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꼬리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리핵은 대뇌 반구에 위치하며, 뇌의 중심 근처 시상을 가로질러 C자 모양으로 뻗어 있는 구조이다. 꼬리핵은 머리, 몸통, 꼬리로 구성되며, 피각과 함께 배쪽 선조체를 형성한다. 꼬리핵은 운동 기능, 인지 기능, 감정 조절, 수면 등 다양한 뇌 기능에 관여하며, 뇌졸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여러 질환과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저핵 - 흑색질
    흑색질은 기저핵의 일부로 중뇌에서 가장 큰 핵이며, 안구 운동, 운동 계획, 보상 회로 등 다양한 뇌 기능에 관여하고, 특히 치밀부의 도파민성 뉴런은 운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기저핵 - 측좌핵
    측좌핵은 기저핵의 일부인 배쪽 선조체에 위치하며, 겉질과 속질로 구성되어 보상, 쾌락, 중독 등 다양한 기능과 관련이 있고, 임상적 의의를 지닌다.
  • 대뇌 - 바깥섬유막
    바깥섬유막은 그람 음성 세균 세포벽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리포다당류로 이루어져 세균 생존과 병원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리포다당류는 외막 안정화와 숙주 면역 반응 유발에 기여한다.
  • 대뇌 - 기저핵
    기저핵은 대뇌 심부에 위치한 회백질 덩어리 집합으로, 선조체, 창백핵, 흑질, 시상하핵의 네 가지 주요 구조로 나뉘어 운동 조절, 인지 기능, 보상 학습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며 파킨슨병, 헌팅턴병과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 및 정신 질환에도 영향을 미친다.
꼬리핵
개요
꼬리핵 (빨간색)이 뇌 내에서 표시됨
꼬리핵(빨간색)이 뇌 내에서 표시됨
뇌의 가로 절단면 (수평 단면), 기저핵은 파란색
뇌의 가로 절단면 (수평 단면), 기저핵은 파란색
라틴어 이름nucleus caudatus
구조적 부분등쪽 선조체
기능
역할자극-반응 학습, 행동 억제 제어, 약물 중독
참고 문헌
참고 문헌Malenka RC, Nestler EJ, Hyman SE (2009).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2nd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pp. 147–148. ISBN 9780071481274.
Bear, Mark F.; Connors, Barry W.; Paradiso, Michael A. (2016). Neuroscience : exploring the brain (Fourth ed.). Philadelphia. p. 502. ISBN 9780781778176.
Anderson BA, Kuwabara H, Wong DF, Roberts J, Rahmim A, Brašić JR, Courtney SM (August 2017). "Linking dopaminergic reward signals to the development of attentional bias: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tudy". NeuroImage. 157: 27–33. doi:10.1016/j.neuroimage.2017.05.062. PMC 5600829. PMID 28572059.
Yager LM, Garcia AF, Wunsch AM, Ferguson SM (August 2015). "The ins and outs of the striatum: Role in drug addiction". Neuroscience. 301: 529–541. doi:10.1016/j.neuroscience.2015.06.033. PMC 4523218. PMID 26116518.

2. 구조

꼬리핵은 뇌의 중심 근처, 시상을 가로질러 위치한다. 뇌의 각 대뇌 반구에는 꼬리핵이 하나씩 있다. 각 핵은 C자 모양으로, 앞쪽에는 더 넓은 "머리"가 있고, 몸통과 꼬리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때로는 꼬리핵의 일부를 "무릎"이라고 부르기도 한다.[7] 꼬리핵 머리는 렌티큘로스트리아트 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을 받으며, 꼬리핵 꼬리는 전맥락총 동맥으로부터 혈액 공급을 받는다.[8]

꼬리핵의 머리와 몸통은 측뇌실 앞 뿔의 바닥을 형성한다. 몸통은 머리 뒤쪽으로 잠시 이동하고, 꼬리는 다시 앞쪽으로 굽어져 측뇌실의 아래쪽 뿔의 지붕을 형성한다.

