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가오카 히데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가오카 히데키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로, 유격수 및 2루수로 활약하고 있다. 2020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하여 2022년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으며, 2024년에는 최다 안타 타이틀을 획득했다. 고등학교 시절 아버지의 영향으로 야구를 시작하여, 야치요 쇼킨 고등학교에서 유격수로 활약했다. 프로 입단 후 2022년부터 주전 유격수로 자리 잡았으며, 2024년에는 타율 .288, 163안타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야마사키 고타로
야마사키 고타로는 빠른 발과 강한 어깨를 가진 외야수로서 2016년부터 2024년까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활동하며 2021년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 2025년부터 2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사카구치 도모타카
사카구치 도모타카는 효고현 고베시 출신의 일본 프로 야구 선수이자 야구 해설가로, 오사카 킨테츠 버펄로스, 오릭스 버펄로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외야수와 1루수로 활동하며 뛰어난 타격과 수비 능력을 보여 2011년 퍼시픽 리그 최다 안타,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 연속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고 2022년 은퇴 후 야구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일본의 프로 야구단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는 1950년 창단되어 국철, 산케이 시대를 거쳐 야쿠르트가 인수 후 현재의 팀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노무라 가쓰야 감독 시절을 포함하여 일본 시리즈 우승 6회를 기록하는 등 센트럴리그의 강팀으로, 독특한 응원 문화와 마스코트로도 유명하다. - 일본의 프로 야구단 - 야마사키 고타로
야마사키 고타로는 빠른 발과 강한 어깨를 가진 외야수로서 2016년부터 2024년까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활동하며 2021년 일본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고, 은퇴 후 2025년부터 2군 외야 수비 주루 코치로 활동할 예정이다. - 지바현 출신 야구 선수 - 모리 시게카즈
모리 시게카즈는 일본 프로야구 선수, 감독, 야구 해설가 및 평론가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 선수 시절 최우수 구원 투수상을 수상했으며, 주니치 드래곤즈 감독으로 NPB 최고령 감독 데뷔 기록을 세웠고, 은퇴 후 야구 해설 및 평론가, 저술가로 활동하고 있다. - 지바현 출신 야구 선수 - 마루 요시히로
마루 요시히로는 일본 프로야구 선수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활약하며, 고교 통산 49홈런을 기록한 후 꾸준한 성장으로 팀의 중심 타자가 되었고, 다수의 수상 경력과 국가대표 활약까지 더해 뛰어난 타격, 수비, 주루 능력을 갖춘 선수로 평가받는다.
나가오카 히데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나가오카 히데키 |
원어 이름 | 長岡 秀樹 |
로마자 표기 | Hideki Nagaoka |
출생일 | 2001년 9월 26일 |
출생지 | 지바현 후나바시시 |
국적 | 일본 |
신장 | 174cm |
체중 | 74kg |
포지션 | 내야수 |
투구 | 우투 |
타석 | 좌타 |
데뷔 리그 | NPB |
데뷔일 | 2020년 10월 23일 |
데뷔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
등번호 | 7 |
![]() | |
![]() | |
프로 입단 정보 | |
드래프트 연도 | 2019년 |
드래프트 순위 | 5순위 |
소속팀 | |
소속팀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20년 ~ 현재) |
수상 내역 | |
올스타 | 3회 NPB 올스타 (2022년~2024년) |
미쓰이 골든 글러브상 | 1회 (2022년) |
연봉 정보 | |
2023년 연봉 | 3,300만 엔 |
2025년 연봉 | 9200만 엔 |
2023년 시즌 기록 | |
타율 | 0.230 |
안타 | 225 |
홈런 | 12 |
타점 | 83 |
학력 | |
고등학교 | 야치요쇼인 고등학교 |
외부 링크 | |
NPB 선수 등록 정보 | Register : Nagaoka, Hideki (Tokyo Yakult Swallows) |
