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호선은 1941년 함경남도 북청 출신의 영화 감독이다. 1974년 영화 '환녀'로 데뷔하여, 1970년대 한국 영화 산업의 어려움 속에서 '여급 영화' 장르를 통해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1977년 감독한 '겨울 여자'는 1970년대 국내 영화 흥행 1위를 기록했다. 2007년부터 한국영화감독협회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영자의 전성시대', '서울 무지개', '사의 찬미' 등 다수의 작품을 연출했다. 그는 여러 영화제에서 감독상 및 작품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감독상 수상자 - 박찬욱
박찬욱은 서강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영화 평론가로 활동하다 영화감독으로 데뷔하여, 복수 3부작과 인간이 아닌 존재의 3부작 등 독특한 스타일의 작품들로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세계적인 거장으로, 칸 영화제 감독상을 수상하는 등 한국 영화의 위상을 높이며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 함경남도 출신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함경남도 출신 - 김창룡
김창룡은 일제강점기 관동군 헌병으로 항일 조직 색출에 참여한 군인으로, 해방 후 대한민국 육군에서 정보 및 방첩 업무를 담당하며 숙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특무부대장으로서 인권 침해 및 사건 조작 의혹, 김구 암살 사건 연루 의혹 등 각종 논란 속에 암살당해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유지태
유지태는 1998년 영화 《바이 준》으로 데뷔하여 《올드보이》 등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인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마이 라띠마》를 연출한 영화 감독으로, 배우 김효진과 결혼하여 사회 활동과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 봉준호
봉준호는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자 각본가로, 《플란다스의 개》로 데뷔하여 《살인의 추억》, 《괴물》, 《기생충》 등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작품을 연출하며 세계적인 거장으로 인정받았다.
김호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호선 |
출생일 | 1941년 3월 9일 |
출생지 | 함경남도 |
직업 | 영화 감독, 영화 제작자, 각본가 |
활동 기간 | 1964년–1996년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Gim Ho-seon |
한글 | 김호선 |
한자 | 金鎬善 |
국가 | 대한민국 |
2. 생애
함경남도 북청 출신이다. 동북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희대학교를 중퇴하였다. 1974년 영화 '환녀'로 감독 데뷔하였다. 2007년부터 한국영화감독협회 상임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호선은 1974년 《환녀》로 데뷔하여, 《영자의 전성시대》, 《겨울여자》, 《사의 찬미》, 《애니깽》 등 다양한 작품에 참여했다.[3][2]
김호선은 1941년 3월 9일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속한 함경남도에서 태어났다. 1970년대 한국 영화 산업은 외화 수입, 텔레비전 보급 증가, 그리고 박정희 군사 독재의 숨 막히는 검열이라는 도전에 직면해야 했다.
김호선은 "여급 영화"라고 알려진 장르로 감독 경력을 시작했다. 이는 검열관들이 어느 정도 자유를 허용했던 몇 안 되는 장르 중 하나로, 술집 여자들의 삶과 그들의 환경을 그린 멜로드라마였다. 김호선은 검열관들이 영화 제작에 가한 공식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가 여전히 개성을 유지하고 잘 팔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해 동료 영화 제작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1977년 그가 감독한 ''겨울 여자''는 1970년대 국내 영화 흥행 1위를 기록했고,[1] 1990년 ''장군의 아들''이 기록을 깰 때까지 그 자리를 지켰다.[2]
3. 작품 활동
연도 한글 제목 영어 제목 로마자 표기 참여 1964 신식할머니 Sinsik Halmeoni 조감독 1972 화분 Hwabun 조감독 1974 환녀 Hwannyeo Hwannyeo 감독 1975 영자의 전성시대 'Yeongjas Heydays'' Yeongja-ui jeonseongsidae 감독, 각본가[3] 1976 여자들만 사는 거리 The Street of Women Yeojadeulman saneun geoli 감독 1977 야행 Yahaeng 조감독 1977 겨울여자 Winter Woman Gyeo-ul-yeoja 감독[2] 1979 죽음보다 깊은 잠 Deeper Than Death Jug-eumboda gip-eun jam 감독 1980 밤의 찬가 A Song of the Night Bam-ui changa 감독 1981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Three Short, Three Long Sebeon-eun jjalbge sebeon-eun gilge 감독, 각본가 1982 열애 Yol-ae Yeol-ae 감독, 각본가 1983 겨울 여자 2 Winter Woman Part 2 Gyeowul yeoja je2bu 감독 1986 수렁에서 건진 내 딸 2 My Daughter Rescued from the Swamp 2 Suleong-eseo geonjin naettal 2 감독, 각본가, 제작자 1988 파리애마 Pari Aema 제작자 1989 서울 무지개 Seoul Rainbow Seoul mujigae 감독 1990 미친 사랑의 노래 Crazy Love Song Michin salang-ui nolae 감독 1991 사의 찬미 Death Song Sa-ui chanmi 감독, 의상 보조 1993 아담이 눈뜰 때 When Adam Opens His Eyes 감독 1996 애니깽 Henequen Aenikkaeng 감독, 각본가, 제작자
3. 1. 감독
김호선은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이다. 다음은 그의 감독 작품 목록이다.
