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세르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세르주의는 1950~60년대 아랍 세계에서 강력한 정치 이념으로 부상했으며, 가말 압델 나세르 이집트 대통령의 통치 기간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랍 민족주의, 범아랍주의, 사회주의를 결합한 이념으로, 반제국주의, 비동맹 노선을 지향하며 아프리카와 개발도상국에도 영향을 미쳤다. 1967년 6일 전쟁 패배와 나세르의 사망 이후 쇠퇴했지만, 아랍 세계의 정치적 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대에는 이집트 내 나세르주의 정당들이 존재하며, 레바논에서도 나세르주의 운동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나세르주의는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좌익 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랍 사회주의 - 국민해방전선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알제리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사회주의, 이슬람주의를 이념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알제리 독립을 이끌었고, 독립 이후 알제리 정치를 지배해 온 주요 정당이다.
  • 아랍 사회주의 - 제3국제이론
    제3국제이론은 무아마르 카다피가 제시한 정치 철학으로, 유럽식 민주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비판하며 인민 권력, 사회주의, 이론의 공공적 측면을 핵심으로 한다.
  • 나세르주의 - 아랍 사회주의 연합 (이집트)
    아랍 사회주의 연합은 1962년 가말 압델 나세르에 의해 이집트의 유일한 정당으로 설립되어 나세르와 사다트 집권기에 이집트 정치를 지배했으나, 사다트의 개방화 정책과 다원주의 도입으로 해체되고 분화된 여러 정당들이 이집트 정치에서 역할을 했다.
  • 나세르주의 - 이집트 공화국의 역사
    이집트 공화국의 역사는 1952년 혁명 이후 나세르, 사다트, 무바라크를 거쳐 엘시시 대통령 시대까지 이집트의 정치, 사회, 경제적 변화와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주요 사건들을 연대기적으로 다룬다.
  • 국가 이념 - 마르크스-레닌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레닌과 후계자들이 재해석하고 발전시킨 이념으로, 생산수단의 공동소유와 계급투쟁을 중시하며 공산당 주도의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평등 사회를 목표로 했으나, 권위주의 통치, 냉전, 소련 붕괴 등으로 영향력이 감소했고 현재 일부 국가에서만 권력을 유지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 국가 이념 - 케말주의
    케말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사상에서 비롯된 이념으로 공화주의, 민족주의, 세속주의, 대중주의, 국가주의, 개혁주의의 6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터키의 근대화와 세속 국가 건설을 목표로 하며 정치, 사회,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나세르주의 - [정당]에 관한 문서
개요
살라딘의 독수리
살라딘의 독수리
로마자 표기at-Tayyār an-Nāṣirī
정치 이념
국내 정책아랍 민족주의
좌익 민족주의
진보주의
세속주의
공화주의
경제 정책좌익 포퓰리즘
아랍 사회주의
아프리카 사회주의
외교 정책제3세계주의
범아랍주의
반제국주의
반시오니즘
정치 성향
위치좌익
상징
깃발 제목아랍 해방 깃발
깃발[[File:Flag of Egypt without eagle.svg|170px|border]]
국가
해당 국가이집트

2. 역사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의 집권과 함께 등장한 나세르주의는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아랍 세계에서 강력한 정치 이념으로 부상했다. 그러나 1967년 6일 전쟁에서 아랍 국가들이 패배하면서 나세르와 나세르주의는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나세르의 후계자들은 나세르주의의 주요 원칙을 수정하거나 폐기하면서, 이집트는 신자유주의 정책을 도입하고 미국, 이스라엘과 긴밀한 관계를 맺는 등 이전과는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2. 1. 초기 발전 (1950년대-1960년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나세르주의는 아랍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 이념 중 하나였다. 특히 1956년 수에즈 위기(이집트에서는 삼자 침공으로 알려짐) 이후 더욱 두드러졌으며, 이 위기의 정치적 결과는 나세르주의의 정당성을 입증하고 서방 세계제국주의 세력에게 엄청난 패배를 안겨준 것으로 여겨졌다. 냉전 시대 동안 나세르주의의 영향력은 반제국주의와 비동맹 노선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개발도상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느껴졌다.

