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3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객차 1량당 최대 122명이 탑승할 수 있다. 노선 전체 이동 시간은 약 30분이며, 김포공항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2. 1. 사업 추진 과정

2009년 7월 10일, 국토해양부에서 도시 철도 건설 기본 계획을 승인했다.[31][8] 2010년 1월 12일에는 명칭을 '김포한강 메트로'로 확정했으며,[32][9] 같은 해 7월 1일 경전철 사업단이 파기되었다.[10] 이후 7월 28일 지하철 사업단이 출범하고[33][11]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을 요구했으나,[34] 2011년 8월 김포시는 환승안으로 변경을 확정했다.[12]

2014년 3월 26일 기공식을 열고,[14] 2016년 6월 20일 전 구간 역명을 확정했다.[35][15] 같은 해 6월 30일 위탁 운영사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로 선정했다.[36][16] 2018년 4월 18일 풍무역의 역명을 풍무사우역으로 변경했다가[37][20] 다음날인 4월 19일 다시 풍무역으로 환원했다.[38][21] 2018년 8월 3일에는 김포시청역의 역명을 사우(김포시청)역으로 변경했다.[39] 2019년 9월 28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22] 2023년 7월 1일에는 김포공항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환승이 개통되었다.

김포시의 세 번째 시장인 김동식 시장 재임 시절, 김포 도시철도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연장선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양촌읍에 차량기지를 건설하길 원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후 김포 한강선 사업은 강경구 시장 재임 기간 동안 추진되었으나, 김동식 시장과 강경구 시장의 한나라당과 정치적 갈림길에 섰던 유영록 민주당 시장이 당선되면서 계획이 취소되고,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김포 연장 또한 실패했다. 현 시장인 유영록과 정하영 재임 기간 동안 도시철도 개통이 여러 차례 연기되면서 시민들의 비판을 받았다.

건설 비용은 총 1조 6,503억 원이었으며, 이 중 1조 2,000억 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지원했다. 이 자금은 한강 신도시 주민들이 한국토지주택공사에 납부한 광역 교통 분담금에서 충당되었다. 2량 1편성 열차가 운행되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3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객차 1량당 최대 122명이 탑승할 수 있다. 이 노선은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차량을 사용한다.[13] 노선 전체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30분이며, 김포공항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2012년 계획 당시, 운영 첫 해인 2018년에 88,257명의 승객, 2021년에는 91,501명, 2026년에는 92,561명의 승객을 예상했으며, 약 100억 원의 운영 적자를 예상했다.

2. 2. 건설 및 개통

2009년 7월 10일, 국토해양부에서 도시 철도 건설 기본 계획을 승인받았다.[31][8] 2010년 1월 12일에는 '김포한강 메트로'로 명칭을 확정했으나,[32][9] 2010년 7월 1일 경전철 사업단이 파기되었다.[10] 2010년 7월 28일, 지하철 사업단이 출범하면서[33][11]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을 요구했으나,[34] 2011년 8월 김포시는 환승안으로 변경을 확정했다.[12]

2014년 3월 26일 기공식을 열고,[14] 2016년 6월 20일 전 구간 역명을 확정했다.[35][15] 2016년 6월 30일에는 위탁 운영사를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로 선정했다.[36][16] 2018년 4월 18일 풍무역의 역명을 풍무사우역으로 변경했다가[37][20] 다음날인 4월 19일 풍무역으로 환원했다.[38][21] 2018년 8월 3일에는 김포시청역의 역명을 사우(김포시청)역으로 변경했다.[39]

2019년 3월 11일부터 5월 9일까지 종합시운전 및 시설물검증을,[22] 5월 10일부터 6월 23일까지 영업시운전을 진행했다. 이후 6월 24일부터 9월 27일까지 시설물보완작업 및 서류작업을 거쳐 9월 28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22] 2023년 7월 1일에는 김포공항역에서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의 환승이 개통되었다.

김포 도시철도는 김포시의 세 번째 시장인 김동식 시장 재임 시절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선으로 계획되었으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양촌읍 차량기지 건설을 원해 무산되었다. 이후 강경구 시장 재임 기간 동안 추진되었으나, 유영록 민주당 시장 당선으로 계획이 취소되고 서울 지하철 9호선 김포 연장 또한 실패했다. 유영록과 정하영 시장 재임 기간 동안 개통이 여러 차례 연기되어 시민들의 비판을 받았다.