연도 | 한글 제목 | 영어 제목 | 로마자 표기 | 비고 |
---|---|---|---|---|
1974 | 환녀 | Hwannyeo | Hwannyeo | 감독 데뷔작 |
1975 | 영자의 전성시대 | 'Yeongjas Heydays'' | Yeongja-ui jeonseongsidae | 감독, 각본가[3] |
1976 | 여자들만 사는 거리 | The Street of Women | Yeojadeulman saneun geoli | |
1977 | 겨울여자 | Winter Woman | Gyeo-ul-yeoja | [2] |
1979 | 죽음보다 깊은 잠 | Deeper Than Death | Jug-eumboda gip-eun jam | |
1980 | 밤의 찬가 | A Song of the Night | Bam-ui changa | |
1981 | 세 번은 짧게 세 번은 길게 | Three Short, Three Long | Sebeon-eun jjalbge sebeon-eun gilge | 감독, 각본가 |
1982 | 열애 | Yol-ae | Yeol-ae | 감독, 각본가 |
1983 | 겨울 여자 2 | Winter Woman Part 2 | Gyeowul yeoja je2bu | |
1986 | 수렁에서 건진 내 딸 2 | My Daughter Rescued from the Swamp 2 | Suleong-eseo geonjin naettal 2 | 감독, 각본가, 제작자 |
1989 | 서울 무지개 | Seoul Rainbow | Seoul mujigae | |
1990 | 미친 사랑의 노래 | Crazy Love Song | Michin salang-ui nolae | |
1991 | 사의 찬미 | Death Song | Sa-ui chanmi | 감독, 의상 보조 |
1993 | 아담이 눈뜰 때 | When Adam Opens His Eyes | ||
1996 | 애니깽 | Henequen | Aenikkaeng | 감독, 각본가, 제작자 |
3. 2. 제작
연도 | 영어 제목 | 한글 제목 | 로마자 표기 | 참여 |
---|---|---|---|---|
1986 | 나의 딸을 악의 소굴에서 구출 2 | 수렁에서 건진 내딸 2 | Suleong-eseo geonjin naettal 2 | 제작자 |
1988 | 파리 엠마 | 파리애마 | Pari Aema | 제작자 |
1996 | 애니깽 | 애니깽 | Aenikkaeng | 제작자 |
3. 3. 기타 참여
4. 수상 경력
연도 | 시상식 | 부문 | 작품 | 결과 |
---|---|---|---|---|
1976년 | 제5회 현대 영화 비평가그룹 | 감독상 | 수상 | |
1977년 | 제6회 현대 영화 비평가그룹 | 감독상 | 수상 | |
1978년 | 제14회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감독상 | 수상 | |
1981년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감독상 | 세 번 짧게, 세 번 길게 | 수상 |
1989년 | 백상예술대상 | 영화부문 대상, 작품상, 감독상 | 서울의 무지개 | 수상 |
1989년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감독상 | 서울의 무지개 | 수상 |
1989년 | 대종상 | 감독상 | 서울의 무지개 | 수상 |
1990년 | 제35회 아시아태평양영화제 | 감독상 | 수상 | |
1991년 | 춘사대상영화제 | 최우수작품상 | 사의 찬미 | 수상 |
1991년 | 청룡영화상 | 최우수작품상 | 사의 찬미 | 수상 |
1992년 | 대종상 | 감독상 | 사의 찬미 | 수상 |
1996년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감독상 | 헹케누 | 수상 |
1996년 | 대종상 |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 헹케누 | 수상 |
참조
[1]
웹사이트
1970-1979
http://koreanfilm.or[...]
2012-11-14
[2]
웹사이트
Winter Woman (Gyeo-ul-yeoja) (1977)
http://www.koreafilm[...]
Korean Film Archive
[3]
웹사이트
Yeong-Ja's Heydays (Yeongja-ui jeonseongsidae) (1975)
http://www.koreafilm[...]
Korean Film 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