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1209년 아시시의 프란치스코가 창립한 프란치스코회에서 유래한 수도회이다. 1517년 프란치스코회는 꼰벤뚜알 작은 형제회와 관상 봉쇄회 작은 형제회로 분리되었고, 카푸친 작은 형제회도 분리되어 세 분파로 나뉘었다.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도시 사도직과 공동체 생활을 특징으로 하며,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성당 등 주요 성지를 관리한다. 2018년 기준 전 세계 30개 관구, 18개 자치구, 460개 수도원, 4048명의 수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에서도 교육 및 사회 복지 사업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꼰벤투알 작은형제회 - 성모 기사회
    성모 기사회는 1917년 성 막시밀리안 콜베에 의해 설립된 가톨릭 신자 단체로, 성모 마리아의 무염시태에 대한 지식을 알리고 죄인의 회개를 위해 성모 마리아께 간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현재 48개국에서 3백만 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일반 정보
모든 프란치스코회를 상징하는 문장. 십자가, 그리스도의 팔, 성 프란치스코의 팔이 그려져 있음.
공식 명칭 (라틴어)Ordo Fratrum Minorum Conventualium
약칭OFM Conv.
설립일1209년
설립자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종류교황청 직속 탁발 수도회 (남성)
본부제네랄 쿠리아, 이탈리아 로마 성 사도 광장 51
회원수 (2020년 기준)4,076명 (사제 2,803명)
총봉사자카를로스 알베르토 트로바렐리 (Carlos Alberto Trovarelli)
사목선교, 교육, 본당 사목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주요 인물
관련 인물성 막시밀리아노 콜베
관련 인물제노 제브로프스키

2. 역사

브라질의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수도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중세 도시 사회 속에서 성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전파하고자 노력했다. 일부 수사들은 빈민가나 도시 외곽의 안전지대 밖에 있는 최빈곤층이 사는 오두막이나 판잣집이 있는 교외 지역에 정착하였다. 예를 들어 런던에 온 꼰벤뚜알 작은형제회 수사들은 '악취를 풍기는 좁은 길목'이라는 뜻의 스틴킹레인(Stinking Lane)에 처음으로 정착했다.[6]

당시 교외 지역은 병원이 세워지는 곳이었기 때문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때때로 시 정부로부터 환자들의 요양을 돌보는 일을 위임받기도 하였다. 수사들은 헛간을 대신할 튼튼한 건물을 짓고, 성당수도원 건축에 기여했다. 링컨 주교였던 로버트 그로세테스테는 사람들이 고해성사를 받고 영적인 조언을 구하고, 삶의 지침을 받기 위해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수사신부들에게 달려가는 모습을 보고 "그들은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평했다.[6]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가 도심 속으로 들어가 활동하는 것은 논란을 일으켰고, 이는 프란치스코회를 두 분파로 갈라놓았다. 시골에서 전통적인 프란치스칸 명상생활을 하고자 하는 이들과 공동체 생활을 하며 도시의 가난한 이들과 어울려 복음을 전하는 이들로 나뉜 것이다. 후자는 처음에는 ‘공동체의 형제들’로 알려졌다가 1250년경 ‘꼰벤뚜알 형제회’로 불렸다. 1517년, 이들은 꼰벤뚜알 작은형제회 또는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로 명명되었다.[6]

2. 1. 기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성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중세 도시 사회에 전파하고자 노력했다. 일부 수사들은 빈민가나 도시 외곽의 안전지대 밖에 있는 최빈곤층들이 사는 오두막, 판잣집이 있는 교외 지역에 정착했다. 런던에 온 꼰벤뚜알 작은형제회 수사들은 '악취를 풍기는 좁은 길목'이라는 뜻의 스틴킹레인(Stinking Lane)에 처음으로 정착했다.[6]

당시 교외 지역은 병원이 세워지는 곳이었기 때문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때때로 시 정부로부터 환자들의 요양을 돌보는 일을 위임받기도 하였다. 수사들은 헛간을 대신할 튼튼한 건물을 짓고, 성당수도원 건축에 기여했다. 링컨 주교였던 로버트 그로세테스테는 사람들이 고해성사를 받고 영적인 조언을 구하고, 삶의 지침을 받기 위해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수사신부들에게 달려가는 모습을 보고 "그들은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평했다.[6]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가 도심 속으로 들어가 활동하는 것은 논란을 일으켰고, 프란치스코회는 두 분파로 갈라졌다. 한쪽은 시골에서 전통적인 프란치스칸 명상생활을 하고자 했고, 다른 한쪽은 공동체 생활을 하며 도시의 가난한 이들과 어울려 복음을 전하고자 했다. 후자는 처음에는 ‘공동체의 형제들’로 알려졌다가 1250년경 ‘꼰벤뚜알 형제회’로 불렸다. 1517년, 이들은 꼰벤뚜알 작은형제회 또는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로 명명되었다.[6]

"꼰벤뚜알"이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있다.