2. 2. 쇠퇴와 변화 (1970년대 이후)

1967년 6일 전쟁에서 아랍이 패배하면서 나세르와 나세르주의의 위상이 크게 손상되었다.[21] 1970년 나세르가 사망한 후, 그의 후계자인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은 수정 혁명과 인피타흐 경제 정책을 통해 나세르주의의 주요 원칙들을 수정하거나 완전히 폐기했다.[21]

사다트의 후계자인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 시대에는 나세르주의 원칙과 대립하는 신자유주의 정책이 도입되면서, 남아 있던 아랍 사회주의 기반 시설 대부분이 대체되었다. 무바라크는 미국이스라엘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며 전통적인 이집트의 외교 정책에서 벗어났는데, 이스라엘은 1948년부터 1973년까지 이집트와 다섯 차례 전쟁을 치렀기 때문에 대부분의 이집트인들은 여전히 이스라엘에 대해 적대감과 불신을 가지고 있었다.[21]

나세르 시대에는 이집트 정부가 나세르주의 단체들을 지원하고 재정적으로 후원하여 아랍 세계에 혁명적 민족주의를 확산시키려 했다. 1970년대에는 젊은 아랍 혁명가들이 등장하면서 이집트 밖의 나세르주의는 레바논 내전 당시 레바논 국민 운동과 같은 다른 아랍 민족주의 및 범아랍주의 운동으로 발전했다. 오늘날 레바논에서는 오사마 사드가 이끄는 대중 나세르주의 지지자 단체(''at-Tanzim ash-Sha'bi an-Nassiri'')가 시돈에, 알-무라비툰 운동이 베이루트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들은 3월 8일 연합과 정치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나세르주의는 여전히 아랍 세계 전역에서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집트와 아랍 지역의 정치에 대한 대중적 담론에 영향을 주고 있다. 대표적인 나세르주의자인 함딘 사바히는 2012년 이집트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모하메드 모르시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했고, 2014년 대통령 선거에서는 압델 파타 엘시시에게 큰 표 차이로 패했다.[22]

3. 주요 이념

나세르주의는 아랍 민족주의, 범아랍주의, 사회주의(아랍 사회주의)를 결합한 이념이다. 가말 압델 나세르는 서구 제국주의에 격렬히 반대했으며, 시온주의가 아랍 토양에 대한 유럽 식민주의의 연장이라는 널리 퍼진 아랍의 견해를 공유했다.[31]

나세르주의는 이집트에서 이전에는 인기가 없었던 사회주의를 수용했다. 사회주의는 이집트의 전통과 종교를 대체하려는 반종교적인 교리로 여겨져 적대시되었으나, 나세르는 사회주의라는 용어를 채택하여 여러 의미를 부여했고, 이를 통해 "아랍 대중들 사이에서 매우 대중화"시켰다.[33]

Nasser_making_a_speech_in_1960
1960년 대중 연설 중인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


나세르와 그의 운동이 채택한 슬로건은 나세르주의에 대중주의적 성격을 부여했다. 집권 후, 이 운동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칙으로 스스로를 정의했다.[33]

여섯 가지 원칙
"제국주의와 이집트 반역자들의 앞잡이" 파괴
봉건주의 종식
독점과 정부에 대한 자본의 지배 종식
사회 정의의 확립
강력한 국가 군대의 창설
건전한 민주적 삶의 확립


3. 1. 아랍 민족주의와 범아랍주의

나세르주의는 아랍 민족주의범아랍주의 이념으로, 사회주의와 결합되어 "아랍 사회주의"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동구권이나 서구 사상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서구의 자본주의에는 반대했지만, 공산주의는 아랍의 전통 및 종교적 기반과 맞지 않는다고 여겨 거부했다. 그 결과,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나세르주의자들은 아랍 세계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고, 공산주의를 퍼뜨리려는 개인 및 단체를 가혹하게 처벌했다.[28]

