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무달리기딱새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무달리기딱새류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 과로, 호주, 뉴기니, 인도네시아의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 이들은 육식성이며, 곤충과 유충을 주로 먹고, 젖은 숲에서 가시 돋친 꼬리를 지지대 삼아 땅을 파서 먹이를 찾는다. 나무달리기딱새류는 3종으로 구성되며, 일부일처제를 따르지만 수컷 새끼는 둥지를 떠난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태어난 영역에 머무는 경우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무달리기딱새류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나무달리기딱새과 (Orthonychidae)
나무달리기딱새속 (Orthonyx)
학명Orthonyx
속 명명자Temminck, 1820
과 명명자G.R. Gray, 1840
모식종Orthonyx temminckii
모식종 명명자Ranzani, 1822
하위 분류Orthonyx novaeguineae
Orthonyx temminckii
Orthonyx spaldingii
기타
위키종Orthonyx
공용 분류Orthonyx

2. 분류

나무달리기딱새과의 계통 관계를 파악하는 데 화석 기록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현재까지 알려진 선사 시대 종은 세 종이다. 화석 동굴에서 발견된 매우 큰 종인 ''Orthonyx hypsilophus''와 피라미드 동굴에서 발견된 미기재 종은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호주나무달리기딱새보다 약간 작았다.[2] ''Orthonyx kaldowinyeri''[3]는 리버슬리의 중기 또는 후기 마이오세 퇴적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종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가장 작다.

나무달리기딱새과는 하늘다람쥐새속만을 포함하는 단형 과이다. 한때 푸른두건새속(Ifrita)을 포함하는 설도 있었지만, 까마귀사촌과에 근연인 것으로 보인다.[11]

나무달리기딱새과는 참새목의 초기에 분기된 위치가 불분명한 과 중 하나로, 까마귀상과에 포함되기도 했다.[12][11] 시블리 분류에서도 까마귀상과에 포함되었다.

2. 1. 하위 종

그림학명일반명칭분포
Orthonyx novaeguineae파푸아나무달리기딱새뉴기니
Orthonyx temminckii호주나무달리기딱새오스트레일리아 동부
Orthonyx spaldingii초윌라오스트레일리아



나무달리기딱새류에는 3종이 속한다.[13]

3. 계통 분류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명금류의 계통 분류이다.[14]

{| class="wikitable"

|-

! 명금류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요정굴뚝새과

|-

|

{| class="wikitable"

|-

| 수염솔새과

|-

|

{| class="wikitable"

|-

|



|-

| 꿀빨기새과

|}

|}

|}

|}

|-

|

{| class="wikitable"

|-

|



|-

|



|}

|}

|}

|}

|}

화석 기록은 나무달리기딱새과의 계통 관계를 파악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과학계에 알려진 선사 시대 종은 세 종이다. 화석 동굴에서 발견된 매우 큰 종인 ''Orthonyx hypsilophus''와 피라미드 동굴에서 발견된 미기재 종은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며, 이 종은 호주 나무달리기딱새보다 약간 작았다.[2] ''Orthonyx kaldowinyeri''[3]는 리버슬리의 중기 또는 후기 마이오세 퇴적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종 중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가장 작다(Boles, 1993).

하늘다람쥐새과는 하늘다람쥐새속만을 포함하는 단형 과이다. 푸른두건새속(Ifrita)을 포함하는 설도 있었지만, 푸른두건새속은 까마귀사촌과에 근연인 것으로 보인다[11]

하늘다람쥐새과는 참새목의 초기에 분기된 위치가 불분명한 과 중 하나이다.[12][11] 까마귀상과에 포함되기도 했다. 시블리 분류에서는 까마귀상과에 포함되었다.

4. 특징

나무달리기딱새류는 길이가 17cm~20cm이다. 반면에 덩치가 큰 초윌라는 길이가 약 26cm~28cm로 훨씬 더 크다.[4] 초윌라는 몸 윗부분이 짙은 갈색이고 머리는 검은색이며 눈 주위에 청회색 고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에 나무달리기딱새류는 올리브색, 회색, 얼룩덜룩한 검은색 깃털이 혼합된 무늬를 보인다. 수컷 나무달리기딱새류는 목이 흰색이고, 암컷은 목과 가슴 윗부분이 적갈색이다.

5. 생태

나무달리기딱새류는 날갯짓이 약한 반육상 조류이다. 이들은 육식성으로 곤충과 유충을 주로 먹으며, 더 큰 검은가슴땅꼬리치레는 작은 도마뱀도 먹는다.[5] 젖은 숲에서 가시 돋친 꼬리를 지지대 삼아 땅을 파서 먹이를 찾는다.