피각과 함께 꼬리핵은 배쪽 선조체를 형성한다. 해부학적으로는 큰 백질 신경로인 내포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때로는 두 개의 구조, 즉 내측 배쪽 선조체(꼬리핵)와 외측 배쪽 선조체(피각)로 묘사되기도 한다.

꼬리핵 꼬리는 가쪽 뇌실의 관자뿔을 따라 아래 앞쪽으로 뻗은 가느다란 부분으로 끝에는 편도체가 위치한다. 이어서 편도체는 해마위에 놓여 접해있다.

2. 1. 신경화학

꼬리핵은 흑색질 치밀부(SNc)에서 기원하는 도파민성 뉴런의 신경 지배를 많이 받는다. 흑색질 치밀부는 중뇌에 있으며, 신경 전달 물질 도파민을 사용하여 꼬리핵과 조가비핵으로 세포를 투사한다.[9] 또한 다양한 연합 피질로부터의 입력도 존재한다. 꼬리핵의 활동은 도파민 뉴런의 신경 지배를 받고 있으며, 이러한 뉴런은 주로 복측 피개 영역(VTA)과 흑색질 치밀부(SN)에서 시작된다.

3. 기능

꼬리핵은 운동 조절, 인지, 수면, 감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뇌 영역이다.

꼬리핵은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공간 작업 기억 손상과 관련이 깊다. 선조체도파민이 부족해지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꼬리핵이 공간적, 비공간적 기억 처리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10] 꼬리핵은 편도체해마와도 연결되어 기억 처리에 영향을 미친다. 옥소트레모린은 꼬리핵의 기억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데, 편도체와의 연결에 문제가 생기면 이러한 효과가 사라진다.[16]

꼬리핵은 수면과 각성 주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고양이의 꼬리핵 머리 부분을 제거하면 깊은 서파 수면 시간이 줄어드는데, 이는 단기 기억장기 기억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18] 하지만, 꼬리핵 제거의 영향은 영구적이지 않고 3개월 내에 정상화된다. 이는 꼬리핵과 전두엽 피질이 중추 신경계 활성 수준을 조절하는 데 서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19]

꼬리핵은 시각적 아름다움, 특히 낭만적인 사랑과 관련된 감정을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2][23] 또한, 접근-애착 행동과 정서 조절에도 관여한다. 꼬리핵이 손상되면 추진력 상실, 강박 장애, 과잉 행동 등이 나타날 수 있다.[42] 최근 연구에 따르면, 사랑에 빠진 사람의 뇌에서는 꼬리핵과 복측피개야의 활동이 증가한다. fMRI 실험 결과, 복측피개야가 꼬리핵에 도파민을 분비하여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꼬리핵은 언어 제어에도 관여한다. 여러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은 언어에 관계없이 동일한 뇌 영역을 활성화하는데, 꼬리핵이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4][25] 꼬리핵의 형태 변형은 언어 학습 능력 및 유창성과도 관련이 있다.[14]

또한, 꼬리핵은 대뇌 피질의 활동을 조절하여 신경 세포 집합의 과도한 활성화를 막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7]

3. 1. 운동 기능

꼬리핵은 신체와 사지의 자세, 그리고 지향적인 움직임의 속도와 정확성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고양이의 꼬리핵 제거 후 발 사용 과제에서 자세 및 정확성 결함이 관찰되었다. 꼬리핵의 부분적 제거 후 고양이에게서 수행 시작 지연과 지속적인 신체 위치 변경의 필요성이 모두 관찰되었다.[42]

원숭이에게 꼬리핵에 코카인을 투여하고 그로 인한 병변이 발생한 후 "도약 또는 전진 운동"이 나타났다. 꼬리핵 손상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움직임은 꼬리핵의 억제적 성격을 보여준다. 이 시술로 인해 발생한 "운동 해제"는 꼬리핵이 동물이 저항 없이 앞으로 움직이는 경향을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12]