바트주의처럼 아랍 세계의 정신적 유산을 고려하여, 나세르주의는 대체로 세속적인 이념이다.[29][30] 다른 아랍 민족주의와 마찬가지로, 1950년대부터 아랍 세계에서 이슬람주의를 지향하는 정치 운동, 특히 무슬림 형제단과 직접적인 갈등을 겪었다. 나세르주의자들은 서구의 제국주의에 격렬히 반대했으며, 시온주의를 유럽 식민주의의 연장으로 보았다.[31]

나세르는 비동맹 운동의 주요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비동맹 운동의 세속주의적 성격은 비종교 교육 강요, 이슬람 재산 규제, 샤리아 법원 폐지를 통해 알 아자르 모스크를 중립화하는 정책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나세르주의의 세속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이념에 비해 온건했다.[32]

나세르와 그의 운동은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칙을 내세웠다.[33]

  • "제국주의와 이집트 반역자들의 앞잡이" 파괴
  • 봉건주의 종식
  • 독점과 정부에 대한 자본의 지배 종식
  • 사회 정의의 확립
  • 강력한 국가 군대의 창설
  • 건전한 민주적 삶의 확립


세계 정치에서 나세르의 이집트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 치하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자바할랄 네루 치하의 인도와 함께 비동맹 운동의 주요 지지자였다. 이들은 개발도상국들이 초강대국의 영향력 밖에 머물기를 원했다. 그러나 이집트 내 공산주의 조직에 대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1956년 삼자 침략 이후 서방 세력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이집트는 소련의 군사 및 민간 지원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다른 혁명적인 아랍 정부들도 아랍 내에서는 공산주의를 억압했지만, 아랍 세계 밖의 공산주의 국가와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맺었다. 이집트-소련 동맹은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 시대에도 계속되었으며, 특히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관련하여 더욱 그러했다.

3. 2. 아랍 사회주의

나세르주의는 아랍 민족주의와 범아랍주의 이념에 사회주의를 결합한 사상으로, 동구권이나 서구 사상과는 다른 "아랍 사회주의"라는 독자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서구 자본주의에 반대하는 동시에, 아랍의 전통 및 종교와 양립할 수 없다고 여겨지는 공산주의를 거부하며 발전했다. 그 결과,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나세르주의자들은 아랍 세계에서 공산주의 확산을 막고, 공산주의를 퍼뜨리려는 개인 및 단체를 강력하게 처벌했다.[28]

바트주의처럼 아랍의 정신적 유산을 중시하면서도, 나세르주의는 대체로 세속적인 이념이었다.[29][30] 이는 이슬람주의를 지향하는 정치 운동, 특히 무슬림 형제단과의 갈등을 낳았다. 나세르주의는 서구의 간섭 중단, 개발도상국 간 연대, 국제적 비동맹, 현대화 및 산업화를 추구했다. 가말 압델 나세르는 서구 제국주의에 격렬히 반대했으며, 시온주의를 유럽 식민주의의 연장으로 보았다.[31]

나세르주의는 반제국주의를 핵심으로 삼았으며, 나세르는 비동맹 운동의 주요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 비종교 교육 강요, 이슬람 재산 규제, 샤리아 법원 폐지 등을 통해 알 아자르 모스크를 중립화하려는 정책에서 세속주의적 성격이 드러났다. 그러나 나세르주의의 세속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이념에 비해 온건했다.[32]

나세르와 그의 운동은 대중주의적 성격을 띠었으며, 집권 후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칙을 내세웠다.[33]

  • "제국주의와 이집트 반역자들의 앞잡이" 파괴
  • 봉건주의 종식
  • 독점과 정부에 대한 자본의 지배 종식
  • 사회 정의 확립
  • 강력한 국가 군대 창설
  • 건전한 민주적 삶 확립