총 건설 비용은 1조 6,503억 원이었으며, 이 중 1조 2,000억 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에서 지원했다. 이는 한강 신도시 주민들이 납부한 광역 교통 분담금에서 충당되었다.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2량 1편성 열차가 운행되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3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객차 1량당 최대 122명이 탑승할 수 있다. 노선 전체 이동 시간은 약 30분이며, 김포공항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2. 3. 운영 주체 변경

2016년 6월 30일, 김포 도시철도의 위탁 운영사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선정되었다.[36][16] 2017년 1월 4일, 김포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는 운영 및 보수 계약을 체결했다.[17]

서울교통공사의 자회사인 김포골드라인운영 주식회사가 2019년 9월 28일 개통 이후부터 2024년 9월 27일까지 5년간 운영을 담당했다. 이후 현대로템의 자회사인 김포골드라인SRS 주식회사가 2024년 9월 28일부터 5년간 운영을 맡게 되었다. 김포시는 2024년 1월 23일 차기 운영 사업자로 현대로템을 우선 협상 대상자로 선정하고, 4월 18일 운영 위탁 계약을 체결했다.[23]

3. 운영

상행은 구래행:양촌행이 각각 2:1 비율로 편성되어 운행하고, 하행은 전 편성 김포공항행으로 운행한다. 또한 무인운전 시스템이 탑재되어 기관실 없이 운행되지만, 비상시 대응 및 수동 조종을 위해 기관사 면허를 소지한 승무원이 맨 앞칸과 맨 뒷칸에 탑승한다.[40]

김포골드라인운영 1000호대 전동차는 2량 1편성으로, 평일 출퇴근(RH) 시간에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몰리면서 극심한 혼잡도를 보여 '지옥철'의 끝판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4][5] 김포 도시철도는 설계 당시부터 지하 구간 운행이 가능하도록 2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4]

3. 1. 운행 방식

상행은 구래행:양촌행이 각각 2:1 비율로 편성되어 운행하고, 하행은 전 편성 김포공항행으로 운행한다. 또한 무인운전 시스템이 탑재되어 기관실 없이 운행되지만, 비상시 대응 및 수동 조종을 위해 기관사 면허를 소지한 승무원이 맨 앞칸과 맨 뒷칸에 탑승한다.[40]

김포골드라인운영 1000호대 전동차는 2량 1편성으로, 평일 출퇴근(RH) 시간에는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몰리면서 극심한 혼잡도를 보여 '지옥철'의 끝판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4][5] 김포 도시철도는 설계 당시부터 지하 구간 운행이 가능하도록 2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4]

3. 2. 차량

김포골드라인운영 1000호대 전동차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2량 편성으로 총 46량이 운행되고 있다.[4] CBTC에 의한 무인 운전이 이루어지지만, 비상시 대응을 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동승하고 있다.[4] 김포 도시철도는 2량 1편성으로 운행되며,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에는 극심한 혼잡도를 보여 '지옥철'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5]

4. 역 목록

거리영업
거리소재지비고G100양촌Yangchon陽村0.00.0경기도김포시G101구래Gurae九來1.41.4G102마산Masan麻山1.63.0G103장기Janggi場基2.65.6G104운양Unyang雲陽1.77.3G105걸포북변Geolpo Bukbyeon傑浦北邊3.410.7G106사우(김포시청)Sau(Gimpo City Hall)沙隅(金浦市廳)1.812.5G107풍무Pungmu豊舞1.614.1G108고촌Gochon高村3.617.7G109김포공항Gimpo Int'l Airport金浦空港5호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서해선5.923.6서울특별시강서구



김포한강차량사업소

5. 논란 및 비판

김포 도시철도를 고가 경전철로 건설하는 것에 대하여 김포시와 김포 시민 사이에서 논란이 발생하였다. 일부 시민들은 경전철의 수용 능력이 김포 시내의 교통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과 고가 방식으로 건설되는 것 때문에 반대하였었다.[41] 시민들은 김포시의 현재 인구 규모와 시민의 거의 대부분이 서울로 통근하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다른 수도권 전철과 동일한 표준궤의 중전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유영록 시장(민선 5·6기)이 일방적으로 계획을 변경하여 논란이 발생하였다. 그가 주장했던 기존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의 경우 개화역 앞에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가 있어 사실상 거의 연장이 어려운 상태이다. 하지만 유영록 시장은 후보 당시 개화역에서 바로 연장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었고[43], 위와 같은 이유로 인해 김포공항역에서 직결을 추진하기로 변경했던 적이 있었다.[44]