3. 2. 인지 기능

꼬리핵은 공간 정보를 운동 행동 형성에 통합하는 역할을 한다. 파킨슨병 환자의 공간 작업 기억 손상과 선조체에 공급되는 도파민 양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꼬리핵이 공간적 및 비공간적 기억 처리에 관여함을 보여준다. 사건 관련 fMRI 분석 결과, 꼬리핵은 공간 및 운동 기억 요구가 있는 과제에서 더 큰 활동을 보였다.[10] 특히, 공간 작업 기억 활동은 운동 반응 직전에 꼬리핵에서 더 크게 관찰되었는데, 이는 꼬리핵이 운동 반응 코딩에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꼬리핵은 감각-운동 변환을 통해 작업 기억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운동 시스템을 동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11]

신경영상(예: PET 및 fMRI) 및 해부학적 연구들은 꼬리핵과 집행 기능 관련 피질 영역 사이에 강력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꼬리핵과 집행 전두엽 영역 간의 명확한 연관성은 인간의 해부학적 및 기능적 연결성에 대한 비침습적 측정을 통해 확인되었다.[70]

행동 연구는 꼬리핵이 목표 지향적 행동, 즉 "목표의 변화하는 가치와 어떤 행동이 어떤 결과를 낳는지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을 선택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70] 한 연구에서 쥐에게 시나몬 맛 용액을 얻기 위해 레버를 누르도록 훈련시킨 후, 결과의 가치를 변경했을 때(쥐에게 너무 많은 맛을 주거나 용액을 마신 후 아프게 함), 정상 쥐는 레버를 덜 눌렀지만 꼬리핵에 병변이 있는 쥐는 행동을 억제하지 못했다. 이는 꼬리핵이 결과의 변화하는 가치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70] 2003년 인간 대상 연구에서도 유사한 과정이 확인되었는데, 돈이 걸린 상황에서 다른 사람을 신뢰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제에서 꼬리핵의 역할이 나타났다.[13]

조현병 환자의 경우, 꼬리핵과 관련된 배쪽-전전두피질 피질하 회로가 작업 기억력 결손과 연관되어 있다. 기능적 영상 연구는 영장류와 건강한 사람의 작업 기억 과제 동안 이 회로의 활성화를 보여주었다. 꼬리핵의 부피는 공간 작업 기억 과제에서 보속성 오류와 반비례 관계를 보인다.[14][15]

편도체는 꼬리핵에 직접 투사되며, 두 구조 모두 해마에 직간접적으로 투사한다. 꼬리핵에서 기억 처리에 대한 편도체의 영향은 꼬리핵에 주입된 옥소트레모린의 기억력 향상 효과가 이들 간 연결 병변에 의해 차단된다는 사실로 입증되었다. 쥐를 이용한 수중 미로 훈련 연구에서, 꼬리핵은 훈련 후 암페타민 주입 시 시각적 신호 훈련에 대한 기억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6]

2005년 연구에서는 피험자들이 이미지를 분류하고 피드백을 받는 과정에서 시각적 자극 분류 학습을 진행했다. 성공적인 분류 학습과 관련된 활동은 꼬리핵의 몸통과 꼬리에 집중되었고, 피드백 처리 관련 활동은 꼬리핵의 머리에 집중되었다.[17]

여러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언어에 관계없이 동일한 뇌 영역이 활성화된다는 신경 영상 연구 결과가 있다. 2006년 연구는 꼬리핵이 언어 제어의 중심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꼬리핵 병변이 있는 3개 국어 구사자는 언어 이해 능력은 유지되었지만, 언어 사용 시 세 언어를 무의식적으로 전환하는 현상을 보였다. 즉, 좌측 꼬리핵은 생산 작업에서 어휘 및 언어 대안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데 필요하다.[24][25]

여성의 언어 학습 능력 및 남성의 공간 및 언어 유창성 작업 기억 과제에서 끈기 오류 수는 꼬리핵 내측 표면의 국소적 형태 변형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더 큰 꼬리핵 부피는 더 나은 언어 유창성 수행 능력과 관련이 있었다.[14]

방언 사용 시 영어로 노래를 부를 때에 비해 좌측 꼬리핵의 활동이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현상이 신경학적 연구에서 관찰되었다.[26]

꼬리핵은 대뇌 피질의 일반적인 활동을 측정하고 역치 전위를 조절하여 양성 피드백을 통한 신경 세포 집합의 폭발적인 활성화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가 있다.[27]