나세르주의는 이전에는 이집트에서 인기가 없었던 사회주의를 수용했다는 점이 독특하다. 사회주의는 이집트 전통과 종교를 대체하려는 반종교적 교리로 여겨져 적대시되었지만, 나세르주의는 사회주의라는 용어에 여러 의미를 부여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했고, 결과적으로 "아랍 대중들 사이에서 매우 대중화"되었다.[33]

나세르의 이집트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 치하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자바할랄 네루 치하의 인도와 함께 비동맹 운동의 주요 지지자였다. 그러나 이집트 내 공산주의 조직 탄압에도 불구하고, 1956년 삼자 침략 이후 서방과의 관계 악화로 소련의 군사 및 민간 지원에 의존하게 되었다. 이는 아랍 내 공산주의를 억압하면서도 외부 공산주의 국가와 강력한 관계를 맺었던 다른 혁명적 아랍 정부들과 마찬가지였다. 이집트-소련 동맹은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 시대에도 계속되었으며, 특히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관련하여 더욱 그러했다.

3. 3. 반제국주의와 비동맹

나세르는 서구 제국주의에 격렬히 반대했으며, 비동맹 운동의 주요 창립자 중 한 명이었다.[31] 비동맹 운동은 개발도상국들이 초강대국 블록의 영향력 밖에 머물 것을 옹호했다.[28] 이 운동의 세속주의적 성격은 비종교 교육 강요, 이슬람 재산 규제, 샤리아 법원 폐지를 통해 알 아자르 모스크를 중립화하는 정책에서 나타난다. 그러나 나세르주의의 세속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이념에 비해 온건했다.[32]

세계 정치에서 나세르의 이집트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 치하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자와할랄 네루 치하의 인도와 함께 비동맹 운동의 주요 지지 세력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과 이집트 내 공산주의 조직에 대한 정부의 탄압에도 불구하고, 1956년 삼자 침략 이후 특히 서방 세력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이집트는 소련으로부터의 군사 및 민간 지원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다른 혁명적인 아랍 정부도 아랍 내에서 공산주의를 억압했지만, 아랍 세계 외부의 공산주의 국가와는 강력하고 지속적인 관계를 맺었다. 이집트-소련 동맹은 나세르의 후임자인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 시대에도 계속되었으며, 특히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관련하여 더욱 그러했다.

3. 4. 세속주의

바트주의와 마찬가지로 아랍 세계의 정신적 유산을 염두에 두면서도, 나세르주의는 대체로 세속적인 이념이다.[29][30] 다른 아랍 민족주의와 마찬가지로, 이는 1950년대부터 아랍 세계에서 이슬람주의 성향의 정치 운동, 특히 무슬림 형제단과의 직접적인 갈등으로 이어졌다. 나세르주의의 세속주의적 성격은 비종교 교육 강요, 이슬람 재산 규제, 샤리아 법원 폐지를 통해 알 아자르 모스크를 중립화하는 정책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나세르주의의 세속주의는 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의 이념에 비해 온건한 편이었다.[32]

4. 나세르주의에 대한 해석

P. J. 바티키오티스의 ''나세르와 그의 세대''(1978),[23] 포데와 윙클러의 ''나세르주의 재고''(2004),[25] 왈리드 할리디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정치적 경향''(1958),[26] ''현대 중동의 역사''(2018)[27] 등 여러 문헌에서 나세르주의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은 나세르주의를 개인적 카리스마적 지도력, 근대화 운동, 또는 절충적이고 경험적인 정신적 태도 등으로 해석하며, 나세르주의가 아랍 공동체에 자신감을 불어넣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4. 1. 카리스마적 지도력