소속팀 선수 정보 | 長岡 秀樹 | 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 |
2. 프로 입단 전
부나시시립 코와가마 소학교 1학년 때 학동 야구팀인 시즈노다이 완팍즈에 들어가 야구를 시작했다.[4] 야구를 시작한 계기는 중학교 교사이자 야구부 감독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이었다.[5] 부나시시립 오아나 중학교에서는 연식 야구부에 소속되어 있었다.[6]
야치요 쇼킨 고등학교에서는 "1번·유격수"를 맡았고,[7] 고시엔 출전은 없었지만, 3학년 여름 치바대회 4회전 센슈대 마츠도전에서 요코야마 리쿠토로부터 홈런을 치는 등 활약을 보였다.[8] 최종적으로 결승전에서 나라시노에 패했지만 준우승을 차지했다.[9] 고등학교 1년 선배에 키요미야 코타로가 있었고, 키요미야를 보러 온 스카우트와 센슈대 마츠도 전에서 요코야마를 보러 온 스카우트의 눈에 띄어 프로 구단으로부터 주목받게 되었다.[10][11]
2. 1. 유소년 시절
부나시시립 코와가마 소학교 1학년 때 학동 야구팀인 시즈노다이 완팍즈에 들어가 야구를 시작했다.[4] 야구를 시작한 계기는 중학교 교사이자 야구부 감독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이었다.[5] 부나시시립 오아나 중학교에서는 연식 야구부에 소속되어 있었다.[6]야치요 쇼킨 고등학교에서는 "1번·유격수"를 맡았고,[7] 고시엔 출전은 없었지만, 3학년 여름 치바대회 4회전 센슈대 마츠도전에서 요코야마 리쿠토로부터 홈런을 치는 등 활약을 보였다.[8] 최종적으로 결승전에서 나라시노에 패했지만 준우승을 차지했다.[9] 고등학교 1년 선배에 키요미야 코타로가 있었고, 키요미야를 보러 온 스카우트와 센슈대 마츠도 전에서 요코야마를 보러 온 스카우트의 눈에 띄어 프로 구단으로부터 주목받게 되었다.[10][11]
2. 2. 고등학교 시절
나가오카 히데키는 야치요 쇼킨 고등학교에서 "1번·유격수"를 맡았다.[7] 고시엔 출전은 없었지만, 3학년 여름 치바대회 4회전 센슈대 마츠도전에서 요코야마 리쿠토로부터 홈런을 치는 등 활약을 보였다.[8] 최종적으로 결승전에서 나라시노에 패했지만 준우승을 차지했다.[9] 고등학교 1년 선배에 키요미야 코타로가 있었고, 키요미야와 센슈대 마츠도 전에서 요코야마를 보러 온 스카우트의 눈에 띄어 프로 구단으로부터 주목받게 되었다.[10][11]3. 프로 경력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한 2020년에는 이스턴 리그에서 7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9, 2홈런, 26타점을 기록했다.[15] 2군에서는 동기인 무오카 류세이(武岡龍世)와 유격수-2루수를 자주 함께 했다. 시즌 후반에 1군에 처음으로 승격되었고,[16] 10월 3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도쿄돔)에서 8번 타자 2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이마무라 신키(今村信貴)로부터 좌전 프로 첫 안타를 기록했다.[17] 1군에서는 6경기에 출전했고, 안타는 이 한 개뿐이었으며 타율은 .083이었다.
2021년 3월 31일에 1군에 등록되었지만, 4월 5일에 말소되었다.[18] 이 해에는 1군에서 5경기에 출전하여 무안타에 그쳤지만, 2군에서는 전년도를 넘어 8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1, 7홈런의 성적을 기록하며 2군에 머무는 한 해가 되었다.[19]
2022년에는 오픈전에서 팀 2위인 5타점을 올리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개막 1군 엔트리에 합류했다.[20] 쿄세라 돔 오사카에서 열린 한신과의 개막전에서는 6번 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전했다. 7점차 열세였던 6회초에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는 적시타를 포함해 4안타를 치며 팀의 역전승에 기여했다.[21] 이후 한동안 2할대 타율을 기록했지만, 안정적인 수비와 당시 유격수 주전 후보였던 니시우라 나오유키와 모토야마 히유 등이 2군에서도 부진했던 것을 배경으로 주전으로 계속 기용되었다. 5월 6일 자이언츠전 (도쿄돔)에서는 타카나시 유헤이로부터 프로 첫 홈런을 쏘아 올렸다.[22] 이후 주전 포수 나카무라 유헤이가 1군에 복귀하고 상위 타선이 강화되면서 8번 타자로 고정되자 타격도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5월에는 3할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한때 이탈했지만, 주전 유격수 자리를 확립했고 10홈런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9홈런을 기록했고, 개인 첫 타석 기준에도 도달하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해였다. 또한 수비에서는 구단 역사상 최연소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고, 야쿠르트 유격수로서는 2003년 미야모토 신야 이후 19년 만의 수상이었다.[23] 팬 감사제가 열린 11월 27일에는 등번호가 '''7'''번으로 변경되는 것이 발표되었다.[24][25] 12월 7일, 27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33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26]