5. 1. 사회 구조와 번식

나무달리기딱새류는 다소 특이한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본적으로 일부일처제를 따르지만,[5] 수컷 새끼는 둥지를 떠난 후 1년 이상 태어난 영역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6]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미 새만 새끼에게 먹이를 주고, 훨씬 더 큰 수컷은 주로 영역 방어와 포식으로부터 암컷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새끼의 보유 패턴은 얼룩지빠귀,[7] 까마귀속인 ''Perisoreus'',[8] 및 바스타드속인 ''Eupodotis''에서도 발생한다.

굴뚝새와 마찬가지로 나무달리기딱새류는 일반적으로 6월부터 9월까지 남반구의 겨울에 번식하지만, 기상 조건에 따라 한 달 이상 연장되는 경우가 많다. 차우칠라와 파푸아나무달리기딱새는 알을 한 개만 낳는 반면, 호주나무달리기딱새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알을 낳지만, 한 개 또는 세 개의 알을 낳았다는 보고도 일부 존재한다.[5] 알은 관 모양으로 매우 특이하며, 순백색을 띤다. 또한, 포란 기간은 모든 참새목 조류 중에서 가장 길다. 새끼는 일반적으로 2주에서 2주 반 만에 어미로부터 독립하는데, 이것은 곤충을 먹는 호주 새 중에서는 매우 짧은 기간이다.[6] 둥지를 떠난 후 40일에서 60일 동안 부모의 보살핌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9] 이것은 호주에서 건조한 서식지의 새와 달리, 다른 개체의 보살핌이 새끼를 기르는 데 불필요하고 포식의 위험을 실제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이유일 것이다. 둥지는 돔 형태로, 완전히 나뭇가지로 만들어지며, 나무 아래 땅에 위치한다. 동호주 해안의 전형적인 폭우로 인해 알이 손상되는 것을 막기 위한 특수 덮개가 있다.

수컷은 굴뚝새와 같은 춤과 같은 행동을 한다고 묘사된다.

5. 2. 수명

따뜻한 열대 우림 서식지에 적응한 나무달리기딱새류는 매우 오래 살 수 있다. 고리표지 자료가 있는 유일한 종인 검은발딱새는 평균 수명이 약 5년이며, 최대 17년까지 산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6. 분포

호주나무타기딱새류는 호주 동부 해안을 따라 위치한 습한 저지대 숲에 서식한다. 파푸아나무타기딱새류는 인도네시아파푸아뉴기니의 열대 산림에서 발견된다. 차우칠라는 퀸즐랜드 북동부의 열대 우림에 서식한다.

7. 참고 문헌


  • '''델 오요''', J.; 엘리엇, A. & 크리스티 D. (편집자). (2007). ''세계의 새 핸드북''. 12권: Picathartes to Tits and Chickadees. Lynx Edicions.

참조

[1] 웹사이트 Orthonychidae https://www.aviansys[...] The Trust for Avian Systematics 2023-07-16
[2] 논문 A Logrunner Orthonyx (Passeriformes: Orthonychidae) from the Miocene of Riversleigh, North-western Queensland 1993
[3] 문서 Etymology
[4] 서적 National Geographic Complete Birds of the World National Geographic 2009
[5] 서적 Handbook of Australian, New Zealand and Antarctic Birds
[6] 논문 The nesting biology of the Chowchilla Orthonyx spaldingii (Orthonychidae) 1997
[7] 논문 Stepping stones of life: natal dispersal in the group-living but noncooperative speckled warbler
[8] 웹사이트 Adaptations and constraints in the evolution of delayed dispersal: implications for cooperation http://www.rug.nl/fm[...]
[9] 논문 Avian Life Histories: Is Extended Parental Care the Southern Secret? http://www.publish.c[...] 2000
[10] 웹사이트 Chowchilla http://www.environme[...] Australian Bird and Bat Banding Scheme
[11] 논문 A multi-gene phylogeny reveals novel relationships for aberrant genera of Australo-Papuan core Corvoidea and polyphyly of the Pachycephalidae and Psophodidae (Aves: Passeriformes) http://www.nrm.se/do[...]
[12] 논문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rgest avian radiation http://www.pnas.org/[...]
[13]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2.4: Lyrebirds http://www.worldbird[...] IOC team
[14] 저널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