P. J. 바티키오티스는 그의 저서 ''나세르와 그의 세대''(1978)에서 나세르주의는 "운동이나 이념이 아닌 개인적 카리스마적 지도력"이라는 제한적인 정치적 의미를 갖는 현상이라고 주장한다.[23] 바티키오티스는 나세르가 정책 결정에 대한 참여가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정치적 도구로 연설을 활용한 점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를 위해 나세르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대규모 집회에서 대중에게 자주 연설하면서 "제국주의"와 "제국주의의 대리인", "반동", "복수", "존엄성과 자존심", "시온주의" 및 "아랍주의"를 반복적으로 암송했다. 군중들은 나세르가 강력한 지도력과 아랍의 단결에 대한 희망과 열망으로 흥분시키면서 열광했다.[23][24]

4. 2. 근대화 운동

P. J. 바티키오티스는 그의 저서 ''나세르와 그의 세대''(1978)에서 나세르주의를 "운동이나 이념이 아닌 개인적 카리스마적 지도력"이라는 제한적인 정치적 의미를 갖는 현상이라고 주장했다.[23]

''나세르주의 재고''(2004)에서,[25] 포데와 윙클러는 나세르주의를 다르게 해석한다. 그들에 따르면,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서구 사회 과학자들은 나세르주의를 근대화 운동으로, 나세르를 근대화 지도자로 인식했다. 이집트는 탈식민지화 과정을 겪고 있으며 새로운 혁명적 지도력 하에 근대화를 통해 국가적 번영을 열망하는 전형적인 제3세계 국가로 여겨졌다. 따라서 나세르주의는 이집트 전통 사회를 경제와 사회의 근대화를 통해 변화시키려는 시도로 인식되었다.

4. 3. 절충적이고 경험적인 접근

P. J. 바티키오티스는 그의 저서 ''나세르와 그의 세대''(1978)에서 나세르주의는 "운동이나 이념이 아닌 개인적 카리스마적 지도력"이라는 제한적인 정치적 의미를 갖는 현상이라고 주장한다.[23] 바티키오티스는 나세르가 정책 결정에 대한 참여가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지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정치적 도구로 연설을 활용한 점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를 위해 나세르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대규모 집회에서 대중에게 자주 연설하면서 "제국주의"와 "제국주의의 대리인", "반동", "복수", "존엄성과 자존심", "시온주의" 및 "아랍주의"를 반복적으로 암송했다.[23][24]

왈리드 할리디는 ''비옥한 초승달 지대의 정치적 경향''(1958)에서 나세르주의를 이념적 운동이 아닌 "정신적 태도"로 논하며, 이 태도는 "절충적이고, 경험적이며, 급진적이면서도 보수적"이라고 말한다.[26] 왈리디에 따르면, 나세르주의가 아랍 세계에서 지지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아랍 세계 자체로, 비록 부분적으로만, 그 세계의 미래에 대한 결정의 중심지를 옮겼기" 때문이다. 할리디는 이러한 변화가 아랍 공동체에 자신감을 불어넣었다고 주장한다. ''현대 중동의 역사''(2018)의 저자 또한 나세르주의가 아랍 공동체에 어떻게 자신감을 불어넣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27] 저자는 "이집트는 당시 부러워할 만하고 모방할 가치가 있는 어느 정도의 독립과 자부심을 얻었다"고 말한다.

5. 현대의 나세르주의

나세르주의는 아랍 세계 전반에 걸쳐 여전히 정치적 세력으로 남아 있지만, 전성기와는 뚜렷이 다른 방식으로 존재한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나세르주의는 명확한 정치적, 사회적 목표를 가진 혁명적이고 역동적인 운동이었지만,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훨씬 덜 뚜렷하고 구별되는 이념이 되었다. 오늘날, 특정 이상과 목표를 실제로 옹호하는 아랍인보다 나세르주의에 대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알고 있는 아랍인이 훨씬 더 많다. 전 이집트 대통령 호스니 무바라크의 재임 기간 동안, 나세르주의 운동은 무슬림 형제단과 같은 이슬람 정치 조직에 의해 크게 가려졌다.[1]