꼬리핵은 학습과 기억[83], 특히 피드백 처리[84]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피험자가 피드백을 받을 때 꼬리핵에서 신경 활동이 발생한다. 좌미상핵은 단어 이해와 조음을 여러 언어 간에 전환할 때 이를 지배하는 시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85][86] 꼬리핵은 흥분성 시냅스로 연결된 신경 세포 집합의 양성 피드백으로 인한 활동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대뇌 피질 전체의 활동을 계측하고 역치가 되는 전위를 제어한다는 가설이 있다.[87]

3. 3. 수면

고양이의 꼬리핵 머리에 양측성 병변이 생기면 수면-각성 주기 동안 깊은 서파 수면의 지속 시간이 감소하는 것과 상관관계가 있다. 깊은 서파 수면의 총량이 감소하면 단기 기억장기 기억으로 전환되는 데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18]

하지만 꼬리핵 제거가 고양이의 수면-각성 패턴에 미치는 영향은 영구적이지 않았다. 꼬리핵 절제술 후 3개월 이내에 정상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발견은 꼬리핵과 전두엽 피질이 중추 신경계 활성 수준을 제어하는 역할이 서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일 수 있다. 꼬리핵을 제거한 고양이는 영구적으로 과잉 행동을 보였지만, 약 2개월 동안 지속되는 급속 안구 운동 수면 (REM 수면) 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했다. 하지만 전두엽 절제 고양이는 REM 수면 시간이 영구적으로 감소했으며, 일시적인 과잉 행동 기간만 나타났다.[19]

"깊은" 수면, REM 수면과 꼬리핵 사이의 연관성과 대조적으로, 인간의 수면 주기 동안 뇌파 검사와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fMRI) 측정을 포함한 연구는 꼬리핵이 모든 수면 단계에서 비-REM 수면 동안 활동 감소를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했다.[20] 게다가, 선천성 중추성 무호흡 증후군 (CCHS) 환자의 꼬리핵 부피에 대한 연구는 CCHS와 좌우 꼬리핵 부피의 유의미한 감소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립했다. CCHS는 호흡하려는 추진력 감소로 인해 수면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 질환이다. 따라서 꼬리핵이 인간의 수면 주기에 역할을 한다는 것이 제시되었다.[21]

3. 4. 감정

꼬리핵은 시각적 아름다움에 대한 반응과 관련이 있으며, "낭만적 사랑의 신경 상관 관계"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22][23]

접근-애착 행동과 정서 또한 꼬리핵에 의해 제어된다. 양측 꼬리핵을 제거한 고양이는 대상과 접촉하려 시도하며 지속적으로 물체를 접근하고 따라갔으며, 앞발을 구르고 골골거리는 행동을 보이며 친근한 성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행동 반응의 크기는 핵 제거 정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꼬리핵 선택적 손상을 입은 인간 환자에 대한 보고에 따르면, 한쪽 꼬리핵 손상은 추진력 상실, 강박 장애, 자극 의존적 보속적 행동 및 과잉 행동을 초래했다. 이러한 결손 대부분은 목표에 접근하는 것부터 낭만적 사랑에 이르기까지, 접근-애착 행동과 관련하여 분류될 수 있다.[42]

최근 과학자들은 사람이 사랑에 빠질 때 꼬리핵의 기능을 발견했다. 대학생 피험자 그룹에게 가장 사랑하는 사람의 사진을 제시했을 때, 꼬리핵과 복측피개야의 활동이 모두 증가했다. 이 fMRI 실험은 사람이 사랑에 빠질 때 복측피개야가 꼬리핵을 도파민으로 채우는 것을 시사한다.

