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참새하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새하목은 시블리 알퀴스트 조류 분류 체계에서 참새아목에 속하는 분류군 중 하나이다. 참새하목은 참새소목, 딱새소목, 흰턱딱새소목의 3개 소목으로 나뉘며, 흰턱딱새소목은 다시 흰턱딱새상과, 오목눈이상과, 섬개개비상과로, 딱새소목은 여새상과와 딱새상과 등으로 세분된다. 참새하목에는 크네모필루스과, 멜라노카리스과, 아랫볏찌르레기과, 노티오미스티스과,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 뜸부기꼬리치레과, 흰턱딱새소목, 딱새소목, 참새소목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참새하목 - 카이톱스속
    카이톱스속은 바위새과에 속하는 조류의 한 속으로, 검정, 흰색, 빨간색 깃털을 가진 작은 새이며 곤충을 먹고 살고, DNA 연구를 통해 바위새과와 자매 관계임이 밝혀졌다.
  • 참새하목 - 스티치버드
    스티치버드는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숲, 습지, 초원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한 작은 새로, 과거 멸종 위기를 겪었으나 현재는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참새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참새하목
Zonotrichia atricapilla
Zonotrichia atricapilla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참새목
아목참새아목
하목참새하목 (Passerides)
하위 분류
기저 분류군크네모필루스과 (Cnemophilidae)
멜라노카리스과 (Melanocharitidae)
아랫볏찌르레기과 (Callaeidae)
노티오미스티스과 (Notiomystidae)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 (Petroicidae)
뜸부기꼬리치레과 (Eupetidae)
바위새과 (Picathartidae)
카이톱스과 (Chaetopidae)
소목흰턱딱새소목 (Sylviida)
딱새소목 (Muscicapida)
참새소목 (Passerida)

2. 분류학

시블리 알퀴스트 조류 분류 체계에서 참새아목에 포함되는 2개의 소목(parvorder) 분류군 중 하나로 분류했다.[3]

3. 하위 분류

계통 분류비고
참새하목 기저 분류군크네모필루스과 (Cnemophilidae)
멜라노카리스과 (Melanocharitidae)
아랫볏찌르레기과 (Callaeidae)
노티오미스티스과 (Notiomystidae)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 (Petroicidae)
뜸부기꼬리치레과 (Eupetidae)
바위새과 (Picathartidae)
흰턱딱새소목 (Sylviida)
힐리오타과 (Hyliotidae)
요정솔딱새과 (Stenostiridae)스테노스티라과로도 불림
박새과 (Paridae)
스윈호오목눈이과 (Remizidae)
수염오목눈이과 (Panuridae)단일종 수염오목눈이
종다리과 (Alaudidae)
니카토르과 (Nicatoridae)
아프리카솔새과 (Macrosphenidae)마크로스페누스과로도 불림
개개비사촌과 (Cisticolidae)
섬개개비상과 (Locustelloidea)개개비과 (Acrocephalidae)
섬개개비과 (Locustellidae)
도나코비우스과 (Donacobiidae)단일종 검은머리도나코비우스
마다가스카르솔새과 (Bernieridae)
프노이피가과 (Pnoepygidae)
제비과 (Hirundinidae)
흰턱딱새상과 (Sylvioidea)직박구리과 (Pycnonotidae)
흰턱딱새과 (Sylviidae)쇠흰턱딱새속 (Sylvia) 포함
Paradoxornithidae
동박새과 (Zosteropidae)
꼬리치레과 (Timaliidae)
상사조과 (Leiothrichidae)
알키페과 (Alcippeidae)
오목눈이상과 (Aegithaloidea)땅꼬리치레과 (Pellorneidae)
솔새과 (Phylloscopidae)
힐리아과 (Hyliidae)
오목눈이과 (Aegithalidae)
Scotocercidae
휘파람새과 (Cettiidae)세티아속 (Cettia)과 휘파람새속 (Horornis) 포함
기타카이톱스과 (Chaetopidae)참새하목 기저 분류군
Erythrocercidae오목눈이상과 (Aegithaloidea)
여새상과 (Bombycilloidea)Elachuridae딱새상과 (Muscicapoidea)
종려나무떠들썩새과 (Dulidae)단일종 종려나무떠들썩새
여새과 (Bombycillidae)
비단털여새과 (Ptiliogonatidae)
Hylocitreidae
검은깃여새사촌과 (Hypocoliidae)단일종 검은깃여새사촌
오오과 (Mohoidae)
딱새상과 (Muscicapoidea)물까마귀과 (Cinclidae)
딱새과 (Muscicapidae)
개똥지빠귀과 (Turdidae)지빠귀과로도 불림
소등쪼기새과 (Buphagidae)
찌르레기과 (Sturnidae)
흉내지빠귀과 (Mimidae)
상모솔새과 (Regulidae)
나무발바리상과 (Certhioidea)나무타기사촌과 (Tichodromadidae)단일종 나무타기사촌
동고비과 (Sittidae)
나무발바리과 (Certhiidae)
모기잡이과 (Polioptilidae)
굴뚝새과 (Troglodytidae)
참새소목 (Passerida)사탕새과 (Promeropidae)
Modulatricidae
태양새과 (Nectariniidae)
꽃새과 (Dicaeidae)
나뭇잎새과 (Chloropseidae)
파랑나뭇잎새과 (Irenidae)
올리브솔새과 (Peucedramidae)
프르제발스키되새과 (Urocynchramidae)단일종 프르제발스키되새
베짜는새과 (Ploceidae)
천인조과 (Viduidae)
밀랍부리과 (Estrildidae)
바위종다리과 (Prunellidae)
참새과 (Passeridae)
할미새과 (Motacillidae)
되새과 (Fringillidae)
멧새상과 (Emberizoidea)지빠귀풍금조과 (Rhodinocichlidae)
긴발톱멧새과 (Calcariidae)
멧새과 (Emberizidae)
홍관조과 (Cardinalidae)
미트로스핑구스풍금조과 (Mitrospingidae)
풍금조과 (Thraupidae)
신대륙참새과 (Passerellidae)
아메리카솔새과 (Parulidae)
찌르레기사촌과 (Icteridae)
Calyptophilidae
굴뚝지빠귀과 (Zeledoniidae)
쿠바솔새과 (Teretistridae)
푸에르토리코풍금조과 (Nesospingidae)
스핀달리스과 (Spindalidae)
히스파니올라풍금조과 (Phaenicophilidae)