  • 1250년 4월 5일 교황 인노첸시오 4세의 교서 《Cum tamquam veri》에서, 수도원이 있는 프란치스코회 교회를 "꼰벤뚜알 교회"라고 부를 수 있도록 결정했다는 설.[6]
  • 꼰벤뚜알 수도원에 거주하는 수도자들에게 이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6]
  • 라틴어 단어 ''conventualis''가 대규모 수도원의 수도자들과 고독한 은둔자와 같은 삶을 사는 수도자들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설.[6]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1209년에 창립한 '''"작은 형제회"'''에서 유래한다.[21] 1517년에 "작은 형제회"는 '''"꼰벤뚜알 작은 형제회"와 "관상 봉쇄회 작은 형제회"'''로 분리된다.[21] 또한 '''"카푸친 작은 형제회"'''가 분리되어 프란치스코회의 세 분파가 각각 성립되었다.[21]

연혁은 다음과 같다.

연도사건
1182년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출생
1210년작은 형제회(프란치스코회) 창립
1517년작은 형제회의 분리
1930년일본에 전래


2. 2. 분열과 발전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중세 도시 사회에서 성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을 전파하고자 노력했다. 일부 수사들은 빈민가나 도시 외곽 최빈곤층이 사는 지역에 정착했다. 런던에 온 꼰벤뚜알 작은형제회 수사들이 처음 정착한 곳은 '악취를 풍기는 좁은 길목'이라는 뜻의 스틴킹레인(Stinking Lane)이었다.[6]

당시 교외 지역은 병원이 세워지는 곳이었기에,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시 정부로부터 환자 간호를 위임받기도 했다. 수사들은 튼튼한 건물, 특히 성당과 수도원 건축에 기여했다. 링컨 주교였던 로버트 그로세테스테는 사람들이 고해성사와 영적인 조언 외에도 삶의 지침을 얻기 위해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수사신부들에게 달려가는 모습을 보고 "그들은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라고 평했다.[6]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가 도심으로 들어가 활동하는 것은 논란을 일으켰고, 결국 프란치스코회는 두 분파로 갈라졌다. 전통적인 명상생활을 원하는 이들과 도시 빈민과 함께 복음을 전하려는 이들로 나뉜 것이다. 후자는 '공동체의 형제들'로 알려졌다가 1250년경 '꼰벤뚜알 형제회'로 불렸다. 1517년, 이들은 꼰벤뚜알 작은형제회 또는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로 명명되었다.[6]

'꼰벤뚜알'이라는 명칭 유래는 다음과 같다.

  • 1250년 4월 5일 교황 인노첸시오 4세 교서에 따라 수도원이 있는 프란치스코회 교회를 '꼰벤뚜알 교회'라고 부를 수 있게 되었다.
  • 꼰벤뚜알 수도원에 거주하는 수도자들에게 이 이름이 붙여졌다는 설.
  • 라틴어 단어 ''conventualis''가 대규모 수도원 수도자들과 은둔자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는 설.[6]


오늘날 영어에서 'convent'는 수녀들의 거주지를 의미하지만, 원래는 남녀 모두의 거주지를 의미했다.[6]

프란치스코회가 공동체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사목 활동에 종사하면서, 많은 수사들이 청빈 서원의 유용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청빈의 문자적 준수는 교단의 확장, 학문 추구, 도시 수도원의 재산 축적으로 인해 실현 불가능해 보였다.[9] 일부는 규율 완화를 지지했고, 다른 이들은 문자적 해석을 원했다.

'공동체 수사'들은 프란치스코의 이상을 널리 전파하고자 했다. 이들은 가난한 지역의 고난과 불의에 맞섰다.

1226년 프란치스코 사후, 후임자 엘리아스 형제는 청빈 규율을 더 관대하게 적용하도록 장려했다. '공동체 수사'들이 특정 완화를 채택하면서 꼰벤뚜알로 불리게 되었고, 이들을 중심으로 긴 분쟁이 이어졌다. 엄격한 준수를 지지하는 수사들은 ''젤란티''라고 불렸고, 나중에는 관상 프란치스코회원이 되었다.