2023년에도 개막부터 야쿠르트의 유격수 주전을 맡았다. 5월 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전 (진구 구장)에서는 1점차로 뒤진 9회말 2사 상황에서 야마자키 야스아키(山﨑康晃)로부터 개인 첫 끝내기 홈런을 쏘아 올렸다.[27] 135경기에 출전하여 수비율 .986으로 리그 1위의 성적을 남겼지만,[28] 타율 .227 (타석 기준 달성 27명 중 최하위), 3홈런으로 타격 성적은 저조했다.[29] 시즌 종료 후 미야자키에서 열린 피닉스 리그에서는 3루수에 도전했지만,[30] 10월 25일 경기에서 수비 중 좌익수 사와이 렌(澤井廉)과 충돌하여 응급 후송되는 사고가 있었고,[31] 11월에 열린 가을 캠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32] 12월 12일, 8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41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3]
2024년에는 야수진 부상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개막부터 유격수 주전으로 출전했고, 팬 투표로 3년 연속 올스타에 선출되는 등 팀을 이끌었다. 7월 28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쿠리바야시 료지로부터 역전 끝내기 2루타를 기록했고,[34] 8월에는 타율 .384, 38안타를 기록했고, 9월 29일 자이언츠전에서 히라이치 류타로부터 끝내기 적시타를 치는 등 공수에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팀 야수 중 무라카미 무네타카와 함께 유격수로 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타율 .288, 163안타로 커리어 하이 성적을 기록했고, 콘모토 코우지와 아키야마 쇼고 등과의 안타수 경쟁에서 승리하여 최다 안타를 획득했다. 팀에서 이 타이틀을 획득한 것은 2015년 카와바타 신고 이후 9년 만이며, 개인 첫 타격 타이틀이 되었다.[35] 12월 20일, 51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92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6]
3. 1.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시절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한 2020년에는 이스턴 리그에서 7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9, 2홈런, 26타점을 기록했다.[15] 2군에서는 동기인 무오카 류세이(武岡龍世)와 유격수-2루수를 자주 함께 했다. 시즌 후반에 1군에 처음으로 승격되었고,[16] 10월 3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도쿄돔)에서 8번 타자 2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이마무라 신키(今村信貴)로부터 좌전 프로 첫 안타를 기록했다.[17] 1군에서는 6경기에 출전했고, 안타는 이 한 개뿐이었으며 타율은 .083이었다.3월 31일에 1군에 등록되었지만, 4월 5일에 말소되었다.[18] 이 해에는 1군에서 5경기에 출전하여 무안타에 그쳤지만, 2군에서는 전년도를 넘어 8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1, 7홈런의 성적을 기록하며 2군에 머무는 한 해가 되었다.[19]
2022년에는 오픈전에서 팀 2위인 5타점을 올리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개막 1군 엔트리에 합류했다.[20] 쿄세라 돔 오사카에서 열린 한신과의 개막전에서는 6번 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전했다. 7점차 열세였던 6회초에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는 적시타를 포함해 4안타를 치며 팀의 역전승에 기여했다.[21] 이후 한동안 2할대 타율을 기록했지만, 안정적인 수비와 당시 유격수 주전 후보였던 니시우라 나오유키와 모토야마 히유 등이 2군에서도 부진했던 것을 배경으로 주전으로 계속 기용되었다. 5월 6일 자이언츠전 (도쿄돔)에서는 타카나시 유헤이로부터 프로 첫 홈런을 쏘아 올렸다.