개통 후, 이 철도에 탑승하려는 승객 수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 철도 연선 근처에 김포 한강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다수의 주민을 수용할 수 있는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어 철도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많아 심각한 혼잡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열차 내에 승객이 다중 밀집되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승객 중 일부가 과호흡이나 실신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사건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당국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이 한국 언론을 통해 지적되고 있다. 한강 신도시 건설이 예정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 비용 절감과 조기 개통을 위해 면밀한 계획 설정 없이 김포시청에서 2량 1편성 미니 경전철 운행을 강행하여, 열차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를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이 철도를 이용하려 모이면서 발생한 것이며, 2량 1편성 열차가 정차하는 홈 구조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열차 배차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미니 열차를 더 많이 제작해야 한다는 대책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유영록 시장이 해당 노선의 계획을 일방적으로 변경하여 논란이 발생했다. 지하철을 연장할 경우, 김포공항역까지의 구간은 단축되지만,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할 경우 개화역의 역 구조상 그것이 어려웠다[27]。 유영록 시장은 시장 선거 후보 당시 "개화역에서 즉시 연장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28],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김포공항역과 직결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29]

5. 1. 중전철 건설 무산과 경전철 추진

민선 3기 김동식 전 김포시장은 서울 지하철 5호선 연장 사업을 추진했으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現 서울교통공사)가 양촌읍에 차량기지 건설을 요구하여 무산되었다.[43] 이후 고가 경전철 사업으로 추진되다가 제4회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민선 4기 강경구 전 김포시장이 중전철 사업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그러나 예산 문제로 다시 고가 경전철 사업으로 환원하여 착공하려 했다.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 지하철 9호선 연장을 공약으로 내걸었던 민선 5기 유영록 김포시장이 당선되면서 중전철로 다시 계획이 변경되었다. 하지만 협상 과정 중 서울특별시김포시에 추후 열차 증결 계획을 들어 8량 기준 역사로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추가 금액 발생으로 인해 사실상 불가능한 사업이 되었다.

이에 김포시는 기존 서울 지하철의 연장 사업이 아닌 별도의 중전철 노선으로 계획을 축소하여 추진하다가, 재원 확보 문제로 다시 지하 경전철 사업으로 결정하였다. 2014년 3월 26일에 착공하였다.[43] 유영록 시장(민선 5·6기)은 서울 지하철 9호선개화역에서 바로 연장 가능하다고 주장했으나,[43]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때문에 김포공항역에서 직결을 추진하기로 변경했던 적이 있었다.[44]

김동식 시장과 강경구 시장의 한나라당과 정치적 갈림길에 섰던 유영록 민주당 시장이 당선되면서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김포 연장 또한 실패했다.

5. 2. 경전철 건설 관련 논란

김포 도시철도를 고가 경전철로 건설하는 것에 대하여 김포시와 김포 시민 사이에서 논란이 발생하였다. 일부 시민들은 경전철의 수용 능력이 김포 시내의 교통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과 고가 방식으로 건설되는 것 때문에 반대하였었다.[41] 시민들은 김포시의 현재 인구 규모와 시민의 거의 대부분이 서울로 통근하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다른 수도권 전철과 동일한 표준궤의 중전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김포시의 세 번째 시장인 김동식 시장 재임 시절, 김포 도시철도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연장선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양촌읍에 차량기지를 건설하길 원하면서 이 계획은 무산되었다.

이후 김포 한강선 사업은 강경구 시장 재임 기간 동안 추진되었으나, 김동식 시장과 강경구 시장의 한나라당과 정치적 갈림길에 섰던 유영록 민주당 시장이 당선되면서 계획이 취소되고, 서울 지하철 9호선의 김포 연장 또한 실패했다.