1274년 총장 보나벤투라 사후, 교단은 더욱 분열되었다. 꼰벤뚜알은 교황의 특별 허가를 받았다. 관상 프란치스코회는 절대적 청빈과 은둔적이고 고행적인 프란치스코주의를 따랐다.[10][6]

1517년, 교황 레오 10세는 청빈 서약 분쟁을 종식시키려 했으나,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면제를 포기해야 하는 통합을 거부했다.

교황 레오 10세는 두 파벌을 공식적으로 별도 수도회로 나누었다.

  • 면제 없이 청빈 규칙을 준수하려는 수도사들을 성 프란치스코 작은 형제회, 또는 정규 관상 작은 형제회로 편입시켰다. 이들은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보다 우선권을 가졌고, 작은 형제회 전체 수도원장을 선출할 권한을 부여했다.
  • 면제 하에 살기를 원하는 수도사들은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라는 별도 단체를 구성했고, 자체 수도원장을 선출할 권한을 부여받았으나, 이 선출은 작은 형제회 수도원장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후자는 이 권리를 한 번도 행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1517년부터 완전히 독립된 수도회로 간주될 수 있지만, 1580년이 되어서야 자체 추기경 보호자를 얻었다.[6]


1565년, 꼰벤뚜알회는 탁발 수도회가 단체로 재산을 소유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트리엔트 특사를 수락했고, 피렌체 총회에서 교황 비오 4세가 추후 승인한 개혁 규정을 작성했다. 1625년, 꼰벤뚜알회는 교황 우르바노 8세에 의해 공포된 'Constitutiones Urbanæ'라는 새 헌장을 채택했다. 이는 꼰벤뚜알회가 정당하게 허가된 면제를 인정함으로써 성 프란치스코의 규칙을 준수할 것을 서약했기 때문에 중요하다.[6] 1897년, 교황 레오 13세는 프란치스코회를 재편성하여 각 수도회에 자체 장상 총장을 임명했다.[10] 우르바노 헌장은 1932년까지 유효했으며,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1984년에 개정되었다. 헌장은 2019년에 다시 개정되어 현재 버전으로 남아있다.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1209년에 창립한 '''"작은 형제회"'''에서 유래한다.

1517년에 "작은 형제회"는 '''"꼰벤뚜알 작은 형제회"와 "관상 봉쇄회 작은 형제회"'''로 분리된다. 또한 '''"카푸친 작은 형제회"'''가 분리되어 프란치스코회의 세 분파가 각각 성립되었다[21]

  • 1182년 -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출생
  • 1210년 - 작은 형제회(프란치스코회) 창립
  • 1517년 - 작은 형제회의 분리
  • 1930년 - 일본에 전래

2. 3. 현대

2018년 8월 기준으로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전 세계 30개의 관구, 18개의 자치구, 460개의 수도원, 4048명의 수도자로 구성되어 있다. 미국에는 4개의 관구가 있다. 수도자들은 본당, 학교, 군 및 기타 수도회의 사목자로 활동하며, 다양한 형태의 가톨릭 시설과 가톨릭 구호 봉사단에서 봉사한다.[7] 꼰벤뚜알 수도회의 전통적인 특징은 공동체 생활과 도시 사도직이다.[8]

꼰벤뚜알 수도회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묘소와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성당을 관리하는 특권을 누리고 있으며,[8] 로마성 베드로 대성전에 고해 신부를 제공한다.[6]

3. 한국에서의 활동

1930년 4월 24일, 폴란드 크라쿠프 관구 소속 막시밀리아노 콜베 신부 일행이 나가사키에 도착하여 일본에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이들은 출판, 교육,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프란치스코회의 정신을 전파했다.

3. 1. 초기 선교와 발전

1930년 4월 24일, 폴란드 크라쿠프 관구 소속 막시밀리아노 콜베 신부와 제노 제브로프스키 수사, 힐라리오 수사가 나가사키에 도착했다. 한 달 뒤, 이들은 잡지 "무원죄의 성모의 기사"(현재의 월간 "성모의 기사")를 발행했다. 콜베 신부는 무원죄의 성모 마리아를 수호자로 하는 성모의 기사단(M.I.)을 창설했다. 폴란드에서 성모의 기사단은 출판 등 대중 매체를 이용한 선교 활동에 적극적이었기 때문에, 일본에서도 성모의 기사사라는 이름으로 출판 활동을 했다.