5. 1. 이집트 내 나세르주의

이집트 내에서 나세르주의는 작가, 지식인, 소규모 야당을 중심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나세르당은 나세르와 그의 아랍 사회주의 연합의 후계자를 자처하며, 함딘 사바히가 이끄는 카라마당도 나세르주의를 표방한다. 그러나 이들은 무슬림 형제단과 같은 이슬람 정치 조직에 비해 영향력이 크지 않다. 이는 아랍 민족주의가 정치적 이슬람에 의해 가려지는 이집트와 아랍 세계 전반의 추세와도 관련이 있다.

나세르는 권위주의일당제를 통해 이집트를 통치하며 정치적 반대를 억압했지만, 현대 나세르주의자들은 민주주의를 지지하며 나세르의 독재는 혁명적 정책 시행에 필요한 조치였다고 설명한다.

6. 아랍 세계 밖에서의 영향

나세르주의는 아랍 이념이지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의 좌익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영국의 좌파 정치인 조지 갤러웨이가말 압델 나세르를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이라고 평가했으며,[36] 21세기에 아랍 정부가 나세르주의를 받아들일 것을 촉구했다.

6. 1. 아프리카

나세르와 체 게바라, 1966년


전형적인 아랍 이념임에도 불구하고, 나세르주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 등 다른 개발도상국의 좌익 운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나세르 통치 하에서 이집트 정부는 유럽 제국주의에 맞서 싸우는 사하라 이남 해방 운동에 도덕적, 물질적 지원을 제공했다. 넬슨 만델라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이자 아프리카 민족 회의 지도자는 이러한 지원이 남아프리카를 포함한 해당 운동의 사기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34] 피델 카스트로쿠바 대통령은 쿠바 혁명과 피그스 만 침공 이후 쿠바가 미국 정부와 겪었던 역경에 관해 비슷한 감정을 표명했다. 두 사람은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의 이집트 침공에 맞선 나세르의 저항이 그들 자신의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

6. 2. 라틴 아메리카



쿠바 대통령 피델 카스트로쿠바 혁명과 쿠바가 겪었던 피그스 만 침공 이후 미국 정부와의 역경에 관해,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의 이집트 침공에 맞선 나세르의 저항이 자신들의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

베네수엘라의 전 대통령이자 볼리바르 혁명의 지도자였던 우고 차베스는 "어떤 사람이 아랍 민족주의의 미래에 대한 그의 비관론에 대해 이야기했다. 나는 나세르의 사상이 여전히 살아 있기 때문에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나세르는 아랍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최소한 나는 젊은 군인 시절부터 나세르주의자였다"라고 말하며 나세르주의가 자신의 정치적 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34][35]

6. 3. 기타



전형적인 아랍 이념임에도 불구하고, 나세르주의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라틴 아메리카 등 다른 개발도상국의 좌익 운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나세르 통치 하에서 이집트 정부는 유럽 제국주의에 맞서 싸우는 사하라 이남 해방 운동에 도덕적, 물질적 지원을 제공했다. 넬슨 만델라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이자 아프리카 민족 회의 지도자는 이러한 지원이 남아프리카를 포함한 해당 운동의 사기를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피델 카스트로쿠바 대통령은 쿠바 혁명과 쿠바가 겪었던 피그스 만 침공 이후 미국 정부와의 역경에 관해 비슷한 감정을 표명했다. 두 사람은 1956년 수에즈 위기 당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의 이집트 침공에 맞선 나세르의 저항이 그들 자신의 운동에 영감을 주었다고 말했다.