[22] 이후 주전 포수 나카무라 유헤이가 1군에 복귀하고 상위 타선이 강화되면서 8번 타자로 고정되자 타격도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5월에는 3할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한때 이탈했지만, 주전 유격수 자리를 확립했고 10홈런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9홈런을 기록했고, 개인 첫 타석 기준에도 도달하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해였다. 또한 수비에서는 구단 역사상 최연소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고, 야쿠르트 유격수로서는 2003년 미야모토 신야 이후 19년 만의 수상이었다.[23] 팬 감사제가 열린 11월 27일에는 등번호가 '''7'''번으로 변경되는 것이 발표되었다.[24][25] 12월 7일, 27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33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26]
2023년에도 개막부터 야쿠르트의 유격수 주전을 맡았다. 5월 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전 (진구 구장)에서는 1점차로 뒤진 9회말 2사 상황에서 야마자키 야스아키(山﨑康晃)로부터 개인 첫 끝내기 홈런을 쏘아 올렸다.[27] 135경기에 출전하여 수비율 .986으로 리그 1위의 성적을 남겼지만,[28] 타율 .227 (타석 기준 달성 27명 중 최하위), 3홈런으로 타격 성적은 저조했다.[29] 시즌 종료 후 미야자키에서 열린 피닉스 리그에서는 3루수에 도전했지만,[30] 10월 25일 경기에서 수비 중 좌익수 사와이 렌(澤井廉)과 충돌하여 응급 후송되는 사고가 있었고,[31] 11월에 열린 가을 캠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32] 12월 12일, 8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41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3]
2024년에는 야수진 부상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개막부터 유격수 주전으로 출전했고, 팬 투표로 3년 연속 올스타에 선출되는 등 팀을 이끌었다. 7월 28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쿠리바야시 료지로부터 역전 끝내기 2루타를 기록했고,[34] 8월에는 타율 .384, 38안타를 기록했고, 9월 29일 자이언츠전에서 히라이치 류타로부터 끝내기 적시타를 치는 등 공수에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팀 야수 중 무라카미 무네타카와 함께 유격수로 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타율 .288, 163안타로 커리어 하이 성적을 기록했고, 콘모토 코우지와 아키야마 쇼고 등과의 안타수 경쟁에서 승리하여 최다 안타를 획득했다. 팀에서 이 타이틀을 획득한 것은 2015년 카와바타 신고 이후 9년 만이며, 개인 첫 타격 타이틀이 되었다.[35] 12월 20일, 51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92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6]
3. 1. 1. 2020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 입단한 2020년에는 이스턴 리그에서 71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19, 2홈런, 26타점을 기록했다.[15] 2군에서는 동기인 무오카 류세이(武岡龍世)와 유격수-2루수를 자주 함께 했다. 시즌 후반에 1군에 처음으로 승격되었고,[16] 10월 3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 (도쿄돔)에서 8번 타자 2루수로 선발 출전하여 이마무라 신키(今村信貴)로부터 좌전 프로 첫 안타를 기록했다.[17] 1군에서는 6경기에 출전했고, 안타는 이 한 개뿐이었으며 타율은 .083이었다.3. 1. 2. 2021년
3월 31일에 1군에 등록되었지만, 4월 5일에 말소되었다.[18] 이 해에는 1군에서 5경기에 출전하여 무안타에 그쳤지만, 2군에서는 전년도를 넘어 82경기에 출전하여 타율 .261, 7홈런의 성적을 기록하며 2군에 머무는 한 해가 되었다.[19]3. 1. 3. 2022년
2022년에는 오픈전에서 팀 2위인 5타점을 올리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개막 1군 엔트리에 합류했다.[20] 쿄세라 돔 오사카에서 열린 한신과의 개막전에서는 6번 타자 유격수로 선발 출전했다. 7점차 열세였던 6회초에 역전의 발판을 마련하는 적시타를 포함해 4안타를 치며 팀의 역전승에 기여했다.[21] 이후 한동안 2할대 타율을 기록했지만, 안정적인 수비와 당시 유격수 주전 후보였던 니시우라 나오유키와 모토야마 히유 등이 2군에서도 부진했던 것을 배경으로 주전으로 계속 기용되었다. 5월 6일 자이언츠전 (도쿄돔)에서는 타카나시 유헤이로부터 프로 첫 홈런을 쏘아 올렸다.