처음에는 오우라 천주당 아래에 있던 옛 아메모리 병원 건물을 수도원으로 사용했지만, 이후 혼카와치 수원지 근처의 산림을 구입하여 자체 수도원을 건립했다. 1949년 12월 8일(무염시태 축일)에는 관구장 회의 참석을 위해 나가사키에서 폴란드로 돌아갔던 콜베 신부와 함께, 1930년 8월 25일에 일본을 방문한 미에치슬라오 마리아 미로하나 신부(당시 신학생)에 의해 "무염시태의 기사 성 프란치스코 수녀회"가 창립되었다. 1950년, 교황청으로부터 나가사키 교구 관할의 통상 서원 수도회로서 정식 인가를 받았다.[22]

전후에는 출판을 통한 포교 활동 외에도, 신학교를 기원으로 하는 초중등 교육 사업 (인천학원, 성모의 기사 학원 등) 및 복지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현재 세계에서 활동하고 있는 수도회는 프란치스코의 이념을 따르고 있다.

3. 2. 교육 및 사회 복지 활동

전후에는 출판을 통한 포교 활동 외에도, 신학교를 기원으로 하는 초중등 교육 사업 (인천학원, 성모의 기사 학원 등) 및 복지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현재, 세계에서 전개하고 있는 수도회는 프란치스코의 이념 하에 활동하고 있다.

학교법인명소재지운영 학교
학교법인 성모 기사 학원나가사키현성모의 기사 고등학교, 성모의 기사 히가시나가사키 유치원, 성모의 기사 유치원 (이상 나가사키시), 성모의 기사 초등학교, 츠바키하라 중학교 (이상 이사하야시)
학교법인 성 콜베 학원나가사키현·도쿄도성모의 기사 유치원, 마리아 유치원, 성 프란치스코 유치원
학교법인 인젠 학원효고현마리아의 동산 유치원, 인젠 학원 초등학교, 인젠 학원 중학교·고등학교
학교법인 카스가 학원아이치현카스가 마리아 유치원
학교법인 마리아 학원아이치현마리아 유치원


3. 3. 주요 기관 및 시설

1930년 4월 24일, 폴란드크라쿠프 관구 소속 막시밀리아노 콜베 신부, 제노 제브로프스키 수사, 힐라리오 수사가 나가사키에 상륙했다. 이들은 한 달 뒤 잡지 "무원죄의 성모의 기사"(현재의 월간 "성모의 기사")를 발행했다. 콜베 신부는 무원죄의 성모 마리아를 수호자로 하는 성모의 기사단(M.I.)을 창설했다. 성모의 기사단은 폴란드에서 출판 등 매스 미디어를 이용한 선교 활동에 적극적이었으며, 일본에서도 성모의 기사사를 통해 출판 활동을 했다.[22]

최초의 수도원은 오우라 천주당 아래에 있던 구 아메모리 병원 건물을 사용했지만, 이후 혼카와치 수원지 근처의 산림을 매입하여 자체 수도원을 건립했다. 1949년 12월 8일(무염시태 축일)에는 콜베 신부와 함께 1930년 8월 25일에 일본을 방문했던 미에치슬라오 마리아 미로하나 신부(당시 신학생)가 "무염시태의 기사 성 프란치스코 수녀회"를 창립했다. 이 수녀회는 1950년 교황청으로부터 나가사키 교구 관할의 통상 서원 수도회로 정식 인가를 받았다.[22]

전후에는 출판을 통한 포교 활동 외에도 신학교를 모체로 하는 초중등 교육 사업 (인천학원, 성모의 기사 학원 등)과 복지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 활동하는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수도회는 프란치스코의 이념을 따르고 있다.[22]

4. 주요 성지와 성인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아시시 소재, 성 프란치스코의 묘소),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성당(이탈리아 파두아 소재,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의 묘소), 리보톨토 교회(아시시, 성 프란치스코와 초기 제자들의 거주지), 피렌체 산타 크로체 교회 등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관련된 성지를 관리한다. 1517년 분할 이후 쿠페르티노의 요셉, 안토니오 파자니, 막시밀리안 콜베 등의 성인을 배출했다.

4. 1. 성지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와 관련된 성지를 관리한다.