베네수엘라의 전 대통령이자 자칭 볼리바르 혁명의 지도자였던 우고 차베스는 "어떤 사람이 아랍 민족주의의 미래에 대한 그의 비관론에 대해 이야기했다. 나는 나세르의 사상이 여전히 살아 있기 때문에 낙관적이라고 말했다. 나세르는 아랍 역사상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최소한 나는 젊은 군인 시절부터 나세르주의자였다"라고 말하며 나세르주의가 자신의 정치적 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34][35]

영국의 좌파 정치인 조지 갤러웨이가말 압델 나세르를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인물 중 한 명"이라고 언급했으며,[36] 21세기에 아랍 정부가 나세르주의의 원칙을 받아들일 것을 반복적으로 촉구했다.

참조

[1] 서적 The building of the High D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2] 서적 The Arab Left Syracuse University Press 1976
[3] 서적 The Failure of the Arab Spring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4] 웹사이트 https://www.cambridg[...]
[5] 웹사이트 Mahfouz's grave, Arab liberalism's deathbed https://www.opendemo[...]
[6] 웹사이트 Nasserism https://www.oxfordre[...]
[7] 웹사이트 No Asian Century without the pan-Asian Institution https://www.tnp.no/n[...] 2017
[8] 학술지 Military and Populism: A Global Tour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Case of Pakistan https://www.populism[...] European Center for Populism Studies (ECPS) 2022-03-01
[9] 서적 Religious Strife in Egypt: Crisis and Ideological Conflict in the Seventies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s 1986
[10] 서적 Ripe for Revolution: Building Socialism in the Third World Harvard University Press 2022-01-04
[11] 학술지 Populism 2017-01-23
[12] 논문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Gender Politics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in the Maghreb: Analytical and Empirical Observations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2009-05
[13] 서적 Anticolonial Afterlives in Egypt: The Politics of Hegemo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4
[14] 학술지 An Interpretation of Nasserism https://www.jstor.or[...] 1959
[15] PDF https://etd.lib.metu[...] 2024-08
[16] 서적 Proxy Conflict Turned Civil Crisis: Understanding Syrian Political Movements to United States Foreign Policy https://surface.syr.[...] Syracuse University 2017-08-09
[17] 웹사이트 Pan-Arab Colors http://www.crwflags.[...]
[18] 서적 The Arab Left Syracuse University Press 1976
[19] 서적 Terror and Insurgency in the Sahara-Sahel Region: Corruption, Contraband, Jihad and the Mali War of 2012-201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3-09
[20] 서적 The Economies of the Arab World (RLE Economy of Middle East): Development since 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0-30
[21] 서적 Religion and Violence: An Encyclopedia of Faith and Conflict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3-04
[22] 웹사이트 Nasserist leaders unite around presidential hopeful Hamdeen Sabahi http://en.aswatmasri[...] 2023-12-27
[23] 서적 Nasser and his generation Croom Helm 1978-01-01
[24] 서적 Nasserist Ideology: Its Exponents and Critics Routledge
[25] 서적 Rethinking Nasserism : revolution and historical memory in modern Egypt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04-01-01
[26] 서적 The Middle East in Transition F. A. Praeger 1958
[27] 서적 A History of the Modern Middle East Taylor & Francis 2018
[28] 웹사이트 What Is Nasserism? https://www.youngpio[...] 2020-12-30
[29] 서적 2003
[30] 서적 1988
[31] 웹사이트 The Phantoms of Nasserism in Latin America https://www.jadaliyy[...] 2019
[32] 서적 The Failure of the Arab Spring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6
[33] 서적 The Arab Left Syracuse University Press 1976
[34] 웹사이트 President of Venezuela Hugo Chavez http://www.memritv.o[...]
[35] 웹사이트 President of Venezuela Hugo Chavez: Israel Uses the Methods of Hitler, the U.S. Uses the Methods of Dracula. I'm a Nasserist who Has Crossed the Deserts, Ridden Camels, and Sung Along with the Bedouins. Al-Jazeera Plays a Role in Liberating the World http://www.memritv.o[...] 2013-08-16
[36] 서적 I'm Not the Only One 2005
[37] 웹인용 The Phantoms of Nasserism in Latin America https://www.jadaliyy[...]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