[22] 이후 주전 포수 나카무라 유헤이가 1군에 복귀하고 상위 타선이 강화되면서 8번 타자로 고정되자 타격도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고, 5월에는 3할 이상의 타율을 기록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영향으로 한때 이탈했지만, 주전 유격수 자리를 확립했고 10홈런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9홈런을 기록했고, 개인 첫 타석 기준에도 도달하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해였다. 또한 수비에서는 구단 역사상 최연소로 골든 글러브상을 수상했고, 야쿠르트 유격수로서는 2003년 미야모토 신야 이후 19년 만의 수상이었다.[23] 팬 감사제가 열린 11월 27일에는 등번호가 '''7'''번으로 변경되는 것이 발표되었다.[24][25] 12월 7일, 27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33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26]3. 1. 4. 2023년
2023년에도 개막부터 야쿠르트의 유격수 주전을 맡았다. 5월 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전 (진구 구장)에서는 1점차로 뒤진 9회말 2사 상황에서 야마자키 야스아키(山﨑康晃)로부터 개인 첫 끝내기 홈런을 쏘아 올렸다.[27] 135경기에 출전하여 수비율 .986으로 리그 1위의 성적을 남겼지만,[28] 타율 .227 (타석 기준 달성 27명 중 최하위), 3홈런으로 타격 성적은 저조했다.[29] 시즌 종료 후 미야자키에서 열린 피닉스 리그에서는 3루수에 도전했지만,[30] 10월 25일 경기에서 수비 중 좌익수 사와이 렌(澤井廉)과 충돌하여 응급 후송되는 사고가 있었고,[31] 11월에 열린 가을 캠프에는 참가하지 않았다.[32] 12월 12일, 8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41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3]3. 1. 5. 2024년
2024년에는 야수진 부상자가 속출하는 가운데 개막부터 유격수 주전으로 출전했고, 팬 투표로 3년 연속 올스타에 선출되는 등 팀을 이끌었다. 7월 28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쿠리바야시 료지로부터 역전 끝내기 2루타를 기록했고,[34] 8월에는 타율 .384, 38안타를 기록했고, 9월 29일 자이언츠전에서 히라이치 류타로부터 끝내기 적시타를 치는 등 공수에서 존재감을 보여주었다. 팀 야수 중 무라카미 무네타카와 함께 유격수로 전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타율 .288, 163안타로 커리어 하이 성적을 기록했고, 콘모토 코우지와 아키야마 쇼고 등과의 안타수 경쟁에서 승리하여 최다 안타를 획득했다. 팀에서 이 타이틀을 획득한 것은 2015년 카와바타 신고 이후 9년 만이며, 개인 첫 타격 타이틀이 되었다.[35] 12월 20일, 5100만엔 증액된 추정 연봉 92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6]4. 수상 및 타이틀 경력
4. 1. 타이틀
나가오카 히데키는 2024년에 최다 안타 타이틀을 1회 획득했다.4. 2. 수상
나가오카 히데키는 2024년에 베스트 나인(유격수 부문)에 선정되었다.[47] 2022년에는 골든 글러브상(유격수 부문)을 수상했다.[48] 또한 2024년에 스카파! 드라마틱 사요나라상 연간 대상을 1회 수상했으며,[49][43] 2023년 5월과[44] 2024년 7월,[45] 총 2회에 걸쳐 월간 사요나라상을 수상했다.5. 개인 기록
- 첫 출장·첫 선발 출장: 2020년 10월 23일, 대 주니치 드래건스 21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7번·2루수로 선발 출장
- 첫 타석: 상동, 2회말 야리엘 로드리게스로부터 좌익 뜬공
- 첫 안타: 2020년 10월 30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20차전(도쿄 돔), 5회초에 이마무라 노부타카로부터 좌전 안타
- 첫 타점: 2022년 3월 25일, 대 한신 타이거스 1차전(교세라 돔 오사카), 6회초에 후지나미 신타로로부터 우중간 적시 2루타
- 첫 홈런: 2022년 5월 6일, 대 요미우리 자이언츠 7차전(도쿄 돔), 9회초에 다카나시 유헤이로부터 우월 2점 홈런
- 첫 도루: 2022년 6월 17일,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 7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 8회말에 2루 안착(투수: 호리에 아쓰야, 포수: 나카무라 쇼세이)
올스타전에 3회(2022년, 2023년, 2024년) 출장했다.
5. 1. 기타
올스타전에 3회(2022년, 2023년, 2024년) 출장했다.6. 상세 정보
6. 1. 연도별 타격 성적
도
속
기
석
수
점
타
루
타
루
타
런
타
점
루
루
자
생
번
생
플
넷
생
4
구
진
살
타
율
루
율
타
율
P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