4. 임상적 의의

꼬리핵은 뇌졸중과 관련되어 임상적 의의를 갖는다. 꼬리핵 뇌졸중은 컴퓨터 단층 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영상(MRI) 스캔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허혈성 뇌졸중(경색) 또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분류된다.[44][36] 꼬리핵 뇌졸중은 드물지만, 다양한 임상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꼬리핵 뇌졸중의 주요 원인에는 소혈관 질환,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등이 있다.[44][36] 꼬리핵 경색은 열공 경색이거나 선조체피막 경색일 수 있으며, 꼬리핵뿐만 아니라 피각, 내부 캡슐 등 인접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37][38][44][45]

꼬리핵 뇌졸중의 흔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



덜 흔하게는 무도병, 진전, 파킨슨병과 같은 운동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정신성 무운동증, 무시, 실어증과 같은 심각한 인지 및 행동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44][39][36][56] 꼬리핵 뇌졸중은 뇌졸중 후 하지 불안 증후군과도 관련이 깊다.[50][51][52]

꼬리핵 출혈은 거미막하 출혈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으며, 두통, 메스꺼움, 구토, 경부 강직 등을 포함한다.[44][36][45] 꼬리핵 뇌졸중의 증상은 뇌졸중의 위치와 크기, 인접 구조물의 관련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36]

꼬리핵 뇌졸중의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지만, 일부 환자는 잔여 결손이나 의존성을 보일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인지 기능 저하 및 치매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44][57][58][59][60][61] 치료는 항혈소판제항응고제 투여, 뇌졸중 위험 요소 관리 등을 포함한다.[44]

꼬리핵은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헌팅턴병,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조현병, 양극성 장애, 강박 장애(OCD)와 같은 다양한 신경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68][69][72][73][75][76][77][78] 특히, 강박 장애 환자의 경우 파록세틴 치료 후 오른쪽 꼬리핵에서 포도당 대사 변화가 관찰되었다.[78]

5. 뇌 영상

자기 공명 영상을 사용하여 알츠하이머병 환자와 정상인의 꼬리핵 부피를 비교한 2013년 연구에서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정상인에 비해 "꼬리핵 부피의 유의미한 감소"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상관관계가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조기 진단에 영향을 줄 수 있다.[68]

2002년 연구는 꼬리핵 비대칭과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증상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 연구진은 자기 공명 영상(MR)을 사용하여 꼬리핵의 상대적인 부피를 비교하고 꼬리핵 비대칭과 ADHD 증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꼬리핵 비대칭의 정도는 부주의한 행동에 대한 누적 심각도 평가를 유의미하게 예측했다." 이는 꼬리핵과 주의 기능의 이전 연관성과 일치한다.[73] 2018년 연구에서는 ADHD와 관련된 꼬리핵 비대칭이 꼬리핵의 등쪽 내측 부위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것을 밝혀냈다.[74]

조현병 환자의 꼬리핵에서 백색질 부피 변화가 관찰되었다. 2004년 연구에서 자기 공명 영상을 통해 조현병 환자들의 꼬리핵 내 백색질 부피를 비교한 결과, "건강한 대상보다 꼬리핵 내 백색질의 절대적 및 상대적 부피가 더 작다"는 사실이 밝혀졌다.[75]

2014년 연구에 따르면 제1형 양극성 장애 환자는 대조군 및 제2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 비해 보상 처리 및 의사 결정과 관련된 꼬리핵 및 기타 영역에서 회백질과 백질의 부피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전반적으로 양극성 장애 환자의 회백질과 백질 양은 대조군보다 낮았다.[76][77]

강박 장애(OCD) 환자에게서 꼬리핵의 기능 부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꼬리핵이 시상안와전두피질 사이의 정보 전달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술을 이용한 신경 영상 연구에서 파록세틴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오른쪽 꼬리핵에서 가장 큰 포도당 대사 변화가 나타났다.[78] 복셀 기반 형태 계측 연구를 SDM 메타 분석한 최근 연구에서는 OCD 환자와 건강한 대조군을 비교했을 때, OCD 환자는 양측 렌즈핵 (꼬리핵으로 확장됨)에서 회백질 부피가 증가한 반면, 양측 배측 내측 전두/전방 대상 회에서 회백질 부피가 감소했다.[79][80] 이는 다른 불안 장애 환자들의 결과와 대조적인데, 이들은 양측 렌즈핵 / 꼬리핵에서 회백질 부피 감소를 보이며, 양측 배측 내측 전두/전방 대상 회에서도 회백질 부피가 감소한다.[80]