성지위치 및 설명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아시시에 있으며, 성 프란치스코의 묘소가 있다.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성당이탈리아 파두아에 있으며,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의 묘소가 있다.
리보톨토 교회아시시에 있으며, 성 프란치스코와 초기 제자들이 머물렀던 곳이다.
피렌체 산타 크로체 교회피렌체에 있다.


4. 2. 성인

1517년 분할 이후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 출신 주요 성인은 다음과 같다.

이름출생-사망
페테르 데 레갈라도1390–1456
성 요한 두클라1414–1484
성 요셉 데 코페르티노1603–1663
프란치스코 파사니1681–1742
성 막시밀리안 콜베1894–1941
사르테아노의 알베르토 베르디니1385–1450
프란체스코 지라노1565–1603
안토니오 루치1682–1752
보니파시오 폰텐차1651–1711
안토닌 바예프스키1915–1941
미하우 토마셰크1960–1991
카를로스 데 디오스 무리아스1976 사망
즈비그니에프 스트자우코프스키1958–1991


4. 3. 기타 주요 인물

5. 국제 활동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는 2018년 8월 기준으로 전 세계 30개의 관구, 18개의 자치구, 460개의 수도원, 4048명의 수도자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자들은 본당, 학교, 군 및 기타 수도회의 사목자로 활동하며, 다양한 형태의 가톨릭 시설과 가톨릭 구호 봉사단에서 봉사한다.[7] 꼰벤뚜알 수도회의 전통적인 특징은 공동체 생활과 도시 사도직이다.[8]

꼰벤뚜알 수도회는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묘소와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대성당을 관리하는 특권을 누리고 있으며,[8] 로마성 베드로 대성전에 고해 신부를 제공한다.[6] 1998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수도회는 59개국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회원 수는 4,566명이다.



로마에는 꼰벤뚜알 프란치스코회가 국제 신학 대학교(교황청립 성 보나벤투라 신학 대학교)를 설립하여, 기독교 포교의 세계적인 중심이 되고 있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Order of Friars Minor Conventual (Institute of Consecrated Life – Men)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2] 웹사이트 Order of Friars Minor Conventual (O.F.M. Conv.) http://www.gcatholic[...]
[3] 웹사이트 Order of Friars Minor Conventual (Institute of Consecrated Life – Men)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4] 웹사이트 Order of Friars Minor Conventual (Institute of Consecrated Life – Men)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5] 웹사이트 Order of Friars Minor Conventual (O.F.M. Conv.) http://www.gcatholic[...]
[6] 간행물 Order of Friars Minor Conventuals http://www.newadvent[...] 2017-12-22
[7] 웹사이트 Franciscan Order {{!}} Conventual Franciscans {{!}} United States https://www.francisc[...] 2020-05-04
[8] 웹사이트 Our History {{!}} Our Lady of the Angels Province, USA https://www.olaprovi[...] 2020-05-04
[9] 뉴스 "Order of Friars Minor". The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7-12-21
[10]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ofmconv.[...] Curia OFMConv
[11] 웹사이트 Saint Peter Regalado https://www.francisc[...] 2020-05-04
[12] 웹사이트 Franciscan Saints https://franciscanfr[...] 2020-05-04
[13] 간행물 Bl. Albert Berdini of Sarteano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9-12-29
[14] 웹사이트 Franciscan Martyrs Michał Tomaszek and Zbigniew Strzałkowski http://www.pastoralc[...] 2020-05-04
[15] 웹사이트 Franciscan Martyrs Michał Tomaszek and Zbigniew Strzałkowski http://www.pastoralc[...] 2020-05-04
[16] 간행물 Candidates for sainthood (See entry under October 2013) https://en.wikipedia[...] 2021-05-23
[17] 간행물 Francesco Lorenzo Brancati di Lauria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9-12-29
[18] 간행물 Nicholas Papin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19-12-29
[19] 서적 Freemasonry: Mankind's Hidden Enemy https://books.google[...] TAN Books
[20] 웹사이트 コンベンツァル聖フランシスコ修道会本部 http://www.ofmconv.n[...]
[21] 웹사이트 コンベンツアル聖フランシスコ修道会日本管区 http://www.ofmconv.j[...]
[22] 웹사이트 カトリック情報ハンドブック2015 巻頭特集 特集1 日本生まれの修道会 ―奉献生活の年に寄せて―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出版部・編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https://www.cbcj.cat[...]
[23] 웹사이트 アッシジ:聖フランチェスコ聖堂と関連遺跡群 イタリア政府観光局(ENIT)公式サイト http://visitaly.jp/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