유영록 시장이 해당 노선의 계획을 일방적으로 변경하여 논란이 발생했다. 지하철을 연장할 경우, 김포공항역까지의 구간은 단축되지만, 서울 지하철 9호선을 연장할 경우 개화역의 역 구조상 그것이 어려웠다[27]。 유영록 시장은 시장 선거 후보 당시 "개화역에서 즉시 연장이 가능하다"고 주장했음에도 불구하고[28],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김포공항역과 직결되는 형태로 변경되었다[29]

5. 3. 혼잡도 및 안전 문제

김포 도시철도를 고가 경전철로 건설하는 것에 대하여 김포시와 김포 시민 사이에서 논란이 발생하였다. 일부 시민들은 경전철의 수용 능력이 김포 시내의 교통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과 고가 방식으로 건설되는 것 때문에 반대하였었다.[41] 시민들은 김포시의 현재 인구 규모와 시민의 거의 대부분이 서울로 통근하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다른 수도권 전철과 동일한 표준궤의 중전철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김포 도시철도는 설계 당시부터 지하 구간 운행이 가능하도록 2량 1편성으로 운행된다.[4]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이 출근 및 퇴근 시간에 몰리면서 극심한 혼잡도를 보여 '지옥철'의 끝판왕이라는 평가를 받는다.[5] 개통 후, 이 철도에 탑승하려는 승객 수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 철도 연선 근처에 김포 한강 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다수의 주민을 수용할 수 있는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어 철도를 이용하려는 사람이 많아 심각한 혼잡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열차 내에 승객이 다중 밀집되는 상황이 많아지면서 승객 중 일부가 과호흡이나 실신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사건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당국의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는 점이 한국 언론을 통해 지적되고 있다. 한강 신도시 건설이 예정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정 비용 절감과 조기 개통을 위해 면밀한 계획 설정 없이 김포시청에서 2량 1편성 미니 경전철 운행을 강행하여, 열차에 수용할 수 있는 인원에는 한계가 있지만 이를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사람이 철도를 이용하려 모이면서 발생한 것이며, 2량 1편성 열차가 정차하는 홈 구조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열차 배차 간격을 줄일 수 있도록 미니 열차를 더 많이 제작해야 한다는 대책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5. 4. 역 신설 논란

한강신도시 주민과 양촌읍 유현리 주민이 차량기지의 도착검사대를 역사로 활용해 역 신설을 요구하였다. 이에 따라 30억 원을 투입해 플랫폼, 개찰구, 주차장을 건설했다. 이로써 구래역 ~ 김포공항역 간 9개 역 외 양촌역이 신설되었다. 다만 평일 아침 RH에는 모두 구래역 시종착으로 운행한다.

6. 사건·사고

2023년 4월 11일 오전 7시 40분 김포공항역 승강장에서 한 여고생이 어지럼증과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쓰러졌으며, 20분 뒤인 오전 8시에도 같은 장소에서 30대 여성이 같은 증세를 보이며 쓰러졌다.[42] 김포 도시철도는 경전철로 계획이 변경되면서 "지옥철"이라고 조롱받을 정도로 혼잡이 심해져, 같은 날 김포공항역에서 승객인 10대 여고생과 30대 회사원이 호흡 곤란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사고가 발생했다.[30]