4. 계통 분류

시블리 알퀴스트 조류 분류 체계는 참새아목을 2개의 소목 분류군 중 하나로 분류했다.[3]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명금류와 참새하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5]

{| class="wikitable"

|-

! 명금류

|-

|

{| class="wikitable"

|-

| 덤불새과

|-

| 금조과

|-

|

{| class="wikitable"

|-

| 나무타기과

|-

| 바우어새과

|-

|

{| class="wikitable"

|-

| 요정굴뚝새과

|-

|

{| class="wikitable"

|-

| 수염솔새과

|-

|



|}

|}

|}

|-

|

{| class="wikitable"

|-

| 오스트레일리아꼬리치레과

|-

| 나무달리기딱새과

|-

|

까마귀하목
참새하목



|}

|}

|}

|}

|}

|}

4. 1. 명금류 내 계통

시블리 알퀴스트 조류 분류 체계에서 참새아목에 포함되는 2개의 소목 분류군 중 하나로 분류했다.[3]

다음은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참새하목의 계통 분류이다.[5]

{| class="wikitable"

|-

! 참새하목

|-

|

{| class="wikitable"

|-

| 크네모필루스과

|-

| 멜라노카리스과

|-

|



|-

|

{| class="wikitable"

|-

|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

|-

| 뜸부기꼬리치레과 (바위새속/카이톱스속 포함)

|-

|

{| class="wikitable"

|-

| 흰턱딱새소목

|-

|



|}

|}

|}

|}

|}

4. 2. 참새하목 내 계통

2019년 올리버로스(Oliveros) 등의 연구에 의한 참새하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분지군| style=font-size:85%;line-height:80%

|분류1=참새하목

|1={{분지군

|1=크네모필루스과

|2={{분지군

|1=멜라노카리스과

|2={{분지군

|1={{분지군

|1=아랫볏찌르레기과

|2=노티오미스티스과

}}

|2={{분지군

|1={{분지군

|1=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

|2=뜸부기꼬리치레과(바위새속/카이톱스속 포함)

}}

|2={{분지군

|1=흰턱딱새소목

|2={{분지군

|1=딱새소목

|2=참새소목

}}

}}

}}

}}

}}

}}

참조

[1] 논문 A phylogenetic supertree of oscine passerine birds (Aves: Passeri) 2006
[2] 웹사이트 Passerida. Version 23 June 2008 (under construction). http://tolweb.org/Pa[...] 2008
[3] 서적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birds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Conn. 1990
[4] 간행물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2019
[5] 간행물 Earth history and the passerine superradiation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