참조

[1]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2] 서적 Neuroscience : exploring the brain
[3]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4] 논문 Linking dopaminergic reward signals to the development of attentional bias: A positron emission tomographic study 2017-08
[5] 서적 Molecular Neuropharmacology: A Foundation for Clinical Neuroscience McGraw-Hill Medical
[6] 논문 The ins and outs of the striatum: Role in drug addiction 2015-08
[7] 논문 Corticostriatal connections of extrastriate visual areas in rhesus monkeys 1995-02
[8] 웹사이트 Cerebral vascular territories - Radiology Reference Article - Radiopaedia.org https://radiopaedia.[...]
[9] 웹사이트 Substantia Nigra http://www.neuroanat[...] 2013-12-05
[10] 논문 Dissociation of human caudate nucleus activity in spatial and nonspatial working memory: an event-related fMRI study 1999-07
[11] 논문 Spatial working memory activity of the caudate nucleus is sensitive to frame of reference 2003-06
[12] 논문 Some highlights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caudate nucleus lesions over the past 200 years 2009-04
[13] 논문 Differential response patterns in the striatum and orbitofrontal cortex to financial reward in humans: a parametric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2003-01
[14] 논문 Caudate nucleus volume in individuals at ultra-high risk of psychosis: a cross-se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2010-06
[15] 논문 MRI study of caudate nucleus volume and its cognitive correlates in neuroleptic-naive pati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2002-07
[16] 논문 The amygdala modulates the consolidation of memories of emotionally arousing experiences
[17] 논문 The roles of the caudate nucleus in human classification learning 2005-03
[18] 논문 Sleep disorders and disturbances in memory processing related to the lesion of the caudate nucleus
[19] 논문 Counterpointing the functional role of the forebrain and of the brainstem in the control of the sleep-waking system 2004-09
[20] 논문 Brain activation and hypothalamic functional connectivity during human non-rapid eye movement sleep: an EEG/fMRI study 2006-03
[21] 논문 Reduced caudate nuclei volumes in patients with congenital central hypoventilation syndrome 2009-11
[22] 논문 Toward a brain-based theory of beauty 2011-05
[23] 논문 Reward, motivation, and emotion systems associated with early-stage intense romantic love 2005-07
[24] 논문 Language control in the bilingual brain 2006-06
[25] 웹사이트 How bilingual brains switch between tongues https://www.newscien[...]
[26] 논문 The measurement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during glossolalia: a preliminary SPECT study 2006-11
[27] 간행물 Vehicles. Experiments in synthetic psychology.
[28] 논문 Caudate hemorrhage 1984-12
[29] 논문 Caudate hemorrhage 1984-09
[30] 논문 Neurobehavioral changes associated with caudate lesions 1989-03
[31] 논문 Caudate infarcts 1990-02
[32] 논문 Long-term cognitive impairment associated with caudate stroke 1997-05
[33] 논문 Acute caudate vascular lesions 1999-01
[34] 논문 A Neuropsychiatric and Neuroimaging Study of Unilateral and Bilateral Striatal Ischemic Lesions 2023
[35] 논문 Predominance of caudate nucleus lesions in acute ischaemic stroke patients with impairment in language and speech 2016-01
[36] 서적 Frontiers of Neurology and Neuroscience S. Karger AG 2012
[37] 학술지 Clinical diagnosis of subcortical cerebral infarction 2003-09
[38] 서적 Subcortical Stroke Oxford University Press 2023-12-09
[39] 서적 Lacunar and Other Subcortical Infarc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40] 학술지 Safety of therapeutic methylphenidate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2009-03
[41] 학술지 Lacunar stroke associated with methylphenidate abuse 2004-02
[42] 학술지 Why do we have a caudate nucleus? 2010
[43] 서적 Subcortical Stroke Oxford University PressNew York, NY 2002-04-11
[44] 서적 Stroke syndrom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7-12
[45] 학술지 The behavioural and motor consequences of focal lesions of the basal ganglia in man 1994-08
[46] 학술지 A Neuropsychiatric and Neuroimaging Study of Unilateral and Bilateral Striatal Ischemic Lesions 2023
[47] 학술지 Poststroke fatigue is associated with caudate infarcts 2013
[48] 간행물 Implication of Caudate nucleus lacunar infarcts in post-stroke depression European Journal of Neurology 2016-06