참조

[1] 웹사이트 김포도시철도 전구간 (23.67Km)시운전 '이상무 http://www.gimpodail[...] Gimpo Daily 2020-10-18
[2] 웹사이트 Seoul Gimpo Gold Line automated light metro opens https://www.railjour[...] International Railway Journal 2019-10-05
[3] 웹사이트 "[사설] 10년 논란 김포 '지하 경전철', 차질없이 추진돼야" http://www.kyeonggi.[...] 2018-09-10
[4] 웹사이트 김포골드라인 ‘지옥철’ 탈출하나…9월까지 10량 추가 투입 https://www.kyeonggi[...] 2024-11-25
[5] 웹사이트 '지옥철' 김포골드라인 열차 출근 시간대 비상 제동…호흡 곤란 승객도 https://www.ajunews.[...] 2024-11-25
[6] 뉴스 올해 개통되는 고속도로와 철도, 어떤 변화 가져올까 http://www.ohmynews.[...] オーマイニュース 2018-01-08
[7] 문서 김포도시철도사업(金浦都市鉄道事業) http://www.gimpo.go.[...] 金浦市庁
[8] 뉴스 김포 도시철도(경전철) 기본계획 확정․승인 http://e-gimpomaru.g[...] e-김포마루 2009-07-10
[9] 뉴스 김포 경전철 명칭 ‘김포한강 메트로’로 - 경향신문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1-13
[10] 뉴스 김포시, 중전철 건설 추진 '지하철사업단' 발족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2010-07-28
[11] 뉴스 김포지하철 건설비 껑충… '눈덩이 예산'에 깔린 市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1-04-11
[12] 뉴스 김포도시철도 전 구간 지하화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2011-08-04
[13] 뉴스 현대로템, 2038억원 김포도시철도 운행 시스템 수주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3-06-22
[14] 뉴스 한강신도시 '지하철 시대' 열린다 http://www.incheonil[...] 仁川日報 2014-03-27
[15] 뉴스 김포시 고시 제2016-79호 김포도시철도차량기지 및 역명 제정 고시 http://www.gimpo.go.[...] null
[16] 뉴스 김포도시철도 민간위탁 우선협상 대상자 서울도시철도공사 선정 http://www.gimpo.go.[...] null
[17] 뉴스 김포시·서울도시철도공사, '골드라인' 운영·유지관리 협약 http://www.newsis.co[...] Naver/Newsis 2017-01-05
[18] 뉴스 ‘김포골드라인’ 1편성 2량 첫 반입 http://www.kyeonggi.[...] 京畿日報 2017-02-22
[19] 뉴스 김포도시철도 차량 반입 완료… 개통준비 착착 http://www.kgnews.co[...] 京畿新聞 2017-12-17
[20] 뉴스 김포시 고시 제2018-104호 http://www.gimpo.go.[...] 2018-04-18
[21] 뉴스 김포시 고시 제2018-113호 http://www.gimpo.go.[...] 2018-04-19
[22] 뉴스 김포도시철도 ‘골드라인’ 28일 개통…수도권환승할인도 가능 http://www.donga.com[...] 東亜日報 2019-09-27
[23] 뉴스 김포골드라인운영(주) 경력직원 채용공고 https://www.seoulmet[...] ソウル交通公社 2018-02-20
[24] 뉴스 "[단독] 취재진 눈 앞 2명 실신…눈으로 재는 김포골드라인 혼잡률" https://news.kbs.co.[...] KBS 2023-06-17
[25] 뉴스 '[인터뷰] "김포 '골병'라인, 또 실신할까…그게 무섭다"' https://www.nocutnew[...] NOCUTNEWS 2023-04-18
[26] 뉴스 김포골드라인 실신 승객 “또 쓰러질까 무서워…열차 그냥 보낸 적도”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23-04-18
[27] 문서 조사부장 집무실 : 9호선의 김포 연장은 가능한가 http://inspector.tex[...]
[28] 뉴스 "경전철 예산이면 9호선 연장가능"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5-17
[29] 뉴스 김포시, 김포공항∼한강신도시 지하 중전철 추진 http://news.naver.co[...] 네이버 뉴스 2010-12-23
[30] 웹사이트 韓国の地下鉄で2人が息できず失神…「圧死の恐怖は日常」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23-05-20
[31] 뉴스 김포 도시철도(경전철) 기본계획 확정․승인 http://e-gimpomaru.g[...] e-김포마루 2009-07-10
[32] 뉴스 인용 김포 경전철 명칭 ‘김포한강 메트로’로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1-13
[33] 뉴스 인용 김포시, 중전철 건설 추진 '지하철사업단' 발족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0-08-16
[3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yeongin.[...] 2012-01-22
[35] 문서 김포시 고시 제2016-79호 http://www.gimpo.go.[...] 2016-06-20
[36] 웹인용 김포도시철도 민간위탁 우선협상 대상자 서울도시철도공사 선정 http://www.gimpo.go.[...] 2016-07-03
[37] 고시 김포시 고시 제2018-104호 http://www.gimpo.go.[...] 2018-04-18
[38] 고시 김포시 고시 제2018-113호 http://www.gimpo.go.[...] 2018-04-19
[39] 고시 김포시 고시 제2018-175호 http://www.gimpo.go.[...] 2018-08-03
[40] 문서 제 2종 전기철도 운전면허를 의미한다.
[41] 뉴스 김포시 경전철 건설 논란 확산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09-07-09
[42] 뉴스 '지옥철' 김포골드라인서 승객 2명 쓰러져…호흡곤란 호소 https://www.yna.co.k[...] 연합뉴스
[4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2-01-22
[44] 웹인용 김포시, 김포공항∼한강신도시 지하 중전철 추진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2010-12-2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