[49] 간행물 Lesions in the dorsolateral caudate nucleus predict post stroke depression – a voxel-based lesion-symptom mapping study Cerebrovascular Diseases 2018
[50] 학술지 Stroke-related restless legs syndrome: epidemiolog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physiology 2022-02
[51] 학술지 Acute post-stroke restless legs syndrome: the body of caudate nucleus considerations 2020-06
[52] 학술지 Stroke-related restless legs syndrome: Clinical and anatomo-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n emerging entity 2022-04
[53] 학술지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Following Cerebrovascular Accident: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2019-04
[54] 학술지 Mania secondary to focal brain lesion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bipolar disorder 2016-05
[55] 학술지 Behavioral-attentional syndrome following bilateral caudate head ischaemia 1998
[56] 학위논문 A Study on Evaluation of Motor, Cognitive and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Basal Ganglia Infarcts http://repository-tn[...] Madras Medical College, Chennai 2011
[57] 학술지 Lacunar stroke 2009-02
[58] 웹사이트 Lacunar Stroke https://www.ncbi.nlm[...] 2024
[59] 학술지 Lacunar infarcts: no black holes in the brain are benign 2008-08
[60] 학술지 Long-term prognosis after lacunar infarction 2003-04
[61] 학술지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stroke patients with ischemic cerebral small-vessel disease: a forerunner of vascular dementia? 2009-08
[62] 학술지 Disorders of diminished motivation 2005
[63] 학술지 Disorders of diminished motivation: What they are, and how to treat them https://cdn.mdedge.c[...] 2018-01
[64] 학술지 On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akinetic mutism 2020-05
[65] 학술지 The Caudate Nucleus: Its Connections, Surgical Implications, and Related Complications 2020-07
[66] 학술지 Absence of movement disorders after surgical resection of glioma invading the right striatum 2002-08
[67] 학술지 Comparing Glioblastoma Surgery Decisions Between Teams Using Brain Maps of Tumor Locations, Biopsies, and Resections 2019-01
[68] 학술지 Segmentation and volumetric analysis of the caudate nucleus in Alzheimer's disease 2013-09
[69] 서적 An Introduction to Brain and Behavior https://archive.org/[...] Worth Publishers
[70] 학술지 The role of the basal ganglia in learning and memory: neuropsychological studies 2009-04
[71] 간행물 A protein interaction network links GIT1, an enhancer of huntingtin aggregation, to Huntington's disease 2004-09
[72] 간행물 Huntington's disease 2007-01
[73] 간행물 Caudate nucleus volume asymmetry predicts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symptomatology in children 2002-12
[74] 간행물 Hemispheric brain asymmetry differences in youths with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2018-02
[75] 간행물 Reduced white matter volume of the caudate nucleu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76] 간행물 Volumetric, cortical thickness and white matter integrity alterations in bipolar disorder type I and II
[77] 웹사이트 A Trip Into Bipolar Brains https://psmag.com/so[...] 2017-06-14
[78] 간행물 The caudate nucleu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Reduced metabolism following treatment with paroxetine: a PET study 2002-03
[79] 간행물 Voxel-wise meta-analysis of grey matter change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2009-11
[80] 간행물 Meta-analytical comparison of voxel-based morphometry studie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vs other anxiety disorders 2010-07
[81] 뉴스 Corticostriatal connections of extrastriate visual areas in rhesus monkeys
[82] 간행물 An experimental research into the anatomy of the corpus striatum
[83] 문서 The basal vangina: learning new tricks and loving it.
[84] 문서 Learning and memory functions of the Basal Ganglia.
[85] 뉴스 How bilingual brains switch between tongues http://www.newscient[...]
[86] 뉴스 Language Control in the Bilingual Brain http://www.sciencema[...]
[87] 문서 Vehicles. Experiments in synthetic psychology.
[88] 뉴스 Loving with all your ... brain - CNN.com https://edition.cnn.[...]
[89] 간행물 The caudate nucleu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Reduced metabolism following treatment with paroxetine: a PET stud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